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통합교육과정의 연구 과제와 저해 요인

        김재복 ( Jai Bok Kim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07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 No.-

        우리나라의 각급 학교교육에서 통합교육 또는 통합교육과정의 적용이 활발하게 시도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통합교육과정에 관한 학문적 논의가 미미한 실정이다. 이때에 통합교육과정의 이론적 발전과 현장 적용에 크게 기여할 `통합교육과정학회`의 창립은 큰 의미를 가진다. 이 글은 학교 교육에서 중심을 이루고 있는 지식과 교과를 중심으로 하여 통합교육과정의 발전을 위해 필요한 연구 대상과 과제를 제시하였다. 연구는 지식의 구조와 통합, 교과의 연결과 통합적 지도, 지식의 넓이와 깊이, 내용의 발전적 배열이 그 대상이 될 수 있으며, 대상별로 연구 과제가 추출될 수 있다. 그러나 통합 교육과정이 구성되고, 그것이 적용될 때에 지식의 구조 또는 지식의 형식으로부터 파생되는 문제, 교과 전문가 집단의 교과 지향적인 의식 구조,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방법상의 전통적인 인습, 분과별로 출제되는 시험제도 등 여러 측면에서 저항이 나타난다. 이에 대해서는 새로운 측면에서 해소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글에서 제안한 통합 교육과정의 연구 대상 및 과제와 저해 요인에 대한 해소 방안이 통합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와 적용의 활성화를 이루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Curriculum integration has been extensively discussed in the field of education, but little theoretical progress is made in the academia. This induces uncertainty and concern about the potential of curriculum integration for affecting schools positively. In that sense, the establishment of Korean Society for Curriculum Integration may be conducive to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development of curriculum integration. The major focus of this paper is devoted to an examination of issues to be considered in putting curriculum integration into effect. Four issues are addressed for the future research on curriculum integration: (1) the relations between the disciplines of knowledge and curriculum integration, (2) the practical models of integrating the content of school subjects, (3) the ways of expanding and deepening knowledge through curriculum integration beyond narrowly defined knowledge within a specific subject, (4) reorganizing and restructuring knowledge from separate subjects into curriculum organization considering its sequence and structure. Finally, practical problems in implementing curriculum integration are posed such as: teacher recruitment and identity, discipline-based subject, subject statues and histories, assessment structures, and etc. This paper provides some ideas to resolve those problems.

      • KCI등재

        교육과정 평가의 개념모형

        김재복 한국교육과정학회 1998 교육과정연구 Vol.16 No.1

        교육과정 평가는 교육과정에 포함되는 모든 계획과 프로그램, 그리고 교육과정 운영에 포함되는 모든 활동과 그 성과에 대한 가치를 판단하는 일이다. 이러한 입장을 바탕으로하여 본 연구는 교육과정 평가의 개념 모형을 구안하여 제시하려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먼저 교육과정 평가의 대상과 교육과정 평가의 접근 방법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평가의 개념 모형을 구안하였다. 구안된 교육과정 평가의 개념 모형은 다음과 같다. 교육과정 평가의 개념 모형에는 먼저 전체적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교육과정의 기본적 준거가 포함된다. 다음으로 이 준거를 바탕으로하여 이루어지는 교육과정의 구성, 운영, 성과와 관련하여 교육과정의 개발에 관한 평가(내적 타당성), 교육과정의 운영에 관한 평가(수행과정의 적절성), 교육과정의 성과에 관한 평가(학습의 결과)가 포함된다. 그리고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운영하며, 성과를 알아보는 주체로서의 수준이 포함된다. 첫째, 교육과정의 결정에 포함되는 기본적 준거에는 ·철학적 가정, ·사회적 요구, ·개인적 특성, ·교수 학습 이론이 포함된다. 둘째, 교육과정 개발의 평가에 포함되는 대상은 ·개발과정, ·교육목표, ·교육내용, ·운영지침, ·교과용 도서이다. 셋째, 교육과정 운영의 평가에는 ·교원 연수, ·교수 학습 자료, ·교수 학습 활동, ·행·재정 지원이 포함된다. 넷째, 교육과정 성과의 평가에는 ·인지적 학습성과, ·정의적 학습성과, ·비교과 활동, ·결과활용이 포함된다. 다섯째, 교육과정 개발, 운영, 평가 주체로서의 담당 수준은 ·국가수준, ·지역수준, ·학교수준으로 나누어진다. 위와 같이 구안된 교육과정 평가 모형은 학교 교육과정이 개발되고 운영되며, 그 성과를 알아보는 일련의 전 과정이 포함된 것으로서 학교 교육과정 전체를 조망하고, 그 적절성을 알아보는데 대한 이론적 준거의 틀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갖는다.

      • 유치원과 국민학교 교육과정의 연계 방안 모색

        김재복 仁川敎育大學校 1994 論文集 Vol.28 No.2

        This study attempts to search for some ideas and strategies for the improvement of conjunctive 'relations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curricula, especially in first and second grades. For this. this study considers the relations between the two from four different dimensions. First, we can think of conjunctive plans between the two in terms of school characteristics. In this field, it is important to stress for young children to have good peer relations and good moral conducts. These characteristics can be learned through play and direct experience. Second, We can try to improve the conjunctive relation between the two in the way of curriculum organization and development.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urriculum from K to six can be divided into four groups : (1) kindergarten consisted of 'honest-life', 'inquiry-life', and 'pleasant-life,' (2) low(l and 2) grade consisted of language, mathematics, 'wise-life' and 'pleasant-life,' (3) middle(3 and 4) grade consisted of seven subjects as Korean language, mathematics, social studies, science, physical education, music, and fine arts. (4) high(5 and 6) grade consisted of nine subjects adding morales and practical course on the middle grade subjects. Third, category is the field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Six ideas are suggested here. They are : (1) curriculum implementation strategies based on classroom situation, (2) teaching method based on children's direct activities and experiences. (3) managing classroom hours flexibly in accordance with seasons, children's needs, and contents etc., (4) effective use of school facilities and materials, (5) grouping the students in various size the traits of subjects, (6) using various methods of evaluation includ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ways. The last dimension is concerned with the supportive system for curriculum management. In this dimension, we have to reconsider the teacher education system and programs for a more close relation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It is suggested that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must be divided into two different programs : one for low grade teachers in including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 other one for high grade teachers.

      • 敎育評價의 量的 接近과 質的 接近에 대한 基準

        金在福 仁川敎育大學校 1995 論文集 Vol.29 No.1

        Nowadays educational evaluation mostly concerns the measurement and judgement, emphasizing measuring. This type of evaluation can be classified as quantitative approach. But human behaviors cannot be fully expressed numerically. We need some may to understand a person's unique internal phenomena and characteristic, which can be achieved through qualitative approach. This paper aims first to present criteria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 and second to distinguish the basic view points of the two apposches. Ten criteria presented in this paper are (1) positivistic vs hermeneutical criterion, (2) controlled vs phenomenal criterion, (3) objective vs subjective criterion, (4) reliability vs subjectivity criterion, (5) universal vs characteristic criterion, (6) deductive vs inductive criterion, (7) analytic vs synthetic criterion, (8) relative vs purposive criterion, (9) clarified vs suggestive criterion, and (10) resultant vs procedural criterion. The Quantitative approach in educational evaluation emphasizes positivistic, controlled, objective, reliability, universal, deductive, analytic, relative, clarified criterion, whereas the qualitative approach emphasizes hermeneutical, phonemenal, subjective, validity, inductive, synthetic, purposive, suggestive, and procedural criterion. Educational evaluation is geared to understanding the student's individuality and to exploring the way to guide the student. Therefore what is in need is the appropriate and harmonious use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 in educational evaluation.

      • KCI등재

        교육과정 구성능력 신장을 위한 교원양성 교육과정

        김재복 한국교육과정학회 1999 교육과정연구 Vol.17 No.2

        교사는 학교 교육의 최일선에서 직접 교육을 수행하는 사람이다. 따라서 교사가 학교 교육의 핵심이 되는 교육과정을 어떻게 구성하는가는 바로 교육의 성패와 직결되어 있다. 본고는 교사들에게 교육과정의 구성능력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교원 양성 교육과정이 어떤 방향으로 구성되어야 할 것인가를 원리적인 측면에서 제시하려는 데 목적을 두고 두 부분으로 나누어 작성되었다. 첫째는 교육과정에 대한 관점의 변화와 교사의 역할을 논의하였다. 여기서는 먼저 실제적·해석적 패러다임을 중심으로 교육관의 변화와 교육과정 구성요인간의 상호작용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교육관에서의 교사 역할을 규명하였다. 둘째는 교육과정 구성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교원 양성 교육과정이 어떻게 구성되어야 할 것인가를 논의하였다. 먼저 교양과정은 민주적 공동체의식과 통합적 안목의 형성, 그리고 정보사회에의 대처능력 함양에 역점을 둘 것을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전공과정에서는 교육실천에 대한 이론적 체계화, 초·중등교육과의 연계를 중심으로 한 교과교육 및 내용학의 구성, 수업기술의 증진과 실습의 강화, 문제해결 중심의 수업전개를 강조하였다. 그리고 계속교육의 기회확대를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 논문은 교육대학과 사범대학의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데 대한 기본적 원리를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principle of curriculum in teacher's college to enhance the competence of constructing school-based curriculum. Teachers are directly related the quality of education in general which depends on the teachers's competence of constructing school-level curriculum. Based upon this premise, this study consisted of two parts. In the first section of the study, I explained the paradigm shift on curriculum from empirical/analytic orientation to practical/interpretative orientation and the corresponding change on the role of teacher. In the second partk, I discussed the basic principle of teacher's college curriculum to enhance the competence of constructing school-level curriculum. In this vein, the courses in general education and liberal arts should emphasize the democratic sense of community, the intergrative viewpoint, and the ability to cope with the information era. Also, the course on a major field should be dedicated to th theoretical aspect of educational practice, the constructing subjects and content knowledge for linking elementary education with secondary education, the teaching skills, and the instruction based on problem-solving procedure. This study intended to provide the general principle to constructing the curriculum in teaher preparatory institutions.

      • KCI등재

        우리나라 교육과정 연구 개발의 방향

        김재복 仁川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1998 교육논총 Vol.1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Korean curriculum, based upon the practical paradigm, with regard to the quality aspect of educational experience. The contents of curriculum are composed of practical experience in the general setting. Based upon this premise, this study consisted of two parts. In the first section of the study,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ity and creativity in children is emphasized. Much more, the opportunity of selection in curriculum contents and the process-based-education are to be implemented. In the second part, the democratic sense of community is highly valued and educating children through activities and community experience is emphasized.

      • KCI등재

        초ㆍ중등학교 특기ㆍ적성 교육 활동의 운영 실태 및 개선 방향

        김재복 인천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1 교육논총 Vol.18 No.-

        특기?적성 교육 활동은 학생의 소질과 적성 계발 및 취미와 특기 신장을 위하여 설정된 활동이다. 이 활동은 교육 개혁의 사교육비 경감 방안의 하나로 제안되고 현재 전국 대부분의 초?중등 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특기?적성 교육 활동이 초?중등학교에서 어떻게 실시되고 있는가를 분석하고, 그 개선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보면 특기?적성 교육 활동에 대해서 그 필요성을 인정하나 실제 초?중등학교에서의 운영에서는 많은 문제가 나타나고 있으며, 효과에 대해서도 교사들은 부분적인 견해를 보였다. 특기?적성 교육 활동이 현장 학교에서 잘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먼저 시설과 기?교재 등의 교육 여건을 구비하는 일이 필요하고, 교사의 업무부담 경감과 학생의 자유시간 확보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특히 교육개혁안이 현장 학교에서 성공적으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교육의 특성을 기반으로 해야 하며, 대?내외적인 요인의 파악과 대응, 결과에 대한 긍정적?부정적 영향 등이 충분하게 고려되어야만 한다. 'Talent and aptitude education' is an activity which focuses upon the development of different talents, merits, interests, etc. of different students. It also aims at diminishing educational cost for private lessons by incorporating a wide range of educational activities into schoo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ality of current talent and aptitude education, and to make suggestions for its enhancement. The study shows that administering (time scheduling, instruction, evaluation, etc.) of talent and aptitude education is problematic, however agreeable its ultimate goal may be. In real practice, teachers express their skepticism about its positive effects, especially considering that they have to cope with formidable barriers such as their overloaded school works, deficient facilities, materials, and equipments, and so forth. Therefore, the study concludes that we should be more prudent; we have to take as many relevant factors as possible into consideration, and to restructure them if necessary, in order for talent and aptitude education as a part of educational reform to be successfully implemented.

      • 大學의 敎養敎育과 統合 敎育課程

        金在福 仁川敎育大學校 1992 論文集 Vol.26 No.1

        This study aims to know the application possibility of integrated curriculum in the university`s general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have researched ① the meaning of general education and the necessity of integrated curriculum, ② the concept of integrated curriculum and the method of it`s approach, ③ the organization of integrated curriculum and cases of it`s application, ④ possibilities of arrangements for integrated curriculum, and it`s problems. The general education at the university is to let student to broaden the width of understanding for human being, Society and nature, thus to have comprehensive views of the world. Needless to say, it enables to own the resources of the leadership, but also it prepares the foundation of the fundamental ability which is necessary in every majors in the future. From such viewpoint, we reaches the conclusion that at least the university`s general education must to be dealt to approach form the standpoint of integrated curriculum rather than the sectionalism approach. Thus in the universities of many country there appeared many endeavors to apply the integrated curriculum at least in the general education courses. However, in the university`s general education, the application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have yet many problems. Those are the conciousness of professors who are experienced by scholarship centered tradition, problem of lecture method, tendency of student that sectional scholarship is valuable, the mistaken idea of the general public that everyting which has more depth more useful, etc. In spite of the above mentioned problems, for the purpose of general education in the course of university education if we are to admit that the application of integrated curriculum is meritorious and effective, we must search for the organization of the content of integrated curriculum and the appl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