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공간 중심의 도시 경험 콘텐츠 프레임워크에 관한 연구

        김청아 ( Cheong Ah Kim ),김형민 ( Hyung Min Kim ),반영환 ( Young Hwan Pa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6

        해마다 서울을 방문하는 여행객의 숫자는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나 재방문율은 높지 않다. 방문객들의 관광 목적은 대부분 쇼핑과 식도락 관광으로 치우쳐져 있으며, 이것은 도시 경험 콘텐츠의 다양성을 비롯한 질적인 측면에 문제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시 경험 콘텐츠의 개발과 효과적인 콘텐츠 전달 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도시와 도시 관광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위해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았고 이를 통해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도출하였다. 그리고 도시 안의 공간들을 중심으로 관광 스토리텔링 개념을 도입하여 도시 경험 콘텐츠를 개발하는 방법과 해당 콘텐츠를 시각적으로 커뮤니케이션 하는 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도시 안의 공간들은 시간이라는 속성을 내포하고 있기에 시대별로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며 여기에 관광 스토리텔링의 다섯 가지 요소인 시간, 공간, 사건, 인물, 감정을 축으로 하여 집단화(grouping)가 가능하다. 이것은물리적 인접성을 바탕으로 개발하는 관광코스에 비해 방문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길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도시경험 콘텐츠는 방문객들이 일관적인 도시 경험을 하고 있음을 인지할 수 있게 시각적인 측면에서 아이덴티티를 부여하는 디자인 활동이 필요하다. 해외 및 국내의 유사 아이덴티티 디자인 사례를 찾아보고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방법으로 개발된 도시 경험 콘텐츠는 어떻게 아이덴티티를 디자인해야 하는지 방향성에 대해 논하였다. 추후본 연구를 기반으로 도시 경험 콘텐츠가 다소 부족한 실정인 한국의 근현대사 부분에서 해당 시대를 표현하는 도시 내부의 공간들을 활용하여 새로운 도시 경험 콘텐츠를 개발할 수 있음에 연구의 의의를 둘 수 있겠다. These days visitors in Seoul have been increasing but they do not tend to visit again. The purposes of them are mainly shopping and eating. This tendency means that there are many problems about the quality of city experience contents including the variety.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 new contents is needed to develop and deliver to visitors effectively. This study suggested that how to develop the new city experience contents through the concept of tourism storytelling and grouping the places in a city. Then, we also discussed how to deliver the contents to visitors using the visual communication. The places in the city include the time. So, it is possible for the places to divide a certain period grouping with the time, the, space, the character, the event and the emotion. And the contents needs to have consistency through the visual identity design. We researched similar cases about the design and showed the approaches to the proper design. We expect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discover new city experience contents in Korean post-modern and modern era, which are poor period aspect of tourism.

      • KCI등재

        <최척전>에 나타난 이합(離合)의 다중구조 양상과 그 의미

        김청아 ( Cheong Ah Kim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학연구 Vol.39 No.1

        <최척전(崔陟傳)>은 명종 말년에 태어나 선조·광해군·인조 대에 정치 활동을 했던 조위한(趙緯韓;1567~1649)이 1621년에 창작한 작품이다. 조위한은 현곡(玄谷), 또는 소옹(素翁)이란 호로 불렸으며 당쟁과 잦은 전란으로 인해 치열한 삶을 살았다. 이러한 질곡의 삶은 작품에 고스란히 응집되어 표현되었다. 조위한은 임진왜란을 직접 경험하였다. 그는 전란 중에 어머니와 아내, 어린 딸을 잃었다. 심지어 신혼 생활 중이던 동생의 처까지 순절하는 것을 보았다. 이산의 체험뿐 아니라 의병이 되어 왜적을 물리치는 일에도 참여하고, 또 명나라 군사들과도 교우하며 전장에서 몸으로 고통과 맞섰다. 약탈로 인한 빈곤과 기아, 포로와 이산, 여성 문제 등은 비단 현곡만이 아닌 조선의 모든 백성에게 상처로 남았다. 현실의 상처는 <최척전>에 그대로 표현되었다. 최척과 가족은 전쟁의 화를 피하기 위해 장소를 불문하고 피난생활을 하며 만남과 이별을 반복한다. 이들은 조선과 중국, 해상 등을 오가며 가족, 조선인, 타국인에 이르기까지 많은 사람들을 만난다. 이러한 만남의 양상은 사건의 도화선이 되기도 하고, 위기를 해결하는 실마리가 되기도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조위한이 전란 경험을 바탕으로 창작한 <최척전>에 나타나는 이합(離合)에 주목하여 논의하였다. 먼저 2장에서는 조위한의 생애를 통해 그의 삶에 나타나는 사별(死別)과 별리(別離)의 정서를 살폈다. 3장에서는 작품의 다중구조를 통해 중첩된 이합(離合)의 양상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작가의식을 읽어보았다. 4장에서는 <최척전>에 나타나는 이합의 문학사적 의미를 확인하였다. 작품의 이해를 높이고 그 안에 담겨 있는 작자의 의식을 읽어 내기 위해 본 논문에서 시도한 이합의 의미를 살피는 작업은 적절한 시도였다고 생각한다. 또한 조위한의 <최척전>은 임진왜란을 배경으로 주인공인 최척과 옥영의 만남과 이별, 전쟁으로 인한 가족의 이산, 민중의 고단한 삶의 여정 등을 복합적으로 그려낸 작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Multiple-structured pattern and the meaning of meeting and separation described in Choicheok-jeon Kim, Cheong-Ah Choicheok-jeon is written by Wui-han, Jo(1567~1649) in 1621 who was born in latter years of Myeonjong`s ruling and had engaged in politic activities through Seonjo, Gwangheagun, and Injo`s ruling. His pen name was Hyeon-gok or So-ong. He had lived fiercely going through party strife and wars whose harsh experience is reflected in his book condensedly. Wui-han, Jo experienced Imjin War in which he lost his mother, wife and young daughter. Even, he had to watch his sister-in-law dying for her chastity. In addition to losing his family, he joined the volunteered civilian army and fought against Japanese enemies in battle fields together with allied troops of dynasty Meng. Poverty, famine, POW, separated families, and women`s issues from being looted at war are left as pain in all Chosun people`s mind. The pain in real life is reflected in Choicheok-jeon. Choicheok and his family were separated and back together repeatedly fleeing from the war. They encountered their family members, Chosun people, and people from the other countries while wandering everywhere from Chosun to China. Those kinds of meeting sometimes became triggers of special events or clues of resolution for them. Therefore, this thesis is mainly focusing on meeting and separation described in Choicheok-jeon written by Wui-han, Jo based on his experience of the war. First of all, In chapter 2, the sentiment of separation by death and parting in his life are spotlighted. Also, the pattern of overlapped meeting and separation is analyzed through the multiple structures in chapter 3. Furthermore, it enablesus to read the writer`s idea. Finally, the literary-historical meaning of meeting and separation described in Choicheok-jeon is verified in chapter 4. The attempt to study the meaning of meeting and separation in order to understand writer`s idea is believed to be an appropriate trial. It is concluded that Choicheok-jeon describes the meeting and separation between Choicheok and Okyoung, family separation at the war and people`s tough lives from multiple points of view during Imjin War.

      • KCI등재

        고소설 속 피리의 활용 양상과 기법

        김청아 ( Cheong Ah Kim ) 택민국학연구원 2012 국학연구론총 Vol.0 No.9

        본 논문은 고소설의 음악적 소재 중 피리의 양상을 살피고작품에 활용되고 있는 서사 기법을 검토한 논문이다. 피리는 작품 속에서 일차적 소재뿐만 아니라 사건 전개를 위해 더 다각적인 요인으로 작용한다. 고소설의 작가는 작품을창작하는데 전례와 고사를 인용하여 글의 뜻을 간결하고 명확하게 전달한다. 또한 작품 속에서 서로의 존재를 확인하는 표징으로, 전쟁에서 주술적 도구로, 깨달음의 과정에서 기원적 도구로 활용한다. 이를 통해 작가의 도교적, 불교적 사상까지 엿볼 수 있다. 아울러 피리의 청각적 심상은 글 속에서 독자에게 상상력을 자극하여 마치 그림을 그려내듯 정적인 글에 ``소리``라는 동적인 생명력을 부여한다. <적성의전>에서는 선관과의 만남을 통해, <육미당기>에서는태몽을 통해 소선과 옥성공주가 전생에 피리와 관련이 있었던 왕자진과 농옥의 후생임을 드러내었다. 아울러 소선은 피리를배운 적이 없음에도 어렸을 적에 절로 익혀 기재를 지닌 인물로 표현하였다. 簫仙의 이름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피리와 주인공은 일체가 되는 소재이다. 소선의 재능은 이미 전생에서 이어진 것으로 삶의 일부이다. 결국 소선은 왕자진의 후생으로 기이한 재주를 지녔기에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었다. <육미당기>를 살펴보면 인물의 성격을 부여하는 공간과 아울러 공간의 이동에 따라 장면전환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작품을 읽는 독자가 한 곳이 아닌 여러 곳을 마치 순간이동 하듯, 자유로운 느낌을 받도록 공간이 묘사되었는데, 이는 시공 전환을 위해 피리 소리가 입체적으로 활용된 서사 기법이라 할 수 있다. 피리는 <적성의전>과 <옥루몽>, <육미당기>의 남녀 주인공의 만남을 위한 매개물로도 활용된다. 기봉류 소설인 <옥소기연>과 <삼생기연>, <구운몽>, <강릉추월옥소전>, <삼한습유> 등의 작품에서도 필연적 만남을 형상화하는데 피리가 활용되고 있다. 삼생의 인연뿐 아니라 <옥루몽>에서는 피리가 전쟁상황에서 극적인 만남을 가능케 하는데 활용되기도 한다. 이처럼 피리는 고소설에서 인물의 기재를 드러내고 시공을 입체적으로 전환시키며 남녀 기연을 이뤄내는 등, 다양한 서사기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Various ways the pipe is used among musical materials and narrational techniques in classic novels are studied in this thesis. The pipe is used as one of basic materials in multilateral ways,so as to develop stories. In classical novels, authors express their ideas simply but clearly by quoting precedent classic stories. The pipe is used as a communication tool, a shamanistic tool at war, or a praying tool during a mental training to get enlightened. It makes us take a guess of the author`s idea of Taoism, or Buddhism. Also, imagery sense of hearing from the pipe vitalizes novels by adding "sound", the dynamic factor exciting readers` imagination. The meeting with Sungwan in <Jeoksungeui-jeon>, and the precognitive dream about the birth of a child in <Yukmidang-gi> allude that Sosun and princess Oksung are the children between prince Jin and Nongok who were related to the pipe. Moreover, Sosun was described as a talented person who can play the pipe even if she has never learned how to play. Sosun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pipe, as you can imagine it from her name. Her talent was inherited from her previous life. Sosoun as a child of prince Jin could appeal to people with her gifted talent of playing the pipe. In <Yukmidang-gi>, the scenes are overlapped smoothly as place and time significant for characters` play change. When reading this novel, readers are able to follow easily varying different scenes due to the narration technique making use of the pipe dynamically for changing scenes. The pipe is used as a carrier for main characters` meetings in <Jeoksungeui-jeon>, <Okrumong>, and <Yukmidang-gi>. Also,it is used to describe inevitable meetings in novels regarding gisaeng such as <Oksogiyeon>, <Samsaenggiyeon>,<Guwoonmong>, <Gangeungchuwolokso-geon>, and <Samhanseupyoo>. For example, the pipe is used as a tool to create dramatic meetings at war in <Okrumong>. In conclusion, as one of various narration techniques the pipe is used to describe characters` gifted talent, overlap different scenes dynamically, and deliver messengers of lo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