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골다공증의 진단

        김재균 ( Jae Gyoon Kim ),문영완 ( Young Wan Moon ) 대한고관절학회 2011 Hip and Pelvis Vol.23 No.2

        Osteoporosis is defined as a skeletal disorder characterized by compromised bone strength, predisposing an individual to increased fracture risk. Many factors can lead to the development of osteoporosis. It is usually asymptomatic unless osteoporotic fracture and secondary changes of bone structure occur. Early radiographs show normal findings; however, osteopenic appearance, fracture, cortical bone thinning, and roughening of bone trabeculae can be found according to severity of osteoporosis. These symptoms are most frequently found in the spine and proximal femur. Bone mineral density (BMD) is the standard method used to diagnose osteoporosis, and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DXA), one of the measurement tools for BMD, is particularly regarded as the appropriate tool applicable to WHO criteria, which defines osteoporosis as a T-score of less than 2.5 SDs below the mean of young adult women. Peripheral densitometry is less useful in predicting the risk of fractures of the spine and proximal femur, and it is not enough to diagnose and treat osteoporosis. Biochemical bone markers have demonstrated utility in clinical research and trials; however, they cannot replace BMD as a diagnostic tool. WHO recently developed FRAX, a novel method we can use to more conveniently evaluate osteoporotic fracture risk.

      • KCI등재
      • KCI등재

        가동형 삽입물 후방 십자 인대 보존형 슬관절 전치환술의 단기 추시 결과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술식-

        문영완 ( Young Wan Moon ),서재곤 ( Jai Gon Seo ),임경섭 ( Kyung Sub Lim ),구경효 ( Kyung Hyo Koo ),김재균 ( Jae Gyoon Kim ) 대한슬관절학회 2009 대한슬관절학회지 Vol.21 No.3

        목적: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후방십자인대 보존형 가동형 폴리에틸렌 삽입물 슬관절 전치환술의 최소 3년 추시 임상적 결과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후방십자인대 보존형 가동형 폴리에틸렌 삽입물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 받은 54예(45명)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연령은 65세(51∼76)이었고, 술 후 평균 추시 기간은 44(36∼61)개월이었다. 임상적 평가는 KSS와 관절 운동범위를 수술 전후로 비교하였다. 방사선학적 평가는 단순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하지 정렬도와 삽입물의 위치에 대해 평가하였으며, 최종 추시상 합병증 여부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결과: 임상적 결과로 슬관절 점수는 38점에서 91점으로(p=0.001), 기능점수는 46점에서 92점으로 호전되었다(p=0.001). 운동범위는 108˚에서 123˚로 향상되었다(p=0.045). 방사선학적 결과로 관상면에서 98%에서 만족할 만한 방사선학적 결과를 보였다. 최종 추시상 방사선 투과선은 총 4예에서 나타났으나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경우는 없었다. 결론: 연부 조직의 균형과 삽입물의 정확한 위치가 필수적인 후방 십자 인대 보존형 가동형 삽입물 슬관절 전치환술에 있어서 네비게이션을 이용하였을 때 정확한 술식이 가능하여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라 사료된다. Purpose: We wanted to report the minimum 3 year follow-up clinical results of the patients who underwent navigation guided cruciate retaining mobile bearing total knee arthroplasty and to evaluate the radiological results for a consecutive series of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Cruciate retaining mobile bearing total knee arthroplasties with using a navigation system were performed for 54 knees. The mean patient age was 65 years old (range: 51∼76 years). The mean follow up period was 44 months (range: 36∼61 months). The Knee Society Score (KSS) and range of motion (ROM) were evaluated for the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clinical assessments. We evaluated the alignment and the position of the implants by using plane radiographs for the radiological assessment, and we investigated the wear and loosening of implants in the same manner at the last follow-up exam. Results: The knee score improved from 38 to 91 (p=0.001) and the functional score improved from 46 to 92 (p=0.001). The mean range of motion was also improved postoperatively. The radiological results of the coronal axis alignment of the lower extremity and the implant position were satisfactory in 98% of the cases. Periprostheic osteolysis occurred in 4 cases, but there were no clinically significant osteolysis seen on the follow-up radiographs. Conclusion: Soft tissue balancing and the accuracy of implantation are necessary when performing cruciate retaining mobile bearing total knee arthroplasty. For this type of implant, navigation is useful tool to perform total knee arthorplasty for insuring the accuracy of the surgical procedure.

      • KCI등재

        대퇴 전자간 골절의 근위 대퇴 골수정과 근위 대퇴 골수정A를 이용한 치료 결과의 비교

        박정호 ( Jung Ho Park ),박종웅 ( Jong Woong Park ),왕준호 ( Joon Ho Wang ),이재욱 ( Jae Wook Lee ),이정일 ( Jung Il Lee ),김재균 ( Jae Gyoon Kim ) 대한골절학회 2008 대한골절학회지 Vol.21 No.2

        목적: 대퇴 전자간 골절을 근위 대퇴 골수정과 근위 대퇴 골수정A를 이용하여 치료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여 근위 대퇴 골수정A의 유용성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퇴골 전자간 골절로 본원에서 근위 대퇴 골수정 또는 근위 대퇴 골수정A로 수술을 받은 환자 총 34예 중에서 사망한 2예를 제외하고 각각 19예, 13예를 대상으로 하여 수술 시간, 출혈량, 골유합까지의 기간, 보행 시작 시기, 대퇴 경간각 변화, 수술 후 합병증 및 환자에 대한 술 전 및 술 후의 일상 생활 능력 및 보행 능력을 후향적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근위 대퇴 골수정 및 근위 대퇴 골수정A로 치료한 군의 평균 수술 시간은 각각 86분, 79분이었다. 수술 시 평균 출혈량은 각각 478 ml, 322 ml였으며, 4개월 이내 골유합은 각각 14예, 11예에서 얻을 수 있었다. 체중 부하 시작 시기는 각각 평균 1.2개월과 1.1개월이었고, 대퇴 경간각의 변화는 각각 4.2도, 3.2도였으나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근위 대퇴 골수정A 군에서 social function score 및 mobility score가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좋은 결과를 보였고, 합병증도 적었다. 결론: 대퇴 전자간 골절에 있어서 근위 대퇴 골수정A를 이용한 수술법은 근위 대퇴 골수정에 비해서 수술 후 환자의 기능 및 활동에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합병증도 적어, 근위 대퇴 골수정에 비해 좋은 치료법이라고 할 수 있다. Purpose: To evaluate the results of fracture fixation between using Proximal Femoral Nail and using Proximal Femoral Nail A and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proximal femoral nail A.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32 patients who suffered from intertrochanteric fracture in our hospital, which were 19 cases of PFN and 13 cases of PFNA. Retrospectively we evaluated mean operation time, amount of bleeding, beginning of ambulation, average union period, changes of neck shaft angle and complication on set of telephone interview and GPD. We also evaluated postoperative capability of function and mobility using `Social function score` and `Mobility score`. Results: PFNA showed shorter mean operation time, less bleeding, shorter average union period, earlier ambulation and less change of neck shaft angle than PFN. Although they didn`t show statistical difference, postoperative capability of function and mobility showed statistical and mathematical difference on each group. Conclusion: PFNA showed better results of postoperative function and mobility and less complications than PFN. So treatment using PFNA is better method than that of PF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