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현행 형벌제도의 정당성에 대한 검토

        김창군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원 2022 法과 政策 Vol.28 No.2

        This paper analyzes legitimacy of current penal system. We cannot run a country without a penal system. To declaim that the current penal system has become ‘punishment obsessed is just totally false. The aim of the penal system should be to protect the public by preventing re-offending. It is an important part of the penal system and must deal effectively with recidivism. The fundamental principle underlying the penal system is special deterrence goal. This paper analyzes the penal system and the criminal justice system. Our outdated penal system is no longer attainable in modern, constitutional democracies. Changes are needed in our penal system in general. The real resolve for such a case is reforms inside the penal system. Firstly, death penalty and short-term imprisonment should be abolished. Death penalty has no place in the penal system of a civilized society. That lies at the heart of any reform of the penal system. However, this is not a new issue or a recent problem for the penal system. This leads us to the obvious question about whether the death penalty works or not. It clearly does not work if this means reducing our homicide rate. Research findings over generations of studies have made it clear that the dearth personalty is not a greater general deterrent to homicide than is its alternative, long-term imprisonment. The short-term imprisonment also brings change for worse, These urge the legislator to work towards the restitution or abolition of the use of dearth personalty and short-term imprisonment as a punishment. This measure of legislation has a minimal part to play at this stage in current penal system. It might also be an opportunity to create a just, effective and humane penal system. Secondly, the composition of punishment should be run under the principles of the rule of law. The principle of excess prohibition deserves explicit emphasis. We need to think much harder about how to create the condition's for a minimum necessary penal system. We shout treat the penal system as a contort agency of last resort. 형법은 범죄와 형벌에 관한 법규범이다. 형법은 총칙 제3장 刑에서 형벌의 종류와 내용을 규정하고 있다. 형벌은 국가가 부과하는 공적 제재수단들 가운데 가장 강력한 제재이며, 법공동체의 질서를 유지하고 진작시키기 위해 부과되는 국가의 公刑罰이다. 형벌법규는 법익보호를 위하여 설정된 것이므로 법익을 침해하는 범죄자에 대해 형벌은 사회윤리적 비난을 공적으로 가할 뿐만 아니라 그가 일반시민으로서 누리던 통상의 자유상태 및 권리영역을 박탈하거나 현저히 감소시킨다. 이러한 형벌의 해악적인 속성은 근대 형법이 성립한 이후 국가가 독점하고 있는 형벌권 행사의 정당성에 관해 의문을 품게 만들었다. 본 논문에서는 현행 형법이 규정하고 있는 형의 종류에서 그 정당성이 문제되는 형벌을 검토하였다. 이에 대한 이론적인 전제로 형벌의 정당성을 둘러싼 형벌론을 살펴보고, 이를 기초로 현행 형법이 규정하고 있는 형의 종류 중에서 특히 사형, 구류, 징역과 금고의 이원화 등의 정당성을 검토하였다. 먼저 사형, 구류, 징역과 금고의 이원화는 범죄자의 교정교화라는 목적을 지니지 못하고 오로지 응보, 일반예방, 명예의 존중 등의 목적을 위한 것이므로 형벌로서 정당화되기 어렵다. 따라서 사형과 구류는 폐지하고 징역과 금고는 일원화해야 할 것이다. 더 나아가 형벌의 정당성과 관련하여 더욱 중요한 것은 형벌이 어떻게 사용되어야 하는지에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현행 형법이 규정하고 있는 형벌을 적절하게 사용하고 있는지 여부, 즉 공권력 행사의 절제와 개인의 자유보장 등 법치국가의 실질적인 본질표지와 관련한 정당성을 검토하였다. 특히 과잉금지의 원칙은 입법자가 일반적인 범행의 충동을 억제하기 위하여 지나치게 중한 형에 치중하여 일반예방의 효과를 극대화하려는 것을 방지한다. 형법의 적용이 결국 이익 보다는 손해를 더 많이 야기할 것으로 우려될 때 이러한 부작용들은 형법의 포기를 검토하게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愼重과 寬容을 고려하지 않은 형벌의 행사는 그 정당성을 상실하게 될 것이다.

      • KCI등재
      • 사이버범죄에 관한 연구

        김창군,이은주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원 2010 국제법무 Vol.2 No.2

        Modern society, called the Information Society, is changing at too high speed based on high information technologies to predict our future, and cyber space keeps expanding further and it is being given a great deal of weight in the information era,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describe the development progress of computer crimes and cyber crimes under the title, 'Cyber Crimes'. It also examines the general idea of computers, which is a major object of computer crimes, and its meaning in the criminal context and considers cyber crime as a comprehensive criminal act that is constituted in cyber space. The characteristics of cyber space are anonymity, non face-to-face communication and those of cyber crime are the seriousness of infringement of people's rights, a lack of feeling guilty, crimes of deception, high frequency of criminals and complicity in crimes. There are a lot of theories of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cyber crimes and it is found difficult to firmly establish them. This study classifies cyber crimes into the essential type crime and unessential cyber crime by the media of cyber space . Quite Cyber type refers to possible within the cyber space itself such as hacking, malwares distribution, spam-mail and Denial-of-Service attacks. On the other hand, non-quite cyber crime refers to crime that uses cyber space as a tool, for example Internet auction fraud, piracy, service of illegal contents, defamation, ID theft, cyber stalking, cyber gambling, exchange of prohibited product, etc. This paper lays a finger on problems with countermeasures for the current controversial cyber crimes and punitive regulations in force in current legal system by conducting an analysis of other countries' lawmaking cases and countermeasures, and suggests better solution for cyber crimes. The government adopted a special law to correspond to the adverse effect of the public Internet use from the middle of 1990's, instead of applying criminal law. Legislation that criminalizes certain acts thus is commonly applied to cyber criminals by police as follows : ■ Criminal Act ■ Act on Promo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Utilization and Information Protection, etc. ■ Information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Protection Act ■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ct ■ Framework Act on Telecommunications ■ Telecommunications Business Act ■ Location Information Protection Act ■ Copyright Act ■ Radio Waves Act ■ Digital Signature Act ■ Computer Programs Protection Act By this government's countermeasures, some problems such as penalty unbalance among several laws, legal system inconsistency, and similar rules dispersed in many special laws occurred. As it is shown in the American and Germany legal system where cyber crimes are being addressed in the positive manner regarding the application of a criminal law in countries, it is found that they are trying to make a practical study on the means best suited for their system and public order by applying the existing laws to cyber crimes extensively. In conclusion, this study summarizes the improvement plans for the regulations of criminal laws and special laws by types of cyber crimes, and strengthening internet service provider's liability, promoting cooperation between the administrative machinery and puts an emphasis on the necessity of voluntary control, an indirect regulation of cyber crimes. 사이버범죄는 컴퓨터범죄와 사이버테러를 포괄하는 의미로 사이버공간에서 발생하는 범죄행위를 총칭하는 용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사이버범죄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이론적 고찰과 법적 규제방안을 검토하였고, 이를 토대로 현재 사이버범죄를 규제하고 있는 형벌규정들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미 우리 사회에 만연되어 있는 사이버범죄 중에서 名譽毁損, 음란물유포 등의 경우에는 형법에도 처벌규정이 마련되어 있다. 때문에 이러한 범죄양태들은 형법전으로 편입시키고, 각종 특별법에 산재되어 있는 범죄들의 경우에도 처벌의 정도를 타 범죄들과 비교․검토함으로써 체계 및 형평성을 유지하여야 한다. 특히 해킹의 경우에는 국가기반 정보통신망 자체의 안정성을 위협하고 침해할 수 있는 위험성이 매우 크므로 초기단계부터 단순해킹이나 바이러스 제작․유포 등의 범죄행위에 대해서 형법전에 미수범의 처벌규정을 신설하여 강력하게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피해 규모나 중독성․파급효과 등 社會有害性이 일반 도박죄에 비해 매우 큰 인터넷 도박은 그 형벌을 가중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인터넷서비스제공자나 P2P서비스의 규제를 강화해야 하고 인터넷 실명제의 확대 실시를 적극적으로 검토하여 우리 현실에 적합한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