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다자녀를 양육하는 중년 여성의 심리적 경험 연구

        김은숙 한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63

        본 연구는 다자녀를 양육하는 중년 여성의 심리적 경험에 관한 의미와 본질을 심층적으로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첫째, 다자녀를 양육하는 중년 여성은 무엇을 경험하는가? 둘째, 다자녀를 양육하는 중년 여성의 심리적 경험의 본질적 의미는 무엇인가?이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표본자료의 분석을 토대로 개별 심층 면담을 실시한 후, 자료 분석은 Giorgi(2003)의 현상학적 4단계에 따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참여자는 11명으로 이들의 나이는 40세 후반에서 50세 초반에 해당한다. 참여자 자녀의 나이는 8세에서 27세로 유아기 집중 돌봄 시기를 지난 초등학교 이후에서 청년기로 제한하였고, 참여자별 자녀수는 3명이 4가구, 4자녀를 둔 여성이 4가구, 5명의 자녀를 둔 여성이 2가구, 6명의 자녀를 둔 여성이 1가구로 구성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1년 1월부터 2022년 3월까지이고, 개인별 심층 인터뷰와 전화 통화, 카톡, 문자, 메일, ZOOM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러한 분석 과정에서 648개의 의미 단위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다자녀를 양육하는 중년 여성의 심리적 경험의 본질적 구조를 25개의 하위 구성요소와 8개의 핵심 구성요소로 나누었다. ‘계획 없는 임신을 순리로 받아들이기로 함’, ‘주변의 다자녀 출산 걱정으로 더욱 속상함’, ‘다자녀에 대한 따가운 시선 때문에 외부와 단절하게 됨’, ‘최선을 다해 아이들을 돌봤지만 부족함을 느낌’, ‘계속된 양육으로 잊고 있던 중년의 나이를 실감함’, ‘중년의 과업은 아이들 양육으로 인해 밀려남’, ‘오랜 육아 기간은 나를 이해하게 됨’, ‘다자녀 양육 경험은 나를 변화시켜 왔음’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다자녀를 양육하는 중년 여성의 심리적 경험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의미 있게 구조화하기 위해 4범주로 구분하였다. 첫 번째, 과정은 ‘다자녀를 운명으로 받아들임’, 두 번째 과정은 ‘다자녀 양육에 고군분투함’, 세 번째 과정은 ‘중년에도 여전히 양육 중인 나를 다독임’, 마지막 과정은 ‘가족 안에서 삶의 의미를 찾음’이다. 본 연구는 다자녀를 양육하는 중년 여성의 심리적 경험을 제시한 것으로서, 기존 연구와는 달리 중년기에도 여전히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여성의 심리적 경험을 보여주고 있기에 부모 상담과 중년 여성의 자녀 양육의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언어발달지체유아의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김은숙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would like to know about what influences Enhanced Milieu Teaching applied in natural environment including child subject have on the expressive language abilities of young child with language developmental delay. For this research, targeting a child with language developmental delay, Enhanced Milieu Teaching was implemented during free-choice activity time, art class, and lunch time among daily schedules of kindergarden. The expressive language abilities were analyzed by recording the frequency of speaking goal language spontaneously. The experiment is that base assessment was implemented during four to nine sessions in each situation to know the expressive language abilities before arbitration, arbitrations of eleven to fourteen sessions were experimented, and three maintain assessments were performed one week after terminating arbitration. The consequences of the study are the followings. First, as a result of implementing Enhanced Milieu Teaching on young child with language developmental delay, since the study shows that the spontaneity frequency of child increases, as arbitration is performed, we can say that Enhanced Milieu Teaching increases the expressive language abilities of child subject. Second, even after terminating the arbitration, the expressive language abilities of child subject was maintained. The consequence of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arbitration was implemented among kindergarden's daily schedules including young child, and the expressive language abilities was improved as a result of performing on young child with language developmental delay plentiful in actual places. In addition, this will be a real help to kindergarden teachers.

      • 윤리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태도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상사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은숙 상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In modern society, the importance and awareness of ethical management increase, and all organizations including corporations and public organizations act voluntarily with ethical consciousness in politics, economy, environment, society and culture.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n ethical leader who encourages ethical behavior of members. This is an empirical analysis study that verifies between the effect of ethical leadership on leader trust, attitude and behavior of members and mediating role of ethical leadership and trust in supervisor. In this study, I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leaders and organizational members of Kangwon–do companies by theoretical model and hypothesis test. A total of 2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of which 235 were collected and 194 were used for actual analysis. As a result of the questionnaire survey, the leadership of ethical leader showed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supervisor trus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is result shows that leader trust positive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leadership,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results also suggest that leader trust is needed to strengthen the attitudes and behaviors of employees based on ethical leadership. 현대사회는 윤리적 경영의 중요성과 인식의 증대로 인해 기업 및 공공기관을 비롯한 모든 조직은 정치, 경제, 환경, 사회,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윤리의식을 가지고 자발적으로 행동하고, 구성원들의 윤리적인 행동을 장려하는 윤리적 리더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윤리적 리더십이 상사신뢰, 구성원의 태도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사이에 있어서 윤리적 리더십과 상사신뢰의 매개역할을 검증하는데 초점을 둔 실증분석 연구이다. 이론적 모형 및 가설검증을 통해 본 연구는 강원권 기업의 리더와 조직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50부를 배포하여 235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었으며, 실제분석에 사용한 총 194부의 구성원과 상사의 설문분석결과,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은 구성원의 상사신뢰,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사신뢰가 윤리적 리더십과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매개함을 규명하였다. 또한 연구 결과를 통해 윤리적 리더십을 바탕으로 조직구성원들의 태도와 행동을 강화시키기 위해서는 상사신뢰가 필요함을 시사해주고 있다.

      • 임플란트 지대주 종류가 동적하중 전후 임플란트 풀림토크에 미치는 영향

        김은숙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지대주 나사풀림은 임플란트 수복에서 가장 흔히 발생하는 합병증이다. 한편, 임플란트 보철물은 기성 지대주와 맞춤 지대주를 이용하여 제작하는데, 최근 CAD/CAM을 이용한 맞춤 지대주 사용이 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작 방법이 다른 세 종류의 임플란트 지대주에 동적하중을 가하기 전후의 풀림토크를 측정하여, 지대주의 종류와 동적하중이 임플란트 보철물의 나사풀림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하고자 하였다. 제작 방법이 다른 세 가지 지대주를 이용하여 동일한 형태로 시편을 제작하였다. 기성 지대주는 Transfer Abutment (Osstem Co., Seoul, Korea), 금주조 지대주는 GoldCast Abutment (Osstem Co., Seoul, Korea), CAD/CAM 맞춤 지대주는 MYPLANTTM (Raphabio, Seoul, Korea)를 이용하였다. 치과용 임플란트의 피로시험에 관한 ISO 규정 14801에 의거하여 장축 방향에서 30°로 하중을 받을 수 있도록 맞춤 지그를 제작하였다. 임플란트 고정체를 지그에 고정하고 전자토크조절기를 이용하여 30 Ncm의 조임회전력으로 지대주를 연결한 후, 디지털토크게이지를 이용하여 초기 풀림회전력을 측정하였다. 피로하중시험기로 25 ~ 250 N, 14 ㎐, sine형 동적하중을 105 회 적용한 후 풀림회전력을 측정하였다. 초기 풀림회전력 상실률, 하중후 풀림회전력 상실률, 동적하중에 의한 풀림회전력 상실률을 계산하였다. SPSS를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지대주 종류에 따른 나사풀림 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Kruskal-Wallis test를 이용하였고, 하중 전후 나사풀림 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Wilcoxon Signed-Rank test를 이용하였다. 지대주 종류에 따른 하중전, 하중후 풀림회전력을 비교한 결과 기성 지대주, 금주조 지대주, CAD/CAM 맞춤 지대주 순으로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중 전후에 따른 풀림회전력을 비교한 결과 기성 지대주와 금주조 지대주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CAD/CAM 맞춤 지대주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5). 초기 풀림회전력 상실률, 하중후 풀림회전력 상실률, 하중에 의한 풀림회전력 상실률 모두 기성 지대주, 금주조 지대주, CAD/CAM 맞춤 지대주 순으로 낮았으며, 지대주 종류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지대주 종류는 단기간의 나사풀림에 영향을 주지 않았고, 105회 동적하중은 기성 지대주, 금주조 지대주의 나사풀림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나 CAD/CAM 맞춤 지대주의 나사풀림에는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CAD/CAM 맞춤 지대주의 나사풀림과 관련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Statement of problem Abutment screw loosening is the most common complication of an implant restoration. Meanwhile, an implant prostheses is made using a stock abutment and a custom abutment. Recently, the selection of a custom abutment using CAD/CAM has increased.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abutment types and dynamic loading on the stability of implant prostheses with three types of implant abutments prepared using different fabrication methods by measuring removal torque both before and after dynamic loading. Materials and methods Three groups of abutments were produced using different types of fabrication methods. Transfer Abutment (Osstem Co., Seoul, Korea) was used as stock abutment, GoldCast Abutment (Osstem Co., Seoul, Korea) was used as gold cast abutment, and MYPLANTTM (Raphabio, Seoul, Korea) was used as CAD/CAM custom abutment. According to the ISO standard 14801 for dentistry, which is the fatigue test for endosseous dental implants, a customized jig was produced to apply the load at 30° to the long axis. The implant fixtures were fixed to the jig, and connected to the abutments with a 30 Ncm tightening torque using an electronic torque controller. Removal torque before loading was evaluated using a digital torque gauge. A sine curved dynamic load was applied for 105 cycles between 25 and 250 N at 14 ㎐ using a dynamic loading fatigue tester. Removal torque after loading was evaluated. Loss ratio of removal torque before loading, removal torque after loading, and removal torque between before and after loading were calculated. The SPSS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of the results. A Kruskal-Wallis test was performed to compare screw loosening between abutment systems. A Wilcoxon Signed-Rank test was performed to compare screw loosening between before and after loading in each group. Results Removal torque value before loading and after loading was the highest in stock abutment, which was then followed by gold cast abutment and CAD/CAM custom abutment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Stock abutment and gold cast abutment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removal torque value before loading and that after loading but CAD/CAM custom abutmen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05). All loss ratios of removal torque before loading, removal torque after loading, and removal torque between before and after loading were the lowest in stock abutment and followed in order by gold cast abutment and CAD/CAM custom abutment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Conclusion From these results, the abutment types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short term screw loosening. On the other hand, after 105 cycles dynamic loading, CAD/CAM custom abutment affected the initial screw loosening, but stock abutment and gold cast abutment did not. Further studies related to CAD/CAM custom abutment will be necessary.

      • 시스플라틴 처리된 청각세포의 ER에 대한 KCNE1의 역할과 만성중이염에서 분리된 MRSA의 내독소 유전자

        김은숙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47

        KCNE1 유전자는 voltage-gated K+ channel 인 소단위의 막전위 단백질이다. 이 유전자는 내이, 심장, 콩팥을 포함한 여러장기에 존재하고 있으며, 내이조직에서는 outer hair cell 과 stria vascularis 에서 발현한다. KCNE1 유전자는 다른 K+ 채널의 활성을 조절하는 기능이 있으며, 내이에서는 정상적인 청력을 위하여 여러 이온농도적 균형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세포내 K+ 농도는 세포자멸과 연관되어 있다. 시스플라틴은 세포네 K+ 농도를 감소시키지만 소포체 손상의 연관성은 아직 밝혀진 바가 없다. 이 실험에서 시스플라틴는 청각세포 K+ 감소를 초래하고, KCNE1유전자 과발현은 청각세포내 K+의 농도를 정상적으로 유지하여 소포체 손상을 예방하여 시스플라틴에 의한 세포독성으로 부터 청각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KCNE1 과발현 청각세포는 세포내 K+ 농도가 증가 되어 있었다. 시스플라틴 처리시 세포내 K+ 농도는 감소후 빠르게 정상수준으로 복귀하였으며, Ca2+ 농도는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또한 시스프라틴은 소포체 손상을 유도하는 GRP94 발현을 증가시켰으며, 그로 인해서 ATF6와 GADD153 단백질 발현이 증가하였다. 소포체 손상을 유도하는 thapsigargin을 처리한 세포내 Ca2+ 농도는 KCNE1 과발현 청각세포에서 현저하게 감소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시스플라틴이 소포체 손상에 의한 세포내 Ca2+를 증가와 세포내 K+ 감소를 유도하였으나, KCNE1 과발현은 세포내 Ca2+ 증가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었다. 배경 :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은 만성중이염의 병원균으로 잘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 분리되는 MRSA는 대부분이 toxic shock syndrome toxin (tsst) 와 staphylococcal enterotoxin C (sec)의 분리율이 높게 나왔다. Pulsed-filed gel electrophoresis (PFGE) 유형도 연관성이 있다. 만성중이염은 청력손실을 유발하기도 하여서 본 실험은 청력이 야기된 만성중이염환자로부터 분리된 MRSA로 부터 청력과 분자생물학적 연관성을 알아보고져 하였다. 방법 : 2007년 9월 부터 2008년 1월까지 원광대학교병원을 내원한 이루를 형성한 중이염환자 80명으로 부터 분리된 MRSA균주에서 청력자료가 있는 23균주를 가지고 내독소 유형과 PFGE 계통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23균주중에 20균주는 내독소를 가지고 있었으며, 70% (14/20)의 청력손실이 야기되었다. 대부분이 tsst, sec를 가지고 있었으며 PFGE 계통분석는 10개의 집단으로 분석 되었다. 3개 (13.6%)의 tsst 집단은 100%의 유사성을 보였다. 결론 : 중이염환자로부터 분리된 MRSA는 tsst 와 sec 유전자가 분리 되었으며, 70%의 청력손실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부터, 청력손실과 MRSA 내독소와의 연관성을 추측 할 수 있다.

      • 야생화의 조형미를 응용한 헤어아트 디자인 개발

        김은숙 대구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간과 자연은 조화와 균형을 이루면서 그 형태와 형상이 이상적인 미를 제공하며, 인간의 미적인 대상이 되어 관찰되어지고 아름다움을 창조하기에 예술의 끊임없는 소재로 등장한다. 자연 속에서 꽃은 곡선적인 아름다움과 화려한 색채와 향기로 시각적 즐거움과 안정감을 준다. 우리의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고 강인한 생명력과 다양한 조형성을 가지고 있는 야생화를 주제로 하여 다듬어지지 않은 자연미와 유연한 곡선, 정형화 되지 않은 다양한 형태 등은 현대인들에게 정신적 위안과 심리적 안정감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야생화를 통해 아름다운 조형미를 연구함으로써 헤어아트 디자인의 모티브를 제공하고, 조형적 이미지에 맞는 디자인 요소와 소재를 적절히 활용함으로써 단순히 형태의 재현을 넘어 표현기법의 한계를 극복하고 헤어아트 디자인의 표현영역을 확장하여 예술적 측면과 학문적 측면을 배가시켜 미용문화를 다각화하여 실용성과 예술의 경계를 허물고 새로운 조형예술로써 발전되어 사회, 문화적 예술로 활성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야생화의 조형미를 응용한 헤어아트 디자인 개발을 통한 창작 작품을 제작하여,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야생화의 조형적 측면에서 조형미를 야성미, 순수미, 조화미로 나누어 헤어아트 디자인의 표현과 연결하였을 때 야생화의 다양한 조형미는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작품으로 표현하기에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디자인원리의 측면에서 야생화의 형태를 분석하여 대비, 반복, 조화, 점이를 추출하여 야생화의 조형성을 여러 가지 소재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표현하기에 부족함이 없었다. 셋째, 디자인을 표현하는 재료는 여러 분야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재료로써 펠트, 나뭇가지, 케이블 타이, 주트, 아크릴물감, 와이어, 매니큐어, 스티로폼 구, 롤스티로폼, 빨대, 비즈, 조화, 에바(EVA), 인조모발등을 사용하여 헤어아트 디자인 제작에 효과적으로 활용 할 수 있었다. 넷째, 작품을 제작하고 표현하는 과정에서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어지고 있는 다양한 재료가 예술적 가치를 지니고 소재로 사용함에 있어서 무한한 변화로 재창조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야생화의 조형미를 응용하여 다양한 소재를 이용한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디자인을 개발 할 수 있었다. 앞으로 여러 분야에서 좀 더 다양한 야생화의 조형미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라며 야생화에 대한 정보 자료가 되고 헤어아트디자인의 응용에 도움 되길 바란다.

      • 어머니의 교류분석 집단상담 경험이 청소년 자녀의 자아상태와 인생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은숙 한남대학교 사회문화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children's ego status and life position by examining mother's experience on TA group counseling, thru looking at the relationship of each variables, following factors of mother and adolescent children's ego status and life position.Subject of this study was total 30 people comprised of 11 mothers and 19 of their children and analysed the sample and result of written survey of their ego status and life position prior and after the program. To find out the differences on participating TA group counseling mothers ego status and life position, and their children's ego status and life position, conducted the effects of program by t - examination by differentiating the points prior and after the survey, and analysed co-relationships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of mother's ego status and their child's ego status, factors of mother's life position and their child's life position. To cure the limitation of the qualitative results on statistical exam, analysed the self report submitted each period and the reports of their changes during program.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follows. First, it appears that their is co-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es on mother's ego status and their 1st child's ego status, the higher the mother's critical parental ego(CP) capacity, the higher the 1st child's critical parental ego(CP)capacity, but lower the their nurture parental ego(NP). And the higher the mother's free child ego(FC) capacity, the higher the 1st child's nurture partial ego(NP). Second, it appears that their is co-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es on mother's life position and their 1st child's life position. Mother's negative attitude on others draws the meaningful negative co-relationship of 1st child's self denial and other affirmation, which means that the higher the mother's negativity on others, the lower the 1st child's capacity of self denial and other affirmation attitude. In 2nd child's case, it didn't draw any meaningful co-relationship on all variables. We can conclude that mother's expectation is attached too much to 1st child and 2nd child is relatively allowed more freedom when they grow up. It means that 1st child receives more influence from their mother than 2nd child and it shows that our country's 1st child's biased child rearing can be big support and at the same time burden to 1st child. How the adolescent is recognized in family can affect the adolescent's societal adaptation greatly, and failure in family can increase possibility on school failure, furthermore will increase the possibility on failure in society.As we know how important the mother's child rearing attitude, it compels further study and understanding on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and mother ,and healthiness on families.

      • 碩齋 尹行恁의 著作과 학문 경향

        김은숙 啓明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碩齋 尹行恁(1762~1801)은 18세기 후반의 정치가이자 학자이고 문인이다. Ⅱ장에서는 먼저 남원 윤씨의 가계를 살펴보고 석재의 선조 가운데 윤섬, 윤계, 윤집을 중심으로 유난히도 애국·충절이 남달랐던 집안 내력을 살펴보았다. 생애는 실록과 行狀, 諡狀의 기록을 통해 시간순으로 살피되 석재의 관직생활을 중심으로 고찰해보았다. 교유에서도 사환기의 교유에 주목하고 아정 이덕무, 강산 이서구, 금릉 남공철, 성서 이곤수 등과의 교유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석재의 저작, 저술을 살펴보았다. 석재는 뛰어난 학자답게 방대한 양의 저작을 남겼는데 필자는 이를 문학류, 역사류, 경학류의 세 분류로 나누어 살피고 아울러 저작에 따른 학문 경향을 고찰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다루었던 내용과 「석재고」를 통해 추출한 요소들을 바탕으로 석재의 박학적 학문 경향을 살폈다. 본고는 석재 윤행임 연구의 출발로 그간 다루어지지 않았던 부분을 중심으로 석재의 생애와 교유 및 저술 일반, 그리고 학문 경향을 고찰한 것이다. 본고가 비록 앞으로의 연구과제에 있어 출발에 지나지 않으나 기존의 성과와 더불어 적지 않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The study investigated the life and scholastic views of ‘Seokjae Yoon haeng-im(1762~1801)’ a literary and political figure in the reign of kings Jeongjo and Soonjo. Seokjae wa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literary figures in the early 18th century and his excellence has been recognized by later literary men. In this reg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tribute to the existing researches on scholastic views in the late 18th century by looking closely into the life and scholastic views activities of Seokjae. In terms of Seokjae's life, the study looked closely into the political and cultural effects of his genealogy and confirmed that he made close friends with the government officials working for Gyujanggak such as Yu Duk-Gong, Lee Deok-mu, Lee Seo-gu and Lee Gon-su including his relatives by marriage and friends. It has been also observed that he had a great political and cultural influence on the king Jeongjo after becoming a governmental official in his manhood. The study investigated the summary of his writings in terms of his prose, the composition of 「(Posthumous) Works of Seokjae」 and the presence of whether there were any noticeable works. his personal background, along with his bibiographical study of Chinese classics from the ch'ing Dynasty, influenced the shaping of his scholastic views. Being more involved in the studies of the Ch'ing dynasty, rather than absorbing its culture, he introduced an approach to historical reserch based on a new Confucian methodology. The foundation of scholarship was conventional Confucianism. The root of this ideology was in Confucianism. The crucial element in his individuality as a realist was that he was under the strong influence of Confucianism at the time. 「(Posthumous) Works of Seokjae」 shows his high level of scholarship.

      • 기업 브랜드의 시각적 아이덴티티 반영 정도에 따른 고객 감성 반응의 차이 : 고객관계관리 증진을 위한 DM을 중심으로

        김은숙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know how customer’s emotional response is related with the applied visual identity level of corporation brand, especially through DM (Direct Mail) which is a media contacts a customer in person. In this study, the ‘corporation-centered design’ defines a design which maximizes the brand’s visual identity, and the ‘customer-centered design’ defines a design which minimizes the brand’s visual identity. Also, this study considered that the response of customer would be changed by 3 conditions: brand awareness, the service point of DM, and customer’s brand loyalty. Thus this research used 3 standards for classifications; first, ‘corporation-centered design’ and ‘customer-centered design’ were classified into DM for ‘intimacy use’ and DM for ‘product us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DM. Second, they were divided to high and low according to levels of brand awareness. Third, there were two groups of customer which have loyalty and have not. DM for ‘intimacy use’ designed as Thank-you letters for purchasing, and DM for ‘product use’ designed as covers of insurance policy document. The brand selection with awareness followed the research of the 10th Korea Management Association Consultants’ Brand Power (K-BPI)(2008), and pre-research verified it. ‘Corporation-centered design’ and ‘customer-centered design’ were represented and verified by reveiwing literature and pre-research. Main research advanced with these four verified designs; it has 9 adjectives items for measuring the emotional response. Those 9 items were closely correlated with emotional response, which were necessary for promotion of customer relationship, and consist of emotional response section; they were chosen among 38 scales based on ‘The Study of Korean Brand Personality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by Yang Yoon, Cho Eun-Ha (2002). There were another section for finding the response of brand loyalty, and section for general information such as gender and age. In the case of thank-you letter for purchasing in ‘intimacy use’, 4 adjectives were significant in ‘corporation-centered design’ and high brand awareness: ‘friendly’, ‘reliable’, ‘conservative’, ‘formal’. ‘Customer-centered design’ tended to show these 5 significant adjectives: ‘progressive’, ‘sophisticated’, ‘confident’, ‘interesting’, ‘impudent’. In low brand awareness, ‘corporation-centered design’ showed responses of ‘reliable’, ‘conservative’, ‘progressive’, ‘sophisticated’, ‘confident’, ‘impudent’, ‘formal’, and ‘customer-centered design’ showed the result of ‘friendly’, ‘interesting’. For asking feeling 'consideration', in high and low both showed positive response. In the case of cover design of insurance policy documents in ‘product use’, 5 adjectives were significant in ‘corporation-centered design’, high brand awareness: ‘reliable’, ‘conservative’, ‘confident’, ‘impudent’, ‘formal’. And in ‘customer-centered design’, 4 adjectives, ‘friendly’, ‘progressive’, ‘sophisticated’, ‘interesting’, were significant. In low brand awareness, ‘corporation-centered design’ showed responses of ‘reliable’, ‘conservative’, ‘confident’, ‘formal’, and ‘customer-centered design’ showed the responses of ‘progressive’ and ‘interesting’. Also in the question which is directly related with improvement of customer relationship, ‘corporation-centered design’ in high brand awareness comparatively caused of feeling of ‘consideration’. In low brand awareness, the difference of emotional response of ‘customer-centered design’ and ‘corporation-centered design’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In the aspects of the brand loyalty of customer, the group who has loyalty answered ‘friendly’, ‘reliable’, ‘progressive’, ‘sophisticated’, ‘confident’ to DM for ‘intimacy use’ in ‘corporation-centered design’, and the brand loyalty was insignificant in ‘customer-centered design’. DM for ‘product use’, ‘corporation-centered design’ caused more emotional responses, such as ‘friendly’, ‘progressive’, ‘sophisticated’, ‘confident’, ‘interesting’ than the others. Emotional responses, such as ‘Reliable’, ‘conservative’, ‘confident’ were significant in ‘customer-centered design’. This is an empirical study to know how visual identity of brand influences on customer’s emotional respons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corporation and brand need to represent their visual identity in different degrees according to brand awareness, the offering purpose of the media, and the brand loyalty when they plan and make DM. These results could be practically applied for promoting customer relationship in actual corporation site. 본 연구는 기업 브랜드의 시각적 아이덴티티(visual identity) 반영 정도에 따라 고객의 감성 반응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고객과 접촉하는 매체인 DM(direct mail)을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의 시각적 아이덴티티를 충실히 반영한 디자인을 기업중심적 디자인이라 정의하고 브랜드의 시각적 아이덴티티를 최소화 한 디자인을 고객중심적 디자인이라고 정의하였다. 또한 시각적 아이덴티티의 반영 정도에 따른 고객의 감성 반응은 브랜드의 인지도, DM 제공 목적, 고객의 브랜드에 대한 충성도에 따라서도 달라질 것이라고 보았다. 따라서 기업중심적 디자인과 고객중심적 디자인을 고객에게 제공하는 DM의 제공 목적에 따른 분류, 즉 ‘감성용’과 ‘제품용’으로 분류하고 이것을 브랜드 인지도에 따라 인지도가 높은 브랜드와 인지도가 낮은 브랜드로 분류하여 조사하였으며, 충성도에 따라 충성도 있는 그룹과 없는 그룹으로 분류하여 조사하였다. 감성용으로는 제품 구입 감사 서신을, 제품용으로는 보험사의 보험 증서 표지를 각각 제공 목적에 따른 DM으로 채택하여 디자인 하였다. 인지도에 따른 브랜드 선정은 한국능률협회 제 10차 한국산업의 브랜드파워(K-BPI) 조사 결과(2008)를 토대로 하였으며, 사전조사를 통해 이를 검증하였다. 기업중심적 디자인과 고객중심적 디자인을 제시함에 있어서도 문헌 고찰과 함께 사전조사를 통해 검증하였다. 이렇게 검증한 4개의 디자인 시안으로 본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양윤, 조은하(2002)의 ‘한국형 브랜드 척도 개발과 타당화에 관한 연구’의 38개 척도 중 고객관계관리 증진에서 필요로 하는 감성 반응과 밀접한 9개의 형용사를 활용하여 감성 반응 항목을 구성하였고 충성도에 따른 반응을 알아보기 위한 항목과 성, 연령 등의 일반 항목으로 나누어 설문 조사하였다. 먼저 감성용 DM으로 분류한 구입 감사 서신의 경우, 인지도가 높은 브랜드에서는 기업중심적인 디자인에서 ‘친근한’, ‘믿을만한’, ‘보수적인’, ‘형식적인’ 감성 반응을 유발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고객중심적인 디자인에서는 ‘진취적인’, ‘세련된’, ‘당당한’, ‘재미있는’, ‘건방진’ 감성 반응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도가 낮은 브랜드에서는 기업중심적인 디자인에서 ‘믿을만한’, ‘보수적인’, ‘진취적인’, ‘세련된’, ‘당당한’, ‘건방진’, ‘형식적인’ 감성 반응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객중심적인 디자인에서는 ‘친근한’, ‘재미있는’ 감성 반응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객관계관리 증진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배려하는 느낌이 드는가’에 관한 항목에 대해서는 인지도 높은 브랜드와 인지도 낮은 브랜드 모두 기업중심적인 디자인에서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제품용 DM으로 분류한 보험증권 표지의 경우, 인지도가 높은 브랜드는 ‘믿을만한’, ‘보수적인’, ‘당당한’, ‘건방진’, ‘형식적인’ 감성 반응이 기업지향인 디자인에서 높았고, ‘친근함’, ‘진취적’, ‘세련된’, ‘재미있는’ 감성 반응은 고객중심적인 디자인이 높았다. 인지도가 낮은 브랜드는 ‘믿을만한’, ‘보수적인’, ‘당당한’, ‘형식적인’ 감성 반응이 기업중심적인 디자인에서 높았고 고객중심적인 디자인에서는 ‘진취적인’, ‘재미있는’ 감성 반응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고객관계관리 증진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항목에서는 인지도가 높은 브랜드의 경우 고객중심적인 디자인이 기업중심적인 디자인에 비해 ‘배려하는 느낌’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도가 낮은 브랜드에서는 기업중심적인 디자인과 고객중심적 디자인에 대한 감성 반응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고객의 브랜드에 대한 충성도 측면에서는 감성용 DM의 경우 기업중심적인 디자인에 대해서 충성도가 있는 그룹이 그렇지 않은 그룹보다 ‘친근한’, ‘믿을만한’, ‘진취적인’, ‘세련된’, ‘당당한’ 감성 반응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고객중심적인 디자인에 대해서 브랜드에 대한 충성도는 통계적으로 의미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용 DM의 경우 ‘친근한’, ‘진취적’, ‘세련된’, ‘당당한’, ‘재미있는’ 감성 반응은 기업중심적 디자인이 높았고 ‘믿을만한’, ‘보수적인’, ‘당당한’, ‘형식적인’ 감성 반응은 고객중심적 디자인이 높았다. 본 연구는 기업 브랜드의 시각적 아이덴티티 반영 정도에 따라 고객의 반응이 어떻게 달라지는가에 대한 실증 연구이다. 연구 결과는 기업과 브랜드에서 DM을 기획하고 제작할 때 시각적 아이덴티티 반영 정도는 브랜드의 인지도, DM의 제공 목적, 고객의 충성도에 따라 시각적 아이덴티티 반영 정도를 다르게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과 브랜드에서 고객관계관리 증진을 위한 실무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