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디지털 선박을 위한 선박 통합화 네트워크 설계 및 구현
김재양,정선태,임준석,박종원,홍기용,임용곤,Kim Jae-Yang,Chung Sun-Tae,Ieem Jun-Seok,Park Jong-Won,Hong Key-Yong,Lim Yong-Kon 한국정보통신학회 2005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9 No.6
대양을 운항하는 선박들의 효율적이고 안전한 운항 관리를 위해 국제 해상법적 환경이 강화되고 있으며, 선박과 육상간의 정보 공유에 대한 요구가 증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디지털 선박, 선박 통합화 플랫폼, 선박 통합화 네트워크에 대한 연구가 미국과 유럽 등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선박 통합화 플랫폼을 연구하고, 선박 통합화 시스템 구축의 핵심이 되는 선박 통합화 네트워크의 설계 및 구현을 수행하였다. 선박 내 각종 시스템 및 기기들을 계층별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통합화 프로토콜을 설계하였으며, 선박 통합 정보들을 표준화된 플랫폼으로 관리하고 필요한 정보를 선박-육상 네트워크를 통해 육상으로 전송하여 육상에서 관리 및 지원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또한 설계${\cdot}$구현된 선박 통합화 시스템을 실제 운용중인 선박에 적용하여 시스템의 신뢰성 및 선박-육상간의 지원체계의 효용성을 확인하였다. For the efficient and safe navigation management of ships cruising across oceans, international maritime law environments have been reinforced and the demand of information sharing between ships and shore has also been increasing. According to these environments and demand. researches about digital ships, ship integration, and ship integration networks have been active recently in US and Europe. In this raper, we first investigate about the proper ship integration platform, and then design and implement a ship integration network based upon the ship integration platform. We construct networks connecting various devices and systems into a layered architecture, and design an integration protocols. Based upon this architecture and protocols, we implement an ship integration system which manages all data and information of ship in a standardized platform and support ship-shore information sharing through which the more efficient and safer ship navigation management are supported with help from shore. We test our ship integration system by applying it to real operating ships and we find our system reliability and verify the efficiency of ship-shore information sharing and management.
규조토를 함유한 올레핀계 폼의 기계적 물성 및 수분 제어 성능에 관한 연구
김재양 ( Jae Yang Kim ),이지은 ( Ji Eun Lee ),성동기 ( Dong Gi Seong ) 한국접착및계면학회 2021 접착 및 계면 Vol.22 No.1
Products using diatomaceous earth, which are used in various fields, are optimized for moisture absorption, but have problems such as high hardness, powder flying, and rough surface feel. To improve this, an olefin-based foam having low hardness and high elasticity was prepared by adding an excessive amount of inorganic material using EVA (Ethylene vinyl acetate) having low hardness and excellent elasticity. Diatomaceous earth was added to impart moisture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the foam, and the moisture absorption/drying characteristics showed a moisture absorption rate of about 10 to 15% and a moisture drying rate of 10 to 70% depending on the content of the diatomaceous earth.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manufacture a water-absorbing olefin-based foam with diatomaceous earth add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diatomaceous earth added to the foam had a great influence on water absorption and dissipation due to its micro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이성재 ( Seong Jae Lee ),김재양 ( Jae Yang Kim ),김철수 ( Cheol Soo Kim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8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Vol.2008 No.0
21세기를 접하면서 산업전자 분야의 비약적인 발전과 함께 과학문명은 눈부시게 발전해 나아가고 있다. 이것의 원천은 바로 전기(Electric)이다. 우리는 풍요로운 삶 자체를 전기 공급에서 누리고 있으며 또 비극적인 사태를 맞이할 때도 있다. 즉, 전기기기를 이용하면 원하건 원치 않건 전자기파가 발생이 된다 이것이 자연현상이며 전자기파는 IT, BT, CT를 비롯하여 산업 전체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말하는 전자기파 장해의 기본 요소는 노이즈원(잡임음원), 경로매체, 피해장치 등으로 구성되는 데 잡음원(Noise Source)은 각종 시스템에서 구성되고 있는 전자기 에너지의 발생원으로 볼 수 있으며 이 발생원에서 경로매체(금속:전도성, 대기중:전파성 등)를 통하여 피해장치(전기전자통신기기류)에 방해를 주고 있는 상태를 전자기파 장해라고 설명할 수 있다. 전자기파 잡음원에서 경로를 거쳐 전자기파에 대하여 피해장치가 안정된 상태로 동작하도록 규정하는 용어 즉, 전자파 양립성 또는 적합성 (EMC : Electro Magnetic Compatibility))이란 용어를 가지고 전기·전자·통신기기에서 발생되는 불필요한 전자파와 전자파 내성시험을 만족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EMC 는 EMI (불요 전자파 또는 전자파 간섭 :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 EMS (전자파 내성 : Electro Magnetic Susceptibility) 2가지 시험을 함께 전자파 적합성 (EMC) 시험으로 표현되고 있다. 전자파 적합성 시험의 목적으로 EMl는 전도성 또는 전파성에 대한 주파수 대역(잡음)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고 EMS는 프로세서가 내장된 기기류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감응평가를 하는 것이다. 즉, 감응(Susceptibility)이란 어떤 장비나 시스템이 전자기파 장해에 쉽게 영향을 받는 것을 뜻하는 데 전자파 장해를 견디면서 본래의 기능을 충분하게 발휘하며 동작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