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과 중국의 사범대학 평가제도 비교 분석

        김이경(Kim Eegyeong),고소천(Xiaoqian Gu),민수빈(Min Soobin) 한국비교교육학회 2017 比較敎育硏究 Vol.27 No.1

        오늘날 교사 양성 질 관리 기제인 교원양성기관평가가 정착되면서 그 본질적 기능에 대한 의구심도 증폭되고 있다. 특히, 교사 공급 과잉이 발생하는 국가의 경우, 평가 자체의 적합성은 물론, 평가 결과의 활용이 예비교사 교육의 질 관리에 기여하지 못한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이러한 문제인식에서 본 연구는 중등교사가 과잉 공급되고 있는 한국과 중국의 사범대학을 대상으로 한 평가의 특징을 평가의 주체, 목적, 주기, 지표, 방법, 결과 활용이라는 여섯 가지 준거에 따라 비교분석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중국의 사범대학 평가는 교원양성기관 교육 수준의 질 향상을 공식적 목적으로 표방하고 있지만 실제 평가 추진의 내용 및 결과 활용은 본질적 목적에서 벗어나 형식적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공통적 문제가 발견되었다. 둘째, 평가 주체나 지표, 결과 활용 등에 있어서는 정부 주도의 관리 감독이나 양성 자원 통제 등에 치우쳐 있고 교사 직전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한 사범대학의 질 제고는 뒷전이라는 상황은 교사 과잉 공급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상 연구 결과를 토대로 양 국가의 사범대학 평가가 본질을 회복하고 진정한 의미의 질 관리 기제로 개선되기 위해 필요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claim that the quality assurance measures towards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tend to be deviated from its original purposes has been raised among international scholars, especially in those countries where prospective teachers are oversupplied.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valuation systems of teacher‘s colleges in South Korea and China from a comparative perspective. Based on six areas such as evaluation authority, purposes, cycle, criteria, methods, result utilization, we describe current practices to draw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two systems. The analyses revealed remarkable similarities despite the slight differences. First, the evaluation was deviated from the quality assurance and support of the teacher‘s colleges. Second, the evaluation focused on supervision of the institutions and control of quantitative aspects of teacher‘s colleges instead of quality assurance. Based on the findings, we suggested some policy recommendations to recover the original purposes and functions of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al evaluations in South Korea and China.

      • KCI등재

        대학생의 전공선택 동기와 직무일치 취업과의 관계 및 전공만족도의 매개‧조절 효과 분석

        정은하(Jeong, Eunha),김이경(Kim, Eegyeong) 한국교육정치학회 2020 敎育政治學硏究 Vol.27 No.4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전공선택 동기와 전공만족도, 직무일치 취업이 서로 관련이 있으며, 전공만족도가 전공선택 동기와 직무일치 취업 간의 관계를 매개 또는 조절할 것이라는 가정 하에 세 변인 간의 관계를 밝히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자료 중 2018년도에 수집된 4년제 대학교 졸업자 10,181명의 응답 자료를 토대로 기술통계, 다중회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매개효과 분석, 조절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대학생의 직무일치 취업 정도와 전공만족도 수준은 보통 이상이었고, 내재적 동기에 의해 전공을 선택하는 학생은 절반 이하로 확인되었다. 둘째, 내재적 동기에 기반한 전공 선택은 전공만족도 증가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셋째, 전공선택 동기는 직무일치 취업의 하위요소 중 전공일치 취업과 정적 관계가 있었다. 넷째, 전공만족도는 직무일치 취업의 하위요소인 교육일치, 기술일치, 전공일치 취업과 모두 정적 관계가 있었다. 다섯째, 전공만족도는 전공선택 동기와 전공일치 취업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지만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대학생이 전공 관련 분야로 취업할 수 있는 동인을 만들어 주기 위해서는 전공선택 시점의 내재적 동기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대학 입학 후 전공만족도 증진을 통해 더욱 강화될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고등학교 단계에서의 진로교육 강화, 대학차원에서의 전공선택 지원제도 마련, 전공교육의 질 제고라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among university students major selection motivation, job-match employment, and major satisfaction. Utilizing responses from 10,181 university students surveys collected 2018GOMS, descriptive statistic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mediator and moderator effect analysis were performed. Firstly, it was confirmed that less than half of the students choose their major according to their intrinsic motivation. Secondly, choosing a major based on intrinsic motivation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an increase in major satisfaction. Thirdly, major selection motiva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major-match among the sub-elements of job-match employment. Fourthly, the degree of major satisfac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sub-elements of job-match employment, such as education-match, technology-match, and major-match employment. Fifthly, major satisfaction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major-match employment, a sub-element of job-match employment, but no moderating effec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olicy implications such as reinforcing career education,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major education were suggested.

      • KCI등재

        가구소득에 따른 장학금 수혜가 대학생의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정은하(Jeong, Eunha),윤예지(Yoon, Yeaji),김이경(Kim, Eegyeong) 한국교육행정학회 2021 敎育行政學硏究 Vol.39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장학금 수혜 여부와 취업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취업준비행동과의 관련성에 주목하고, 장학금 수혜집단에도 여러 층위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여, 가구소득에 따른 장학금 수혜 여부가 대학생의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장학패널’의 제 2~4차연도 4년제 대학생의 응답 자료를 활용하여 장학금 지원 금액에 근거해 수혜집단을 3개 집단으로 구분하고, 비 수혜집단과 비교하여 기술통계분석, 패널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소득이 높은 비 수혜집단이나 3소득 장학금 수혜집단(중위소득 100% 이상)은 대학 입학 이후 지속적으로 학점관리, 자기계발 및 취업 진로준비 시간이 증가하는 반면, 기준 중위소득 50%미만에 해당하는 1소득 장학금 수혜집단은 대학입학 중기 시점 이후로 학점관리 시간이 급격하게 감소하고, 자기계발 및 취업·진로준비 시간은 급격하게 증가하는 등 시점에 따라 취업준비행동에 변화가 나타났다. 둘째, 패널회귀 분석 결과, 1소득 장학금 수혜집단의 경우 비 수혜집단에 비하여 학점관리, 자기계발 및 취업·진로준비에 사용하는 시간이 유의하게 감소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저소득층 대학생의 경우 장학금 수혜가 취업준비행동의 증가로 이어지지 않으며, 이에 따라 대학 졸업 후 노동시장 진입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정책적, 학술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larship recipients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household income. For this study, data of 4-year university students from the 2nd to 4th year of the "Korea Student Aid Panel Survey(KSAPS)" were used, and the scholarship recipient group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 amount of scholarship grant. grant.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d pane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major findings showed that the scholarship effect for low-income groups is not linked to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This study ve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preparation behavior and scholarship recipients through longitudinal analysis and has recommendations for the design of scholarship policy.

      • KCI등재

        성장혼합모형을 활용한 저소득층 학생의 학업성취 변화 유형 및 영향요인 분석

        정은하(Jeong, Eunha),장현준(Jang, Hyeonjun),Ta Thi Ngoc Diep,김이경(Kim, Eegyeong) 한국교육행정학회 2021 敎育行政學硏究 Vol.39 No.5

        본 연구는 저소득층 학생의 학업성취도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변화 추이와 유형을 확인하는 한편, 이러한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종단연구2013의 2~6차년도 초6~고1 저소득층 학생 데이터를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t분석, 성장혼합모형(Growth Mixture Model, GMM)분석,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저소득층 학생의 학업성취도는 비 저소득층 학생과 비교할때 초6~고1을 거치는 동안 지속적으로 낮았으며, 학업 자아개념, 교육포부, 부모의 자녀 기대학력, 부모 자녀 상호작용, 부모의 학업관심, 사교육시간 등 학업성취 관련 요인도 지속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다. 둘째, 저소득층 학생의 학업성취 변화 유형을 살펴본 결과 ‘저수준 유지형’, ‘중수준 유지형’, ‘상승형’ 등 총 3개의 잠재계층이 존재하였다. 초등학교 이후 학업성취도가 상승하는 ‘상승형’ 학생은 약 10%에 불과한 반면, 초등학생 시점의 중간수준 성취도를 계속 유지하는 ‘중수준 유지형’ 학생은 약 33.5%, 그리고 학업성취 수준도 낮고 변화도 거의 없는 ‘저수준 유지형’ 학생은 약 56.3%로 확인되었다. 셋째, 변화 유형 가운데 ‘상승형’에 포함될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은 자기관리역량, 부모의 자녀 기대학력, 사교육 참여시간이었으며, 학업성취에 변화가 없는 집단 중에서는 학업자아개념과 교육포부 수준이 높을수록 ’저수준 유지형‘ 보다는 ’중수준 유지형‘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았다. 이 발견점을 토대로 저소득층 학생의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 조기 학업적 개입 강화, 방과후 프로그램의 질 제고, 학교-가정-지역사회 파트너십 구축을 정책적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ypes of changes i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low-income students and their effects on low-income student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Growth Mixture Model(GMM),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were performed using KELS 2013 data to answer these question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re were a total of three potential types of changes in academic achievement of low-income students which were low-level maintenance type, middle-level maintenance type, and rising type. Secondly, the higher the level of academic self-concept and education aspirations, the higher the likelihood that students are being included in the middle-level maintenance type rather than the low-level maintenance type. Besides, the higher the level of self-management competency, parents" educational expectations, and private education participation, the more likely students were to be included in “rising type” than “low-level maintenance type” and “middle-level maintenance type”. The findings overall suggested the need to develop policies that effectively support low-income students by implementing periodic analysis on students’ learning conditions and early academic intervention to improve their academic achie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