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태현,정지훈,Kim, Taehyun,Jung, Jihoon 한국화학공학회 2018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56 No.4
Titanium nanotubes (TNT) of various lengths ranging from $0.34^{\circ}C$ to a maximum of $8.9^{\circ}C$ were prepared by anodizing a titanium metal sheet in an electrolyte containing fluorine ion ($F^-$) of HF, NaF and $NH_4F$. When TNT prepared by anodizing was calcined at $450^{\circ}C$, anatase crystals with photo activity were formed. The TNT-based dye-sensitized solar cell (DSSC) showed a maximum conversion efficiency of 4.71% when the TNT length was $2.5{\mu}m$. This value was about 18% higher than photo conversion efficiency of the FTO-based DSSC coated with titania paste. And the short circuit current density ($J_{sc}$) of the TNT-DSSC was $9.74mA/cm^2$, which was about 35% higher than the $7.19mA/cm^2$ of FTO-DSSC. The reason for the higher conversion efficiency of TNT-DSSC solar cells is that photoelectrons generated from dyes are rapidly transferred to the electrode surface through TNT, and the recombination of photoelectrons and dyes is suppressed.
다양한 열-수리-역학적 조건 하에서 불연속면 전단 거동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김태현,전석원,Kim, Taehyun,Jeon, Seokwon 한국암반공학회 2016 터널과지하공간 Vol.26 No.2
Understanding the frictional properties of rock discontinuities is crucial to ensure the stability of underground structures. In particular, the frictional behavior at depth depends on the complex interaction among mechanical, hydraulic, therm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their coupled effects. In this study, a series of shear tests were carried out in a triaxial compression chamber to investigate the shearing behavior of saw-cut granite surface and rough shear surface of synthetic rocks. The test results were analyzed using Coulomb's shear strength criterion. The frictional behavior of saw-cut granite surface showed little variation at different confining, water pressures and temperature conditions, however in case of synthetic rocks, the frictional behavior showed different trend depending on normal stress level. In addition, the variation of stiffness and dilation at different testing conditions were analyzed, and the stiffness and dilation showed little variation at different water pressures and temperature conditions.
사용후핵연료 관리시설에 대한 주민 인식 유형 및 특성 연구 -Q방법론을 중심으로-
김태현 ( Taehyun Kim ),박현주 ( Hyun Joo Park ),문지원 ( Jiwon Moon ),김태현 ( Taehyun Kim )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015 주관성연구 Vol.- No.31
최근 들어 지역기피시설의 설치와 관련된 환경 분쟁이 잦아지고 있다. 특히 원자력이나 핵 관련 시설은 방사성물질의 잠재적 위험성, 건강상의 문제, 시설의 안전성에 대한 불안감 등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기피하는 시설에 해당하며, 우리나라는 사용후핵연료 임시저장소의 포화시점이 2016년 도래할 것으로 예상되어 사용후핵연료 관리시설의 입지 결정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러한 입지 선정 과정에서 시설에 대한 견해 차이로 극심한 갈등이 발생할 것으로 판단되지만 아직까지 주민 개개인의 주관적인 인식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Q방법론을 통해 사용후핵연료 관리시설에 대한 주민의 인식 유형 및 특성을 분석하였다. 56명의 P표본을 대상으로 45개의 Q진술문을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사용후핵연료 관리시설에 대한 인식은 4개의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제1유형(안전우려·정부불신형)은 정부에 대한 신뢰도 및 안전신뢰도가 낮은 유형, 제2유형(안전신뢰·정부신뢰형)은 정부에 대한 신뢰도 및 안전신뢰도가 높은 유형, 제3유형(안전우려·갈등회피형)은 시설이 필요하지만 내 지역에 입지시킬 수 없다는 유형, 제4유형(주민참여 중시형)은 시설유치에 있어 주민 참여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유형이다. 이러한 각 인식 유형의 특성 분석을 통해 지역기피시설의 입지 선정 과정에서 체계적으로 주민 의견을 수렴하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Recently, environmental conflicts occur frequently in siting locally unwanted land uses(LULU). Spent nuclear fuel repository is considered as LULU due to concerns about risk, health damage, and facility safety. The spent nuclear fuel repository has almost reached its maximum capacity in Korea and location decisions for the facility become an urgent issue. Even though severe conflicts are expected in process of location decision, only few researches are developed to accept opinions of individuals dwelling around the affected area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on the residents’ perception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spent nuclear fuel repository using Q methodology. It identifies four types of spent nuclear fuel repository by conducting Q survey with 45 statements to 56 people. The first type(safety concerns-government distrust) is classified as low reliability on the governmentand safety; the second type(safety trust-government trust) is classified as high reliability on the government and safety; the third type(safety concerns-conflict avoidance) is classified as people who prefer not to have the facility in their residential areas; the fourth type(citizen participation) is classified as people who look for citizen participation. This study holds its significance in identifying the differences among perception types of spent nuclear fuel repository and providing an alternative measure for policy-making.
고등학생의 학습동기, 학습전략, 수업참여와 핵심역량 간의 구조관계 분석
김태현(Kim, Taehyun),김석우(Kim, SukWoo)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1 교육혁신연구 Vol.31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적용받은 고등학생의 학습동기, 학습전략, 수업참여, 핵심역량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B시에 소재한 4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3학년 학생 470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결측치를 제외한 452명의 설문응답 자료를 결과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경로모형을 살펴본 결과 고등학생의 학습동기가 핵심역량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관계는 없으며 학습전략과 수업참여를 각각 경유하여 핵심역량에 간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보였다. 둘째, 세부 핵심역량에 학습동기, 학습전략, 수업참여 간의 직접적인 영향을 검증한 결과, 수업참여와 학습전략이 대부분의 세부 핵심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업참여가 심미적 감성 역량에, 학습 전략이 자기관리 역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동기와 핵심역량 및 세부 핵심역량과의 관계에서 학습동기가 핵심역량으로 가는 경로에서 학습전략과 수업참여의 표준화된 간접효과는 유의하다고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위 4가지 변인에 대하여 남, 녀 고등학생 간의 영향력 차이를 위해 다중집단 분석을 실시한 결과, 남학생의 학습동기에서 수업참여로 가는 경로, 학습전략에서 핵심역량으로 가는 경로는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의 경우는 학습동기에서 학습전략으로 가는 경로, 여학생의 학습동기에서 수업참여로 가는 경로, 여학생의 수업참여에서 핵심역량으로 가는 경로는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이와 같은 결론을 통해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핵심역량은 고등학생이 지각한 학습동기, 학습전략, 수업참여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고등학생의 핵심역량을 계발시키기 위한 학습동기, 학습전략, 수업참여 관련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구축할 때 위 변인을 고려하는 것이 더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strategy, learning engagement, and core competencies of high school students who applie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Method: The analysis process verified the validity of the theoretical model for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related variables. For thi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established and the conformity of the structural model and the effect of the path coefficient were verified. Results: In order to motivate students to participate in their own learning and to be able to solve tasks assigned to them, the school field and education officials should use learning strategies that enable students to understand their learning. Conclusion: As a result of analyzing path coefficients to find out the effect of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strategy, and learning engagement on detailed core competencies, first of all, in the case of self-management competencies,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strategy did not affec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strategy and learning eng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motivation and core competencies,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strategy and learning engagemen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more effective to consider the above variables when planning a program related to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strategies, and learning engagement in order to develop core competencies of high school students and constructing various ways to help.
김태현(Taehyun Kim),김동현,신동일(Dongil Shin),신동규(Dongkyoo Shin) 한국정보과학회 200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5 No.1
본 논문에서는 물리엔진 기반으로 지능형 주행 시스템을 구현하여 사용자에게 쾌적한 주행 환경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시스템 환경 내에서 사용자의 위치 및 회전각을 추출한 다음 유한 상태 머신과 베이즈 이론에 입각하여 구현된 모듈에 입력하여서 분석을 한다. 그리고 모듈에서 나온 분석 결과를 장애물이나 커브 구역에서 제공 함으로서 사용자가 현 위치에 따른 환경을 인지하여 좀 더 나은 주행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시스템 내부적으로 분석된 자료가 주행 시스템에 피드백 과정을 통해 입력되어 자동적으로 환경에 적응하여 주행 시간을 단축하는 시스템을 설계 하였고, 일부 기능에 대한 구현을 완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