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정부 재정지원과 규제의 관점에서 본 미국 중등 사학 실태 분석 및 시사점

        김이경(Ee-gyeong Kim)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4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2 No.1

        이 연구는 미국 중등 사학의 제도적 변천과정 및 실태를 국가의 재정지원과 규제의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중등 사학정책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각종 문헌 및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미국 중등사학의 제도화 과정 및 현황, 정부의 재정지원 실태와 쟁점, 중등 사학에 대한 정부 규제의 근거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미국의 사학은 종교단체를 중심으로 자신들의 교육 철학과 건학 이념을 구현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점차 다양화되는 과정을 거쳐 미국 초·중등 학생의 11%를 교육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학에 대한 정부의 재정지원은 국가와 교회의 분리 원칙에 따라 금지되어 있으며 따라서 사립학교에 대한 직접 지원은 금기시된다. 다만, 사립학교에 다니는 학생을 보호한다는 차원에서 학생에게 직접 혜택이 가도록 용도와 목적을 지정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사학에 대한 정부의 규제는 연방대법원 판례를 근거로 매우 제한적으로 행사된다. 그 결과 사립학교들은 정부의 간섭으로부터 비교적 자유롭고 교육내용과 방법 면에서 공학과의 차별성을 유지한다. 이상의 분석을 토대로 우리나라 사학을 대상으로 한 재정정책 및 개선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This study seeks to analyze the historical process and current conditions of secondary private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from the contrasting viewpoint of governmental financial support and regulations. To achieve these research goals, we reviewed documents and statistics to analyze the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of U.S. secondary private schools, the grounds for government regulations on private schools, and government funding realities and controversies. The analysis showed that U.S. private schools were established generally by religious bodies to realize their educational philosophy and ideas, and account for only 11% of entire school education. Based on the idea of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government funding for private schools is prohibited in principle, so the direct financial support for private schools is forbidden. Instead, to protect and benefit students who attend private schools, the financial support is provided directly to the students with its purpose and objectives explicitly specified. On the other hand, the government regulation on private schools is very limitedly exercised on the basis of the Federal Supreme Court’s precedents. As a result, private schools have enjoyed considerable freedom from government intervention and have maintained distinctive characteristics in terms of educational content and method. Based on the findings, we draw some implications for the fiscal policy and improvement priorities targeting private secondary schools in Korea.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The Influence of Principals’ Safety Leadership on Teachers’ Safety Behavior in Korea : 교사가 지각한 한국 초·중등학교 교장의 안전리더십이 교사의 안전행동 인식에 미치는 영향

        김이경(Kim, Ee-gyeong),안지윤(Ahn, Ji-yoon),민수빈(Min, Soo-bin)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3

        안전리더십은 그동안 다양한 산업체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조직 구성원의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져 왔다. 그러나 학교조직 내에서 학생들의 안전을 책임지는 교사들의 안전행동과 교장의 안전리더십 간의 관계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초중등학교에서 교장의 안전리더십이 교사의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지 분석하는 것이다. 한국의 76개 초중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 910명이 온라인 설문조사에 응답한 자료를 토대로 기술통계분석, t-test, ANOVA,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교장의 안전리더십과 자신들의 안전행동 수준을 매우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행동의 수준에 대한 교사들 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안전교육에 대한 책임과 경험을 보유한 교사들과 안전교육에 대한 지원이 제공되는 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의 안전행동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중요한 발견점은 교장의 안전리더십이 교사들의 안전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이에, 초중등학교 현장에서도 산업체와 마찬가지로, 안전리더십은 구성원의 안전행동을 예측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교사들의 안전행동을 촉진하기 위해 교장의 안전리더십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자격연수나 현직연수 프로그램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안전교육에 대한 경험을 풍부하게 갖춘 교사들이 이를 신규교사들과 공유할 수 있는 교사들 간의 상호 연수 지원도 필요하다. Safety leadership has been reported to affect the safety behavior of employees in industrial organization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correlation between principals’ safety leadership and the teachers’ safety behavior within a school organiz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principals’ safety leadership affects teachers’ safety behavior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n Korea. Based on the data obtained from an online survey with responses from 910 teachers in 76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tests,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Our findings revealed that teachers perceived the level of principals’ safety leadership and their corresponding safety behaviors to be very high. Regarding the level of safety behavior, teachers working at schools with more systematic support for safety education and experienced teachers assuming more responsibility in safety education perceived their safety behavior higher. More importantly, principals’ positive safety leadership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eachers’ safety behavior. We conclude that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like industrial organizations, safety leadership plays a critical role in predicting teachers’ safety behavio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programs that can continuously develop safety leadership ability via principals’ pre-service and in-service education. There is also a need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that allow teachers with a wealth of experience in safety education to share their expertise with colleagues.

      • KCI등재

        대학강의의 질이 대학생의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 대학의 학생지원서비스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김이경(Kim Ee-gyeong),안지윤(Ahn, Ji-yoon),황혜정(Hwang, Hye-jung),김경현(Kim, Gyunghyun) 한국교육행정학회 2017 敎育行政學硏究 Vol.35 No.1

        본 연구는 대학강의의 질과 대학생의 학습성과, 대학의 학습지원서비스라는 세 변인의 수 준 및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의 3주 기 NASEL(2015년도)의 4년제 대학교 학생 13,415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기 술통계, t검정 및 일원분산분석, 조절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대학강의의 질은 대체적으로 명확한 강의 목표, 적절한 자료 및 평가에 힘 입어 양호한 편이었으나 교수-학생 간 상호작용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강의의 질, 학습성과, 학생지원서비스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개인 특성(성별, 학년, 전공계열, 입학 전형)이나 대학 특성(소재지, 규모)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대학의 학생 지원서비스는 대학강의의 질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었다. 이 연구 는 대학생의 학습성과를 높이는 데 있어서 대학강의 질의 중요성과 함께 이 두 변인의 관계 를 조절하는 요인으로서 대학의 학생지원서비스 중요성을 재확인했다는 데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학습성과를 높이기 위해서 개인 요구에 맞는 지원서 비스가 더욱 충실화될 필요가 있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는 한편, 대학교육의 질 업그레이드에 기여할 수 있는 후속연구를 제안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lecture quality, learning outcomes, and student support services in Korean 4-your universities. Utilizing the data of 13,415 university students extracted from NASEL data set collected in 2015 by the KEDI,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moderating effect analysis were performed. Based on data analyses and subsequent discussion, we have drawn the following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First, the quality of lectures appears to be all right due to relatively clear lesson goals, appropriate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reasonable student assessment methods. However, special attention needs to be given to professor-students interaction to raise its quantity and quality. Second, custom-tailored measures are necessary as the levels of lecture quality, learning outcomes, and student support services are different depending on students’ as well as universities’ backgrounds. Finally, this study revealed the moderating effect of student support services which adjusts the influence of lecture quality upon learning outcomes. This implies that students support services need to be strengthened to benefit all students. This study shed light on the importance of lecture quality and student support services as variables affecting student learning outcomes. Subsequent studies were suggested to upgrade university teaching and learning by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 KCI등재

        부적격 교사의 판별과 조치에 관한 교원의 인식 분석

        김이경(Kim Ee-gyeong),이태상(Lee Tae-sang) 한국교육행정학회 2005 敎育行政學硏究 Vol.23 No.4

        본 연구는 부적격 교사의 판별과 조치에 관한 기존 이론을 탐색하고, 관련 쟁점에 대한 교원의 인식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br/> 부적격 교사의 판별 및 조치를 둘러싼 쟁점에 대한 교원의 인식을 분석하기 위하여 총 2,953명의 초·중등 교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br/>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교원들은 무능력 교사와 문제 교사의 개념, 판별 및 조치 방법 등을 다르게 인식하고 있으며, 부적격 교사의 범주에서 무능력 교사를 제외시키는 데 동의한다. 둘째, 교원들은 부적격 교사를 판별하기 위한 평가제 도입의 필요성에는 대체로 공감하고 있으며, 문제 발생 후 해결에 초점을 두는 사후 해결적 방법을 선호한다. 셋째, 무능력 교사와 문제 교사 각각에 대한 조치를 이원화하고, 무능력 교사에게는 연수 위주의 개선 조치를, 문제 교사에게는 징계제도 강화를 통한 학생 분리 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다. 넷째, 이러한 조치는 제도 마련을 넘어 교단의 온정주의를 극복할 수 있는 특단의 대책과 연계되어야 한다. Although parents and mass media are critical to the system's failure of identifying and dismissing ineffective teachers, researches on ineffective teachers have not been a major concern in Korea.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s of teachers and principals on the concept, types, evaluation approaches and follow-up measures related to ineffective teachers. A surve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administerd to 2,953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across Korea.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were : (1) Teachers came across many ineffective teachers and perceived it as a serious problem. The lack of teaching-learning skill and excessive avoidance of daily duty were the most common problems. (2) There were two different types of ineffective teachers, which included incompetent teachers and problem teachers. Their respective concept, evaluation timing and criteria, as well as follow-up measures were drastically different. (3) While most of the teachers we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the evaluation to identify ineffective teachers, they preferred the approach applied to only those teachers who were accused by parents or students, not the one applied to each and every teacher on a regular basis. (4) Teachers preferred in-service training to improve incompetent teachers, while stronger measures such as dismissal were recommended to deal with problem teachers. (5) Existing disciplinary measures were not working properly due to school culture, faulty processes and unclear legal provisions. A few recommendations were made based on the findings to deal with problems associated with ineffective teachers.

      • KCI등재

        중등 공·사립학교의 질적 차이 분석 : 교사 변수의 상대비교를 중심으로

        김이경(Kim, Ee-gyeong),박상완(Park, Sang-wan),김미정(Kim, Mi-jung)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08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17 No.3

        본 연구는 중등 사립학교가 준공립적 성격을 띠고 있고 학교 선택권도 제한되므로 학교의 설립 유형에 따라 교육의 질적 격차가 유발되어서는 안 된다는 문제 인식에서 공립과 사립학교 교육의 질이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 때, 학교 교육의 질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변수이면서, 공립과 사립학교 간 제도운용 면에서 차이가 있는 영역이 교원 인사제도라는 점에 착안하여 교사 변수를 연구의 초점으로 하였다. 교사의 경력 단계를 충원, 개발, 유지 등 세 단계로 구분하고 준거 총 9개를 설정한 후, 한국교육개발원 통계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산출한 공·사립 교사 관련 자료를 상호 비교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충원 단계에서 양성 경로, 신규 교사임용 방법, 기간제 교사 비율 등 모든 준거에서 공․사립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발 단계에서도 학력 연수, 현직연수 횟수 등에서 공립학교 교사들의 학습 참여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사 유지 단계에서는 주당 수업 시수와 학급당 학생 수에 있어서는 공·사립이 유사한 가운데 오히려 사립학교 여건이 유리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사무직원 확보율과 교원 퇴직 사유에 비추어 본 신분 보장 면에서는 공립이 사립보다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공립과 사립학교 교사 간 질적 격차를 상쇄하는 데 시사점을 줄 수 있는 방안을 중심으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ompare the quality of secondary teachers between public and private schools. A total of 9 indicators were selected and statistical data provided by the National Center for Education Statistics were utilized for the purpose of comparative analysis. Data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public and private teachers in terms of teacher education routes, methods of selection and ratio of contract teachers. Public school teachers had longer years of education and participated more in the in-service education programs. However, teaching time per week,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while public schools had higher ratio of support staffs. The study found that private schools had less favorable conditions, which would lead to the deterioration of teacher quality. Based on the findings, a few recommendations were made to reduce the gaps.

      • KCI등재

        교사 협력이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학생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김이경(Kim Ee Gyeong),민수빈(Min Soo Bin),김경현(Kim Gyung Hyun) 한국교원교육학회 2018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5 No.3

        본 연구는 교사 협력이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학생의 성취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 하에, 특히, 과학 교과에 관심을 가지고 세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힐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과학을 주영역으로 하여 과학 교사만을 대상으로 별도의 설문을 진행한 PISA 2015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우리나라 고등학교 과학 교사 875명의 설문 응답 자료와 학생 4,243명의 성취도 검사자료를 토대로 기술통계,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매개 효과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과학 교사 협력, 교사효능감, 학생의 과학 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 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변인 간 영향 관계에 있어서 과학 교사 협력은 교사효능감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친 반면, 학생의 과학 성취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셋째, 과학 교사의 협력은 교사효능감이 매개했을 때는 학생의 과학 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교사 협력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현 상황에서, 특히 과학 교과에서 교사 협력이 학생의 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보다 교사효능감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밝혀냈다는 데서 의의를 찾고자 한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과학 교사 협력 및 교사효능감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후속 연구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eacher collaboration, teachers’ efficacy, and student achievement in Science. Utilizing 2015 survey results of 875 Science teachers and the Science achievements of 4,243 secondary students from 「PISA 2015 」Science data, descriptive statistic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and mediator effect analysis were performed. We found that the structural relationship model was appropriate. In addition, while teacher collaboration influenced teachers’ efficacy, it did not have an impact on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Nevertheless, teachers efficacy mediated the effect of teacher collaboration on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Based on these findings, we drew a few policy recommendations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 KCI등재

        한국과 중국의 중등학교 교사 신규채용제도 비교 분석

        김이경(Kim, Ee-Gyeong),안지윤(Ahn, Ji-Yoon),위화구(Wei, Hua-Ou) 한국비교교육학회 2014 比較敎育硏究 Vol.24 No.3

        중등학교 교사의 신규채용제도는 교직에 적합한 인재를 충원하는 시작점일 뿐만 아니라, 교원양성 방향과 프로그램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중요성이 강조되어 왔다. 그러나 양적 수급조절에 치우쳐 적격자 선발이라는 본래의 기능에 충실하지 못하다는 문제인식에서 본 연구는 유사한 상황에 직면해 있는 한국과 중국의 중등학교 교사 신규채용제도를 비교 관점에서 분석한 후 시사점을 도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변천과정 및 변화동인, 자격요건, 선발방식을 준거로 삼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중국의 중등학교 교사 신규채용제도의 변화에는 사회ㆍ경제적 요인이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선발의 적합성보다는 교원의 양적 수급 불균형 해소가 주된 변화 동인으로 작용하였다. 둘째, 양 국가 모두 신규채용의 전제 조건으로 교사자격증을 요구하고 있으나, 교사 자격을 검증하는 기제가 취약하다는 점은 공통적인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셋째, 교직 적성을 갖춘 우수한 인재를 선발한다는 목적 하에 양 국가는 각기 다른 접근을 채택하여 선발방식을 부단히 변화시켜 왔으나 교원수급의 조절 실패 및 과잉공급된 지원자를 선별하기 위한 객관성과 공정성의 강조로 인하여 교사로서의 적합성 검증기능은 한계를 노정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등학교 교사 신규채용제도가 양적 수급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교직에 적합한 인재를 충원하기 위한 질적 접근을 지향해야 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importance of selection method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have gathered attention due to their enormous influence on the pre-service education programs. However, scholars and practitioners are skeptical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e measures, especially under the condition of teacher oversupply found in South Korea and China. Based on this problem statement, this study seeks to compare the secondary teacher employment methods of the two countries to better understand the situations as well as to draw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We reach the following conclusions through comparative analyses. First, the reforms of the teacher employment system in both countries have been triggered by the quantitative supply concerns not by the qualitative concerns. Second, both countries require teaching license as a precondition of employment, while their quality assurance measures for the license reveal critical limitations. Third, both countries have attempted to improve selection methods; nevertheless, oversupply of prospective teachers makes objectivity and fairness more important than the appropriateness. Based on the conclusions, policy implications focusing on the quality-oriented approach are suggested in order to employ effective secondary teachers who can contribute to the quality improvement of school education.

      • KCI등재

        중국 특급교사제(特级教师制) 운영실태 분석 및 시사점

        김이경(Kim Ee Gyeong),이가의(LI Jia Yi) 한국비교교육학회 2014 比較敎育硏究 Vol.24 No.6

        오늘날 교사의 사회ㆍ경제적 지위 하락과 더불어 교직을 보다 매력적인 직업으로 탈바꿈시키기 위한 정책적 시도 가운데 하나가 수석교사제로, 중국의 특급교사제는 수석교사제에 해당하는 제도이다. 본 연구는 중국 특급교사제의 운영 실태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우리나라 수석교사제의 미래 방향에 시사점을 제공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우리나라 수석교사제 운영에서 쟁점화되어 있는 네 가지 기준을 토대로 특급교사제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국에서 특급교사제는 교사의 사회ㆍ경제적 지위를 개선할 목적으로 도입되어, 엄격한 기준에 따라 극소수 정원을 선발한 후에 교수-학습 리더십 역할을 부여하며 그에 상응하는 금전적, 비금전적 보상을 제공한다. 최고 교육자로서 명예를 누리며, 연차 평가를 통하여 효과성을 평가받지만 평생임기제로 운영된다. 이러한 중국의 특급교사제는 교사들이 교실을 떠나지 않고도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교직의 매력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제도라는 점에서는 우리나라와 유사했다. 그러나 특급교사의 선발 기준 및 방법, 역할, 처우, 평가 및 임기 등과 관련된 세부 내용은 우리나라와 차이가 있었고, 새로운 환경 변화와 더불어 제도의 적합성을 둘러싼 비판이 제기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수석교사제의 향후 운영방향 설정에 도움이 되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Along with concerns about deteriorating social and economic status of teachers around the world, Master Teacher System(MTS)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alternatives to transform teaching profession into a more attractive job. In this study, the conditions and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MTS in China is analyzed to draw implications for South Korea, which recently legalized the MTS. Research framework including four research questions is developed based on the controversies surrounding MTS of South Korea. The main findings show that the MTS in China was introduced to improve teachers' social and economic status along with the quality of prospective teachers. A very small number of master teachers are selected through rigorous standards including longer service period. They are given additional monetary and non-monetary compensations in return for their teaching-learning leadership and responsibilities. As highly respected educators, they enjoy the lifelong benefits, although they are annually evaluated. It is evident that the MTS has contributed to improving the attractiveness of teaching profession in China. Nevertheless, there are many problems associated with selection standards and methods of master teachers, their roles, compensation, evaluation and terms of service. Recent criticism due to changing circumstances surrounding education in China makes the MTS more questionable. Based on the findings, major implications for future directions of MTS of South Korea are drawn and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