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인영의 "Sextet for Flute, Clarinet, 2 Violins, Viola and Violoncello"의 분석 연구
김인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19세기 말부터 전통적인 기존의 조성음악(Tonal Music)은 차츰 붕괴되어 갔다. 이 때 바그너(Wilhelm Richard Wagner, 1813-1883)에 의한 반음계주의의 영향으로 나타난 무조성(Atonality)은 쇤베르크(Arnold Schoenberg, 1874-1951)를 중심으로 한 제 2 비엔나 악파(The Second Viennese School)에 의해 더욱 발전되어 20세기 말 여러 작곡가들의 작품에서 중요한 양식으로 자리잡았다. 본 논문은 무조적 개념을 기초로 작곡한 본인의 "Sextet for Flute, Clarinet, 2 Violins, Viola and Violoncello(2001)"를 분석한 것으로서 이 곡은 3개의 악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악장마다 각 파트를 구성하는 6 개 악기들의 특징을 살려 다양한 기법과 음악적 표현을 특징있게 나타내고자 하였다. 제 1 악장은 A-B-C 구조의 3 Section 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순차와 도약을 골고루 사용한 선율 진행이 반복된다. 또한 지속음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며 트레몰로, 피치카토 등의 특수한 악기 기법이 강조되어 사용되었다. 제 2 악장은 A-B-A'의 3 Section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Section 의 구분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악기의 특수한 기법을 살펴보면 현악기에서 피치카토와 아르코 주법이 반복되어 나타나며 관악기에서는 플래터 텅잉 기법이 사용되었다. 제 3 악장은 A-B-A'의 3 Section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Section A에서 제시된 특징적 요소들이 리듬, 수평-수직적인 변화를 통해 각각의 Section 에서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Since late 19th century, the traditional tonal music began to collapse. Then, atonality emerged being influenced by Wilhelm Richard Wagner's (1813-1883) chromaticism only to be developed by the Second Viennese School led by Arnold Shoenberg, (1874-1951) and later be established as a major form for various composers in the late 20th centu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extet for Flute, Clarinet, 2 Violins, Viola and Violoncello" (2001) which was composed by the researcher based on an atonal concept; this piece consists of 3 movements, each of which was composed to feature diverse techniques and musical expressions by taking advantage of the characteristics of six instruments. The first chapter consists of 3 section having A-B-C structure. Here, sequences and leaps are evenly used to repeat the melody. 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by the continual sound, while applying such special instrumental techniques as tremolo and pizzicato. The second chapter also consists of 3 sections having A-B-A' structure. Here, the sections are clearly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In view of the special instrumental techniques, such renditions as pizzicato and arco are repeated for the string instrument part, while flatter tonguing technique is used for the wind instrument part. The third chapter consists of 3 sections having A-B-A' structure. The peculiar elements presented in section A emerge continuously in each section through rhythmic and horizontal/vertical changes.
대나무 내생미생물 Bacillus subtilis MET 0131이 가지고 있는 항생물질의 분리와 정제 및 특성분석
The term "Endophyte" means microbial entities that living tissues of plants without causing apparent disease. Endophytes are ubiquitous and have been found all plants. In most cases their relationship with the host plant is symbiotic and probably mutualistic. That is mutually beneficial and enhances the reproductive success of each. An antibiotic compounds-producing strain, Bacillus subtilis MET0131, was isolated from bamboo roots and identified by homology of 16s rRNA with NCBI database. For isolation of the antibiotic compounds, B. subtilis MET 0131 was shaking cultured in modified M9 broth at 30℃ for 5 days. The supernatant was precipitated by adding HCl to a final pH of 2.0 and collected by centrifugation. The precipitate was extracted using solvent (chroloform : MeOH = 2 : 1) and followed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using Sephadex LH-20 and reverse phase HPLC. Active fractions, which were identified by paper disk method test against multi phytopathogenic fungi. Antifungal activity were confirmed in chromatography fraction number 14, 15 and 16. Antibiotic compounds were isolated by HPLC (fraction number : 42, 43, 44) and had characteristics of antifungal activities and m/z were (a) 1046, (b) 1528 by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ionization time-of-flight MS. As a result of MALDI-TOF, the antibiotic compounds produced by B. subtilis MET 0131 are to be similar pattern of the lipopeptide fengycin and surfactin that of the other B. subtilis sp. “식물내생미생물“은 식물에 어떤 질병도 일으키지 않고 식물의 살아있는 조직간극에 존재하고 있는 미생물이다. 이 식물내생균은 식물의 어느 곳에나 존재하고 있고 또한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식물은 그 식물체내에 내생균을 소지하며 식물과 내생미생물은 공생관계를 가지고 있다. 즉 식물-미생물의 공생적 상호관계는 서로 유익하고 각각의 식물, 미생물의 생장률을 증진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식물 병원성 곰팡이에 대하여 길항력을 가지는 미생물을 대나무에서 분리하였다. 분리 균주 MET 0131의 16s rDNA 유전자 염기 서열을 분석하여 NCBI 데이터 베이스와 비교한 결과 Bacillus subtilis로 동정되었다. B. subtilis MET 0131이 생산하는 길항물질을 분리하기 위해서 변형된 M9배지를 이용하여 30℃에서 5일간 배양하였다. 상등액을 염산을 이용하여 pH를 낮추고 원심분리를 해서 침전물을 얻었다. 이 침전물을 chloroform : MeOH(2:1, v/v)를 이용하여 녹이고 Sephadex LH-20를 이용해서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와 HPLC로 분리하였다. 이렇게 분리된 물질을 MALDI-TOF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B. subtilis MET 0131이 생산하는 항미생물 물질은 리포펩타이드 계열의 fengycin과 surfactin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본 균주 및 본 균주가 생산하는 항미생물 물질은 친환경 농업 및 기타 생물 산업 분야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미디어 교육에 대한 사회과 교사의 인식도 조사 : 광주지역 중·고등학교 교사들을 중심으로
김인영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미디어교육 특히 학교 현장 미디어교육의 중요성이 갈수록 강조되고 있다. 급격한 미디어 환경의 변화 추세와 교육 환경의 변화 양상은 새로운 교육 혁신을 위한 대안의 하나로 미디어교육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아직 그 중요성을 강조하고 필요성을 제기하는 수준이거나 시범 또는 실험적 모델교육의 형태이긴 하지만 학교 현장에서의 미디어교육 실천은 매우 빠른 속도로 다양한 사례들을 축적해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직접 학교라는 공간에서 실시된 것은 아니지만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진 대부분의 미디어교육 프로그램이나 활동들이 학교에서의 미디어교육을 논할 때 거론되는 구성원들과 직간접적으로 관련을 맺고 있다는 사실에서도 잘 알 수 있다. 실제로 학교 밖 미디어교육의 주요 대상이 어린 자녀를 둔 부모이거나 교사 또는 사회단체의 지도자, 또는 학령기의 청소년들이었다. 교육 장소만 학교 밖일 뿐 실제로는 학교 미디어교육과 다를 바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실제 교육에 있어서도 사회단체나 공공기관 등지에서 주관하였으나 구체적인 교육 내용은 학교에서의 미디어교육 실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렇듯 다양한 장소에서 다양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방식의 미디어교육 경험들이 모두 학교 미디어교육의 내실화와 제도화로 나아가는데 중요한 밑거름이 될 것임은 당연하다. 이러한 점에서 연구자는 학교 현장에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어느 정도의 미디어 교육에 대해 인식하고 있는지, 실제 교육 현황에서 어느 정도 교육이 이뤄지고 있는지 다양한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광주광역시지역 중·고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여, 1) 사회과 교과의 교육적 가치 2) 사회과 교육의 가치의 중점과 미디어 효과의 상관성 3) 미디어 교육에 대한 사회과 교사들의 인식도 4) 미디어 교육 연수 의향 5) 미디어 교육의 효율성 및 공교육 제도화 방안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실증적인 자료 결과를 얻기 위함이다. 이를 토대로 한걸음 더 나아가 우리나라 미디어교육 특히 학교 미디어교육의 현 실태를 정확히 파악, 분석하여 미디어교육의 공교육화를 이루어내는데 유용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미디어교육에 관한 이론적 논의와 함께 실제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일련의 상황을 분석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① 학교 현장에서 92%의 교사들은 청소년들이 매스 미디어의 악영향에 노출되어 있고, 매스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수용 능력을 길러줄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② 94%의 교사들이 그 대안으로 미디어교육의 실효성을 인정하고 있으나, 33%만이 미디어교육에 대한 구체적인 인지를 하고 있을 뿐 대부분은 관심이 부족한 실정이다. ③ 향후 미디어교육 연수 프로그램이나 자격증 취득에 관한 적극적인 관심도는 17%로 낮았다. ④ 미디어교육의 공교육 정착화 및 제도화에 대한 의견은 87%의 교사들이 긍정적인 가능성이 있다고 답했지만, 3%의 교사들은 절대적으로 불가능하다는 부정적 의견을 가지고 있다. 이상의 내용으로 알 수 있듯이 요즘 청소년들에게 미디어의 영향력이 크고, 악영향으로 인한 갈등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함을 발견할 수 있다. 이에 교사들은 미디어를 바라보는 비판적인 수용 능력을 길러주는 대안으로써 미디어교육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지만 그에 따른 대안책 마련에 대해서는 소극적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현재 미디어교육의 정착을 위한 새로운 시각과 마인드 제고, 제도화에 대한 보다 구체적이고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고 시도해야 할 시점이다. 1. 미디어교육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 요구 2. 미디어교육에 대한 교수·학습 개발 3. 미디어 교사 양성 방안 마련 4. 미디어교육 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제안 미디어교육은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 대한 올바른 적응 교육이면서, 제반 미디어의 역기능에 대한 소화력과 면역성을 키워주는 예방교육이자, 순기능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각급 생활 현장에서 다양한 미디어를 창조적으로 선용할 수 있도록 이끌어 주는 체험교육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미디어 교육은 단순한 프로그램 모니터링이나 운동차원에서 머무르는 게 아니라, 인성 교육을 바탕으로 한 체계적인 정규 교과 과정에 입각한 인간교육이어야 하기에 미디어교육을 위한 철학을 정립시켜야 한다. 따라서 앞으로는 한 단계 진보하여 미디어교육에 대한 이론적 틀이나 접근 패러다임의 정립, 커리큘럼 및 교수·학습개발, 미디어교육 교사 양성 훈련, 상호연대 작업 등 구체적인 활동을 함께 전개해 나갈 때가 왔음을 현장에 있는 교사부터 시작하여 제대로 인식하고, 공동의 노력을 펼칠 준비를 해야 하리라고 본다.
전시참가업체의 전시회 참가 편익과 비용이 만족도 및 참가의도에 미치는 영향
As the number of exhibitions held in Korea steadily increased, competition for attracting exhibitions became more intense and the exhibition organizers needed various marketing to attract many visitors. Like the exhibition industry, the academic community mainly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visitors, their behavior, purpose of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satisfaction in order to attract more visitors to the exhibition. However, exhibitors can be seen as an important factor of success or failure in the exhibition as much as visitors. Also, when organizing an exhibition, the organizer made an effort to form and develop long-term friendly relations with exhibitors so that the exhibitors could continue to participate in the exhibi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benefits and costs of exhibitors participating in the exhibition to attract exhibitors to the exhibition, and to effectively prepare a strategy accordingly. In addition, the previous studies on exhibitors are mainly focused on motivation, satisfaction and so on, however, research on benefits and costs is insufficient. Therefore, a study is needed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enefits and costs of exhibitors in terms of social exchange theory. The exhibition basically exchanges with various stakeholders such as visitors, exhibitors, organizers, and associations, which can be explained by the social exchange theory. The social exchange theory(SET) explains that social and mutual interactions occur between individuals and individuals, and that the benefits and costs of the rewards that individuals earn affect the exchange. Based on the social exchange theory, this study aimed to examine whether the benefits and costs of the exhibitors perceived by the exhibitors participating in the trade show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atisfaction and intention of the exhibition. In addition, this study comprehensively presents the effects of exhibition participation benefits and costs on exhibition satisfaction and their intention, and suggests practical implications for attracting exhibitors from the viewpoint of academic and exhibition organizers. For this study, a total of 255 valid samples from the exhibitors of KOMAF & MachineSoft, a B2B exhibition held in KINTEX, were used.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5.0, the variables of participation benefits (resource exchange benefits, social exchange benefits, information exchange benefits) were all significant in the effect on exhibition satisfaction. Participation benefits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articipation intention. On the other hand, only the cost of investment and direct cos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of the exhibition, and only the cost of investmen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articipation intention. This study conducted on the exhibition cost that was insufficient in Korea, and it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first study that deals with both the benefits and costs of participating in the exhibition. Therefore, it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further research. In addition, if the exhibition organizer utilizes the benefits and costs that affect the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participate as a marketing factor to attract exhibitors to the exhibition, it will be possible to plan and operate a differentiated exhibition. 국내에서 개최되는 전시회 수가 꾸준히 증가함에 따라 전시회 간 유치 경쟁이 더 심해졌고 자연스럽게 전시주최자들은 많은 전시회 참관객을 유치하고자 다양한 마케팅 전략을 필요로 하였다. 이러한 전시산업과 마찬가지로 학계 역시 전시회에 더 많은 참관객을 모으기 위한 참관객의 특성, 행동, 참가목적, 동기, 만족 등과 같은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그렇지만 전시회에서는 참관객만큼이나 전시참가업체가 전시회의 중요한 성패 요소로 볼 수 있으며, 전시주최자는 전시회를 기획할 때 전시참가업체와의 장기적인 우호관계를 형성하고 발전시켜 전시참가업체가 전시회에 지속적으로 참가할 수 있도록 노력을 펼쳐왔다. 따라서 전시주최자가 참가업체를 전시회로 유인하기 위해 전시참가업체가 전시회에 참가하여 인지하는 편익과 비용을 알아보고 그에 따른 전략을 효과적으로 마련하기 위한 목적으로 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또한, 전시참가업체에 관한 기존연구는 주로 동기, 만족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편익과 비용과 관련된 연구가 부족하며, 이와 관련해 참가업체의 편익과 비용에 대한 관계를 사회교환이론의 관점에서 설명하는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전시회는 기본적으로 참관객과 참가업체, 주최자, 협회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의 교환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교환은 사회교환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회교환이론은 개인과 개인 간의 물질적이거나 비물질적인 교환이 이루어질 때 서로 사회적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며, 개인이 얻는 보상에 대한 편익과 비용이 교환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다. 본 연구는 사회교환이론을 근거로 하여 무역전시회에 참가하는 전시참가업체가 인지하는 전시회 참가 편익과 비용이 전시회 만족과 참가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영향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검증 결과를 바탕으로 전시회 참가 편익과 비용이 전시회 만족도 및 참가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종합적으로 제시하고, 이에 따른 학문적 시사점과 전시주최자의 관점에서 참가업체를 유인하기 위한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경기도 고양시에 위치한 킨텍스(KINTEX)에서 열린 B2B 전시회인 2019 한국산업대전(2019한국기계전, 2019제조IT서비스전, 2019서울국제공구전)의 참가업체가 응답한 총 255부의 유효표본을 활용하였다. 해당 유효 표본을 SPSS 25.0을 이용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시회 참가편익의 전시회 만족도에 대한 영향에서 변수인 자원교환편익, 사회교환편익, 정보교환편익은 모두 유의한 영향으로 나타났으며, 마찬가지로 전시회 참가편익은 참가의도에도 모두 유의한 영향이 나타났다. 반면 전시회 비용편익은 투자비용과 직접비용만 전시회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고, 참가의도에는 투자비용만 유의한 영향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에서 부족했던 전시회 참가 비용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고 B2B전시참가업체의 전시회 참가 편익과 비용을 모두 다룬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따라서 앞으로 이루어질 심도 있는 향후 연구에 본 연구가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편익과 비용의 요인 중 전시회 만족도와 참가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중심으로 전시주최자 관점에서 전시회에 전시참가업체를 유치하는 마케팅적인 요소로 활용하면 포화상태에 이른 국내 전시업계에서 차별화된 전시회를 기획·운영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전 세계의 국가들간의 이념과 체제를 초월한 자유무역경쟁이 강화되고 있으며, 공산품과 농산물 및 서비스 교역에까지 무역 자유화를 추구하고 있는 세계화가 심화되고 있다. 세계 교역구조는 지난 10여 년간 북미, 유럽, 아시아를 중심으로 삼극 체제를 유지해오고 있으며, 세계 교역규모는 지난 10여 년간 2배 이상 증대하였다. 특히 한국, 중국, 홍콩, 일본 ,대만 등 동북아시아 5개국 교역 증가율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중국의 교역비중은 1/3이 넘을 정도로 급속하게 증가되고 있다. 또한 중국은 한국 최대의 무역 대상국으로, 한중간 수출입 화물 뿐만 아니라, 중국에서 생산된 많은 상품들이 한국에서 환적되어 전 세계로 수출되고 있다. 이러한 교역의 과정에서 발생되는 운송의 90% 이상이 해상을 통해 이뤄지고 있으며, 중국의 주요항만들과 한국의 항만간의 교류와 협력은 더욱 강화되고 있다. 특히 한국 최대 해운항만 도시인 부산항은 세계 5대 컨테이너 처리항만이자, 동북아 최대 환적항으로 대한민국 컨테이너 물동량의 80%가 부산항에서 처리되고 있으며, 중국, 일본 등에서 생산된 화물이 부산항으로 환적되어 다시 미주· 구주 등 세계 각지로 운송되고 있다. 특히, 부산항 전체 물동량의 30%가 중국과 관련된 화물로, 부산항이 세계 5대 항만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세계의 공장인 중국에서 생산된 화물이 중국 항만시설의 부족으로 중국내 항만이 아닌, 부산항으로 환적되어 세계 각지로 운송되었던 요인이 가장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중국정부도 항만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항만개발에 나서고 있다. 현재 중국은 부산항의 최대 고객이자, 최대 경쟁항만이 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중간의 항만물류 관련 통역·번역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으나, 항만물류산업에 대한 전문지식을 겸비한 통·번역 전문가의 부족으로, 항만물류 관련 번역물에서 많은 오역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항만물류산업과 관련된 정확한 통·번역을 위해 중국의 컨테이너화물 관련 항만물류 기관 및 업체의 홍보인쇄물, 홈페이지, 홍보영상물 등 관련 자료를 분석하고, 이를 한국의 주요 항만 홍보자료와 비교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근거로 항만물류 관련 중한, 한중 통·번역 자료의 오류를 분석하고 정확한 통·번역 방법에 대한 대안을 강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ensitization of TRAIL-mediated apoptosis by amiodarone in malignant glioma cells
김인영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배경 및 목적: Glioma는 뇌암의 50% 이상을 차지하며 수술, γ-irradiation, 화학요법 등의 다양한 치료 방법에도 불구하고 악성 뇌종양 진단을 받은 환자는 평균 수명을 1년 이상 넘기지 못하고 있어 glioma로 인한 치사율을 낮추기 위해서는 새로운 암 치료법의 개발이 시급하다. Tumor Necrosis Factor (TNF) family인 TNF-related Apoptosis-Inducing Ligand (TRAIL)은 정상 세포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다양한 암세포에서 효과적으로 apoptosis를 일으키므로 새로운 항암 치료책으로써의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그러나 최근 연구에 따르면, TRAIL에 의한 apoptosis 감수성이 다양한 암세포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TRAIL receptor들을 발현하는 암세포들 또한 TRAIL에 저항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암세포에서 TRAIL에 대한 저항성을 극복할 수 있는 sensitizer를 발굴 및 기전을 규명하는 연구는 TRAIL 저항성을 가지는 암세포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책을 제시해 줄 수 있다. 결과 : 부정맥 치료제로 많이 사용되는 amiodarone이 다양한 glioma 세포에서 TRAIL에 의한 apoptosis를 촉진시켰다. Amiodarone은 세포 내 Ca2+ 농도를 증가시키고 ER stress와 관련된 전사인자인 CHOP의 발현 증가를 유도하여 DR5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TRAIL 매개 apoptosis를 촉진하였다. 그러나 amiodarone은 정상 astrocytes에서는 CHOP과 DR5의 발현 증가를 유도하지 않았으며 병합 처리 시 TRAIL 매개 apoptosis를 유도하지 않아 glioma 선택적인 TRAIL sensitizer 효과를 나타냈다. Amiodarone처럼 부정맥 치료효과가 있으며 Na+/Ca2+ exchanger 억제 활성을 가지는 bepridil과 cibenzoline 또한 CHOP과 DR5의 발현을 증가시켜 TRAIL에 의한 apoptosis를 촉진시켰다. 결론 : Amiodarone, bepridil 또는 cibenzoline의 병합 처리를 통하여 TRAIL에 의한 apoptosis의 촉진은 glioma의 선택적 세포 사멸을 유도할 수 있는 좋은 치료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유의미 학습이론을 적용한 중학교 1학년 음악수업모형 구안
김인영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급속히 변하는 시대에 발맞춰, 교육 역시 다양한 방법과 목적을 가지고 새롭고 흥미로운 시도가 계속되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것은 음악교육에서도 예외가 아니라서 여러 음악교육학자들에 의해서 구안되어진 다양한 교수?학습이론을 시기적절하게 효과적으로 적용해야 한다는 입장이 늘고 있다.무엇보다 입시의 경쟁이 매우 치열한 우리나라에서는 학습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교수방법에 대해 학생, 학부모, 교사 모두가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지만, 전공자가 아닌 경우 입시에서 제외되어지는 예체능 계열의 경우, 교수?학습과정이 이에 비해 소홀해 지고 있음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이 논문에서는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음악 수업에서 학습자의 이해도를 높이는 방법으로 음악의 개념적인 부분 및 원리에 있어서 오수벨(David Ausubel, 1918- )의 유의미 학습이론을 근거로 하여 음악교과 내의 통합적인 활동을 구현함으로 창의적이며 효과적인 수업모형을 구안하고자 한다.연구의 방법과 내용으로는, 각종 문헌과 논문을 통해 통합적이며 포괄적인 음악의 원리와 오수벨의 유의미 학습이론을 고찰하고,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하여 현재 시행되어지고 있는 제7차 교육과정의 음악교과를 중심으로 수업 모형 및 지도안을 제시하였다.수업 모형의 제재곡은 중학교 1학년 음악교과서(지학사)에 수록된 이흥렬의 <어머니의 마음>, 경기도 민요인 <도라지 타령>, 음악 이론적부분인 <바로크 시대의 음악>의 총 세곡으로 수업은 3차시로 구성하였고, 그 중 한 차시를 기점으로 각 모형에 적합한 조직자를 사용하여 구안하였다. 각 모형의 제재곡은 중학교 교과서에서 빈도수가 높은 것을 선정하였으며, 다양한 영역의 활동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였다.이러한 음악교과 지도방안의 연구에 있어 수업의 진행과정은 교사 중심의 설명식 수업으로, 주입식 교육에 그치지 않는 효과적인 자료의 제시가 중요하다. 학습자의 인지발달 수준(중학교 1학년)을 감안하고, 현재 시행되어지고 있는 학교의 음악 수업을 살펴볼 때에 효과적인 학습으로의 이행이 가능하다고 보아진다.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음악적으로 가치 있는 자료를 논리적으로 구성하여 학습자에게 제시함으로 올바른 음악적 표현이 가능하게 함에 궁극적인 목적을 두었다. 또한 학습 내용들 간의 연계성을 중시하여 영역별로 통합적이고 포괄적인 활동을 시도하여 창의성 신장을 도모하였다. 창의적 잠재능력은 누구나 다 가지고 있으며 교육적 측면에서 이를 어떻게 개발하느냐에 달려 있는데, 앞서 언급한 수업 모형은 학습자로 하여금 창의적인 발상을 키워줄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실제 현장에서 많은 아이들이 음악은 좋아하지만 개념에 대한 부재(不在)로 인해, 수업적인 부분에서는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활동영역에서도 주춤하는 사례를 본 적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학습자 중심의 수업이 이루어지기 이전에 교사의 충분한 자료제시와 설명으로 그들의 인지구조 속에 새로운 지식을 수용?병합하게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보아진다.앞으로도 교수?학습 이론의 계발에 대한 노력과 더불어, 교사는 실제 수업을 개선코자 하는 다양하고 흥미로운 시도로 말미암아 ‘살아있는’ 음악 수업을 구현하는 데에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As the society changes rapidly, new and interesting attempts with diverse methodologies and goals are being made for education. The music education is not an exception. It is argued that diverse teaching and learning theories developed by various music educators should be applied in a timely manner and effectively.In Korea where the competition for colleges is fierce, all parties concerned including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are interested in the pedagogics improving the learning effects, but it cannot be denied that the arts and sports curriculum not included in the college admission test are neglected actually by others than those majoring in them in the classrooms.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reative and effective music teaching model by integrating the music curriculum activities based on David Ausubel's (1918- ) meaningful learning theory about concepts and principles of music in order to help learners better perform in the music classrooms.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reviewed relevant literature and dissertations to examine the comprehensive principles of music and Ausubel's meaningful learning theory and thereupon, analyzed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bout music education to develop and suggest a music teaching model and its guideline for the 1st graders of a middle school.The subject pieces sampled for the teaching model were Lee Heung-ryeol's 'Mother's Mind,' the Gyeonggi-do folksong 'Doraji Taryeong,' and the music theory about 'Music during Baroque Period', all listed on a middle school 1st grade music textbook (published by Jihaksa). The classroom for this study consisted of 3 rounds. Centering around a round of classroom, an organizer fitting each test teaching model was used. The subject pieces for each test teaching model were chosen from those prevailing on the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in consideration of an integrated music activities.In order to implement the music teaching model, it was conceived important to use the teacher-centered expository teaching method, while presenting the students with effective data beyond cramming of knowledge. Given the level of learners' (middle school 1st graders) cognitive development and the current conditions of the music education at school, this model is perceived to conduce to effective music learning.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lied in composing the valuable music data in a logical way and presenting students with them to help their correct musical expressions. In addition, this study aimed to enhance students' creativity through integrated and comprehensive music activities inter-related with each other. Every student has his or her own unique creative potential, and the problem is how such potential can be developed by education. In this regard, it is expected that the music teaching model developed by this study will conduce to development of learners' creative ideas.In their everyday life, many children like music, but because their concept of music is poor, they are not interested in music classroom, while hesitating to participate in music activities. In order to solve such problems, it is deemed important for music teachers to present students with sufficient data and explain about them before learner-centered learning should be realized, and thereby, help them accommodate and integrate new knowledge into their cognitive structure.Lastly, it is hoped that more music teaching and learning theories will be developed, while music teacher will make diversified and interesting attempts to improve their music education and realize 'a vigorous' music classroom.
판소리계 소설 교육 방안 연구 : 학습자 활동 중심의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김인영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판소리계 소설은 신분과 계층을 초월하여 우리 민족의 삶의 애환과 정서를 반영하고 있으며 우리의 역사와 함께 발전하고 전승되어 왔다. 그러나 판소리계 소설의 역사적, 교육적 가치에 비하여 학습 현장에서의 교육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약한 편이다. 판소리계 소설은 관찰이나 평가의 대상으로 삼는 것보다 그 작품세계에 들어가서 작품 속 인물과 함께 호흡하고 그 시대의 모습을 경험하며 우리에게 전해주고 있는 교훈적 메시지를 찾아보는 태도로 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학습자들이 작품 뒤에서 그 모습을 지켜보며 암기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 작품 안에서 능동적으로 활동하며 학습하는 교육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7차 국어과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국어(상), (하)와 문학 18종 교과서는 1종만 제외하고 모두 1작품 이상의 판소리계 소설을 다루고 있다. 물론 교과서에는 소설만이 아니라 판소리 창본과 사설을 옮겨 놓은 경우도 많다. 필자는 이들 모두를 넓은 의미에서 판소리 서사물로 간주하고 교육 방안 연구의 대상에 포함하였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작품 수록 빈도와 본문 내용의 분량 등에서 우월성을 확보하고 있는 <춘향전> <흥부전> <심청전> <토끼전>을 가지고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학습자 활동 중심의 효율적인 수업 방안을 제시하였다. 협동학습은 경쟁학습과 개별학습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이다. 경쟁학습은 지나친 경쟁으로 인하여 이기심과 실패에 대한 불안감을 줄 수 있고, 학생들의 개인차를 인정하여 각자에게 맞는 수업 방법을 적용하는 개별학습은 매우 훌륭한 수업 방법이지만 우리 나라의 교실 모습처럼 다인수 학급인 경우에는 꾸준한 적용이 어려워서 경쟁학습과 개별학습은 교육 내용에 따라 적절한 때에 적용해야 할 것이다. 그에 비하여 협동학습은 다른 두 가지 방법보다 학습 연구 결과가 좋다. 여기에서 연구 결과는 학생들이 ‘함께’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서 얻는 보다 큰 성취, 보다 긍정적인 학생들간의 관계, 보다 큰 심리적 건강 등을 들 수 있다. 이처럼 많은 장점을 가지고 학습자들의 적극적·능동적인 학습 활동을 유도하는 협동학습을 이용하여 살아있는 문학인 판소리계 소설을 효율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보았다. 먼저 장르적 독특성, 시대 배경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주제와 인물들의 성격과 갈등, 해학과 풍자의 내용을 판소리계 소설에서 기본적으로 학습해야 할 내용으로 꼽고 이 많은 내용을 학생들이 과제를 분담하여 공부하고 자신이 맡은 분야에 전문가가 되어 다른 사람을 가르치고 보상을 받는 JigsawII 모형(과제 분담 학습 모형)을 <춘향전> 수업에 적용하였다. 판소리계 소설의 읽기 과정에서 어려움에 부딪히는 이유 중의 하나가 자주 등장하는 한자 어휘나 방언에 있다. 학생들은 <흥부전>의 내용을 바탕으로 읽기의 목적을 설정하여 읽고 모르는 어휘를 찾으며 새로운 문장에 적용하는 활동을 한다. 그리고 읽은 내용을 모둠별로 구조화된 토론을 하고 <흥부전>과 관련 있는 쓰기 주제를 가지고 짧은 글을 쓴 후 짝과 함께 점검한다. 이것은 CIRC 모형(읽기와 쓰기 통합학습 모형)을 적용한 것이며 CIRC는 언어 교과목 교육에 적절한 모형이다. 모든 사람이 갈등 상황을 불편해하고 피하려고 하지만 협동학습에서는 이러한 지적 갈등이 빈번하게 일어날 수 있으며 회피해야 할 일은 아니다. PRO-CON 모형(찬반 논쟁 협동학습 모형)은 갈등을 오히려 장려하여 찬성과 반대의 입장으로 나누어 논쟁을 구조화 시키고 주장에 알맞은 타당한 근거를 세우고 동료들에게 표현하며 정보를 분석·평가하고 종합하는 과정을 경험하도록 한다. 이러한 찬반 논쟁 협동학습은 <심청전> 수업에서 적용하여 ‘심청의 효성관’에 대하여 토론을 한다. 심청의 효성 자체를 거부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 각자가 생각하는 효성이 무엇인지에 초점을 맞추어 토론을 하도록 이끈다. 마지막으로 <토끼전>은 판소리계 소설의 이본에 대한 이해로 초점을 맞추어 결말이 다른 <토끼전> 이본들을 제시하였다. 수업 방법은 짝과 함께 읽기 자료를 읽고 그 내용을 보지 않고 얼른 쓰기를 한 후 짝에게 내용을 요약하여 말한다. 짝은 빠진 내용을 보충해주고 틀린 내용을 수정해주며 다시 역할을 바꿔서 협동학습을 하는 짝 점검 모형을 적용한다. 판소리계 소설 읽기 자료는 재미가 있기 때문에 짝과 함께 이야기를 나누는 데에 부족함이 없을 것이고 더불어 판소리계 소설의 이본들에 대한 이해도 할 수 있게 된다. 제시한 협동학습 모형은 어떠한 판소리계 소설의 교육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국어과 교육의 장에서 수업 목적에 맞게 얼마든지 활용할 수 있다. 판소리계 소설은 지나간 옛날 문학이라는 생각에서 벗어나 학생들이 지금, 여기에서 다시 생각해보고 해보며 자신의 삶에 적용하여 그것이 주는 가치를 깨닫고 배워, 내면화 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습자들이 수업의 주체가 되어 지식을 탐구하고 토론하며 서로 점검하면서 판소리계 소설의 가치를 스스로 인식하고 재발견할 수 있는 교육 방법이 필요하다. 지식의 전달 위주로 전통을 답습하던 방법에서 벗어나 학습자 중심의 교육 연구와 활동이 끊임없이 이루어져서 살아있는 판소리계 소설 교육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Pansori novels are reflecting the joys and sorrows of life as well as the sentiment of our nation rising above the social status and classes while being developed and handed down along with our history. But compared to the historical and educational values of Pansori novels, the educational study in classes tends to be relatively weak. It is advisable to treat Pansori novels with an attitude of going into its world of literature, breathe with characters in the literature, experience the aspect of that time and finding the moral message rather than considering them as subjects of observation or assessment. Therefore, an educational plan for the students to learn by taking an active part directly inside the novel is required rather than memorizing by watching its aspect behind the novel. All high school textbooks including Korean (volume 1), (volume 2) and 18 Literature Collections in the 7th Korean curriculum are dealing with one or more Pansori novels except for one collection. Naturally, there are many instances of transcribing creative edition and editorials of Pansori as well as the novel. The present writer has considered all these things as Pansori books in a broader sense and included them as subjects for studying the educational plan. Therefore, this study has presented an effective student activity centered teaching plan applying cooperative learning model with <Chunhyangjeon> <Heungbujeon> <Shimcheongjeon> and <Toggijeon> that are maintaining predominance in the frequency of collection or amount of contents, etc. Cooperative learning is a method that can improve the weakness of competitive learning and individual learning. Competitive learning may cause selfishness and fear of failure from an excessive competition. While the individual learning in which the appropriate learning method for each student by recognizing the difference between individuals is a very excellent teaching method, the competitive learning and individual learning would have to be applied at an appropriate time depending on the educational contents because its steady application is difficult in case of classes with many students like in our country. In comparison, the cooperative learning has satisfactory study results than other two methods. Here, the study results can be the greater accomplishment gained as students participate actively 'together' in learning, mor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and greater mental health, etc. Using the cooperative learning of leading positive and active learning activity by students with such many advantages, the plan to educate Pansori novels which is the living literature has been prepared. First of all, the uniqueness of genre, personality and conflicts of characters as well as the subject that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of the times and the details of humor and satire have been chosen as the content to be basically learned in Pansori novels. Then the JigsawII model (assignment sharing study model) in which the students share and study these many details, become a specialist in the field one becomes in charge of to teach other people and get rewarded has been applied to the <Chunhyangjeon> lesson. One of the reasons why students face difficulty in reading Pansori novels is at the Chinese vocabulary or dialect which appears often. Students perform the activity of setting the purpose of reading, find the unknown vocabulary after reading and applying to new sentences based on the details of <Heungbujeon>. The the details that have been read are engaged in a structured discussion by groups, a short essay is written with a writing theme related to <Heungbujeon> and checked with a partner. This is the one that has applied the CIRC model (combined learning model of reading and writing) and CIRC is an appropriate model for the education of language subjects. Although many people are uncomfortable with conflicting situations and try to avoid them, such intellectual conflict may occur frequently in the cooperative learning and is not the thing to be avoided. The PRO-CON model (cooperative learning model of pro-con argument) rather encourages conflict to make argument into structure by dividing into pros and cons, express it to classmates by establishing a reasonable basis for one's opinions and make students experience the process of analyzing, evaluating and generalizing the information. Such cooperative learning of pro-con argument is applied in <Shimcheongjeon> lecture to discuss on the 'view of Shimcheong's filial piety'. It is not rejecting the Shimcheong's filial piety itself, but leads students to have a discussion by setting the focus on what is each student's idea of a filial piety. Finally, the <Toggijeon> has set the focus on understanding alternative versions of Pansori novels to present alternative versions of <Toggijeon> with different endings. The teaching method is reading the material with a partner, writing quickly without looking at the content and tells the partner of the summarized content. The partner adds the details that have been left off, corrects wrong details and the partner checkup model in which the cooperative learning is performed by changing the role once again is applied. Because reading materials of Pansori novel are fun, there wouldn't be any shortcomings in sharing the story with a partner as well as being able to gain understanding on alternative versions of Pansori novels. The cooperative learning model that has been presented can be applied to any Pansori novels and can be used without limit to fit the purpose of the class at the place of teaching Korean. Escaping from the thought that Pansori novels are old literature that have passed away, the student would have to be able to realize and learn to internalize the values they give by applying them in their own lives as they reconsider and reinterpret them now and here. In order to do so, an educational method in which the students are able to recognize and re-discover the value of Pansori novels on their own as they become the subjects of class to probe and discuss the knowledge as well as checking up on each other. I expect that the student centered educational researches and activities are performed endlessly by escaping from the method of following the tradition centered on delivery of knowledge to make a living Pansori novel education.
유방암은 유방 조직에서 발생하는 암이며 여성에서 발생하는 암의 25%를 차지하는 여성의 주요 암 유형이다. 유방암은 수십 년 동안 광범위하게 연구되어 왔지만, 여전히 해결해야 할 문제가 많이 있다. 생명공학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유방암으로부터 대량의 분자 데이터가 생성되고 있다. 유방암 세포 내에서 측정된 분자 데이터는 유방암에서 해결되지 않은 많은 문제를 연구하는 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유전자 돌연변이 및 유전자 전사체와 같은 분자 데이터의 분석은 고려해야 할 특성의 수가 많고 (20,000개에서 수백만까지) 환자의 수가 수천에 불과하기 때문에 매우 어렵다. 이러한 고차원 저샘플 문제는 기계학습에서 해결되지 않은 문제 중 하나이다. 따라서 분자 수준에서 유방암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박사학위 논문에서는 세포 성장, 세포 사멸, 암의 전이와 같은 생물학적 기능의 관점에서 유방암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해 생물학적 경로를 이용하여 유방암과 그 아형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다루었다. 첫 번째는 유전자 돌연변이, 유전자 복제수 변이 및 유전자 발현 수준의 측면에서 생물학적 경로를 탐색하기 위한 웹 기반 시스템을 개발하였고 두 번째는 생물학적 경로를 이용하여 각 유방암 아형 특이적인 유전자를 결정하기 위한 확률적 프레임 워크를 개발하였다. 첫 번째 연구는 TCGA 유방암 데이터를 KEGG 생물학적 경로에 통합하여 유방암 환자의 멀티오믹스 데이터를 시각화하는 것이다. 생물학적 경로 기반의 다중 오믹스 분석 시스템이 필요하지만, 더 큰 샘플 크기와 더 큰 차원으로 인해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고 TCGA 유방암 데이터에 대한 생물학적으로 통합적인 관점을 제공하기 위해 KEGG 생물학적 경로에 대한 TCGA 유방암 데이터의 웹 기반 대화형 탐사 및 시각화 시스템인 BRCA-Pathway를 개발하였다. 첫 번째 연구를 통해, 유방암 환자의 멀티오믹스 데이터가 생물학적 경로 수준에서 각 아형에 대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유전자 발현량 데이터는 몇몇 생물학적으로 중요한 경로에서 각각의 유방암 아형에 대해 상이한 발현 패턴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번째 연구는 KEGG 생물학적 경로 수준에서 각 유방암 아형별 상이한 발현 패턴을 이용하여 아형 특이적인 유전자를 선택하는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였다. 각 유방암 아형이 보이는 생물학적 경로 수준에서의 발현 패턴의 차이는 생물학적 경로의 활성화 점수를 통해 표현되었다. 각 유방암 아형에 대한 유전자 발현량의 차이를 정량화하고 이 값을 유전자 인자로 정의하고, 각 유방암 아형에 대한 생물학적 경로 활성화 정도의 차이를 경로 인자로 정의하였다. 우도와 사후 확률은 유전자 인자와 경로 인자를 사용하여 정의되었으며, 유전자는 각각 우도와 사후 확률로 순위가 매겨진다. 생물학적 경로 정보를 사용하여 각 유방암 아형 특이적인 유전자를 선택하는 문제는 유방암 아형 분류 모델에서의 특징 선택에 해당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분류 문제의 특징으로서 선택된 유전자를 갖는 예측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또한, 선택된 유전자의 생물학적 의미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중요성은 유방암 각 아형 특이적인 유전자가 생물학적 경로 정보에 의해 유도된 기계학습 방법에 따라 선택되었다는 것이다. 이는 생물학적 기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생물학적 경로 정보가 유전자 선택 과정에 사용되기 때문에 우리의 방법으로 선택된 유전자는 생물학적으로 해석 가능한 유전자라고 말할 수 있다. Breast cancer is cancer that develops from breast tissue and it is the leading type of cancer in women, accounting for 25% of all cases (Brayet al., 2018). Although breast cancer has been studied extensively for several decades, there are a number of issues that remain to be answered.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instrument technologies, a huge amount of molecular data from breast cancer has been produced. Molecular data measured inside breast cancer cells can be very useful to investigate many unresolved issues in breast cancer. However, analysis of molecular data such as genetic mutations and gene transcripts is very difficult since the number of dimensions is huge (over 20,000 up to several millions) and the number of samples or patients is only a few thousands. This is one of the unresolved machine learning problems, that is, analysis of high dimension low sample data. Thus, new computational methods are much needed to study breast cancer at the molecular level. In this thesis, I addressed this computational challenge by utilizing biological pathways that can be used to explain cancer mechanisms in terms of biological functions, such as cell growth, cell death, and metastatic potentials. In my doctoral study, I developed two computational methods. A web-based system was developed for exploring pathways in terms of genetic mutations, gene copy number variations, and gene expression levels. A probabilistic framework was developed for determining driver genes from genes in biological pathways. The first study was to integrate TCGA breast cancer data onto KEGG pathway to visualize the multi-omics data of breast cancer patients. Pathway based multi-omics analysis system is necessary but challenging due to larger sample sizes and higher dimension. BRCA-Pathway, a web-based interactive exploration and visualization system of TCGA breast cancer data on KEGG pathway, was developed to address these difficulties and provide broad perspective of TCGA breast cancer data. Through the first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multi-omics data of breast cancer patients appeared differently for each subtyp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athway. In particular, gene expression data could identify different expression patterns for each subtype in several biologically important pathways. The second study was to solve the problem of selecting genes specific to the subtype by using different expression patterns from the viewpoint of KEGG pathway for each breast cancer subtype. The difference in the gene expression pattern at the pathway level was represented to a numerical value of the degree of activation in the pathway. The difference in gene expression level for each subtype was quantified and defined as a Gene factor, and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pathway activation for each subtype was defined as a Pathway factor. Likelihood of gene given subtype and posterior probability of subtype given gene were defined using Gene factor and Pathway factor. Then, genes were ranked by likelihood and posterior probability. It can be seen that the problem of selecting subtype specific gene corresponds to feature selection in the subtype classification model. For this reason, we evaluated the performance of the predictive model with selected genes as features of the classification problem. We also analyzed the biological implications of the selected genes. In summary, my doctoral thesis proposed how biological pathways that are important domain knowledge can be used to characterize breast cancer subtypes by visually exploring molecular data and by selecting genes in a probabilistic framework to show difference in pathway activation among breast cancer subtyp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