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서 히브리어 발음 교육을 위한 제언 — 자음 명칭을 중심으로 —

        김지명 (재)대한성서공회 성경번역연구소 2023 성경원문연구 Vol.- No.52

        Students of Biblical Hebrew often complain about how difficult it is to learn the language. Of course, the first and foundational problem lies in mastering the Hebrew alphabet (or aleph-bet), particularly the pronunciation of each letter. The problem of the Masoretic reading system’s notorious difficulty is only next. Overcoming the barrier of properly pronouncing consonants is no doubt the primary matter. Beginners of the language have to confront unexpected obstacles when learning Biblical Hebrew consonants. Unlike most other languages, Biblical Hebrew’s original sounds are lost, and its modern pronunciations are diversified because of the complex history of the Jewish diaspora. Moreover, there is no unified method to transliterate Biblical Hebrew into the Korean writing system, which is essential for beginners to understand the pronunciation of Biblical Hebrew. Such circumstances eventually led Hebrew Bible scholars in Korea to produce introductory grammar books that render the sound of each letter differently in many cases. This eventually made learning the consonants of Biblical Hebrew, which is supposed to be the simplest and clearest subject in learning foreign languages, quite complex and unclear. As many students cannot take the first step, they cannot go any further but give up on learning Biblical Hebrew. Instructors’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situation regarding Biblical Hebrew consonant teaching is pivotal. In this paper, I endeavored to provide instructors with key features to consider in teaching Biblical Hebrew consonants. For example, I introduce a comparison of the three main traditions of Hebrew pronunciation, that is, Sephardic, Ashkenazi, and Yemenite. Then I offer an analysis of seventeen different introductory grammar books that are used in Biblical Hebrew grammar classes in Korea, focusing on consonants in general; their ways of dealing with the name and pronunciation of each letter in particular. Finally, I add my evaluation on the current situation of Biblical Hebrew consonant education based on the textbooks I analyzed, hoping to foster better Biblical Hebrew education.

      • KCI등재후보

        URiSCAN 2 ACR 요시험지봉을 이용한 요 알부민- 크레아티닌비 현장검사의 진단적 유용성

        김지명,임진숙,구선희,권계철 대한진단검사의학회 2014 Laboratory Medicine Online Vol.4 No.3

        배경: 요의 알부민-크레아티닌비(UACR)를 이용한 알부민뇨의 평가는 당뇨나 고혈압 환자에서 신질환의 초기 검출에 중요하다. 현재 UACR을 측정할 수 있는 몇 가지 현장검사법이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저자들은 두 가지 반정량 현장검사법의 진단적 정확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총 219개의 수시방출뇨 검체에서 요 알부민과 크레아티닌이 Toshiba TBA-200FR NEO 화학분석기를 이용하여 측정되었으며 UACR이 산출되었다. 또한 두 가지 현장검사법인 CLINITEK Microalbumin 2 Strip (Siemens, NY, USA)과 URiSCAN 2 ACR Strip (YD diagnostics, Yongin, Korea)을 사용하여 UACR을 측정하였다. 결과: 정량분석법에 의한 UACR을 기준으로 한 CLINITEK의 민감도 및 특이도는 96.7%, 62.7%, URiSCAN의 민감도 및 특이도는 45.9%, 84.8%였다. 양성 및 음성예측도의 경우 CLINITEK은 50.0%, 98.0%였고 URiSCAN은 53.8%, 80.2%였다. 현장검사법 CLINITEK의 UACR값과 비교한 URiSCAN의 UACR값의 일치도는 정상구간(<30 mg/g)에서는 91.1%, 비정상구간(≥30 mg/g)에서는 36.4%였다. 결론: URiSCAN 현장검사법은 CLINITEK 현장검사법에 비해 위양성 결과를 줄여 특이도는 향상되었으나 낮은 민감도에 의한 높은 위음성으로 인해 유의하게 낮은 음성예측도가 초래되었다. URi-SCAN 현장검사법을 알부민뇨의 배제검사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요 알부민의 검출감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Background: Diagnosing albuminuria by measuring the urinary albumin-creatinine ratios (UACR) is important for the early detection of kidney diseases in patients with diabetes or hypertension. Currently, a few point-of-care testing (POCT) systems exist for estimating the UACR. Here, we evaluated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wo semi-quantitative UACR POCT assays. Methods: Albumin and creatinine levels were quantified for 219 randomly acquired urine samples with the Toshiba TBA-200FR NEO analyzer, and the UACR were calculated. The results were compared to UACR measured using the CLINITEK Microalbumin 2 Strip (Siemens, USA) and URiSCAN 2 ACR Strip (YD diagnostics, Korea) POCT assays. Results: Semi-quantitative results from the CLINITEK and URiSCAN UACR assays showed that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each test were, respectively, 96.7% and 62.7%, and 45.9% and 84.8%. Positiv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s of the CLINITEK and URiSCAN tests were, respectively, 50.0% and 98.0%, and 53.8% and 80.2%. The rate of agreement between URiSCAN test and CLINITEK test was 91.1% in the normal UACR range (<30 mg/g), but it was as low as 36.4% in the abnormal UACR range (≥30 mg/g). Conclusions: The URiSCAN test showed higher specificity than did the CLINITEK test owing to the lower false positive results. However, the high rate of false negatives for the URiSCAN test significantly lowered its sensitivity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s. Therefore, the sensitivity of the URiSCAN device in detecting urine albumin needs to be improved before its adoption as a reliable rule-out testing system.

      • KCI등재

        간호사들의 교대근무가 식행동 및 건강관련요인에 미치는 영향

        김지명,강복희 한국영양학회 2014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7 No.6

        본 연구에서는 한국방송통신대학교에 다니며 근무를 하고 있는 간호사 161명을 대상으로 교대근무에 따른 스트레스와 이들의 식습관, 식행동을 파악하고 이러한 요인들이건강관련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 교대 근무에 따른 총 스트레스 점수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스트레스를 업무, 관계, 가정, 건강, 장래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을 때 업무영역에서만 교대근무 간호사의 경우 비교대 근무 간호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대 근무 간호사의 식습관이 비교대 근무 간호사에 비해 전반적으로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간이식행동 총점수도 교대 근무 간호사가 비교대 근무 간호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각 항목 중 특히 ‘식사는 매일 세 끼를 규칙적으로 한다’가 교대 근무 간호사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본 조사 대상자의 식행동 점수와의 상관성 분석 결과에서는 나이, 결혼여부, 소득, 고용형태의 영향을 보정 전후로 교대근무와 음의 상관성을, 건강관심도와 지각하는 건강상태와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스트레스와는 보정 전에만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간호사들의 식행동을 설명하는 요인을분석한 결과에서는 교대근무를 하지 않을 경우, 건강관심도가 높을수록, 본인이 지각하는 건강상태가 양호할수록올바른 식행동을 실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을 통해볼 때, 교대근무와 같은 부적절한 임상간호환경에 있는 간호사의 경우 바람직하지 않은 식행동을 보일 수 있으나, 건강에 대한 관심을 갖고 자신의 건강상태를 지각함으로써식생활을 잘 관리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ess, dietary habits, dietary behaviors, and health-relatedbehavior of nurses.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1 nurses studying at a cyber university. The generalcharacteristics, stress, dietary habits, dietary behaviors, and health-related behavior of the subjects were surveyed using a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in October, 2010.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workingpattern: shift workers (n = 110) and non-shift workers (n = 51). Results: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significantdifferences in marriage, monthly income, employment type, and job satisfaction between the two groups. Total stress score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he two groups. In dietary habits,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al regularity, skippingmeals, skipping reasons, having regular mealtimes, frequency of snack and the snack time between shift workers and nonshiftworkers (p<0.05). Total score of dietary behaviors in shift worker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non-shift workers(p<0.05). Score of shift workers in taking three meals per day regularly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non-shiftworkers. In health-related behavior,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leeping time was observed between shift workers and nonshiftworkers. Dietary behavior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shift work (r = 0.176)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healthconsciousness (r = 0.210) and perceived health status (r = 0.198) in subjects after adjustment for age, marriage, monthlyincome, and employment type (p < 0.05).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shift work, health consciousness, andperceived health status affected dietary behavior in subjects.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hift working nurseshad poor dietary habits and dietary behaviors, and these dietary behaviors are affected by their shift work, healthconsciousness, and perceive health status.

      • KCI등재

        식품위생 교육 경험과 식품구매 행동, 지식 및 실천과의 관련성

        김지명,홍승희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20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20 No.4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ood safety awareness, purchasing behavior, food safety knowledge, and food safety practice in accordance with food hygiene education experiences in adults. Method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answered by 305 adults in the Seoul and Gyeonggi regions. Chi-square test, independent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food hygiene education experience and related factors. Results: The need for information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group with experience in food hygiene education. As for purchasing behavior, participants mainly considered price, taste, and safety of food, and frequently confirmed the expiration date and price using food labels. Participants considered major supermarkets and convenience stores as safe places to purchase food. Food hygiene knowledg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correct answer rates in almost all items for the group with education experience. Even if the expiration date had not yet been reached the habit of not eating food if there was a strange smell when opened was practiced, and the group with more educational experience practiced this significantly more often. Participants with higher awareness of food hygiene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intention to participate in food hygiene education. Conclusions: The group with experience in food hygiene education showed a greater need to obtain information on food hygiene and had better knowledge and practices regarding food hygiene. Therefore, food hygiene education and information are necessary to ensure the safety of food hygiene and to promote the health of the people. 연구배경: 본 연구는 조리종사자 등 특정 대상을 한정하지않고 일반인을 대상으로 식품위생 교육 경험이 식품위생 및안전성에 대한 인지도, 식품구매 행동, 식품위생 지식 및 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방법: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는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은 자기기입식으로 진행하고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식품위생 교육 경험에 따른 식품위생 인지도, 식품구매행동, 식품위생 지식 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 독립표본 t-test, 교차분석, 다중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결과: 식품위생에 대한 관심도와 안전성에 대한 인지도는보통 수준이지만 식품 위해요소에 대한 관심은 낮았다. 식품위생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것이 어렵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정보 획득의 필요성은 식품위생 교육 경험이 있는 그룹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을 구매할 때 주로 고려하는 것은 가격, 맛, 안전으로 나타났고, 식품표시 중에서 유통기한과 가격을 주로 확인하였다. 가장 안전한 구매장소는 대형마트와 편의점으로 응답하였으며, 교육 경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식품위생에 대한 지식은 교육 경험이 있는 그룹이 경험이 없는 그룹에 비하여 거의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정답률을 보였다. 유통기한이 남아 있어도 개봉하였을 때 이상한 냄새가 나면 먹지 않는 행동을 가장 잘실천하고 있었으며, 교육 경험이 있는 그룹에서 통계적으로유의하게 높은 실천을 보였다. 손톱을 청결하게 관리하는것과 음식이 담기는 부분에 손이 닿지 않게 하는 개인위생의 실천이 교육 경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식품위생에 대한 인지도가 높을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식품위생 교육에 참여하고자 하는 의향이 높은 것으로나타났다. 결론: 식품위생 교육 경험이 있는 그룹이 식품위생에 대한 정보의 획득의 필요성, 식품위생에 대한 지식 및 실천이높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식품위생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국민의 건강을 증진하기 위하여 식품위생 교육 및 정보 제공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