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억의 윤리와 기독교 생명가치

        김은혜(KIM Un-Hey)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15 장신논단 Vol.47 No.4

        ‘기억’은 그 자체가 저항이다. 인간의 고통에 대한 공감보다 고통 받은 자들의 희생에 대한 기억이 남겨진 자들에게 더 중요한 윤리적 책임이 된다는 말이다. 그리스도인들이 역사의 수많은 고통의 현장에 대해 망각하지 않고 기억해야하는 것은 진실을 마주할 수 있고 동일한 고통을 반복하지 않으며 가능한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기 때문이다. 더욱이 기억하지 않는 역사는 반복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억이야말로 그 고통의 현장을 목격한 우리의 슬픔과 분노를 치유하는 중요한 방법이자 윤리적 책임이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세월호에 대한 많은 학자들의 신학적 해석과 성찰들이 일회적 연구로 끝나지 않도록 함으로써 끊임없이 신학적 담론을 생산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통해 500일을 훌쩍 넘어가는 세월호가 묻혀지고 잊혀지는 것에 저항할 수 있는 것이다. 이제 한국교회는 반생명적 문화가 지배하는 한국사회를 근원적으로 성찰하고 동시에 생명경외와 생명가치를 중심에 두고 교회 스스로를 반성하고 동시에 갱신시키는 지속적 신학적 작업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본 논문은 생명 신학적 관점에서 세월호에 대한 신학적 성찰과 반성을 통해 생명존엄의 가치를 확산시키고 고양시키는 기독교 윤리적 행위로서 기억의 윤리를 재구성함으로 한국교회의 사명과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생명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따름은 그리스도에 대한 기억의 중심부인 그의 고난에 동참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그리스도의 고난에의 동참은 세계와 분리되어 있지 않고 고통 받은 자들과 연대함이며 그들의 고통에 참여함으로 기억공동체를 형성함으로 연민의 한계와 공감의 무력감을 넘어서는 기억의 윤리의 신학적 의의를 살펴보고자한다. The act of remembering could be itself a resistance. For the people who have been suffering in immeasurable depth, the remembering of the one lost can be a more ethical action and responsibility than mere sympathies to suffering. How can we fully understand parents who have watched their own children die? Susan Sontag who had concerned the pain of others, has criticised the function of sympathies with which people try to offer proof of human inability and sometime even to verify the ability of their sinlessness. Therefore, for her who has been denouncing the horrors of war, remembering all kinds of human suffering can be an ethical activity have its own ethical value in it. Through the remembering of sufferer we can suggest a new vision of the future by reconnecting a new form of political life and a new morality. In this sense, Christians should try to keep alive the memory of the crucified Lord for this specific memoria passionis can be a dangerous memory of reconstructing our hope for the future. The German political theologian, J.B. Metz claims that the memory of the suffering of Jesus must be deciphered as a subversive liberating memory within the apparent plausibility of the present society and christological dogmas can be meaningful as a liberating formulas of that memory. In this writing, I want to attempt a theological reflection on the tragedy of Sewolho with which more theological examination should be studied as an essential task of the present to conscientious Korean theologians, from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ethics of life and suggest the ethics of remembrance concerning the priority of the value of life and the sanctity of life.

      • KCI등재
      • KCI등재

        기독교 인간주의에 대한 성찰

        김은혜(Un Hey Kim)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4 선교와 신학 Vol.33 No.-

        본 논문은 21세기 포스트모더니즘의 문화현상과 함께 떠오르는 종교의 새로운 재부흥과 현대인들의 영적인 갈망에 대한 신학적 분석과 그에 대한 신학적 응답으로서 기독교 인간주의를 성찰하고자 한다. 기독교 인간주의는 근대 이후 각각의 길을 걸어간 신앙과 이성 그리고 인간성과 신성의 관계를 다시 재정립하는 신학적 관점으로, 교회가 세상과 인류를 향해 영성적 비전과 보편적 문화윤리의 방향과 가치를 제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21세기 문화의 특수한 현상으로 새롭게 부상하는 영적이고 종교적이며 문화적 변화에 대한 기독교의 응답과 신학적 재구성은 향후 한국교회의 선교적 방향을 위해서도 중대한 이론적 토대가 될 것이다. 더 나아가 기독교 인간주의의 재정립은 하나님 형상으로서의 인간존엄성을 진정으로 회복하기 위해 성육신적 인간주의를 성찰함으로써, 점점 비인간화되어 가는 사회의 제문제를 근본적으로 분석하고 세상과 교회의 고립과 불통을 넘어 변화에 책임적으로 응답하는 사랑과 연대의 보편적 기독교 문화윤리를 제시할 것이다. 또한 특수한 한국적 상황에서 무엇보다 문화와 적극적으로 소통하지 못하는 한국교회가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육화되어 세상을 품고 나아갈 수 있는 길을 모색할 것이다. In this paper, I will develop the implications and meanings of Christian Humanism in our time, which is a post modern era responding to a unique cultural phenomenon of seeking the spirituality beyond institutionalized religions and doctrines of churches. In the recent time, many people, especially the young generation, say that they are not religious but spiritual. Even though the number of Korean protestant church goers have decreased rapidly and have been isolated from the society, people are longing for the spiritual experience regardless of if they are believers or not. In this background, I will study Christian Humanism by analyzing and reflecting on the renewal of religion theologically and culturally. This paper will also discuss the essential themes of the tradition of Christian Humanism in the historical scope. The lesson of the historical reflection on Christian humanism is that the classical faith confessed by Christians in each generation implies a strong and caring interest in human beings. The entire redemptive work of God both in people and church is to be perceived as enhancing and enriching human life on this earth. In the conclusion, I will suggest Incarnational Humanism as a new Christian Humanism that is able to respond with accountability to the new concern of spirituality and the renewal of religion in our time, since it is able to construct universal values of cultural ethics for the future of humanity.

      • 미투(#MeToo) 운동에 대한 기독교윤리적 고찰

        김은혜(Un-Hey Kim) 혜암신학연구소 2023 신학과교회 Vol.19 No.-

        한국 사회의 미투 운동은 성폭력 피해가 더 이상 피해자 개인의 문제가 아님을 인식하고, 공론의 장에서 성에 대한 새로운 담론으로 정착되어 가면서 여성을 정치적 주체로 서게 하는 중요한 변화를 이끌어 가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결코 비껴갈 수 없는 한국교회도 성폭력 현상에 대해 책임 있게 응답해야 한다. 본 논문은 끝나지 않는 미투 운동에 대해 기독교윤리적 관점에서 분석과 성찰을 통해 미투 운동의 의미를 생각해 보고자 한다. 또한 그 과정에서 미투 운동을 여성 주체성의 형성 과정으로 적극적으로 평가하며, 그것을 사회 변혁 운동으로 자리매김하고자 한다. 끝으로 다양한 사회 변화에도 불구하고 광범위한 성폭력 피해자의 호소가 공정하게 해결되지 않는 그 원인들을 규명하면서, 폭력으로부터 자유롭지 않은 교회 여성의 주체성 형성을 적극적으로 검토하며 미투 운동의 기독교윤리적 의의를 생각해 보고자 한다. The Korean Social Movement recognizes that sexual assault and violence is no longer a personal problem of the victim and leads to a major change in the women’s standing as a political subject as it is settled as a new discourse on sexuality in the field of public opinion. The Korean church, which can not be ignored in this reality, should respond responsibly to sexual violence. In this paper, I have attempted to think about the meaning of the MeToo Movement through the analysis and reflection from the Christian ethical perspective on the Me Too Movement which is not finished. In the process, I have actively evaluated the Me Too movement as a process of formation of women subjectivity and establish it as a social transformation movement.

      • KCI등재

        자연과 여성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생태여성주의와 여성신학의 대화

        김은혜(Un Hey Kim) 한국기독교학회 2003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30 No.-

        Today`s global village is taking ecological crisis seriously. And recently, in Korea, the consensus about the situation of ecological crisis has been rapidly growing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Western modern development ideology. Now, we observe that all life forms in the world are today under threat by the worldwide global disruption. In this paper. Responding this ecological crisis, I explore the issue of making conceptual and symbolic connection between women and nature in the relationship among feminism, ecology and theology. Reading this global and ecological crisis, ecofeminism sees a connnection gbetween the exploitation and degradation of the natural world and the subordination and oppression of women. In this sense, women`s movement and the ecological movement are closely connected. Both feminism and ecology have challenged the tradition of Christian doctrines of creation and redemption. They blame Christianity`s anthropocentric bias which is responsible for the consequent subjection and domination of nature. Because Christianity has strongly affected the shape of Western culture, destructive dualisms are persuasive in the thought structures throughout the parts of the world historically dominated by that culture. Therefore ecofeminist theology accepting these challenges bring together elements of the feminism, ecology and theology, while at the same time offering a challenge to all. Ecofeminism presents not only critique but also opportunities for feminist theology especially and the articulation of the more adequate theology for nature oppression and women oppression. While Resemary Ruether emphasizes the important account of the structures of social domination and exploitation that mediate the domination of nature, Sallie Macfague suggest new models and metaphors which are more adequate for contemporary ecological issues. Both claim that women are particularly connected to nature through the process of the patriarchal rejection of embodiment. The survival of all kind of living beings is severely challenged. A Global catastrophe os coming. However, we could overcome the crisis, when we construct a new lifestyle and culture based on feminine and maternal principles. And we need to reconsider the true meaning of the value, attitude, meaning of life, because we are the source of the crisis, we must recognize, the life of all living beings is in the sympathetic unity and comprehensive harmony. For recovering the humanity-nature relationship, we may take hope from the global awakening of the quest for the feminine voice that can the one-sideness of the masculine voice. Through the dialogue between ecofeminism and ecofeminism theology, all ecological scholars claim that we must rethink all feminine, maternal, and feminist principles to transform the oppressive culture and exploitive structure of patriarchal system in order to find more appropriate mode of relationship humanity-nature and man and women to ecological crisis. Both claim that these feminine principles(care, reciprocity, nurture, relationality, life, ect.) must be reconsidered for an alternative models of ethics by a rejection of the logic of andropocentrism and patriarchal conceptual framework. It is possible that dualistic, hierarchical, and andropocentric epistemology and ethics that have lead to the present exploitation of nature, of women, and of humanity in general may be tempered by nondualistic, relational, and feminine principles that make possible a new model of cultural ethics.

      • KCI등재

        비대면 문화에 대한 신학적 성찰: 디지털 문화에 대한 이해와 관계적 목회의 가능성

        김은혜(Un Hey Kim)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20 선교와 신학 Vol.52 No.-

        한국교회에 엄청난 충격을 가져온 코로나의 영향은 우리가 미처 인식하지 못하는 동안 목회현장뿐 아니라 성도의 신앙의식을 변화시키고 있다. 이제 한국교회는 코로나 이후 변화하는 목회 생태계의 변화에 저항하거나 단순히 적응하기보다 여전히 하나님의 섭리 안에 있는 세계 속에서 교회공동체를 돌아보고 성찰하며 목회현장에 대한 적극적 해석을 통하여 성도의 신앙생활의 전반과 목회적 대안들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또한, 목회의 대상으로서 성도들의 삶의 현장을 차분히 살피면서 코로나 이후 급변하는 환경에 적응하며 신앙생활에 변화를 겪고 있는 성도들의 삶의 방식과 신앙형성의 순환적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코로나 이후 미래의 교회공동체의 모습을 새롭게 디자인하고 모색해야 한다. 엄밀한 의미에서 언콘택트/비대면 문화는 초연결사회를 만들어가는 디지털 관계방식의 변화로 대면/콘택트문화와 분리되지 않는다. 인터넷 모바일 기기와 센서 기술 등의 발전으로 사람과 사물 등 모든 것이 네트워크로 연결된 사회에서 접촉을 줄어들지만, 접속은 다양한 네트워크를 통해서 증가 될 것이다. 특히 비대면 활동은 단순한 사회적 거리를 두기라기보다 이미 시작된 디지털 문화와 고도기술사회가 지향하는 중요한 방향이 되었다. 본 논문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한국교회의 목회 생태계의 변화를 예측하면서 비대면 시대에 관계적 목회의 가능성과 디지털 문화의 도전에 대한 신학적 성찰을 통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바람직한 교회공동체 형성과 새로운 관계적 목회방식에 대한 제언이다. The impact of Covid-19, which has had a tremendous influence on Korean churches, is changing the pastoral field and the believers consciousness while we are not aware of it. Now, rather than resisting or adapting to the changing environment after the coronavirus, Korean churches should look back and reflect on the church community in still a world in the love and providence of God, and take an interest in the transformation of the believer"s faith life. In particular, through active interpretation on the change, it is necessary to apply it on the pastoral field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ay of life and the consciousness of faith of Korean Christian. They are adapting to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after the coronavirus and look for a new shape of the future church. This paper predicts the changes in the Korean church pastoral ecosystem after the coronavirus, and presents the theological basis for the possibility of relational and empathetic ministry in the non-face-to-face era through theological analysis of the challenges of digital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