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현(Lee, Hyun),김정현(Kim J.H.),이성복(Lee, Sung-Bok),엄정희(Eom, Jeong-Hee),이강오(Rhee, Kang-Oh),이태용(Lee, Tae-Yo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4 No.8
본 연구의 목적은 연령별 난시빈도를 알아보고 굴절난시와 각막난시, 내부난시의 연령에 따른 변화와 변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0년 7월에 만5~59세의 청주지역 거주자 1,017명을 대상으로 굴절력과 각막전면굴절력 을 자동굴절검사기로 측정하였다. 난시빈도는 전체적으로 22.7%이었고, 5~9세에 8.9%에서 20대에 36.8%로 증가하였 다. 40대에는 19.2%로 감소하였다가 50대에 28.6%로 다시 증가하였다. 굴절난시와 각막난시, 내부난시의 J<sub>45</sub>성분은 연 령군에 상관없이 거의 일정하였으나 굴절난시와 각막난시의 J<sub>0</sub>성분은 30대 이후 감소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또한 J<sub>0</sub>성 분 중에서 수직방향 굴절력은 연령에 따라 변화가 없이 일정하였지만 수평방향 굴절력은 연령에 따라 큰 변화가 있 었다. 연령에 따른 난시빈도의 변화는 수평방향 굴절력의 변화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the frequency of RA with age and to investigate the age-related trends and changing-factors in RA, CA and IAs. The refractive power of the eye and the power of corneal anterior surface were measured with auto-refractor among 1,017 inhabitants aged 5 to 59 years in Cheongju in July 2010. The overall frequency of RA was 22.7%, and frequency of RA increased from 8.9% in 5~9 years age group to 36.8% in 20~29 years age group. It then dipped to 19.2% in 40~49 years age group but increased again 28.6% in 50~59 years age group. J<sub>45</sub> components for RA, CA, and IAs were fairly stable in different age groups, the changes in J<sub>0</sub> components for both RA and CA appeared to be decreased after age of 30 years. In addition, the refractive power on the vertical direction was changed slightly with age, but the refractive power on the horizontal direction was changed significantly with age. It was expected that the change in the frequency of astigmatism with age was due to the change in the refractive power of horizontal meridian.
특발성 측만증 청소년의 Schroth 3차원 운동이 콥스각과 복부근지구력 및 유연성, 평형성에 미치는 영향
김정현(Kim J.H.),오두환(Oh, Doo-Hwan),장석암(Zhang, Seok-Am),이장규(Lee, Jang-Kyu)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6
이 연구는 특발성 척추측만증 청소년을 대상으로, Schroth 3차원 운동처치와 볼?슬링운동을 수행하는 재활운동프로 그램의 처치가 콥스각의 변화와 근력 및 유연성, 평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특발성 척추측 만증을 진단받은 청소년 30명을 대상으로, Schroth 3차원 운동처치집단(n=15)과 볼과 슬링을 수행하는 재활운동 처치집단 (n=15)으로 무선배정 하였으며 운동 프로그램은 8주간, 주 3회, 90분으로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에서, 8주간의 운동 후 Schroth 3차원 운동처치집단에서 콥스각이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p<.001), 복부근지구력(p<.05) 및 유연성(p<.001) 과 평형성(p<.001) 모두 운동 후에 유의한 개선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8주간의 운동 전·후 Schroth 3차원 운동 처치집단에서의 콥스각 변화율이 재활운동 처치집단의 콥스각 변화율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이상의 결과에서 Schroth 처치집단과 재활운동 처치집단 모두 8주간의 처치 후, 특발성 척추측만증이 있는 청소년에게 유의한 개선 의 효과가 있었으며, 그러나 Schroth 3차원 운동처치가 콥스각 교정에 보다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들의 특발성 척추측만증 예방과 운동치료에 Schroth 3차원 운동처치가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8-week schroth 3-dimensional exercise and ball-sling complex exercise treatment on cobb's angle, abdominal muscle endurance, flexibility and balance in adolescents with idiopathic scoliosis. Thirty subjects with scoliosis were random assignment into one of two experimental groups, either schroth treatment(n=15) or ball-sling complex exercise treatment(n=15). Exercise program was to perform for 8-week and 90min and 3 times per week.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bb's angl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8-weeks in schroth treatment(p<.001). And also abdominal muscle endurance(p<.05), flexibility(p<.001) and balance(p<.001) were significantly improve in pre vs. post treatment. Second, the ratio of cobb's angle chang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chroth treatment compared to ball-sling complex exercise treatment following 8-weeks(p<.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although both the schroth treatment and bal-sling complex exercise treatment in adolescents with idiopathic scoliosis can improve on cobb's angle, abdominal muscle endurance, flexibility and balance, but schroth treatment was better than ball-sling complex exercise treatment improving effect of cobb's angle. Therefore, we consider that schroth treatment has more effect of prevention and therapy in idiopathic scoliosis in adolesc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