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티팝과 아시아적 도시감성의 탄생-일본, 홍콩, 타이완, 한국을 중심으로

        김은영 ( Kim¸ Eunyeong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21 도시인문학연구 Vol.13 No.2

        본고는 1980년대 시티팝의 아시아적 유행을 일본, 홍콩, 타이완, 한국을 중심으로 재구성하고, 그것을 도시적 취향 및 감성의 탄생과 관련지어 재고찰한다. 거품경제시기에 일본의 젊은 신흥 도시 중산층을 중심으로 유행했던 시티팝은 크로스오버적 사운드와 도시에 대한 소비주의적 페티시즘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일본의 시티팝은 홍콩에서 아니타 무이와 같은 슈퍼스타에 의해 광둥어와 표준 중국어로 번안되어 불리며 중화권 지역으로까지 전파되었다. 타이완과 한국에서는 도시를 근거지로 하는 현지 뮤지션에 의해 자생적 시티팝이 탄생하기도 했다. 1980년대 동아시아 대도시 지역에서의 이러한 시티팝의 유행은 코즈모폴리턴적 지향을 지닌 아시아적 도시감성 형성의 일면을 보여준다. This paper reconstructs the trends of City Pop in East Asia in the 1980’s and examines them in relation to the birth of urban taste and sensibility. City Pop, which is characterized by crossover sound and consumerist fetishism of the city, was in fad among the new-emerging young Japanese middle class during the Bubble Economy period. It was introduced to the Sinophone world via Cantonese and Mandarin covers of the Japanese original songs by Hong Kong super stars such as Anita Mui. In Taiwan and Korea, indigenous singer-songwriters based in Taipei and Seoul created their own City-Pop music with or without a direct connection with Japanese City Pop. This City-Pop boom in the urban areas of East Asia manifests the development of Asian urban sensibility which has transnational nature and cosmopolitan orientation.

      • KCI등재

        혁명의 번역: 루쉰의 ‘경역’에 대한 재고찰

        김은영 ( Kim Eunyeong ) 한국중국어문학회 2021 中國文學 Vol.107 No.-

        이 논문은 직역주의 및 탈식민주의에 대한 비판적 관점에서, 루쉰의 ‘경역'을 재고찰한다. 루쉰은 교육수준이 높은 독자를 대상으로 하는 번역에 있어 일관되게 직역의 방식을 고수했으나, 이는 원천 텍스트를 그대로 재현하기 위해서가 아니었다. 오히려 그는 그러한 직역의 이상을 근본적으로 좌절시키는 번역가의 죽은 모국어 및 이에 기반한 주관성과 세계관을 드러내기 위해 경역을 선택하였다. 그의 경역은 ‘삶기’와 ‘씹어 먹기’라는 두 개의 과정으로 구성되는데, ‘삶기’가 자아의 주관성과 세계관을 해체하는 과정이라면 ‘씹어 먹기’는 그렇게 해체된 입자들이 완전한 새로움을 향해 나아가도록 주관화된 타자상을 해체하는 과정이다. 자아와 타자 모두에 대한 혁명이기도 한 이 같은 이중의 해체를 통해, 루쉰의 경역은 답보 상태에 빠진 듯한 기존 탈식민주의 담론에 돌파구를 제시한다. This paper revisits Lu Xun’s “Hard translation” from a critical view of literalism and post-colonialism. Lu Xun consistently adhered to literal translation for highly educated readers but it was not to represent the original text as it is. Rather, he chose “Hard translation” in order to reveal the ‘dead' native language of the translator and his subjectivity and worldview that fundamentally frustrate the ideal of literal translation. His “Hard translation” consists of two phases ―“cooking” and “chewing.” “Cooking” is to deconstruct the subjectivity and worldview of the self; “Chewing” is to deconstruct even a subjective image of the other so that the particles deconstructed by the “cooking” process can go forward to complete newness. Through this double deconstruction that is also the revolution of both self and other, Lu Xun’s “Hard translation” makes a breakthrough in the existing postcolonial discourse which seems to be in a stalemate.

      • KCI등재

        광증의 전변: 의료인문학적 관점에서 〈광인일기〉 서문 다시 읽기

        김은영 ( Kim¸ Eunyeong ) 한국중국어문학회 2021 中國文學 Vol.108 No.-

        This paper revisits Lu Xun’s preface to “A Madman’s Diary” from the perspective of medical humanities.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the preface is often regarded as a metaphor for the cannibalistic feudal society surrounding the madman. However, a detailed analysis of the three characters appearing in the preface debunks the common belief. First, the narrator of the preface, who identifies the madman’s symptom as persecution mania and intends to serve his diary as a subject for medical research, sees the madman’s madness from the perspective of psychiatry and psychoanalysis of the West which was introduced through Japan. Naming his diary “A Madman’s Diary,” the madman himself participates in the translingual and transcultural practice in which the traditional concept of kuang, by way of the Western discourse of psychiatry, is transformed into the modern concept of kuangren. Different from the two characters, the madman’s older brother seems to waver between the traditional and the modern. Nevertheless, he too is far from being a hard-line adherent of the traditional worldview. The world of the preface, which is much more modern than it appears, urges us to make a complete change in direction of our second, allegorical reading of the preface as well.

      • KCI등재

        공공미술 정보망 구축의 방안: 선진 사례 고찰을 통한 접근

        김은영(Kim Eunyeong) 한국예술경영학회 2003 예술경영연구 Vol.4 No.-

        The Internet has been widely used in museums and greatly influenced the activities and meanings of the museum since 1990s. However it is still modest for the museum community in korea to recognize prospective benefits of museum informatics in lacking of the global standard documentation, information standardization, and networked catalogs that have been basic concepts of museum computeriza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since 1960s. Current trends and developments on museum computer technologies were introduced by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f “Museums and the Web” organized by Archives and Museum Informatics, the States based publisher. Since its inception, the focus of the conference subjects shifted to more diversified web contents from investigating basic concepts and technologies of museum web sites such as to interlink the web and collections database. Up to date issues are varying from constructing online educational programs, to developing multimedia contents for exhibition tour guide, and to realizing virtual reality experiences through cyber museum. In light of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dvanced cases of constructing online art information for public uses. It is hoped to enhance the awareness of conceptual framework for museum computerization and new scope of museum informatics in internet environment. It will help museums and art professionals in korea to establish goals and objectives for various cultural information projects which are just in the beginning of adapting information technologies. Throughout the report the phrase ‘art information network for public uses’ implies museum information system and web sites run by art institutions and museums primarily for public services and uses rather than internal administrative purposes. The scope of the objectives includes national cultural information network, united databases among special group museums and individual museum websites in Northern America. It reviewed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formation structure and main concepts. For the background of the study, the author shortly outlined the history of museum automation and identified issues of the current museum information system. It revealed that museum information system need to change focus from collections management to content management, which will provide broad context for using museums’ knowledge resources. In other words, the essence of designing museums and art information is how to construct contextual information through web sites and information databases. Following three categories of case studies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find out the concept and method of information construction at broad or detailed levels of context. First the study investigated two information networks among group museums called Museum Online Archive California(MOAC) and Conceptual Intermedia Art Online(CIAO). The MOAC project was initiated to investigate the problems of research in all areas of our cultural heritage, the geographic distribution and limited access to the collections of unique materials that are held in libraries, museums, and archives around the world. It proposed to solve this problem by creating a prototype virtual museum archive that integrates standardized “finding aids” for museum and library special collections into a single source, thus providing access to collections held by archives, museums, and libraries throughout the state of California. The CIAO project is an collaborative project between eight art institutions to create networked access to educational and scholarly material on the broad theme on conceptual and intermedia art. Conceptual Art presents problems of access that impede its use by scholars and students, and its exposure to the general public. While there may be literature on and exhibitions of conceptual art, but collections access is impeded by the ephemeral, documentary and multi-part, mixed-media

      • 주민주도형 지역개발을 위한 주민역량 진단요인분석

        김은영 ( Eunyeong Kim ),리신호 ( Shinho Rhee ),송이 ( Yi Song ),정다영 ( Dayeong Jeong ) 한국농공학회 201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3 No.-

        최근 사회적 가치의 변화로 인하여 농업ㆍ농촌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변화하고 있으며, 농촌 활성화를 위한 대안으로 지역개발사업이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사업추진에 있어서 지역주민 의견 미반영과 관주도형 사업진행 등의 문제로 주민들의 사업 참여의지가 낮으며, 지역개발사업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사업에 대한 이해와 참여에 대한 중요성 인식이 필요하다. 지역개발사업은 지역주민들의 생업과 밀접한 농업현장에서 이루어지므로 주민들 스스로 마을의 자원을 발굴하고 발전방향을 계획할 때 성과가 높아진다. 또한 주민주도형 계획수립은 전문가의 일방적인 계획수립을 지양하고 마을의 이익을 위한 목표설정과 선택의 정당성을 부여하는데 의미가 있다. 이러한 주민주도형 지역개발계획을 위해서는 역량을 갖춘 인력이 양성되어야 하며, 양성된 인력의 역량을 진단할 수 있는 도구가 구체적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촌마을 주민들의 역량 진단을 위해 개발된 요인들을 분석하여 주민역량 진단 요인을 분류하고, 설문요인들의 타당성 및 적합성을 판단하였다.

      • 주변 자원과의 연계를 통한 명심체험마을의 발전방향

        김은영 ( Eunyeong Kim ),송이 ( Yi Song ),윤성수 ( Seongsoo Yoon ),리신호 ( Shinho Rhee ) 한국농공학회 201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2 No.-

        국민들이 여가를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여가프로그램의 확충 및 다양성이 요구되고 있다. 도시민들이 쉽게 접할수 없는 환경적 요소인 농촌 관광은 여가 활동의 재창조라는 관점에서 부합되는 측면이며, 농촌의 경제적 활성화와 더불어 농도 문화의 교류와 발전적 측면에서 시너지효과를 가져온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진천 명심체험마을의 활성화를 위해 현재 마을의 어메니티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다른 자원과 연계하여 중·장기적인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 다양한 시각에서의 체험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앞으로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1. 연구의 범위는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명암리 187번지에 위치하고 있는 농촌체험마을인 명심체험마을을 중심으로 대상지역의 일반현황조사, 자원현황조사, 사례분석연구를 통하여 농촌체험마을의 특성과 합리적인 계획방안을 제시한다. 2. 명심체험마을 주변에 김유신탄생지, 생거진천화랑촌, 보탑사, 길상사, 진천종박물관, 진천역사테마공원 등 전통·문화자원이 풍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3. 명심체험마을은 전통자원과 문화자원이 많은 마을이므로 역사와 문화유적을 대표적인 체험 프로그램으로 계획하여 이동하면서 각 문화유적을 둘러볼 수 있도록 활동성을 추가 하였다. 그래서 농촌체험과 문화유적 체험을 같이 함으로써 학습과 체험의 효과가 향상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4. 명심체험마을의 자원과 생거진천자연휴양림의 자원을 연계하면서 휴양림의 지형자원으로 다양한 자연 친화적인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농도 교류의 활성화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민주시민육성을 위한 미디어리터러시 역량의 의미와 정규교육과정 통합 방안

        김현진(Kim Hyeonjin),김현영(Kim Hyeonyeong),김은영(Kim Eunyeong),류향승(Yoo Hyangseung),김보윤(Kim Boyoon),박희락(Park Heerak),최미애(Choi Mi-a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1

        본 연구는 국내 초·중등학교 정규교육과정에 활용 가능한 민주시민육성을 위한 미디어리터러시 교육의 실천적 산출물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국내외 관련 선행 연구 및 교육과정 사례를 분석하고, 연구 산출물의 내용 타당성과 현장 적용성 평가를 위해 관련 경력교사 대상 집단면담과 초·중등학교 교과별 일반교사 16인 대상 면대면 평가를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첫째, 국내 사회 및 교육 맥락을 고려한 민주시민 육성 미디어리터러시의 역량 개념 및 하위 역량으로 구성된 역량 프레임워크를 도출하였다. 둘째, 이러한 역량을 정규교육과정 수업에 통합하기 위해서 2015개정 교육과정근거 초·중등학교 전체 교과 통합형 63개 주제의 ‘학습주제사전’을 개발하였다. 셋째, 주제 선정의도 및 수업 안내표인 ‘교육과정 연계 성취기준’ 261개 항목을 추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민주시민육성을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정규교과 통합 방안으로서, 미디어 교육에 대한 접근성 향상 전략을 통한 수업 부담감 해소, 체계적 공식적 학습 사이트 운영을 통한 교사와 학습자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활동지원, 추진체계 구축을 통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체계적 실행, 학교 급별 교육의 연계성 체계화, 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교사 교육 실시를 통한 교원전문성 함양, 학습자 기본 소양으로서의 디지털리터러시 함양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practical output of media literacy education, designed to foster democratic citizenship, which can be used for regular curriculums in domestic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Therefore, we analyzed prior studies,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nd media literacy education cases. We also conducted group interviews with expert teachers who had experiences i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nd media education. As a result, we derived a competency framework considering the social and educational context in Korea. In addition, in order to integrate the competency into the regular curriculums, we derived the ‘Dictionary of learning themes’ and the ‘Achievement standards’ applicable to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all subjects by each grade of all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To evaluate whether the contents of such outputs are the validity and field applicability, we also conducted additional group interviews and a face-to-face evaluation with 16 inservice teachers by each subject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The review of the validity finally made a ‘media literacy competency framework for fostering democratic citizens’, the ‘dictionary of learning themes of 63 available to be integrated into all the subject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261 items for Achievement standards linked to the curriculum as a guidebook that presented the intention of selecting the themes. Finally, we suggested policy and practice for integration plan into the regular curriculum of media literacy education to foster democratic citize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