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종삼의 재수록 시에 나타난 개작의 양상과 그 의미

        김지녀(Kim, Ji-Nyeo) 인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9 인문학연구 Vol.31 No.-

        이 논문은 김종삼 시의 발표 형식에 주목했다. 김종삼은 지면이나 개인시집, 선시집, 연대시집 등의 매체를 통해 시를 발표했다. 흥미로운 점은 그가 최초로 발표했던 작품을 원문 그대로 재수록하거나 크고 작은 수정을 가해 개작하고 그 작품을 재발표 또는 재수록했다는 사실이다. 김종삼은 30여 년 동안 총 240편의 시를 남겼는데, 그 중에서 김종삼이 재수록한 작품의 수는 139편이었다. 이점에 착안해 이 논문은 왜 김종삼이 기존에 발표한 시들을 수정해 재수록했고, 그 결과물을 통해 무엇을 의도하였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먼저, 김종삼이 재수록한 시들을 구분하고 시의 재수록 횟수나 재수록 과정에서 생긴 시의 변화 양상을 분류했다. 그 결과 시의 형태(식)에 변형이 이루어진 경우의 시들, 처음 발표된 작품 원문을 거의 그대로 재수록한 경우의 시들, 재수록 과정에서 처음 발표한 작품을 두 번째 수록할 때 고치고 난 후 더 이상 손을 대지 않은 채 재수록한 경우의 시들, 마지막으로 동일한 제목으로 다른 시를 창작해 발표하고 재수록한 경우의 시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가장 특이하다고 할 수 있는 마지막 경우의 시 중에서 「制作」과 「掌篇」의 시적변화 양상을 분석했다. 「制作」의 시를 분석하면서 김종삼이 시어나 이미지를 제련(製鍊)하는 방식을 시작 초기부터 후기까지 변하지 않고 중시했음을 알 수 있었다. 동시에 그는 「掌篇」이란 산문적 경향의 시를 통해 타자에 대한 이야기를 삽입하고 시인으로서의 사회적 역할과 시의 윤리 문제를 사유했음을 규명했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publications of the poet Kim Jong-sam. Kim Jong-sam used to publish the same poem through other media. In some cases, his works have been released without any modifications. However, Kim Jong-sam has mostly made amendments to his poems. Therefore, this paper summarizes the list of poems that Kim Jong-sam has remade and tries to analyze the modality of the changes in the remade works closely through the rewriting process. As the results, four features are found in this study First, the form of poetry was transformed. Second, some of the poems were republished almost as it had been. Third, at the time of rewriting, some of the poems were republished without any changes since it had been revised once. Finally, there were poems that were published with the same titles that had been used in his previous works. In Chapter 3, I analyze “JEJAK” and “JANGPEON” in the last case. The results are as follows: Kim Jong-sam put so much value in the refining process of poetry and images while writing poetry. Besides, he wrote prose poems to tell the stories of others. Through these poems, he was concerned about the social role of poets and the ethics of poetry.

      • KCI등재

        김수영 시에 나타난 ‘우리’와 ‘사랑’의 의미 -C. D. 루이스『현대시론』의 영향을 중심으로-

        김지녀(Kim, Ji-Nyeo) 우리문학회 2020 우리文學硏究 Vol.0 No.68

        이 연구는 김수영 시의 언술에서 인칭대명사 ‘우리’가 어떤 용법으로 활용되며 의미화되는지를 분석했다. 김수영은 시에서 ‘우리’의 문제를 사유하게 해준 텍스트로 C. 데이 루이스의 『현대시론』을 언급했다. 이점에 주목해 이 연구에서는 김수영 시의 언술주체가 ‘나’에서 ‘우리’로 이행하는 이유를 다각도로 살펴보고, C. 데이 루이스의 시론이 김수영 시에 어떻게 내면화되었는지를 규명하고자 했다. 먼저, 김수영 시에서 인칭대명사 ‘우리’가 사용된 작품을 목록화하고 정리했다. 김수영 시에서 인칭대명사 ‘우리’는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표출되었다. 하나는 ‘우리’를 일인칭 단수의 의미로 사용한 경우로, 주로 개인적 관계를 통해 유일성이나 친근감을 표현하며 가족이나 공간을 지칭할 때 자주 출현했다. ‘우리’가 ‘나’로 대체가능했다. 다른 하나는 ‘우리’를 ‘나’를 포함한 복수의 의미로 사용한 경우였다. 이 경우는 주로 공동체 의식에 기반해 역사적이고 사회적인 사건이나 관념을 표현할 때 사용되었다. 김수영 시의 언술 주체가 ‘나’에서 ‘우리’로 변모해가는 과정에는 4·19혁명과 C. 데이 루이스의 시론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이 연구에서는 그 동안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C. 데이 루이스의 시론과 김수영 시에 출현하는 ‘우리’의 상관성을 살펴보았다. C. 데이 루이스는 ‘우리’를 호명하면서 젊은 시인들에게 과거와 교통하고 선조들의 중요성을 인식해야 함을 강조했다. 김수영은 선조의 의미를 가장 소박하고 일상적으로 살아가는 ‘민중’에서 발견하며 ‘우리’를 드러내고자 했다. 이점은 김수영에게 C. 데이 루이스의 시론이 일정정도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을 뒷받침한다고 볼 수 있다. 김수영의 ‘우리’에 대한 자각은 시에서 ‘우리’에 대한 ‘사랑’으로 이어졌다. 이때의 ‘사랑’은 보다 사회적이고 역사적인 관계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우리’를 호명하며 김수영은 당대 현실을 대립과 반목보다는 화해와 사랑으로 접근하고 ‘아들’로 대표되는 젊은 세대가 경험할 ‘사랑’이 과거의 역사과 전통을 통해 개진해나가는 현실의 모습에 기반해 있음을 강조했다. 이는 영원한 ‘우리’에 대한 믿음과 연결되어 있는 것이기도 했다. This study analyzed how Kim Soo-young’s poems utilized the term ‘we’ is used and explored its meaning within the context of his poetry. Kim Soo-young stated that A Hope for Poetry by C. D. Lewis provoked the problem of ‘we.’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why ‘we’ was increasingly used in place of ‘I’ in his works and explored how C. D. Lewis’ theory was manifested in Kim Soo-young’s poems. First, this study identified the works in which ‘we’ was used and analyzed them. ‘We’ was expressed in two ways in his poems. The first was the use of ‘we’ in first person singular form. This was primarily utilized to express uniqueness or friendliness through personal relationships, such as referring to family or an intimate space. The other case indicated the plural meanings of ‘we’ to express historical and social events or ideas. Next, this study examined A Hope for Poetry by C. D. Lewis. The book emphasized the need for young poets to communicate with the past an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ir ancestors. This is similar to the manner in which Kim Soo-young perceived ‘we’ in his poetry. In other words, A Hope for Poetry enabled Kim Soo-young to realize that ‘we’ represents the entire nation. It also facilitated his recognition and rediscovery of ‘history’ and ‘people.’ The ‘awareness’ of ‘we’ resulted in the emergence of ‘love’ for the collective (‘we’). In this case, the ‘love’ arises due to a stronger social and historical relationship. Through several poems, Kim Soo-young realized the true meaning of ‘we’ who made ‘our’ history. Consequently, he began to affirm ‘our’ history and tradition, which have shown persistent vitality. This set him on the path of living his life with reconciliation and love instead of opposition and antagonism.

      • KCI등재

        김수영 시에 나타나는 타자의 "시선"과 "자유"의 의미 -사르트르와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김지녀 ( Ji Nyeo Kim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1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34

        김수영의 시에는 수많은 타자가 등장한다. 그의 시에서 타자는 아버지, 여편네, 친구, 식모, 누이 등 다양하게 출현하는데, 중요한 것은 그러한 타자가 언제나 우리가 일상적인 공간에서 마주칠 수 있는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속성을 지니고 있으며 주로 ``시선``으로 존재한다는 점이다. 이는 김수영 시에 나타나는 타자가 하이데거식의 타자, 즉 ``공동존재(Mit-dasein)``와는 다른 성격을 띠고 있음을 암시한다. 왜냐하면 하이데거가 말하는 타자는 개별자가 아닌 단순한 동료, 즉 팀워크를 이루지만 어떻게 바꿔도 상관이 없는 하나의 교환가능성으로서의 익명적 다수이기 때문이다. 김수영은 박인환과의 관계가 잘 말해주듯이, 그 누구보다 타인들이 자기를 어떻게 바라보는가에 대한 자의식이 강했던 시인이다. 그런 점에서 김수영에게 타자는 주체와 분리 불가능한 대상이며 상호적인 관계를 맺는다. 즉 김수영의 시에 출현하는 타자는 근본적으로 그의 실존의 조건으로 작동하는 것이다. 이점에서 우리는 흥미롭게도 사르트르 사유속에 내재하는 타자 인식을 발견하게 된다. 사르트르처럼, 김수영 또한 타자가 던지는 ``시선``을 예민하게 포착하며 그 ``시선`` 속에서 탄생하는 주체를 발견하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한국에 사르트르의 실존주의가 유입되고 유행한 시기와 김수영의 시작 활동 시기가 거의 일치하고 그러한 공시성이 양자 사이에 내적인 긴밀함을 형성했으리라는 전제 아래, 타자인식의 관점에서 김수영과 사르트르의 상관성에 주목한다. 먼저 김수영 초기시에 나타나는 타자, 타자의 ``시선``은 수동적 주체를 출현시키는 근본 조건으로 나타난다. 김수영의 「가까이할 수 없는 서적」, 「아버지의 사진」, 「도적」등의 초기시에 나타난 ``미국``이나 ``아버지``와 같은 타자는 주체의 절대적인 ``자유``를 억압하고 제한하는 강력한 ``시선-존재``로 작동한다. 이때 타자의 ``시선``이나 타자의 ``시선`` 속에서 출현한 주체가 본질로 삼는 감정이 바로 ``수치``이다. 그러나 1950년대 중반을 지나면서 김수영의 시는 보다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맥락에서, 주체와 타자의 ``시선``이 투쟁하는 양상을 뚜렷하게 드러낸다. 타자의 ``시선`` 속에서 탄생한 수동적 주체는 김수영의 시작 후기에 이르러 점차 그 ``시선``과 투쟁하여 자기 본연의 ``자유``를 회복하는 주체로 변화하는데, 이는 자신의 삶과 역사를 자발적으로 ``선택``하고 참여하여 주체의 능동성을 회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점을 해명하기 위해 이 논문은 사르트르 사유의 핵심을 이루는 타자의 시선, 수치, 시선끼리의 투쟁, 자유 등의 개념을 활용한다. 김수영의 시에 나타나는 타자 인식의 특성과 자유의 의미를 분석함으로써, 이 논문은 궁극적으로 김수영이 역사현실을 어떻게 인식하고 시작 후기에 이르러 ``사랑``을 통해 역사현실에 대응해갔는가를 통시적으로 밝힌다. This thesis takes note of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Kim Su Young and Sartre bearing in mine the fact that the time of Sartre`s Existentialism being introduced to, being in vague in Korea and the time of Kim Su Young`s activity of composing poems are almost coincided, and the guess that such simultaneity must have formed an internal intimateness between the two people. Especially, in this thesis, the Other in Kim Su Young`s poems, in other word, the feeling of the Others` ``Gaze``, or ``Shame`` will be looked into in the manner of relating them to Sartre`s thought. The meaning of change in the recognition of the Other appearing in Kim Su Young`s early and later poems will be identified from the view of ``Freedom``. Then, the concepts of the Other`s Gaze, Shame, fighting among Gazes, and Freedom, the core of Sartre`s thought are quoted. This thesis will ultimately reveal how Kim Su Young perceived reality and how he responded to historical reality through ``Love`` in later year of his composing of poem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cognition on the Other and the meaning of freedom that presented in Kim Su Young`s poems.

      • KCI등재후보

        책, 은폐와 개진의 변증법

        김지녀(Kim Ji-Nyeo) 돈암어문학회 2008 돈암어문학 Vol.- No.21

        이 논문은 김수영의 시에 나타난 ‘책’에 대한 표현이나 사유 등을 분석하여 그 의식을 밝혀내고 이를 ‘텍스트의 재생산’이라는 측면에서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김수영은 부단한 독서를 통해 자신을 확대하고 시와 시론을 첨예화한 시인이다. 그런 점에서 김수영의 시에 ‘책’과 연관되거나 책을 소재로 하는 시들이 유독 많음은 당연한 일이라 할 수 있다. 김수영의 초기시에서 책은 소통할 수 없는 대상으로 이해된다. 책은 가까이 할 수 없는 것이거나 열어서는 안 되는 것, 열리지 않는 것이었으며, 활자 역시 기호가 되지 못하고 긴 연쇄에 불과한 것으로 인식되었다. 김수영의 이러한 인식은 책과의 거리를 통해 사유된 것이다. 이때의 책은 의미의 그릇이 아니라 그 자체로 있는 닫힌 형식을 의미한다. 4ㆍ19 혁명과 5ㆍ16 쿠테타의 시기에 오면, 김수영의 시에서 책은 끊임없이 현실과 관계를 맺고 있으며 그 의미를 세계 내에 개진한다. 4ㆍ19 혁명 직후에 김수영 시의 책은 극복되어야 할 현실을 오히려 공고히 하는 역기제로 비춰지거나, 현실이 지향해야 할 세계를 보여준다. 또한 현실의 문제점을 공격하는 풍자적인 상징이 된다. 5ㆍ16 쿠테타 이후에 김수영 시의 책은 현실 세계에서 무기력한 의미를 담고 있는 것으로 등장한다. 「거대한 뿌리」나 「이 한국문학사」 등의 시에 나타나듯이, 후기에 접어들면서 김수영은 책을 통해 은폐된 과거를 현재에 개진하고, 현재의 일들이 지닌 역사성을 확인한다. 닫힌 과거를 개진하고 열려 있는 현재의 의미를 재확인함으로써 김수영의 시는 자유와 사랑의 세계로 진입한다. 이 과정에 ‘책’이라는 텍스트가 있는 것이다. 텍스트 자체에 대한 사유와, 텍스트의 독서에 대한 사유로부터 유도된 시의 창작이 이제는 텍스트의 창작 속에서 깨닫는 인식들을 다시 텍스트화하고 있는 것이다. This paper considers the meaning of the ‘book’ in Kim, Soo-Young’s poetry from the viewpoint of ‘reproduction of a text’ by analyzing his expression and thought on the ‘book’. He is a poet who cultivates himself and renders great services to the development of poetry and poetics with reading. Therefore, it is not so difficult to find his poetry that the ‘book’ is the main written subject. In the initial period of his works, he regards the ‘book’ as objects that cannot be understood, since the ‘book’ in the world of his poetry is what cannot be accessible, what cannot be permitted to open and what cannot be opened, and thus, considers the type in the ‘book’ as a long chain of meaningless signs. In those days, the ‘book’ is not an organization of words of meanings but just a kind of closed form to him. At the time of the 4ㆍ19 revolution and the 5ㆍ16 coup, his ‘book’ is connected with the reality constantly and states his views to the real world. Immediately after the 4ㆍ19 revolution, the ‘book’ shows a sight of the ideal that the actual should move toward and becomes a satirical symbol getting down to the earth. Since the 5ㆍ16 coup, the ‘book’ says the helplessness against the real world. As appeared in the poetry of “A Huge Root” or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his ‘book’ sets forth his views of the concealed past to the actual present and shows historicity of the present in the late period of his works. Thereby, his poetry marches into the world of freedom and love finally. Through the whole process of change of his poetry, there is the ‘book’ as a text. A creation of poetry induced by the thoughts on a text and the reading of the text reproduces a new script which describes recognition on the creation of the poetry as a text.

      • KCI등재
      • 김수영 문학 속의 ‘아메리카’

        김지녀(Kim Ji-Nyeo) 돈암어문학회 2009 돈암어문학 Vol.- No.22

        이 논문의 목적은 김수영 문학 속에 나타나는 ‘아메리카’ 표상의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김수영의 텍스트에는 전쟁 및 포로수용소의 경험, 미국 잡지나 배우 등 미국문화의 대표 키워드를 활용하여 ‘미국’의 이미지를 표출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한국전쟁 후 미국의 영향력이 어떻게 한국문화〈학〉에 내면화되었는가를 살펴볼 수 있는 흥미로운 단서라 할 수 있다. 김수영의 초기문학에 나타난 ‘아메리카’는 선망의 공간으로 제시되었다. 그러나 점차 ‘아메리카’는 그의 문학 속에서 변형, 왜곡되어 희화화하기도 하는데, 김수영의 이러한 특징은 궁극적으로 전후 한국문학에 미친 미국의 영향을 짚어보는 데 유효한 잣대로 작용할 것이라 판단된다. In this paper, the meaning of the 'America' in Kim, Soo-Young's literary works will be demonstrated. He frequently expressed the 'America' using typical keywords of the United States culture in his text, e.g., experience in the Korean War and concentration camp, American magazine and actor. Therefore, this characteristic in his work is an important clue to understand the effect of the United States to Korean literature in postwar days. On the road to study the effect, it will be taken concrete shape how his viewpoint and perception of reality had been changed.

      • KCI등재
      • KCI등재

        <소년(少年)>지(誌)에 나타난 ‘독립(獨立)’ 개념의 특징과 그 배경

        김지녀 ( Kim Ji-nyeo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8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6 No.2

        이 글은 <少年>誌에 나타나는 ‘獨立’ 槪念의 特徵을 고찰한다. 近代 形成期에 유입된 ‘獨立’개념의 意味로 國家와 個人 사이에서 진동해 온 배경을 살펴본다. ‘獨立’은 애초에 國家的 차원에 그 의미가 한정되었지만, 점차 人民의 ‘獨立’으로 확장되는데, 복잡했던 국내·외 정세 속에서 <少年>誌의 ‘獨立’ 개념은 國家의 獨立을 위해서는 個人의 獨立이 무엇보다 우선되어야 한다는 최남선의 판단 아래 意味化되기 시작한다. 최남선은 ‘少年’과 ‘立志’를 발견하고, 독립된 개인이 갖추어야 하는 普遍的 理念의 德目과 價値를 계몽한다. 그가 판단하기에 그 普遍理念들은 國民 國家 形成의 정신적인 土臺이자 ‘참된’ 個人의 獨立과 文明을 이루는 基本 理念이기 때문이다. 개인 독립에 대한 그의 강건한 인식은 이후 최남선의 내면적 변화와 국가의 독립이 불가능한 상황에 직면하면서, ‘民族’ 精神의 發見과 强化라는 방식으로 ‘獨立’의 槪念이 轉換되는 결과를 맞이하게 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ependence” concept, found in the magazine of Sonye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independence” concept that Choi Nam-Seon had emphasized, the study is going to examine how the concept of the independence introduced in the forming period of the modern times in the Korean Peninsula had vibrated between the state and the individual. First, the study puts the focus on the vocabulary of strenuous efforts, because the word included the implication that Chosun should keep an independent economic and military power, even if it was a different word from the independence. Therefore, it can be understood that a certain degree of the implication of the independence in the sense of the modern time was included in the word of strenuous efforts at the time. The concept of the independence has been regularly introduced since the newspaper of The Independence was founded. But the independence at the time showed the tendency where the meaning of independence was limited to the national independence in the exclusive relation with Qing dynasty in China. And with the passage of the time, the independence in the national dimension was expanded into the people’s independence, together with such words as, rights, human rights, and civil rights, but when the national crisis emerged due to the change of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situation, the meaning of the independence reverted to the national dimension again. The concept of the independence in the magazine of Sonyeon, which was founded in such background of the time, was formed again under Choi Nam-Seon’s judgment that for the independence of the country, the individual independence should be obtained first more than anything else. As the premise for the individual independence, Choi Nam Seon chose boys and their determination to make success in life, and educated the morals and values of general ideas, with which independent individuals should be provided. He judged that such general ideas were the mental infrastructure to form the people and state and the basic ideology constituting the true individual independence and culture. However, when it was impossible to achieve the national independence since 1910, Choi Nam-Seon gave up the thesis of the independence and converted it in the way of the discovery and reinforcement of the national spirits.

      • KCI등재

        1950년대 C. D. 루이스 시론서 번역의 의미 연구

        김지녀(Kim, Ji-Nyeo) 한국시학회 2017 한국시학연구 Vol.- No.51

        C. D. 루이스(Cecil Day Lewis)는 1930년대 영국의 ‘뉴 컨트리파’의 중심축을 이루는 시인이자 시론가이다. 잘 알려져 있듯이, ‘뉴 컨트리파’는 역사적이고 사회적인 문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시(인)를 강조하는데, 바로 이점에서 ‘뉴 컨트리파’의 시학은 전통적이고 재래적인 시를 비판하며 등장했던 한국의 현대시와 교접하게 된다. 김기림, 박인환, 김수영 등 한국 모더니즘 시인의 시세계 연구에서 W. H. 오든과 스티븐 스펜더가 비중 있게 다루어진 것은 그 이유 때문이었다. 그러나 1950년대 중반 이후로 실제로 C. D. 루이스의 시론서들이 번역, 유통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와 한국 현대시와의 관련 연구는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 이점에 착안해, 논문은 1950년대 발간된 C. D. 루이스의 시론에 관한 번역서들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그 시론서들이 내장하고 있는 시적 이념 및 특성을 정리하고, 1950년대에 C. D. 루이스의 시론 번역이 출현한 이유와 시론서 번역의 의미를 밝히고자 했다. 먼저 1950년대 한국의 문단적 상황을 살피고, C. D. 루이스의 시론서들이 번역된 배경을 고찰했다. C. D. 루이스의 시론서들은 각기 다른 방식으로 기술되었지만, 공통적으로 시인이 처한 역사적이고 사회적인 현실 문제들의 체험을 중시하고 그것을 시에 반영하는 태도를 견지했다. 이점에서 C. D. 루이스의 시론서 번역은 그 자체로 1950년대에 팽배해 있던 기성세대의 문학이념, 즉 순수성, 전통성, 영원성 등으로 정리되는 문학적 경향에 문제를 제기하고 그러한 상황에 대응하는 새로운 시 정신과 만나고 있다. C. D. 루이스의 『시학입문』은 시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역설하며 대중들이 쉽게 시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입문서의 성격을 띠었다. 『현대시론』은 영국 현대시의 역사와 특성들을 차례로 짚어주며 시의 본질적인 문제를 깊이 있게 다루었다. 또한 『현대시작법』은 시의 이미지에 대한 논의들을 구체적 사례를 들어 실제 창작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기술했다. 세 권의 시론서를 통괄하고 있는 것은 기본적으로 시인은 현실에 민감한 자이며 그 현실 체험이 시에 반영되어야 한다는 시적 태도이다. 이러한 시적 태도는 시의 현대성에 대한 관심의 요구와 시인의 사회적 참여를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1950년대 한국의 모더니즘 시와 만나게 되고 이후 1960년대의 참여시 운동의 이론적 기반을 이루는 데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다. 정리하면, C. D. 루이스의 시론 번역은 1950년대 우익 보수의 입장을 전면화했던 기성세대 중심의 문학담론 구조를 견제하며, 한국 현대시의 새로움 즉 다른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는 하나의 이론적 토대라 할 수 있다. 이점에서 1950년대에 이루어졌던 C. D. 루이스의 시론서 번역은 1960년대 참여시와의 관련성 아래 연구될 ‘뉴 컨트리파’ 시인들의 시적 태도 및 문학이념이 1950년대에 중반부터 한국의 문학 담론 속에서 적극적으로 요구되었음을 확인해 볼 수 있는 흥미로운 지점이 된다. In this study, the 1950s ― translations of C. D. Lewis’s works on poetics such as “The poetic image”, etc. is considered. Especially,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analysis of the poetic idea and image included in his works and the literary background and significance of the translations of his works on the poetics. So far, there has been few studies on C. D. Lewis although lots of researches on the relations between Korea poems and ‘new country group’ was don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ortance of his works on Korea modernism poetry by analyzing the translations of his writings such as Poetry for You, A Hope for Poetry, and The Poetic Image. First of all, the situation on Korean literature in the 1950s and the reason why C. D. Lewis’ works were translated are presented. In the publications, he held to the opinion that poets reflect their historical and social experiences in their poems. Therefore,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translation itself suggests a new value of the poem compositions which is different from the ideology of literature of the previous generation, e.g., purity, traditionality, eternity, etc. Poetry for You and A Hope for Poetry were translated to make the public easy to understand the poetry and to give an exemplary model of modern poetry to the Korean world of poetry in the 1950s, respectively. The Poetic Image was also helpful to Korean poets since it presented thoughtful discussions regarding poetic imagery. The common perspective on these three books is the poetic attitude that a poet’s real experiences have to pervade his/her poems since the poet is sensitive to reality. From this viewpoint, it can be regarded that his works established the foundation of the poetry of participation in the 1960s after the introduction in the 1950s. In conclusion, the translations of the works of C. D. Lewis kept the literary point of view of the previous generation in check and paved the way for finding a new possibility of Korea modern poetry. Accordingly, this study introduces an interesting opinion which the theoretical stand of ‘new country group’ pertaining to the poetry of participation in the 1960s had already been stated by the translation of the three books of C. D. Lewi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