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근대한문학의 세 지향

        김진균 ( Jin Kyun Kim )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人文科學 Vol.0 No.49

        근대계몽기 이후의 한문학을 저작한 인물들 중에는 金澤榮(1850∼1927)이나 曺兢燮(1873∼1933)처럼 신문명과 전혀 관련을 맺지 않고 전통적 세계관의 지속을 꿈꾸며 한문학 활동을 하는 부류도 있었고, 李沂(1848∼1909)나 柳寅植(1865∼1928)처럼 신문명에 적응하는 지향을 보이는 한편으로 한문에 대한 애착을 포기할 수 없는 부류도 있었다. 이 두 부류에 겹치면서 근대성과 한문학의 전통성을 두루 섭렵하는 卞榮晩(1889∼1954)이나 鄭寅普(1892∼1950)와 같은 부류도 있었다. 그러나 근대계몽기 이후의 문학을 다루는 우리의 문학사는 20세기 중반까지도 왕성한 활동을 보이던 근대한문학을 외면해왔다. 근대는 외래 문명이 밀물처럼 밀려들어 전통 사회의 해체와 전통적 문명 의식의 소멸을 강요했던 시기인 동시에, 전통의 측면 에서는 과거 유산과 경험의 축적이 최고도에 달한 시점이기도 하다. 이제 근대성 과 전통성이 길항하는 근대한문학의 장을 점검하고, 우리 문학사에서 근대한문학 의 역동적 상을 포용할 시점이 되었다. There are three kinds of parties, among the people who wrote Chinese literature. First kind of people worked distantly from the new civilizations, seeking the traditional view of the world, like Kim-taekyung and Jo-geoungsub. Second kind of people worked, showing the tendency that accepted the new civilization, but also holding attachment to Chinese, like I-gi and Ryu-insik. Finally, last kind of people worked, possessing the modernity and traditionality, like Byun-youngman and Jung-inbo. But our history of literature about after the modern times and the period of enlightenment have disregarded the modern Chinese literature that was popular until middle of the 20century. In the modern times, foreign culture crowded the traditional cultural senses out and disbanded the traditional communities. At the same time, it was the peak of accumulating cultural heritages and experiences. Now is the time to check the chapter of the modern Chinese literature, contending with modernity and traditionality, and to handle the dynamics of modern Chinese literatur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학(漢學)과 한국한문학의 사이, 근대한문학

        김진균 ( Kim Jin-kyun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1 국제어문 Vol.51 No.-

        한자·한문을 기반으로 한 구문명 전통은 근대에 청산되었다. 근대문명의 입장에서는 한자·한문의 외래성을 공박하며 한문학 유산을 타자화하여 한학으로 지칭하다가, 해방 이후 민족 고유의 측면에서 조금씩 접근하며 한문학 전통을 국문학 연구 대상으로 포섭하여 한국한문학의 명칭을 부여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근대 이후 한자·한문의 전통속에서 창작 향유된 근대한문학은 최근까지도 연구의 대상에 적극적으로 포섭되지 않았던바, 본고는 근대한문학에 접근하는 한 경로를 근대의 질문에 대한 한문학의 대응을 중심으로 파악해본 것이다. 근대한문학에서 한문학의 외래성을 인정하면서도 동서양 문명에 대한 등거리의 시선을 확보하고, 민족 고유의 측면에서 적극적으로 한문학 유산을 활용하려던 시도를 확인함으로써, 근대한문학의 연구 의의를 모색하였다. In the modern period, the traditional civilization that was based on Sino-Korean literature and Chinese characters has gone into liquidation. Modern civilization`s perspective, Chinese characters and traditional Sino-Korean literature were fron the exterior or China, so ultranationalists called those Chinese studies. Afterwards, nationalistic scholars found the national characteristics in the Chinese studies, so they called that traditional Sino-Korean literature. But the Modern Sino-Korean literature was ignored until quite recently. This paper aimed to explain the Modern Sino-Korean literature`s value. Byeon Young-man thought that the most important point in literature was self-acquirement. He maintained that, to write the best composition, every writer should acquire his own words pulled up from the inner world, and only this writing became a model of literature. From the view-point of literary impression, if a writer is faithful to his own circumstances, he can write a true composition and it can give universal impression to its readers. On the other hand, Jeong In-bo was a ultranationalist. He emphasized the national soul, and investigated national ethos. Accordingly, there was very clear distinction between two prefaces by two men. Their attitudes toward Sino-Korean literature of old civilization, and their request for Korean style of new civilization were not in agreement. But they were great masters of the Modern Sino-Korean literature.

      • KCI등재

        일반논문 : 정인보 조선학의 한학적 기반

        김진균 ( Jin Kyun Kim ) 한국실학학회 2013 한국실학연구 Vol.0 No.25

        1930년대 조선학운동에서 중심적 역할을 하였던 정인보는 사회주의 계열의 인사들로부터 근대적 가치에 미달하는 인물이라는 비판을 받는다. 그런데 정인보 자신은 근대적 가치를 애써 무시하며 자신의 학문적 영역을 구축하고 있었다. 정인보는 동류 한문학 문인들과 고민을 주고받으며 한학의 부흥을 열망하는 서간들을 남겼다. 조선왕조 몰락의 원흉으로 지목 받으며 타자화되었던 한학에 대해, 주자학의 폐단에 물들지 않았던 양명학과 조선의 독자성을 추구하던 의실구독지학의 계보를 들어 한학의 가치를 여전히 주창하였던것이다. 시대적 격차를 인정하고 않고 바로 성호와 다산의 시대적 사명을 자기 시대의 사명으로 통합시키려던 그의 의식은, 식민지적 근대 일체를 무시함으로써 현실과 타협하지 않으려는 내면 심리의 흔적으로 여길 수 있겠다. Jung In-bo played a pivotal role in reviving the movement of Joseonhak (Joseon studies) aimed at reilluminating the Korean studies in the 1930s, but was criticized by the socialist-minded figures for falling short of conforming with modernist values. Jung, however, had already established his own academic learning by refusing to acknowledge modernist values. Jung shared his agonies with fellow classical Chinese-letter literary figures and wrote letters that contained his aspirations for reilluminating the studies of Chinese classics. When the studies of Chinese classics were otherized by critics as a main culprit of the downfall of the Joseon Dynasty, Jung reiterated the significance of their value by tracing the genealogy of "the Yangming School of Mind (陽明學)" and "the study of pursuing individuality based on reality (依實求獨之學)." He reevaluated the former school as it was not contaminated by Neo-Confucianism based on the teachings of Zhu Xi (朱熹), and the latter study as it emphasized the identity of Joseon. Jung also attempted to incorporate the missions of Lee Yik (李瀷) and Jung Yak-yong (丁若鏞) into those of their contemporary times despite the periodic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asks, which shows his inner spirit of never compromising with the reality and of ignoring the views of the colonial period in modern times.

      • KCI등재후보

        1910년을 전후한 시기 변영만의 한문산문에 드러난 근대적 사유와 그 맥락 : 「여시관(如是觀)」 「인성론(人性論)」을 중심으로

        김진균 ( Jin Kyun Kim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08 嶺南學 Vol.0 No.14

        卞榮晩(1889~1954)은 1923년 잡지 『동명』에 「如是觀 上·下」와 「人性論」을 발표하였는데, 발표지면에 각각 1909년 및 1911년에 작성한 글이라고 附記하였다. 변영만은 이 두 편의 글을 다시 曺兢燮(1873~1933)에게 보내 자신의 문학적 역량과 철학적 지향을 드러내며 從遊를 청하기도 하였다. 그런데 변영만의 이 글들은 전통적 언어의 재구성을 통해 근대적 사유를 드러내는 것이었기에 전통적 언어의 지속을 추구하는 조긍섭의 관심과 우려를 동시에 자아내었고, 결국 변영만의 글들은 화제의 중심이 되어 조긍섭과 그 주변 문인들에게 파급되었다. 또 변영만의 이 글들에서 중국의 國學大師로 칭해지던 章太炎(1868~1936)의 문제적 저작「俱分進化論」과 「四惑論」 언어의 상당한 영향을 발견할 수 있다. 변영만은 장태염을 양계초보다 우위에 두고 인정했던바, 변영만은 장태염의 사상에 일정정도 동조하였고 그 과정에서 그 언어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해석된다. Byeon Young-man (卞榮晩 1889~1954) published the first and second parts of `I Look This Way`(如是觀) and `On human natures` (人性論) in magazine <Dongmyeong> in 1923, and mentioned that they had been written in 1909 and 1911, respectively, and revised for publication. Byeon Young-man sent the two writings to Jo Geung seop (曺兢燮, 1873~1933), a great scholar in Yeong-nam area, in order to show his literary abilities and philosophical orientation and to make acquaintance with the scholar. These articles written by Byeon Young-man were his attempts to restructure the traditional language based on his philosophical view and to establish a modern way of reasoning. Therefore, they provoked both interest and concern in Jo Geung-seop who advocated the continuous use of the traditional language. After all, Byeon Young-man`s writings became hot issues among Jo Geung-seop and literary men around him. In the writings, furthermore, we can see that Byeon Young-man was greatly influenced by Chinese modern ultranationalist Zhang Taiyan`s (章太炎, 1868~1936) writings in question `Everything Evolve Simultaneously`(俱分進化論) and `A Dissertation on Four Doubts.`(四惑論) Byeon Young-man believed that Yang Gye-cho was superior to Zhang Tai-yan, but he sympathized with Zhang Tai-yan`s idea to some degree and this is probably why he was influenced by Zhang`s language.

      • KCI등재

        특집1: 근대전환기의 고전 이해와 한국학(한국문학)의 모색 : 「조선문학원류초본(朝鮮文學源流草本)」을 통해 본 정인보(鄭寅普)의 "조선문학" 구상

        김진균 ( Jin Kyun Kim ) 반교어문학회 2015 泮橋語文硏究 Vol.0 No.39

        정인보(鄭寅普, 1893~1950)가 1930년 발표한 「조선문학원류초본」은 자신의 시대적 고민과 요청을 고대문학에 투영하여, 조선문학의 원류적 가치를 구상한 것이다. 구성상의 특질을 요약하면, 개괄적 설명이 많은 분량을 차지한 것은 남아 있는 고대문학 작품에 비해 부여하고 싶은 의미가 더 컸기에 초래된 결과라는 것, 각론에서 문학 대신 문예라는 용어를 사용한 것은 남아 있는 고대문학작품에 외부 맥락을 통해 다른 각도의 의미를 부여하고 싶었기에 초래된 결과라는 것, 한문학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도 중국과 다른 우리말의 문법에 충실한 작품에 더욱 높은 가치를 두었다는 것, 고구려-신라-백제의 순서로 각론을 배치한 것은 각국의 문학에 부여한 가치 평가의 순서와 일치한다는 것이다. 또한 그가 구상한 고대 조선문학은 민족공동체 내부에 대해서는 인애(仁愛)를 보여야하고, 민족공동체를 위협하는 외부에 대해서는 무위(武威)를 드러내며, 공동체의 진솔(眞率)함을 유지하여 서로 감촉이 소통되도록 해야 하고, 공동체의 경계선은 의자불의타(依自不依他)의 정신으로 지켜내는 데에 도움이 되어야 하는 것이었다. 이것은 정인보가 상상하는 민족 국가의 도덕률로 볼 수 있다. In his short paper titled Joseon-munhak wollyuchobon (朝鮮文學源流草本; An Outline of the Origin of Joseon Literature, 1930), Jeong In-bo(1893-1950) expressed his worries over the state of his own period and found a breakthrough for resolving the conflicts from ancient literature of Korea. Jeong interpreted old literature of the nation as a value criterion for his own period and conceived that he could seek a solution for complicated issues from it. Some of the major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essay are as follows. General descriptions take a large portion of the paper, which is attested to that he intended to impose a significant meaning on old Korean literary works that had been handed down. With regard to respective topics, Jeong used a term munye (literature as arts) rather than munhak (literature), possibly with a view to express his own view of ancient literary works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 Although he acknowledged that literature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should be included into “Joseon literature,” Jeong nevertheless put higher value on those works that faithfully observed vernacular style literary Chinese grammar that was different from Chinese one in terms of style. The arrangement of chapters in the order of the Goguryeo, Silla, and Baekje kingdoms coincides with what he valued most among the three in terms of literary value of their works. Jeong set several criteria with regard to what he called proper ancient “Joseon literature” : 1) it should show “benevolence and love (仁愛)” toward the ethnic community; 2) it should risk “the use of arms (武威)” against the outer forces that threatens the ethnic community; 3) it should help maintain “ingenuousness (眞率)” of the community in order to help the member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5) contribute to the defense of the community with “the spirit of independence without relying on others (依自不依他).” This also coincides with what Jeong imagined as the morality of modern nation-st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