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 특수교육의 현황과 향후 과제에 대한 소고

        김진호(Kim, Jinho H) 순천향대학교 특수아동교육연구소 2015 특수·영재교육저널 Vol.2 No.2

        본 연구는 교육실천학의 학사적 탐색을 통하여 교육실천학의 한 분야인 특수교육의 학문적 현황과 향후 전망 및 과제를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되었는데, 첫째로는 현재 특수교육의 학문적 현황을 고찰하여 제시하였다. 특수교육은 다양한 장애유형과 그와 관련된 독특한 학문 영역과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특수교육의 학문적 현황을 전반적이면서도 이해 하기 쉽게 대학의 관련학과와 학술단체의 현황, 특수교육 기관과 교육 대상자에 따른 현황, 특수교육의 학문 내용에 따른 현황을 제시하였다. 둘째로는 특수교육의 학문적 현황을 바탕으로 특수교육 연구과 교육 적용과 관련되어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향후 전망과 과제를 모색하여 제시하였다. 특수교육 현장에서 제기되는 개별화교육과 통합교육의 접목, 성인생활 준비를 위한 기능적 교육으로써의 전환교육과 직업 교육의 효과적 실행, 사후중재 패러다임의 특수교육에서 예방적 특수교육으로써의 패러다임의 변화를 다루었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는 교육실천학의 학문적 성격을 지니고 있는 특수교육과 관련 학문의 오늘과 내일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the present condition and the future direction and tasks of the special education field in South Korea.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was composed of two parts. First, current trends and research efforts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were analyzed. The present conditions and current status of special education systems and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presented. And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s of special education were discussed according to the categories of disabilities, core education domains, and life spans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Second, the future direction and tasks were suggested as challenging issues of specia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y were the integration of personalized education practices and inclusion education, transition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outcomes, and the shift of special education paradigms.

      • KCI등재

        일반학생들의 진로교육에 대한 국내 실험연구 고찰

        김진호(Jinho H. Kim),차재경(Jae Kyoung Cha) 한국진로교육학회 2015 진로교육연구 Vol.28 No.1

        본 연구는 일반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교육을 실시한 국내 실험연구 논문을 심층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험연구의 특징, 중재프로그램, 종속변인 유형과 측정 방법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는 향후 진로교육 연구와 실행에 있어서 의미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2000년도부터 2014년까지 일반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교육을 실시한 국내 실험논문들을 조사하고, 분석논문 선정기준에 따라 37편의 실험논문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실험연구는 세 가지 영역에 따라 총 7개의 분석변인으로 분석되었다. 즉, 개괄적 특성(연구대상, 실험설계, 자료 분석), 중재프로그램(독립변인), 종속변인 유형 및 측정방법(종속변인, 측정도구, 중재효과) 관점에서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문헌연구의 결과로서 먼저 개괄적 특성을 살펴보면 연구 대상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실험설계는 대부분 집단설계연구로 사전·사후통제집단 설계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 분석방법은 크게 변량분석 방법과 비모수 분석 방법을 같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변량분석 계열의 통계분석 방법을 사용한 논문이 가장 많았다. 그리고 중재 프로그램에 대한 분석결과로서 대부분의 연구들은 기존에 많이 활용되고 있는 진로관련프로그램을 연구 목적과 연구대상 학생들의 특성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재방법은 집단상담프로그램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인 유형과 측정방법에 있어서 많은 선행 실험연구들은 진로성숙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였으며, 측정도구로는 진로의식성숙이나 진로성숙도 검사를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진로교육 관련 선행 실험연구들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논의에서는 앞으로 일반학생들을 위한 진로교육 연구 및 중재프로그램 실행에 대한 시사점을 같이 모색해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research literature of experimental studies on career education for general students and to provide information and suggestions on career education for future research. There is a growing emphasis that career education including vocational education is an effective way to increase education outcomes and enhance the adoption of successful adult lives by general students. A systematic search of the literature from 2000 to 2014 revealed 37 experimental studies published in major journals within the South Korea. This study analyzed the 37 selected studies in terms of 7 analytical variables: participants, experimental design, data analysis, training program(independent variable), objective skills(dependent variable), method of measurement, results(the effectiveness of each stud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7 analytic variables.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recommendations for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on career education were presented.

      • KCI등재

        지역사회중심 훈련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들의도서관 사서보조원 직무기술에 미치는 효과

        김진호 ( Jinho H. Kim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4 지적장애연구 Vol.16 No.1

        지역사회중심 훈련프로그램은 장애학생이 성공적인 직업적응을 하는데 필요한 관련기술을 효과적으로 가르치는 방법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지적 장애학생들에게 지역사회중심 훈련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지적 장애학생들의 도서관 사서보조원 직무기술 중의 하나인 도서관 잡지등록 및 서가진열기술의 습득과 유지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고등학교 특수학급에 속해있는 지적 장애학생 세 명을 대상으로 지역사회중심 훈련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그 효과는 대상자간 중다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목표행동인 도서관 잡지등록 및 서가진열기술은 지역사회 대학교의 도서관에서 실제로 필요한 기술로 선정하였으며, 대상학생들이 예비 사서보조원으로서 실제 생활 맥락 속에서 습득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지역사회중심 훈련프로그램은 대상학생과 지역사회 환경에 대한 생태학적 관찰과 과제분석을 바탕으로 구성되었으며, 교수 기법은 지역사회중심 교수패키지로 구성하였는데 직접교수, 비디오 모델링, 최소촉진법, 시간 지연법, 자기 점검, 토큰 강화 등이 포함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대상학생 세 명의 도서관 잡지등록 및 서가진열기술이 모두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습득된 기술은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유지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지적 장애학생을 위한 지역사회중심 훈련관점에서 논의되었으며, 본 연구의 훈련프로그램과 결과는 특수교육현장에서 지역사회중심 훈련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실행하는데 필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community-based training program on librarian aide work skills in an university library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participant were three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were enrolled in a special education classroom of a general high school. The community-based training program was conducted in the periodicals section of an university library as well as in an office located in the library. The multiple-baseline design across participants was use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training program. Target behaviors were the work skills of librarian aides in an university library, which were book registration and display skills. The community-based training program used a package of instructional strategies such as direct instruction, task analysis, video modeling, prompting, self-checklist, token reinforcement, etc.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all three participants learned the book registration and display skills and the newly acquired skills were successfully maintain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in the perspectives of transition education and vocationa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KCI등재

        장애 영유아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및 연구방법 고찰

        김진호(Kim, Jinho H),차재경(Cha, Jae Kyoung)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7 특수교육 Vol.16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장애 영유아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한 최근의 국내 연구 동향과 연구방법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장애 영유아 교사교육 및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최근 10년 동안 국내 등재 학술지에 게재된 총 122편의 장애 영유아 교사 관련 논문을 조사하여 선정하였다. 선정된 논문은 먼저 전반적 연구동향으로 5가지의 분석요인(연도별 학술지 게재 현황, 연도별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대상, 연구지역)에 따라 분석하였다. 이어서 연구 유형에 따라서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는데, 조사연구와 질적연구는 2가지 분석요인(연구방법, 연구주제)으로 분석하였으며, 실험연구는 7개의 구체적인 분석요인(연구대상, 연구설계, 연구장소, 독립변인, 종속변인, 측정방법, 측정도구)에 따라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최근의 장애 영유아 관련 연구들은 특수교육 및 유아교육 분야 학술지에서 발표되었다. 둘째, 연구주제는 통합교육/보육, 직무만족도, 협력교수, 교육과정과 관련된 주제로 이루어진 연구가 가장 많았다. 셋째, 연구방법은 조사연구와 질적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넷째, 연구대상은 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연구지역은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지역에 많이 편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장애 영유아 교사를 위한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한 제언들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current research trends and methods of domestic studies about teac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used as basic data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s in the early special education field. Method: A systematic search of the literature published in registered domestic journals in the last 10 years revealed 122 studies. Selected studies were analyzed in terms of research trends(annual trends by journals, research topics, type of research, participants, research areas). Additionally, the studies were analyzed based on research types(survey, qualitative research, experimental research). Results: First, recent research related to teac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has been published in journals of special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Second, the frequent research topics were inclusive education/child care, job satisfaction, and collaborative teaching. Third, regarding the type of research, survey research and qualitative research were mainly conducted. Fourth, most of the selected studies targeted early childhood educators and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at interacted with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ugges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regarding teac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presented.

      • KCI등재

        장애학생을 위한 지역사회중심 교수프로그램 적용사례 고찰: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김진호(Kim Jinho H.),권승희(Kwon Seung Hee) 한국직업재활학회 2008 職業再活硏究 Vol.18 No.2

        본 연구는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지역사회중심 교수프로그램을 적용한 사례연구를 조사하여 분석함으로써,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지역사회중심교수의 연구동향과 실제를 파악하고, 효과적인 지역사회중심 교수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국내에서 발표된 지역사회중심교수와 관련된 논문을 조사하여, 분석논문 선정기준에 따라 10편의 적용사례 논문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행연구 분석은 11개의 분석변인(연구대상, 실험환경, 실험설계 및 절차, 중재프로그램과 기법, 목표기술, 측정도구 및 방법, 관찰자간 신뢰도, 사회적 타당도, 중재 충실도, 결과, 유지 및 일반화)에 따라 분석되었다. 대부분의 선행연구는 다양한 기법으로 구성된 지역사회중심 교수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장애학생의 지역사회시설 이용기술, 이동 및 여가기술 등을 습득하게 하는데 효과적이었으며, 습득된 기술은 다른 장소에서도 일반화되고 유지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선행연구들의 목표기술은 직업적응이나 거주적응과 같은 일상생활 맥락에서 이루어지는 일련의 통합된 기술보다는, 제한된 기술영역에서 개별적이고 분리된 과제들을 목표기술로 설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11개의 분석변인에 따라 분석결과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으며, 장애학생을 위한 지역사회중심교수와 지역사회 적응관점에서 그 결과를 논의하였다. Community-based instruction(CBI)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techniques to improve skill acquisition and generalization of newly learned skills to everyday living environments. Community-based instruction is a comprehensive approach to promote community integration and successful adult life adjustment especially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research literature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 and to provide information and suggestions on community-based instruction practices and future research. A systematic search of the literature from 2000 to 2007 revealed 10 experimental studies published in major special education journals. This study analyzed the 10 selected studies in terms of 11 analytic variables: participants, research settings, experimental design, training program and strategies, target skills, method of measurement, inter-observer reliability, social validation, treatment fidelity, results,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primary on community-based instruction components and target skills of the analyzed studies. In general, this review study showed that community-based instruction programs were effective in teaching community living skills and improving generalization of learned skills to community setting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11 analytic variables.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recommendation for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on community-based instruction were presented.

      • KCI등재

        발달지체 유아를 대상으로 언어중재를 적용한 국내 실험연구의 동향 및 질적 평가지표 분석

        김진호 ( Kim Jinho H. ),김지수 ( Kim Jisu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5

        본 연구는 최근 약 10년간 발달지체 유아를 대상으로 언어중재를 적용한 국내 실험연구의 전반적 동향을 분석하고 질적 평가지표에 근거한 분석을 실시하여 앞으로의 연구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7년부터 2017년까지 한국연구재단 등재지와 등재후보지에 출판된 총 31편의 국내연구를 분석 논문으로 선정하였다. 전반적 연구 동향은 출판 현황, 실험설계, 연구대상자 및 연구 장소, 독립변인, 종속변인의 5개 영역에 대하여 분석하였고, 질적 평가지표에 근거한 분석은 맥락과 환경, 참여자, 중재자, 독립변인, 중재충실도, 내적타당도, 종속변인, 자료분석 총 8개 영역의 22~24개 질적 평가지표 문항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발달지체 유아 대상 언어중재 적용 국내 실험연구는 연평균 약 2.8편으로 꾸준히 출판되었으며, 3명의 대상자에게 단일대상연구 방법을 적용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중재는 교/보육기관이나 가정에서 주로 실행되었으며, 놀이관련 활동 중 목표 어휘를 삽입하여 지도하는 방법 및 반응적 상호작용 기반 중재와 같은 자연적 언어중재를 가장 많이 적용하였다. 종속변인은 언어적 또는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 유형별 발생빈도를 측정한 논문이 가장 많았다. 둘째, 질적 평가지표에 근거한 분석 결과 AB설계를 10편을 제외한 단일대상연구 18편의 지표 충족률은 최대 44점 중 평균 33.89점, 집단연구는 3편은 최대 48점 중 평균 37.66점이었으며, 단일대상연구와 집단연구 모두 중재자와 중재충실도 영역의 지표를 가장 충족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언어중재에 대한 논의와 후속연구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overall trends and the study rigor of research on language interventions for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 total of 31 articles published in accredited and candidated Korea Citation Index (KCI) Bournals from 2007 to 2017 were selected. All articles were first analyzed by the following criteria: Year of publication, research design, participants and location of interventio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Twenty-one articles were further analyzed by 2014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CEC) quality indicators which include 22 to 24 items across eight domains of context and setting, participants, intervention agent, description of practice, implementation fidelity, internal validity, outcome, and data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research on language interventions have been published regularly and most of them were single-case studies. The interventions were mostly administered in inclusive kindergartens, daycare centers and home. For independent variables, most of the research implemented milieu teaching or embedded language learning opportunities. Verbal or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of young children were most frequently measured as dependent variables. Second, with the exception of ten AB-designed research, average total ratings of quality indicators for eighteen single-case design and three group design research were 33.89 and 37.66 with their maximum ratings of 44 and 48 respectively. The least met quality indicators were from intervention and implementation fidelity domains.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지적 및 발달장애 학생의 자기관리기술에 대한 국내 실험연구 고찰

        이수정 ( Lee Soo-jeong ),김진호 ( Kim Jinho H.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7 지적장애연구 Vol.19 No.3

        자기관리(self-management)는 학생이 자신의 행동을 관리하기 위해 목표행동을 설정하고 실행하고 평가하게 함으로써 자신의 행동을 최대한 자립적으로 실행하고 통제해 나가는 역량을 기르게 한다. 또한 다양한 목표행동의 습득과 아울러 실제 생활환경에서 일반화하는 능력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본 연구는 근거기반 실제의 관점에서 자기관리 기술을 장애학생에게 적용한 선행 실험연구들의 자기관리기술 중재프로그램과 전략들을 분석하고 그 효과성을 종합적으로 검증하여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자기관리기술 중재를 적용한 선행 실험연구들을 체계적으로 조사하여 분석논문 선정기준에 따라 총 33편의 국내 실험논문을 최종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행연구 분석은 5가지 영역에서 총 12개의 분석변인(국내연구동향, 연구대상, 실험환경, 실험설계 및 절차, 자기관리기술 훈련프로그램, 측정도구 및 방법, 목표기술, 관찰자간 신뢰도, 중재충실도, 사회적 타당도, 중재, 유지 및 일반화 효과 PND, 기초선 기준 중재, 유지 및 일반화 성취도변화)에 따라 분석하였다. 33편의 선행연구는 대부분 자기관리기술을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하여 적용하였으며, 장애유형으로는 지적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가 과반수를 넘으며, 또한 학교 급별로는 초등학교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의 효과를 보면 약 25편의 연구가 효과크기에서 모두 90%이상인 것으로 나타나 자기관리 기술이 매우 효과적인 중재 기법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자기관리기술 중재프로그램 내용과 방법의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Self-management helps students to establish, execute, and evaluate target behaviors in order to manage their own behaviors so that they develop the ability to exercise and control their own behavior as autonomously as possible. It also enables students to acquire various target behaviors as well as to improve their ability to generalize in real life situ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elf - management skill intervention programs and strategies of prior experimental studies applying self - management skills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from the viewpoint of evidence base and present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To do this, we conducted a systematic investigation of previous experimental studies applying self - management skill intervention, and selected 33 domestic experimental papers as the final analysis subject according to the selection criter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preliminary research analysis is composed of 12 analysis variables. (domestic research trends, study subjects, experimental environment, experimental design and procedures, self - management skill training program, measurement tools and methods, target technology, interobserver reliability, Social validity, intervention,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effect. PND, baseline intervention,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achievement change). Most of the 33 previous studies have applied self-management techniques in a variety of ways. Among the types of disabilities, more than half of the studies conducted on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more research was conducted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erms of the effect of research, about 25 studies were found to be more than 90% in effect size, and self-management technique was found to be a very effective intervention technique.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were discussed in terms of content and method of self - management skill intervention program.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지적장애연구` 학술지의 최근 연구 동향 분석

        이성용 ( Yi Seongyong Y. ),김진호 ( Kim Jinho H.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7 지적장애연구 Vol.1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장애연구 학술지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데 있어서 사회과학분야에서 연구 특성 및 동향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최근에 사용하고 있는 키워드 네트워크분석을 특수교육분야에서 새로이 적용하여 제시하는 데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홈페이지를 통해 자료를 검색하고, 게재논문에서 키워드가 제시되기 시작한 2002년부터 시작하여 2016년까지 게재된 총 589개의 학술논문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KrKwic과 KrTitle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키워드 추출 및 코딩을 실시하고 자료를 정제해 핵심 키워드 28개로 1-mode 네트워크 행렬을 만들었다. 연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 공출현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에 기반한 네트워크 구조 특성 분석, 사회적 네트워크 중앙성 분석을 사용하였으며, 네트워크 분석 도구로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UCINET6와 NetDraw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2년부터 2009년까지 지적장애연구에 게재된 연구는 총 233편으로 나타났으며, 주요 키워드는 `지적장애`, `통합교육`, `전환교육`, `발달장애`, `특수교육` 등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2010년부터 2016년까지 지적장애연구에 게재된 연구는 총 356편으로 나타났으며, 주요 키워드는 `지적장애`, `발달장애`, `전환교육`, `특수교사`, `통합교육`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2002년부터 2016년까지 지적장애연구에 게재된 연구는 총 589건으로 나타났으며, 주요 키워드는 `지적장애`, `발달장애`, `전환교육`, `통합교육`, `특수교사` 등으로 나타났다. 즉, 지적장애연구는 지적장애와 발달장애의 전환교육, 통합교육 관련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적장애연구 학술지의 연구 특성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와 유용한 통찰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keyword network analysis and find out the research trends of the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ies(JID). For investigating this journal, the final 589 papers were selected as subjects from the result of searching research databases(www.kaid.kr). After keyword extraction, coding, and data cleaning, we made a 1-mode network with the final 28 keywords using KrKwic and KrTitile programs. In order to find out the research trends, frequency analysis, social network structural property analysis based on co-keyword network modeling, and social network centrality analysis were used. The network analytic tools were UCINET and NetDraw program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233 papers were published from 2002 to 2009 in the JID and the main keywords were identified as `intellectual disabilities`, `inclusion`, `transition`, `developmental disabilities`, `special education`, and so on. The 356 papers were published from 2010 to 2016 in the JID and the main keywords were identified as `intellectual disabilities`, `developmental disabilities`, `transition`, `special education teacher`, `inclusion`, etc. Second, the 589 papers were published from 2002 to 2016 in the JID and the main keywords were identified as `intellectual disabilities`, `developmental disabilities`, `transition`, `inclusion`,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so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valuable insights to understand the studies of JID.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국내 긍정적 행동지원 연구동향 분석

        이성용 ( Yi Seongyong Y. ),김진호 ( Kim Jinho H.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17 지적장애연구 Vol.19 No.2

        최근에 사회과학이나 교육학 분야에서 연구의 동향과 특성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해서 장애학생 문제행동 중재지원의 효과적인 방안으로써 폭 넓게 적용되고 있는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선행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긍정적 행동지원과 관련된 141개의 학술연구를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키워드 추출과 코딩을 위해 KrKwic과 KrTitle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자료를 정제해 핵심 키워드 42개로 1-mode 네트워크 행렬을 만들었다. 연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 공출현 키워드 네트워크 모델에 근거한 사회적 네트워크 구조 특성 분석, 사회적 네트워크 중앙성 분석이 적용되었는데, 네트워크 분석 도구로는 사회 네트워크 분석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UCINET과 NetDraw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간략하게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적 행동지원 연구는 2002년부터 2016년까지 총 141편으로 나타났으며, 교육 관련 학술지와 심리학 관련 학술지에 주로 게재되었다. 둘째, 주요 키워드는 `긍정적 행동지원`, `문제행동`, `효과`, `지적장애`, `자폐성장애`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결중심성이 높은 단어는 `긍정적 행동지원~문제행동~영향/효과`로 나타났다. 즉, 긍정적 행동지원으로 문제행동을 중재해 효과를 살펴본 연구가 많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수교육분야에서 새롭게 적용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한 본 연구의 결과는 긍정적 행동지원 연구를 이해하고 발전시키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와 통찰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search trend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s(PBS) through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Recently, special educators are widely using PBS as an effective behavior treatment approach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For investigating this purpose, the total 141 studies were selected as subjects from the result of searching research databases such as RISS. After keyword extraction, coding, and data cleaning, we made an 1-mode network with the final 42 keywords using KrKwic and KrTitile program. In order to find out the research trends, frequency analysis, social network structural property analysis based on co-keyword network modeling, and social network centrality analysis were used. The network analytic tools were UCINET and NetDraw program.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141 papers were published from 2002 to 2016 in the educational research journals(special educa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etc) and psychology journals. Second, the main keywords were identified as `PBS`, `problem behavior`, `effects`, `intellectual disabilities`,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so on. Third, the high degree centrality words(PBS~problem behavior~effects) were related to each other.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valuable insights to understand the research of PB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