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난연재를 함유한 복합소재 사출성형 공정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이상원(S. W. Lee),구본상(B. S. Koo),김진우(J. W. Kim),신혜원(H. W. Shin),이지환(J. H. Le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2021 한국정밀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21 No.11월
최근 전기차, 자율주행차, 도심 항공 모빌리티 등 미래 이동 수단에 대한 관심이 증대함에 따라 연비 향상을 위한 부품의 경량화 및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가진 부품 생산 기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여러 부품을 조립하는 공정 대신 생산 사이클이 짧고, 복잡한 형상을 제작하기 수월한 사출성형 공정을 이용한 부품 생산 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특히 첨단 부품의 경량화를 위해 플라스틱 재료가 기존의 철강 재료를 대체하고 있는 추세이고, 소재 특성의 향상을 위해 난연제가 함유된 복합소재 부품 성형 기술도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복합소재 사출성형 공정은 단일 소재 기반 사출성형 공정과 비교하여 매트릭스와 필러의 배합비율에 따른 유변학적 특성이 달라지므로 공정 특성 분석 및 성형 품질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부품의 재료로 사용되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중 하나인 폴리아미드 PA6 와 인계 난연제인 OP1230 을 각각 85 와 15 wt%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한 난연 복합소재를 사용하여 사출성형 공정 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공정 변수는 배압, 사출 속도, 보압, 관측 인자로는 Sink Mark, Product Weight 를 선정하였고, 실험 설계는 3 가지 공정 변수에 대해 3 수준의 완전 요인 설계를 통해 총 27 가지 공정 조건을 도출하였다. 각 공정 조건에 대해 5 회의 반복 성형품을 얻었으며 공정 변수에 따른 관측 인자의 성형 품질을 분석하였다.
그레이브스병 환자의 Suppressor Induction Factor ( SIF ) 의 활성도
양인명(I . M . Yang),윤휘중(H . J . Yoon),조경삼(K . S . Cho),김진우(J . W . Kim),김광원(K . W . Kim),최영길(Y . K . Choi) 대한내과학회 1986 대한내과학회지 Vol.31 No.1
N/A Autologous mixed lymphocyte culture reaction (AMLCR) has been known to represent the generation of suppressor T cell without direct evidence that the proliferating cell is suppressor T cell itself. Our previous study had demonstrated that the proliferative response of T cell during AMLCR in the patients with Graves' disease is not different from that in normal control, The recent studies showed that suppressor induction factor(SIF) which induce suppressor T cell is produced during the AMLCR. We observed the SIF activity in the patients with Graves disease by measuring the suppression of normal allogeneic MLCR by the normal T cell incubated with the supernatant of AVLCR, and also observed the proliferative response of T cell incubated with the supernatant of AMLCR proliferate to determine whether the suppressor T cell proliferate or not during AMLCR. T cells incubated with the supernatant of AMLCR suppressed the allogeneic MLCR prominently in normal controls(55±11%), and the supernatant of patients' AMLC induced the suppressor T cells which successfully suppressed the allogeneic MLCR(50±9%). T cells incubated with the supernatant of AMLCR did not proliferate. These data indicate that the proliferating cells during AMLCR are the self-antigen recognizing T cells which secrets SIF, a kind of lymphokines, to induce the suppressor T cells, It is suggested that the process of self antigen recognization is normal in Graves' disease.
재제조를 위한 노후 플래너 밀러 주축계의 구조해석을 통한 정적 안정화 설계
이현준(H. J. Lee),이은웅(E. W. Lee),김홍록(H. R. Kim),김진우(J. W. Kim),정원지(W. J. Chung)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2021 한국정밀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21 No.11월
공작기계는 대형구조물이 사용되므로 재제조(Remanufacturing) 효과를 크게 얻을 수 있는 장비이며 중, 대형 공작기계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그 중 플래너 밀러(Planner Miller)는 크기가 매우 커 수십 톤에 이르기까지 재제조를 통한 자원 및 에너지 저감 효과가 매우 높다. 플래너 밀러는 스핀들(Spindle)을 사용하여 공구를 회전시켜 가공물을 절삭 가공하지만 지속적인 가공에 따른 베어링과 공구 안내 면의 불균일한 마모가 발생하고 그로 인해 가공정밀도가 떨어진다. 그리고 스핀들과 같이 일부 기능이 저하되거나 노후화된 부품들은 교환 및 폐기 처리가 된다. 최근에는 부품들의 재활용 및 재사용 등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재제조를 위한 노후 플래너 밀러 주축계(Spindle 및 Ram)의 구조해석(Structural Analysis)을 통한 정적 안정화 설계를 진행하고 있다. 재제조 전 스핀들의 상태 분석을 위해 역설계를 통해 비접촉식 3D 스캐너를 이용해서 얻은 스캔 데이터를 활용하여 해석 전용 프로그램인 ANSYS Workbench 를 이용하여 플래너 밀러(Planner Miller)의 주축계의 회전력 및 베어링 고정 조건을 고려한 구속 조건을 설정한 다음에 구조해석을 진행하였다. 따라서 노후화된 플래너 밀러의 주축계 구조해석을 통해 결과를 확인하고 구조적 안전성을 검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