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영산강 하류와 삼포강 합류부 일대 제4기 지질 연구

        김주용,양동윤,홍세선,남욱현,이헌종,이진영,김진관,오근창,Kim, Ju-Yong,Yang, Dong-Yoon,Hong, Sei-Sun,Nahm, Wook-Hyun,Lee, Heon-Jong,Lee, Jin-Young,Kim, Jin-Kwan,Oh, Keun-Chang 한국제4기학회 2005 제사기학회지 Vol.1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영산강 하류 무안, 일로 및 동강 지역일대에 분포하는 제4기 퇴적층의 분포와 형성시기를 고찰하는데 있다. 연구를 위해 영산강 하류와 삼포강 합류부 일대의 기존 시추코아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동강면 장동리 용동부락 일대에 분포하는 제4기 퇴적층의 대표단면에 대한 계단 트랜치 조사를 실시하였다. 대표단면에 대한 계단 트렌치 조사에서는 퇴적층에 대한 지층단면 조사, 입도분석 및 대자율 측정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플라이스토세말 영산강 하류 해안평야의 제4기 퇴적층준의 형성시기와 환경변화를 해석하였다. 연구결과, 영산강 하류 해안지형을 구성하는 퇴적층준은 LGM 이후 해수면 상승에 의하여 형성된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고도 약 7-10m 사이에 분포하는 해면변동성 단구면과 현재 해안평야 사이에 나타나는 단구애는 최종빙기중의 아빙기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고도 약7-10m의 해면변동성 단구면은 최종간빙기 초기, 고도 7-10m 단구면과 약 15m 단구면 사이의 단구애는 최종간빙기내의 아빙기, 그리고 고도 약 15m의 단구면은 최종간빙기(5e)에 각각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해안단구의 분포 특성은 한반도 동남해안에 발달하는 다른 해안단구의 분포 특성과 잘 대비된다. 이 연구는 영산강 하류의 구석기 유적 분포와 관련된 제4기 퇴적층의 분포특성 해석을 통하여 구석기 시대 생태환경 복원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study the distribution and formation age of Quaternary deposits in the downstream of Yeongsan Estuarine River, encompassing Muan, Illo and Donggang counties. For this purpose the authors examine several borehole data, and step trench survey for excellent profiles was studied in connection with grain size population and magnetic susceptibility. As a result, it is interpreted that the coastal plain of the Yeongsan River was formed by sea level rise after Last Glacial Maximum(LGM). The fore edge/escarpment of coastal terraces distributed 7-10 m asl is assumed to be formed during the last glacial period, while the coastal terraces distributed above 7-10m asl formed during MIS 5a. In addition, the fore edge/escarpment of coastal terraces distributed above 15 m asl is presumed to be have been formed during the stadial of last interglacial period, while the formation age of coastal terraces distributed above 15m(asl) is assumed to be MIS 5e. This formation age can be estimated by the coastal terrace ages of the southeastern coast of Korean Peninsula. The characteristics of Quaternary deposits linked to paleolithic culture will eventually lead to the reconstruction of ecosystem environment of paleolithic peoples.

      • 동해안 해성단구 분포, 형성시기 및 융기율 검토

        김주용,양동윤,김진관,이진영,김정찬,홍세선,오근창,최돈원,Kim, Ju-Yong,Yang, Dong-Yoon,Kim, Jin-Kwan,Lee, Jin-Young,Kim, Jeong-Chan,Hong, Sei-Sun,Oh, Keun-Chang,Choi, Don-Won 한국제4기학회 2005 제사기학회지 Vol.19 No.1

        한반도에서의 해성단구 연구는 1980년대와 1990년대를 거쳐 2000년대에 진입하면서 동해안 전역에 걸친 고해수면 종단 및 횡단 분포도 작성, 해성단구 퇴적상 특성 해석, 해성단구 퇴적물의 OSL 연대 측정 및 융기율 산정 등 여러 부문에 걸쳐 빠르게 발전하여 왔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해성단구 연구자들은 동일 고도에 분포하는 해성단구들이라도 항상 동일한 퇴적상이나 형성연대를 가지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에 유의하고 있다. 해성단구 시스템은 낮은 고도로부터 1, 2, 3, 4, 5 단구시스템으로 구분되고 있으며, 단구시스템의 연대는 낮은 단구에서 높은 단구로 갈수록 일률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준다. 해성단구 연구에 있어서 여전히 문제시되고 있는 것은 제2단구와 제3단구 시스템의 구분 및 이들의 형성시기에 관한 것이다. 논란의 핵심은 약 30~35m(~40m)에 분포하는 해성단구와 약 20m전후의 해성단구중 어느 것이 최종간빙기에 형성되었느냐에 관한 것이다. 동해안 단구분포와 형성시기에 기초한 지반 융기율은 전체적으로 볼 때 약 0.10~0.20m/ka로 추정된다. Researches onmarine terrace in Korea have been drastically progressed during the last two decades.main themes of researches include vertical and horizontal distribution of paleo-shoreline, sedimentary facies ofmarine terrace deposits, OSL dating of terrace deposits and estimation of uplift rate. At present, it is noted thatmarine terraces distributed at the same altitude do not always show the same sedimentary facies, nor have the same ages.marine terraces are generally divided into five terrace systems, of which ages increase in ascending order. There are some arguments about discrimination between 2nd and 3rd terrace systems and their age. The core discrepancy lies on the question of whether the level of the last interglacial terrace is on the level of about 20m or on the 30~35m(~40m) in altitude. The uplift rate based on the paleoshoreline distribution ranges between 0.10 and 0.20m/ka.

      • KCI등재

        홍천 연봉 구석기유적의 지질고고학적 연구

        김주용(Kim, Ju-Yong),최승엽(Choi, Seung-Yuo),양동윤(Yang, Dong-Yoon),홍세선(Hong, Sei-Sun),이상헌(Yi, Sang-Heon),오근창(Oh, Keun-Chang),이진영(Lee, Jin-Young),김진관(Kim, Jin-Kwan),김종연(Kim, Jong-Yeon) 한국고대학회 2009 先史와 古代 Vol.30 No.-

        홍천 연봉 구석기유적의 대표단면에 대한 제4기 지질조사를 통하여 지질고고학적 측면에서 유적의 형성 환경과 시기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 수행을 위하여 유적지 일대 지형발달과 단구지형의 기존 연구자료를 검토하였다. 또한 발굴조사가 실시된 주요 토층단면들을 대상으로 층위분석과, 채취된 퇴적물 시료에 대해 입도분석, 대자율 측정, 점토광물 분석, 지호학 분석 및 탄소연대 측정을 실시하였다. 대표 토층단면의 최하부 하성단구 사력층은 해발고도 153m에 나타나고 있으며, 중위면 저위 1면의 하성단구로 분류된다. 대표단면의 층위는 상부로부터 명갈색 니질찰흙층, 상부 암갈색 니질찰흙층, 하부 암갈색 니질찰흙층, 사니질층 협재하는 사면기원 역질사층, 기저역층인 적갈색 하성역층으로 구성된다. 대표 단면의 대자율 변화특성을 보면 명갈색 찰흙층과 하부 암갈색 찰흙층 하부에서 아주 크게 나타나고 있다. 대자율의 증가는 일차적으로 자화공물 농집이라기보다 이차적인 토양화 과정에서 적철석의 증가로 인한 대자율 증가에 기인한다. 대표 단면의 주 구성광물은 X-선 회절분석 결과 석영, 일라이트, 녹니석, 카올리나이트, 스멕타이트-녹니석 혼합광물 및 방해석이 나타나고 있으며, 심한 풍화로 사장석과 K-장석이 거의 산출되지 않는다. 상부로 갈수록 녹니석과 카올린이 증가하는데, 이는 풍화가 심해지는 곳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주성분 화학분석 결과, 실리카 함량은 64~73wt.% 범위를 보이며, 대부분 70wt.% 으로서 토양 근원물질은 실리카 함량이 높은 산성암 즉, 화강암이나 화강암질 편마암일 것으로 추정된다. 대표단면 도층에서 상부와 하부의 암갈색 니질 칠흙층내의 유기 니질물이나 단화목의 연대가 40ka-45ka BP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시기는 최종빙기 중기의 MIS 3을 지시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보다 하부에 분포하는 사면기원의 역질사층의 최하부 유기 니질층의 14C 연대는 50ka이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연봉 구석기유적 상부의 세립질 고토양층은 약 4만년~5만년전에 걸쳐 형성된 것으로 해석된다. 기적역층 위의 세립질 고토양층은 상당 부분 아간빙기 홍수성 니사질 퇴적층으로부터 유래된 것으로 해석하였다. 끝으로 본 유적지의 하상단구 기저 사력층을 구성하는 퇴적물 형성시기는 하화계리 일대 OSL 연대를 고려해 볼 때, MIS 4 빙기 혹은 이보다 더 오래된 시기까지 올라갈 가능성이 있다. This study aims to revealing site formation and chronology of Yeonbong paleolithic site, particularly baased on Qauternary geological and geoarcheological context of representative section in the excavation pits. Firstly, terrace geomorphic and site stratigraphic matrices were reviewed, and then representative section was selected to obtain samples for geoscientific analysis including grain size, Magnetic Susceptibility(MS), clay minerals, major oxides and carbon radiometric datings. Fluvial terrace gravels are located at an altitude of 153m above mean sea level, and it belongs rto middle terrace to lower I terrace in Korea. Soil and sediment are composed of light brown muddy loams, upper dark brown muddy loams, lower dark brown muddy loams, slope gravelly sands with sandy mud lenses, and reddish brown basal gravels downwards in a typical stratigraphy section. MS shows sharp increases below light brown muddy loams and lower dark brown muddy loams. An increase of MS is supposed to be related more with concetration of secondary pedogenetically derived Haematities rather than primary magnetic particles. Primary compositional minerals of soil and sediment are Quartz, Illite, Chlorite, Kaolinite, Smectite-Chlorite mixed minerals and Calcite, showing little felspars due to heavy weathering. Upwards Chlorite and Kaolinite are both increased due to increasing weathering intensity. Major oxides show 64~73wt.% in silica content, indicating acidic rocks as a source rock of sediments such as granite or granitic gneiss. As chronology of representative site, organic muds and charcoals of upper and lower dark brown muddy loams dated as 40ka-45ka BP as 14C ages so that it may be associated with MIS 3 of last glaciation in Korea. Organic muds intercalated in slope gravelly sands indicates older than 50ka as 14C age. Therefore it can be summarized that soil and sediment of Yeonbong paleolithic site range 40ka to 50 ka. Paleosols above basal gravels are interpreted to be formed primarily as sandy muds in response to frequent surface floodings during interstadial period pf last glaciation. Lastly it is suggested that the basal gravels were formed sas old as early last glaciation (MIS 4) or older than this, when considering OSL ages in Hawhagyeri areas of Hongcheon Country.

      • KCI등재

        전남 동남부 지역에 부존하는 육상골재의 물성특성에 관한 연구

        김주용(Ju Yong Kim),오근창(Keun Chang Oh),양동윤(Dong Yoon Yang),홍세선(Sei Sun Hong),장수범(Soo Bum Chang,),이진영(Jin Young Lee),임현수(Hyun Soo Rim)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5 자원환경지질 Vol.38 No.3

        Some of old fluvial sediments are originally composed of fine and silty-clay grains with sands or some of them have been segregated by weathering as a result of the influence of groundwater fluctuations. For this reason, some of old fluvial sediments are not suitable for using as fine aggregates. Furthermore, the old fluvial aggregates with comparatively good quality have been exploited for a long time and quality of most remainders have been significantly poor. Though many old fluvial aggregates do not satisfy the quality controls(QC) standards such as KS F 2526 and KS F 2527, they must be utilized to various usage suitable for different quality categories. Thus, we try to make constant efforts to utilize aggregates of all qualities. This study shows that physical properties of old fluvial aggregates are both controlled by source rocks and also related to old fluvial environment. 육상골재의 구성물질은 퇴적 후 오랫동안 지하수 유동의 영향으로 일부는 풍화를 받아 토양화가 진전되었거나 토양화의 정도는 미약하더라도 퇴적당시의 입자가 실트-점토질 또는 세립질로서 골재로 사용하기에는 곤란한 경우도 있다. 더구나 오랜 기간 계속된 육상골재의 개발로 입지가 양호한 지점에 분포하는 육상골재는 현재 거의 개발이 완료된 상태이므로 골재의 품질기준을 규정한 KS F 2526 및 KS F 2527 등에 의하여 골재로서 부적합하거나 불량한 조건을 나타내는 육상골재에 대하여서도 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차원에서 각각의 품질에 적합한 다양한 용도를 개발하고 이러한 범위 내에서 골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노력과 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육상골재의 물성은 기원암과 고기 하천 환경에 좌우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의림지 형성과정과 제방축조 연구

        김주용(Kim, Ju-yong),양동윤(Yang, Dong-yoon),강상준(Kang, Sang-joon),이상헌(Yi, Sang-heon),남욱현(Nam, Wook-hyun),임재수(Lin, Jae-su),황세호(Hwang, Se-ho),윤현수(Yun, Hyun-su),김진관(Kim, Jin-kwan),홍세선(Hong, Sei-sun),이진영(Lee, J 忠北大學校 中原文化硏究所 2010 중원문화연구 Vol.14 No.-

        Eurimji as an ancient water management facility has been known to be built in Iron Age(Sam-Han Age) according to historical document. Eurimji Bank materials are filled on the granitic gneiss and valley fill boulders and rounded water-laid gravels below 307m (asl). Artificial earth materials are gradually dominant at the altitude between 311.2m (asl) and 313.6m (asl). The constructed materials are chracterized by angular to subangular gravels and graded sands in lower part, but gray organic muds with sands are increased upwards. The organic muds up to 314m(asl) are dated ca2,000ysBP, while wood fragments are as old as 1,200yrBP in trhe same interval. This paper deals with the origin of the gray organic muds of Eurimji bank, particularly comparing it with Eurmji lake sediment records, dated as ca 1,900~2,000ysBP, in the interval of 307.5~311.7m(asl) of the borehole ER3-1. As result both Eurimji bank and lake sedimentary materials are the same in mineralogy and chemical composition. This implies that the ancient people excavated gray organic muds from Eurimji lake bottom and use them to construct embankment, made from earths and woods, on the natural lavee or elevated valley mouth due to alluviation. The Eurimji bottom sediments are traced as old as 1920yrBP from borehole ER-3-1, and records are continuous up to 1420ysBP. The lowermost bottom sediments are different in sedimentary matrix from the embankment materials at the same altitudinal level. The latter is typified by the gravel-supported bank materials at the level of 307.5~310.6m in altitude. This implies that a possible construction of Eurimji bank was as old as 1920 years, and bottom sedimentation in the Eurimji had been recorded continuously and stably up to 1200yrBP. However it is supposed that Eurimji bank was mainly constructed at 1200yrBP, when the unified Silla dynasty expanded water reservoirs in the whole country si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