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STT(Speech-To-Text)와 ChatGPT 를 활용한 강의 요약 애플리케이션

        김진웅 ( Jin-woong Kim ),금보성 ( Bo-sung Geum ),김태국 ( Tae-kook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30 No.2

        COVID-19 가 사실상 종식됨에 따라 대학 강의가 비대면 온라인 강의에서 대면 강의로 전환되었다. 온라인 강의에서는 다시 보기를 통한 복습이 가능했지만, 대면강의에서는 녹음을 통해서 이를 대체하고 있다. 하지만 다시 보기와 녹음본은 원하는 부분을 찾거나 내용을 요약하는데 있어서 시간이 오래 걸리고 불편하다. 본 논문에서는 강의 내용을 STT(Speech-to-Text) 기술을 활용하여 텍스트로 변환하고 ChatGPT(Chat-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로 요약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안한다.

      • KCI등재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가 게임 과몰입에 미치는 영향: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또래관계의 매개효과

        김진웅 ( Kim Jin Woong ),홍서준 ( Hong Seo Joon ),김욱진 ( Kim Wook Ji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保健社會硏究 Vol.40 No.3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가 게임 과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이 관계에서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또래관계의 이중매개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게임 과몰입의 원인을 인과적, 장기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게임이용자 패널조사 5차(2018)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으며, 조사에 응답한 중학생 287명, 고등학생 295명, 총 582명의 청소년을 표본으로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게임에 과몰입 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둘째,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게임 과몰입의 관계에서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또래관계는 각각 유의미한 개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청소년 게임 과몰입 문제의 해결방안에 관한 관련 정책 및 실천적 함의를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verify the impact of teenager academic stress on game overindulgence and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peer relationship in this relationship. To verify the cause of game overindulgence in the long term and causal wa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nalyzed using the data from the 5th (2018) of the game user panel survey, and 287 middle school students, 295 high school students, and 582 teenagers who responded to the survey were sampled and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academic stress of teenagers, the more indulged they are in gaming.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game overindulgence among teenagers,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peer relationships were found to have individual mediating effects, respectively. Based on the above findings,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oposed on how to solve the problem of overindulgence in gaming among youths.

      • KCI등재
      • 해거재 홍현주의 현전작품 고찰

        김진웅(Kim Jin Woong) 명지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 2020 미술사와 문화유산 Vol.9 No.-

        해거재 홍현주(海居齋 洪顯周, 1793-1868)는 정조(正祖, 재위 1776-1800)의 부마(駙馬)로, 당대 문사들과 폭넓게 교유한 문인이었다. 홍현주는 자신 스스로도 ‘벽(癖)’이 있다고 표현할 만큼 서화(書畵)에 관심이 많은 수장가(收藏家)였고 스스로 그림을 그린 문인화가였다. 이 논문은 홍현주의 생애와 서화수장활동을 고찰하고, 현전하는 11점의 작품을 분석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선후기 세도가문에서 태어난 홍현주는 12세의 어린 나이에 부마에 간택되어 숙선옹주와 혼인하였다. 당시 왕족의 일원이 된 부마는 척신으로 간주되어 과거에 응시할 수 없었고 정치 참여 역시 금기되었다. 때문에 홍현주는 관례에 따라 도총관(都摠管)과 장흥고(長興庫), 사도시(司導寺), 제용감(濟用監), 평시서(平市署), 빙고(氷庫), 전생서(典牲署)등의 정치 참여와는 무관한 직책만을 역임하였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좌절한 홍현주는 부마의 신분적 제약을 극복하고자 서화수장을 비롯한 다양한 문예활동에 심취하였다. 그 중 서화수집은 홍현주 스스로도 병에 가까울 만큼 집착적인 것이었다. 1809년 순조가 하사한 김홍도의 《해산첩》을 비롯한 다양한 서화수장은 조선 후기 경화세족을 중심으로 진행된 사인의 서화수장 활동 및 부마의 생애와 서화수집 측면에서 의의를 갖겠으나, 홍현주에 서화수장 내역에 대해서는 현재 작품 실물은 전해지지 않고 문헌상으로 대략적인 서화목록만이 작성 가능한 정도이다. 이상과 같은 홍현주의 서화에 대한 애착은 스스로 그림을 그리게 되는 배경이 되었고, 더불어 국외의 인사들과 교유하는 수단으로서 활용되었다. 홍현주의 현전 작품은 총 산수, 사군자, 어도를 주제로 삼은 그림들이며 총 11점으로 모두 화첩 형식으로 제작되었다가 후세에 파첩 및 산락되었다. 이 중 산수도는 8점으로 홍현주 작품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전형적인 남종문인산수의 형태를 띠고 있으며 구사한 화법에 있어서는 크게 감필법과 세필로 구분된다. 사군자의 경우 모두 지인에게 선물한 것으로 홍현주의 문인화가적 기질이 드러난다. 또한 〈어도〉는 물고기라는 유별난 대상을 그린 작품으로, 이는 아직 발견되지 못한 홍현주의 추가 작품의 수준과 다양성에 대한 기대감을 주는 작품이다. 홍현주의 작품들은 지금까지 미공개 상태였다가 새롭게 발견된 작품들이 아니라, 상당수가 다른 사람의 작품으로 세간에 알려져 있다 최근의 연구성과들로 인해 정정된 작품들이다. 이는 현전 작품 모두가 화첩 형식으로 제작된 후 파첩·산락된 것으로 각 화면마다 찍혀 있는 홍현주의 인장을 제외하고는 홍현주를 지시하는 단서가 없었기 때문이고, 여기에 6 점의 작품에 정약용이 발문 및 제화시가 기록되어 있어 서화수장가이기도 했던 홍현주의 작자미상 소장품 혹은 정약용의 작품으로 오인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그간의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홍현주의 작품을 종합하여 살펴보았다. 홍현주라는 인물은 서화수장을 비롯해 시문학, 다도, 금석학 등 다양한 활동에 참여한 인물임에도 불구하고 그간의 연구가 전반적으로 진척되지 않은 이유도 있겠으나, 그간 미술사학계에서는 서화수장가라는 인식 속에 가려져 문인화가로서의 활동이 그다지 조명 받지 못했다. 현전하는 작품들은 비록 여기에 불과해 보이지만 작품 수준의 고하를 떠나 새로운 화가가 발굴된다는 것은 큰 의의가 있으며, 나아가 부마라는 소수 신분의 정서와 문예수준을 가늠해 볼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로서 활용되길 기대한다. Hong Hyun-ju(1793-1868) was the son-in-law of Jeongjo(1752~1800), the King of the Joseon dynasty, and had extensive relationships with various influential figures of the time. Hong Hyun-ju was a discerning collector of calligraphy and paintings to the extent he once confessed his obsession with the genres. His interest in the arts can also be reflected in his hobby in literary painting.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life of Hong Hyeon-ju and his activities as a collector, and to analyze 11 works that have yet been clearly defined. Hong Hyun-ju, born of a prestigious family in the late Joseon Dynasty, married at the age of 12 to Princess SukSeon(1793-1836). As the son-in-law of the King, termed Buma, he was unable to participate in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for political reasons, and his suffrage was banned. For this reason, Hong Hyun-ju was in charge of administrative affairs that were not related to politics, such as Dochongguan(Provincial General), Jangheunggo, Sadosa, Jeyonggam, Pyeongshiseo, Bingo, and Jeonseangseo. Hong Hyun-ju was frustrated by this situation, but soon participated in various literary activities including collecting in order to overcome the barrier of his status. Among them, the collector’s activity was very important to Hong Hyeon-ju. In 1809, Hong Hyun-ju possessed a variety of paintings, including scrapbooks of Kim Hong-do(1745-?)’s painting presented by Sunjo(1790~1834). This has significance in terms of shedding light on the life of the son-in-law of the King, and the act of collecting itself, as it was a hobby that could only be enjoyed by prestigious families living in Seoul in the late Joseon Dynasty. However, the details of Hong Hyun-ju’s collection cannot be confirmed, and only a incomplete list can be identified through literary sources. Hong Hyun-ju’s passion for collecting eventually lead him to start drawing. It was used as a means to communicate with foreign literary parties. There are a total of 11 works produced by Hong Hyun-with subjects spanning from Landscape, sagunja(the Four Gracious Plants), and fish. All of these works were produced in the form of a painting book, but were then disassembled and scattered. Hong Hyun-ju’s landscape paintings account for a large part of his paintings totalling eight pieces, and are typical Namjonghwa style. In terms of painting technique, it can be divided into omission and detail. The landscape works show his literary personality. All of these works were presented to acquaintances. Interestingly, 〈Fish〉 is only one work and has a unique theme. This body of work sheds light on his skills as a painter and the diversity of his subjects in works that have yet been discovered. His paintings were not newly discovered works, but were works that were mistakenly attributed to other artists. However, through advanced research they have been correctly identified. Previously, Hong Hyun-ju’s works had no indications pointing to himself except for the seal, because all of the works were produced in the form of picture books and then dismantled. In addition, six works, which contained poems and sentences by Jeong Yak-yong(1762-1836), were commonly mistaken to be paintings either by Jeong Yak-yong or simply a work in Hong Hyun-ju’s collection. This thesis is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works of Hong Hyun-ju based on previous research. Although Hong Hyun-ju participated in various literary activities such as tea ceremonies, poetry, calligraphy, painting, and epigraphy, much research was not conducted. In addition, in the art history academia, his activity as a literary artist was not given much attention because of his perception as a collector. Although these works seem to have been produced as a hobby, the discovery of a new painter who was active in the late Joseon Dynasty is of great significance, and will be used as a foundation to estimate the sentiment and literary level of someone of high status, such 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