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윤준,이용태,Kim, Yoon-Jun,Lee, Yong-Tae 재료연구소 2010 機械와 材料 Vol.22 No.3
자동차는 다양한 형상과 기능을 가진 부품소재의 집합체라 할 수 있다. 자동차의 고출력화에 의한 연비향상과 각국의 환경규제 강화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자동차 엔진의 작동온도와 이에 따른 배기가스의 온도가 꾸준히 높아지는 추세이다. 따라서 고온재료의 선택과 사용이 보다 중요해 지고 있다. 자동차에 사용되는 고온 부품은 설계사양에 맞추어 그리고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내열재료를 사용하는 방법과 표면처리를 하는 두 가지 방법이 주로 채택되고 있다. 내열재료를 사용하는 대표적인 부품은 엔진을 구성하는 부품과 연소실로부터 나오는 고온 고압의 배기가스가 이동하는 배기계 부품이다. 엔진을 구성하는 부품 중에는 냉각수에 의해 온도가 제어되는 부분은 경제적인 소재가 사용되나 밸브와 같은 부품은 고온재료가 채용된다. 가장 높은 온도에서 사용되는 배기계 부품에는 경제성이 감안되면서도 높은 열적, 기계적 안정성이 동시에 요구되고 있다. 전통적으로 배기부품에는 구상흑연주철이 널리 사용되어 왔고 현재에도 원가 측면의 강점을 이용해 대부분의 차량에 적용되고 있으나 일부 고출력, 고배기량 엔진의 경우에는 주철의 한계온도 이상의 배기온도가 요구되어 스테인리스 강을 도입하고 있다. 또한 내열 타이타늄 합금, 금속간화합물과 같은 고온재료가 개발됨에 따라 고가의 차종에는 신재료가 이들 부품으로 채용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배기계 부품의 설계적인 요소에 의한 열적, 기계적 측면의 내구 특성을 살펴보고, 이들 부품에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고온 금속재료의 종류 및 기계적 특성을 소개하였다. 아울러 미래의 환경친화적 자동차용 고온 부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되고 있는 Super Si+MO, 스테인리스 강, TiAl, 고온 타이타늄 합금 등과 같은 자동차 내열 부품으로 사용되는 신소재의 연구개발 동향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김윤준 대한간학회 2013 임상연구방법론워크숍 Vol.2013 No.1
Case-control study is one of the retrospective studies, which is useful to find the cause or risk factor of disease. It could be performed easily, and cost effectively. The previous studies have found some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use of nucleoside/tide analogue and post-operative recurrence in HBV-related HCC. However, most of them have some limitation, and more well-designed studies are needed in the future.
구연 : 고 TNF-α 생성 유전자 다형성과 B형 간염바이러스 감염 자연치유와의 관련성
김윤준,이효석,윤정환,김정룡,김령효,박병래,신형두 대한간학회 2003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9 No.3(S)
배경/목적: 인체가 B형 간염 바이러스(HBV)의 감염에서 회복되는 기전은 감염된 간세포에 대한 세포 매개성 면역반응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싸이토카인에 의한 HBV의 noncytolytic suppression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제시되었다. 이들 중에서 특히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는 이러한 HBV 증식 억제에 중요한 역할을 함이 알려져 있다. 한편, 개개인에서 TNF-α의 생성은 유전인자에 따라 차이가 있음도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HBV 감염에서의 회복과 TNF-α 생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유전자 다형성이 서로 연관되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외래 및 건강증진센터를 방문한 총 1,400명의 간질환 환자 및 건강인을 HBV 만성 보유자군(HBsAg: +, anti-HBs: -, anti-HBc +, n=1,109)과 B형 간염에 이환되었다가 자연 치유된 군(HBsAg: -, anti-HBs: +, anti-HBc +, n=291)의 두 군으로 나누어 전향적인 연구를 시행하였다. 만성보유자군은 남자 927명, 여자 320명이었으며 평균 나이는 50세였고 치유된 군은 남자 171, 여자 88명으로 평균나이는 57세였다. 환자의 혈액에서 DNA를 추출하여 single base extension 법을 사용하여 TNF-α유전자 promoter에 위치한 -1031T>C, -863C>A, -857C>T, -376G>A, -308G>A, -238G>A과 -163G>A의 단염기 다형성의 두 군에서의 빈도를 조사하고 일배체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TNF-α의 높은 혈청 농도와 연관된 유전자 다형성, 즉 -308A allele를 가지거나(TNF-α-308A/G나 A/A), -863A allele를 가지지 않는 유전형(TNF-α-863C/C)은 HBV의 치유와 강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OR=1.52, 0.57; P=0.003-0.01). 일배체형 분석에서는 TNF-α haplotype 1 [-1031T; -863C; -857C; 376G; -308G; -238G; -163G]은 HBV감염의 치유와 강력히 연관되어 있었고, TNF-α haplotype 2 [-1031C; -863A; -857C; 376G; -308G; -238G; -163G]는 HBV의 만성보유와 연관되어 있었다 (OR=1.42, 0.78; P=0.003-0.02). 결론: 이상의 결과로 고 TNF-α 생성 유전자 다형성과 일배체형이 HBV 감염의 치유와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TNF-α의 농도에 영향을 주는 유전자의 다형성이 HBV 감염의 다양한 임상경과를 설명할 수 있는 하나의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