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평양 산정현 교회의 찬송 ‘내 주는 강한성이요’에 대한 소고

        김철륜 한국실천신학회 2014 신학과 실천 Vol.0 No.41

        한국교회의 발전사에서 빠질 수 없이 등장하는 것은 순교의 씨앗이다. 수많은 순교자들 중에서도 평양 산정현 교회의 주기철 목사, 김철훈 목사는 유래를 찾아 볼 수 없는 순교의 모델들이었다. 현재 북한에는 산정현 교회가 없고 그 자리에는 저항과 반동의 정신을 ‘뿌리채뽑는다’는 의미로 교회 터를 뒤집어 엎고, 인공호수를 만들어 놓았다. 그러나 하나님 이외에는 어떠한 것도 찬양치 않는다는 순교자들의 영성은 지금까지 이어져 와서 오늘날 한국교회는 세계에서 경이적으로 평가할만한 성장을 이루어왔다. 이에 마르틴 루터가 작곡한 ‘내 주는 강한 성이요’ 찬송으로 위기 때마다 힘을 얻고 동력이 되어 일제와 싸워 이기고 공산주의와 싸워 승리할 수 있었다. 또한 영성을 고양시키고 발현시키는 역할을 가지고 왔다. 한국교회의 영성과 찬송에 있어서는 평양 산정현 교회를 빼놓고는 이야기가 되지 않는다. 평양 산정현 교회는 신사참배에 맞서서 순교로 신앙을 이어 갔기 때문에 그 의미는 크다고 할 수 있다. 산정현 교회는 한국교회의 양심이었고 증인이었다. 백절불굴의 투쟁정신과 강한 저항 정신은 오직 예수를 따라 죽는 것이 참 사는 것이며 하나님 이외 다른 신을 섬기면 안된다는 강한 영성을 내포하고 있다. 특히 ‘내 주는 강한성이요’는 이러한 정신과 운동과 더불어 한국 교회사에 길이 남을 것이다. 앞으로 한국교회에 어떠한 고난이 닥치더라도 순교와 저항은 계속 될 것이기 때문에 한국교회의 미래는 밝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내 주는 강한성이요’가 가지는 투쟁과 저항 정신이 오롯이 살아 남아서 오직 하나님만 찬양하는 한국교회가 계속 부흥과 발전이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One issue that cannot be overlooked in the advancement of the Korean Church is that of martyrs and martyrdom. Of all the Christian martyrs, it is difficult to find such models of martyrdom as can be found in the stories of Pastor Kim Chulhoon and Pastor Ju Kichul of Pyeongyang Sanjeonghyun Church. In North Korea, Pyeongyang Sanjeong Church is no longer standing and in the oppositionist reactionary spirit to remove any remnant or roots of this church, an manmade lake has been put in its place. However, the LORD our GOD has not forsaken the everlasting spirits of these and other martyrs of the Korean Church and today, the surprising growth of the Korean Church can be highly evaluated. It was through praising the LORD with the hymn by Martin Luther, "A Mightly Fortress is our GOD"that offered strength in times of trouble during the successful struggles against the Imperialist Japanese and the Communist. Also, through this praise, the spirituality of the Korean Church was able to grow and strengthen. In contemplations of the spirituality and praises of the Korean Church, Pyeongyang Sanjeonghyun Church cannot be overlooked. The Pyeongyang Sanjeonghyun Church refused to bow down to Japanese Shrine worship and this refusal had powerful meaning. The actions of Pyeongyang Sanjeonghyun Church showed the clear Christian conscience and was a testament of the Korean Church. With a strong and determined resistance spirit and the mindset of following only Jesus even unto death could the Korean Church lead a life of truth and oppose Japanese Shrine worship. It was with this kind of spirit and social movement embodied in the hymn "A Mighty Fortress is our LORD" that will forever remain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Church. In the times to come, in whatever struggle may be faced, continued martyrdom and resistance will lead to a bright future for the Korean Church. The spirit of struggle and resistance to strife embodied in "A Mightly Fortress is our GOD" is the only way to survive through praising the LORD for the continued revival and advancement of the Korean Church.

      • 21세기 찬송가에 대한 소고

        김철륜 안양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2 人文科學硏究 Vol.10 No.-

        A trial version of hymn for the 21st century was given to the world. It will be used by about a quarter of the population in the new millenium. Among many crucial features of the hymn, several positive aspects are as follows; 1. The hymn for Korean people was drastically supplemented. (128 songs) 2. It contains many songs that are significant in the history of church. 3. It contains hymns throughout the world. 4. Its versicles were expanded. (131 in number) 5. A scheme to revise hymns was suggested. Negative aspects of the hymn are as follows: 1. It is like a gospel song rather than a hymn. 2. It contains many songs that are below the common level in the musical aspect. 3. It has quite a few problems in translation. 4. The rough-and-ready publication of the hymn needs to be reconsidered. 5. It is below the common level as the hymn handed down to posterity.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 the rough-and-ready published hymn for the 21st century needs to be reconsidered. Secondly, the hymn should not be bound with the bible together in one volume.

      • C.C.M에 관한 연구 : 의미의 본질과 전망을 중심으로

        김철륜 안양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1 人文科學硏究 Vol.9 No.-

        The most distinct movement in present Korean Christian music is the development of C.C.M. The logic of C.C.M. is that it can integrate chirstianity with all genres of popular songs. Various kinds of popular Christian music such as rock, rap, dance and punk, are rapidly increasing among young people. The initial concern over possible reverse effects of C.C.M. is gradually fading, and rather, the righteousness of C.C.M. musicians with the spirit of success. It is quite clear that traditional hymns were losing popularity in the previous era of Christian music. C.C.M. can be described as a song on christianity which can be sung in every day life. Respect and praise are two different qualities, and it is clear that this is inappropriate as a hymn to be sung in church. C.C.M. is most of a substitute for popular music than another genre. Considering it as a missionary method is one way of utilizing C.C.M. and its value as an alternative to popular music will be acknowledged this does not conclude that hymns maybe treated lightly. The value of hymns lie essence. A non-substantial quality should never distort true essential quality.

      • Gospel Song의 본질과 이의 사용에 관한 硏究

        김철륜 대한신학교 1982 논문집 Vol.2 No.-

        Lately, as the Gospel Songs have been widely spread to many people, and in result many arguments have happened about it here and there. The discussions, moreover, the yeas and nays about putting them to use in service, has become more and more severe problems. Those who approve it suggest the following reasons; 1. The words consist of religious experiences. 2. The notes are easy to learn. 3. The rhythms are suitable for ous contemporaries. 4. We can accept and hear them easily without strain, etc. On the other hand, those who stand against the Gospel Songs are united in their belief that it is "deplorable" for the Gospel Songs to have been sung by college students, adolescent, and even in the hour of the main services and children's meetings and they insist as followings; 1. All the hymns should be biblical. 2. They should be pious. 3. They should be emotional. And they say that the Gospel Songs don't have any of these. In this way they have objected to sing them, saying that, once they begin to sing the Gospel Songs, they are indulged in them, and don't want to sing any other hymns again, and to make the matter worse, they are likely to play guitar mixed jazz and and to make jesture. Sankey, who we have called forerunner of the Gospel Songs said in his book that many people in Scotland had opposed to sing them at the public worship, so matters went worse and worse, and finally the disputes whether should be sung or not were raised. He said, "I sang them with the mind of praying, and I could see many people were fascinated by them. But, as they forbade us to perform on the Organ in Barclay Free Church, we made it a rule not to sing them." This can be an ilustration which shows us that there were many problems even in the days when the Gospel Songs had been in fashion. Recently, a minister positively insisted that, at any rate, the gospel songs had to be excluded from church, and he looked upon even those who were talking about the Songs as heterodox religionists. Why, must the Gospel Songs not be sung again in the world? Must it absolutely not be sung even at service? Is it true that the Gospel Songs, which are supposed to spoil the devout service atmosphere, and challenge the venerable and honorable Godhood, is the game of degraded satan? In this research, I have tried to catch what is the true nature, the meaning and the right usage of Gospel Songs.

      • 교회음악의 세속화적 경향에 관한 소고

        김철륜 대신대학 1991 논문집 Vol.11 No.-

        한국교회는 천만성도라고 하지만 빛과 소금의 역활을 감당치 못하고 있는 설정이다. 또한 그것은 주의 뜻이 무엇인지 분별치 못하고 있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성서는 우리에게 분명히 가르치고 있다. 주께서 무엇을 우리들에게 요구하시고 명령하셨는가에 대해서 우리는 이사야서 43장21절을 통해 분명히 주의 뜻과 창조의 목적을 알 수 있다. 하나님께서 이 백성을 만드신 그 근본 목적이 하나님의 찬송을 부르게 하게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작금에 이르러 많은 교회가 하나님의 찬송을 부르기 보다는 세속적인 노래에 더 심취하고 있음에 안타까운 심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회음악의 세속화적 경향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원설에 대해 많은 학자들이 人聲에 의한 방법과 타악기 등등 세속 一般化的 현상을 중심으로 연구하였으나 성서와 M.Luther가 주장한 것을 토태로 음악(찬송)은 하나님께서 주신 가장 놀라운 선물임을 논하였다. 또한 음악은 태초로 부터 있어서 왔음을 말하였다. 교회음악과 세속음악의 차이점은 분명히 주님의 이름으로 제작된 음악을 聖樂으로, 그렇지 않은 一般음악을 세속음악으로 규정하였다. 한편 세속화 경향에 서있는 한국 현대교회의 모습들을 예배음악적 측면, 종교다원주의적 교회음악회, 팝 음안과 창법, Shamanism的 측면등을 중심으로 고찰해 보았다. 무분별하게 사용되어지고 있는 복음성가(Gospel Song)가 예배에서 사용될 수 없는 이유중 대표적인 것은 받는 상대가 하나님이 아니라 인간이기 때문에 불가한 것이다. 예배는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찬송도 하나님께 드려지는 것이라야 사용이 가능하다. 우리는 하나님 이외는 그 어떤 것도 찬송치 말아야 한다. 성서는 분명히 우리에게 제시하고 가르치고 있다. 모든 것은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여 찬송되어야만 할 것이다.

      • Parodie와 교회음악의 세속화 경향에 대한 연구 : 21C에 즈음한 한국 찬송가의 발전 방향과 전망을 중심으로 In prospect of the Korean hymn in the oncoming 21th Century

        김철륜 안양대학교 1996 논문집 Vol.16 No.-

        세계 교회사에서 그 유래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경이적인 성장을 가져온 한국 교회는 불과 선교 100여년만에 전국민의 4분의 1이라는 기독교인을 자랑하게 되었다. 더욱이 이렇듯 한국 교회가 부흥하게 된 동기 중에 하나를 꼽는다면 바로 한국 교회의 찬양의 힘이 컸음을 부인할 수 없다. 또 찬양의 비중이 한국 교회의 예배 내에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제 곧 21세기를 맞고 있는 이즈음, 우리는 19세기의 찬송만으로는 새로운 세대의 음악에서 견인차 역할을 감당할 수 없음은 자명한 일이다. 교회 음악이 암흑기로 들어가고 답보적인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은 본래의 목적에서 변질되고 있음이다. 즉, 세속적인 Parodie가 교회내에 유입됨으로 인해서 찬양해야 할 하나님보다는 욕구 충족을 위한 인간의 모습이 하나님의 영광을 가리고 있는 형상이다. 종교 개혁가들은 새로운 찬송을 원했다. 왜냐하면 그것은 곧 하나님의 회복을 의미했기 때문이다. 우상을 노래하던 것에서 하나님을 찬양케 되었기 때문이었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찬송가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다. 조성과 박자가 단순하다든지, 한국인의 작사, 작곡이 미약하며, 예배 찬송은 적고 복음성가가 너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세속곡의 유입이 많으며, 가사의 표현상 많은 문제가 있었다. 한편 내일의 청소년을 위한 찬송의 개발이 시급한 문제이다. 그리고 찬송의 한국화를 위해 많은 연구와 지원이 필요하다. 회중 찬송에서 세속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Parodie는 경계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