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소와 관련된 불교사찰의 상징경관

        김일림 ( Kim Ilrim ) 한국사진지리학회 2021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31 No.4

        소는 지구상에서 인간과 함께 공존해 오면서 부단히 쉬지 않고 인간에게 도움을 준 동물이다. 불교에서 소는 인간이 본 마음을 찾아가는 근본으로 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우)와 관련된 조선시대 기록을 통해 8개 사찰명을 찾을 수 있었다. 또한 소와 관련된 불교설화는 사찰 경내의 구조물에 의한 상징경관으로 탑, 부도, 무덤, 공덕비, 소나무가 있고 그리고 연기설화에 대한 내용이다. 이와 관련된 사찰로는 첫째, 공주 갑사의 공우탑, 충청 제천 덕주사의 우공탑이 탑이 있고, 둘째, 문경 대승사의 우부도가 있다. 셋째, 평택 심복사의 소무덤과 공덕비가 있으며, 넷째, 봉화 청량사에는 삼각우총의 소나무의 설화가 사찰의 상징경관을 구성하고 있다. 다섯째, 전라남도 해남 미황사가 창건될 때 도와준 연기설화가 있다. 이상 소 관련의 불교설화들은 소가 사찰 창건 혹은 중건 당시 믿음직스럽게 사찰건설을 도와주고 난 후 죽은 것을 기념한 탑류구조물과 무덤형식류들이고, 각 사찰에서는 그 흔적을 사찰 경내의 상징적 정체성으로 스토리텔링화하여 사람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Cows have been coexisting with humans on Earth and have been helping humans without stopping. In Buddhism, the cow was seen as the root of finding one’s true heart. Therefore, this study was able to find the names of 8 temples through th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related to cattle. Also, Buddhist tales related to cows are symbolic landscapes by structures within the temple grounds, including pagodas, Buddha statues, tombs, Gongdeokbi, and pine trees. Related temples are: First, there are Gongwoo Pagodas at Gongju Gapsa Temple, Ugong Pagoda Pagodas at Deokjusa Temple in Jecheon, Chungcheong Province, and secondly, there are Ubudo Pagodas at Daeseungsa Temple in Mungyeong. Third, there are the small tomb and Gongdeokbi of Simboksa Temple in Pyeongtaek, and fourth, the tale of the pine tree of the triangular woochong at Cheongnyangsa Temple in Bonghwa constitutes the symbolic landscape of the temple. Fifth, there is a story of smoke that came when Mihwangsa Temple was founded in Haenam, Jeollanam-do. The Buddhist tales related to the above cows are structures commemorating the death of a cows after the building or reconstruction of the temple was faithfully helped. At each temple, the traces are storytelling into the symbolic identity of the temple grounds, attracting people’s attention.

      • KCI등재

        소비를 통해 본 서울 도시민의 생활양식

        이은숙(Eunsook Lee),김일림(Ilrim Kim),장은미(Eunmi Chang)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09 문화 역사 지리 Vol.21 No.1

        본 논문은 서울을 배경으로 하는 47편의 도시소설을 대상으로 도시민의 소비생활양식에 관한 내용을 구분하였다. 소비유형은 의식주, 여가문화, 교통통신, 풍속 및 사회상, 의료와 기타로 구분하였다. 도시소설을 통한 도시민의 소비생활양식에 관한 내용들은 각 시대상황을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시대적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즉, 1950년대의 도시민들은 전쟁으로 인하여 어렵게 살아가는 상황 묘사가 많았고, 60-70년대는 산업화 과정을 겪는 도시민의 소비생활의 변화를 보이고 있었다. 80년대에는 도시민의 소득수준이 높아짐으로써 서구화된 소비행태들이 뚜렷하게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90-2000년대 는 정보사회와 연관된 특징들이 주요 주제로 나타나고 있다. This article divided the consumption lifestyle of the citizen of city, about 47 city novels to doing Seoul background. A consumption types divided Food, clothing and shelte, Spare time culture, Transport and communication, Manners and customs and a social image, Medical care and others. Because the various contents about the consumption lifestyle of the citizen of city through a city novel reflected the situation of the time, it was able to confirm a change of the following times with a city novel. In other words, citizens of city of Seoul 1950's, they were in a difficult situation to restore the devastated areas after the war. The city formed the frame of the industrial society progressively in 1960-70's, they treated the citizens of city experienced during industrialization. Especially 1980's is different that in the consumption domain of citizens of city. Also, over the 1990's, characteristics of 2000's appear at affected by the information-intensive society.

      • KCI등재

        사할린 한인의 이주와 사회ㆍ문화적 정체성 - 구술자료를 중심으로

        이은숙(Eunsook Lee),김일림(Ilrim Kim)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08 문화 역사 지리 Vol.20 No.1

          열제강점기 때, 한국인들은 러시아 사할린으로 강제이주 되었다. 해방이후에도 그들은 제3국에서 한국으로 송환되지 못하고 아직도 사할린에 거주하고 있다. 최근 1990년부터 해방이전의 출생자(1945)에 한하여 한국 정부가 영주귀국을 허용하고 있다. 이는 사할린내의 여러 사회단체들이 지속적으로 노력한 결과이다. 사할린에 거주하는 한인들은 본인들이 고려인이 아니라 한인이라고 여기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인 2,3세대들도 1세대들과 함께 한국으로 귀국을 원하고 있다. 사할린의 한인사회는 가족과 친족관계를 매우 중요하게 여기며, 한국과 같이 설날과 8.15추석에는 모두 모여서 명절을 지내고 있다. 그러나 사할린에 적응하기 위해서 오랜 기간 동안 무국적으로 있었던 사람들도 러시아 국적을 취득하였고, 언어도 러시아어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2,3세대들은 한국어를 잘 모르는 편이며 결혼관에 있어서도 점차적으로 한국인만을 고집하지 않는 추세이다. 그러나 페레스트로이카와 한국경제가 발전함에 따라 한국, 한국어와 한국문화에 관심을 갖는 한인들이 늘어나고 있다.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Koreans were deported to Sakhalin. They have not been sent to Korea in the third country and still live in Sakhalin after liberation in 1945. Since 1990, however, the Korean Government has allowed people to return to home permanently who were born before 1945. This is the result of the constant efforts of many social organizations in Sakhalin. Koreans who live in Sakhalin consider themselves as Korean instead of Koryeo, and the second and third generation Koreans want to go back to Korea with the first generation. Koreans in Sakhalin consider the relationship of families and relatives as the most important thing, and perform ancestral rite together in the New Year"s Day and Korean Thanksgiving Day. However, those who have not had Korean nationality obtained Russian citizenship eventually in order to adapt to Sakhalin. They also tend not to stick to their nationality for some reasons, such as language and different idea of marriage. As the economy of Korea get better and Perestroica, however, the number of Koreans in Sakhalin who show their interests in Korea, Korean language and culture is increasing.

      • KCI등재

        고문헌과 고지도를 통해 본 서울 전통불교사찰의 재해석

        김일림 ( Kim¸ Il Rim ),정우진 ( Jung¸ Woo Jin ) 한국사진지리학회 2021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31 No.3

        본 연구는 고문헌 조선왕조실록을 통해서 조선시대 불교와 불교사찰에 대해 해석하였고, 지리지와 고지도를 통해 서울전통불교사찰의 입지를 확인하여 현재 서울전통불교사찰을 재해석하는데 의의를 두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억불 속에서 불교는 국가방위수호, 왕실기도, 국가제사, 불당중창 및 승군활동 등 불사와 법맥을 유지하여 왔다. 둘째, 지리지 속에서 조선 초기에는 도성 내의 사찰이 존재했으나 유학자들의 상소로 존폐를 거듭하면서 후기에는 도성 밖의 내사산과 외사산을 중심으로 산사가 입지하였다. 셋째, 지리지와 고지도 상의 서울에 입지한 사찰은 현존하는 29개 사찰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넷째, 양 자료에 모두 있는 사찰은 9개 사찰이다. 이들 사찰들은 과거에는 산사에 해당하지만 현재는 승가사와 문수사를 제외하고는 도시개발로 아파트 내에 입지하거나 산지라도 접근이 용이하다. 다섯째, 현재 서울 전통불교사찰은 고문헌 속의 26개 사찰을 포함한 60개 사찰이고, 이는 근·현대를 거치면서 도심의 포교당 형식의 사찰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서울의 현대불교사찰은 도시변화와 함께 도시인구를 흡수하기 위해 사찰입지의 접근성, 불교원리의 단순성, 종교심리의 현실성을 받아들여 다양한 방식으로 거듭나고 있다. This study interprets Buddhism and Buddhist temples in the Joseon Dynasty through the ancient documents,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has significance in reinterpreting the current traditional Buddhist temples in Seoul by confirming the location of Seoul traditional Buddhist temples through historical geographical texts and old map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first, that in the midst of billions of dollars, Buddhism has maintained the immortality of Buddhism, including national defense protection, royal prayer, national ancestral rites, liturgical recitals, and monk activities. Second, in the early Joseon geography, there were temples within the capital city, but as they continued to exist due to the appeals of Confucian scholars, in the later years, mountain temples were located around the inner and outer Mt. Third, as for the temples located in Seoul on geography and old maps, 29 existing temples could be identified. Fourth, there are 9 temples in both materials. These temples in the past were mountain temples, but now, with the exception of Seunggasa Temple and Munsusa Temple, they are located within apartments due to urban development or are easily accessible even in the mountains. Fifth, there are currently 60 traditional Buddhist temples in Seoul, including 26 temples in the ancient literature, which are changing into the city’s Pogyodang-style temples through the modern and modern times. Therefore, modern Buddhist temples in Seoul are being reborn in various ways by accepting the accessibility of the temple site, the simplicity of Buddhist principles, and the reality of religious psychology in order to absorb the urban population along with the urban chan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