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최제우의 세계인식(世界認識)을 통한 민중미술의 미의식(美意識)연구

        김윤주 ( Kim Yun Ju ) 한국동양예술학회 2020 동양예술 Vol.49 No.-

        최제우가 ‘侍天主’의 ‘侍’자를 해설하며 남긴 ‘內有神靈’에서의 ‘心[마음중시]’적 人間觀과 ‘外有氣化’에서의 ‘生[생명존중]’적 自然觀 그리고 ‘各知不移’에서의 ‘侍[만물일체]’적 道德觀이 그가 가진 세계 인식적 특징이라고 보고 이를 토대로 예술성을 살펴보았다. 최제우가 天心이 곧 人心(天心卽人心)이라고 한 것은 인간과 우주는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으며 서로가 그 자체로 상대를 가리키기 때문에 자연과 인간 사이를 서로 우위를 따질 수 없는 동등한 관계로 본 것이다. 이와 같은 원리를 품고 있는 ‘內有神靈’의 인간관을 토대로 박생광은 〈무당12〉에서 하늘과 인간을 연결하는 매개자의 巫적 가치를 인정했고 오윤은 〈낮도깨비〉에서 도깨비를 통해 ‘醜의 미학’을 실현했다. 그리고 같은 맥락의 ‘怪의 미학’을 완성한 작품이 추사의 〈板殿〉이며 최제우 또한 筆法을 이루는 이치가 一心에 있음을 밝혔다. 또한 최제우가 天을 외면화한 ‘外有氣化’의 자연관을 바탕으로 생명의 ‘氣’를 미적 가치로 여기고 존중한 것이 신학철의 〈모내기〉에서 우리를 직접 이룬 밑바탕이 된 땅을 존중하고 이를 형상화하는 것을 통해 드러나고 있다. 또한 강요배는 〈맥잡기〉에서 天地否卦를 통해 농민으로 상징되는 자연(인간)과 물질문명의 괴리로 인한 음과 양의 생명의 원리가 무너진 상황에서 인간이 생명의 脈을 부여잡고 있는 것을 형상화했다. 그리고 오윤은 〈북춤〉에서 칼을 사용한 형상의 단순화를 통한 생동감을 드러냈고 박생광은 〈토함산 해돋이〉에서 우리 고유의 色感적 대비를 통해 생명력을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인간이 바로 천이라는 것을 모두 알고 이를 실천하는 태도를 가져야 한다고 본 최제우의 ‘各知不移’의 도덕관을 통해 그가 연대를 통한 평화의 추구를 미적가치로 여긴 것을 알 수 있다. 홍성담은 〈대동사상〉과 〈횃불행진〉에서 연대를 통해 모든 종류의 차별과 폭력을 넘어서 하나가 되는 평화의 세계를 향한 꿈을 담았다. 그리고 민주와 인권을 위한 투쟁의 사상적 배경을 담은 것이 오윤의 〈칼노래〉와 박생광의 〈전봉준〉이다. 이들은 최제우가 말한 만물의 존엄성을 인식하고 이를 존중하고자 한 사상을 바탕으로 자신의 정성을 다한 작품을 통해 大同의 메시지를 전하고 민중을 선도하는 역할을 하고자 했다. Choi Je-u presented a few perspectives while explaining the meaning of the character ‘Si(侍)’ of ‘Sicheonju(侍天主, serving the heavenly God)’. The first is a perspective on human beings of mind[心, emphasizing mind] through ‘Naeyusillyeong(內有神靈, having the divine spirit inside)’. The second is a perspective on nature of life[生, respecting for life] through ‘Oeyugihwa(外有氣化, harmonizing with the energy of heaven outside)’. The third is a perspective on morality of service[侍, unifying all things]’ through ‘Gakjiburi(各知不移, recognizing that human is heaven and having an attitude to put it into practice). In this paper, considering these three perspectives as the characteristics of his world perception, I examined artistry based on them. Choi Je-U considered that nature and human as an equal relationship that cannot be superior to each other saying that the Heaven mind is the very Human mind[天心卽人心]. It is because he thought that human and the universe cannot be thought of separately and each other itself refers to the other. Based on the perspective on human being of Naeyusillyeong(內有神靈), Park Saeng-gwang acknowledged the shamanic value of the mediator who connects the heaven and humans in < Mudang 12(Shaman 12) >, and O Yun realized the aesthetics of ugliness(醜) through the dokkaebi in < Natdokkaebi(Daytime Goblin) >. In the same context, in addition, Chusa Kim Jeong-hui’s < Panjeon(板殿) >is the art work that completed the aesthetics of abnormality(怪). Choi Je-U also argued that the principle of completing the law of calligraphy lies in one mind. In addition, Choi Je-u regarded the energy of life as an aesthetic value and respected for it based on the perspective on nature of ‘Oeyugihwa(外有氣化)’, and that was found through the representation of respecting for the earth that was foundation of human beings in Shin Hak-cheol's < Monaegi(Rice Transplantation) >. In addition, Kang Yo-bae, through the pi hexagram(天地否卦), embodied the fact that humans managed to cling on to life in a situation where the principle of life of yin and yang is collapsed due to the gap between the nature(human) symbolized as farmers and the material civilization. In addition, O Yun showed the feeling of movement through the simplification of the shape using a sword in < Bukchum(Drum Dance) >, and Park Saeng-gwang showed life force through the contrast of our original color sense in < Tohamsan Haedoji(Sunrise of Mt. Toham) >. Lastly, Choi Je-u had the perspective of morality of ‘Gakjiburi(各知不移)’ that everyone should recognize that human is heaven and have an attitude to put it into practice. Through his perspective of morality, we can see that he considered the pursuit of peace through solidarity as an aesthetic value. Hong Seong-dam contains a dream for a world of peace in which all people become one transcending all kinds of discrimination and violence through solidarity in < Daedongsasang(Thought of Great Unity > and < Hwaetbulhaengjin(Torch March) >. Moreover, O Yun’s < Kalnorae(Sword Song) > and Park Saeng-gwang’s < Jeon Bongjun > contains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the struggle for democracy and human rights. They tried to deliver the message of Great Unity and lead the people into the right path through the works with their devotion based on Choi Je-u’s thought of arguing to recognize the dignity of all things and to respect it.

      • KCI등재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문제중심학습(PBL) 적용 가정과 식생활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과 평가

        김윤주,채정현,Kim, yun-ju,Chae, Jung-Hyun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8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0 No.2

        최근 일반교육 교육과정을 통해 장애학생의 성인생활 자립 역량을 갖추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일반교과인 가정교과는 사명지향적인 학문으로써 장애학생들의 개인생활과 가정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가정교과에서 식생활 교육은 학생들의 자립성과 사회성을 향상시키면서 식생활 교육과 식생활 연구가 부족한 특수교육 상황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문제중심학습(problem based learning: PBL)을 적용한 가정과 식생활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여 지적장애 학생들에게 수업을 실행한 후 이 수업이 식품 선택과 보관 지식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본 연구는 단일 집단 사전-사후 설계로 연구 대상은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학과정에 다니는 학생 6명으로 편의 표집하였다. 이들 학생들에게 PBL을 적용한 가정과 식생활 수업을 6차시 실행한 후 이 수업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1~3차시 주제는 식품 선택과 보관방법이고, 4차시 주제는 샌드위치 재료를 구입하여 보관하는 것이며, 그리고 5~6차시 주제는 샌드위치를 만들어 선물하는 것이다.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PBL 적용 가정과 식생활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기 위해서 먼저 학생의 흥미를 유발하며 실생활에서 충분히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개발하였고 이 문제를 해결하는 수업 과정과 학습 자료를 제작한 후 가정교육학 교수 1인과 특수교육 전문가인 교사 3인으로부터 선정된 문제와 개발된 교수·학습 과정안의 타당도 검증을 받았다. 수업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측정도구는 식품 선택과 보관 지식 평가 도구, 문제해결력 관찰 평가와 학생용 자기평가 도구, 학생 수업만족도 평가지, 교사의 수업행동 평가지, 수업 관찰 일지로 구성되며 이 도구들은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 받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BL을 적용한 가정과 식생활 수업을 받은 6명 학생 모두가 100점 만점인 식품 선택과 보관 지식 점수에서 사전보다 사후에서 평균 30점 높아졌고 14점 만점인 문제해결력 점수는 사전보다 사후에서 평균 5점 더 높아졌다. 따라서 이 수업은 지적장애 학생들의 식품 선택과 보관 지식과 문제해결력에 효과를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지적장애 학생들은 PBL을 적용한 가정과 식생활 수업시간에 열심히 참여하였으며 이 수업에 만족감을 느꼈다. 특수교육 전문가인 교사 3인은 이 수업에 대해서 실습을 위한 수업 준비 시간이 오래 걸린 점이 다소 아쉬웠지만 교수·학습 과정안이 타당하게 철저히 준비되었고 학생 간 상호작용이 적절하였으며 문제중심학습 수업 흐름에 맞는 진행을 하였다고 평가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PBL을 적용한 가정과 식생활 수업은 지적장애 학생들이 식품 선택과 보관부터 안전하고 건강한 음식을 만드는 종합적인 식생활 기술을 습득하여 일상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식생활 관련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전국의 특수학교의 장애학생들에게 PBL을 적용한 가정과 식생활 수업뿐만 아니라 의생활, 주생활, 소비생활, 아동·가족생활, 자원관리 전 영역을 다루는 가정교과가 특수학교에서 정식교과로 도입되기를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Home Economics(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plans applied Problem Based Learning(PBL) focusing on 'food and nutrition' unit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HE instruction on their food choice·management knowledge and problem-solving skills after implementing the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o develop 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plans applied PBL focusing on 'food and nutrition' unit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problems that arise in daily life to trigger interest of students were firstly developed. The selected problems and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plans were reviewed for validity by one home economics education professor and three teachers who are experts in special education. This study used the one group pretest and posttest design, sampling 6 students who are in special-education middle school with the intellectual disability. After HE instruction of 6 sessions applied PBL method, this study tested the effects of the instruction. The first three sessions taught how to choose and keep food. The fourth session taught purchasing food ingredients and keeping them for sandwiches. The fifth and sixth sessions let the students make sandwiches and give them to others. The instruments of the study comprised of tools for food choice and management knowledge, tools for problem-solving skills evaluation, self-evaluation sheets, evaluation form of course satisfaction for students, evaluation form of behavior in class for teachers, and daily observation journal and all tools. These instruments were proved to have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l six students who took HE instruction applied PBL method focusing on 'food and nutrition' unit scored 30 points higher out of 100 points after taking the instruction in food choice and management knowledge and scored 5 points higher out of 14 points in problem-solving skills on average. Therefore, it was interpreted that HE instruction applied PBL affected the food choice·management knowledge and the problem solving skill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Secondly,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participated actively in HE instruction applied PBL focusing on 'food and nutrition' unit and expressed satisfaction. Three special education experts evaluated HE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s applied PBL focusing on 'food and nutrition' unit to be well-developed. This study showed that HE instruction applied PBL focusing on 'food and nutrition' unit allowed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o acquire comprehensive skills in choosing, keeping, and making safe food and helped them solve problems of their life by themselves. Therefore I suggest that Home Economics should be adopted as a formal subject matter in special school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 KCI등재

        논리적 사고와 토의력 증진을 위한 웹기반 독서 교육 시스템에 관한 연구

        김윤주,김현배,Kim, Yun-Ju,Kim, Hyun-Bae 한국정보교육학회 2000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3 No.2

        독서 교육은 교과뿐 아니라 인성 교육에까지 영향을 주기 때문에 교육 현장에서 중요하게 인정되어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인 많은 어려움으로 인해 독서 교육을 수행하는데 많은 제약이 있다. 현재까지 수행되어 오던 전통적인 교육 방법은 컴퓨터와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서 그 방법의 전환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는 독서 교육 영역에서도 적용된다. 독서교육에서 논리적 사고와 토의력을 지속적으로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시 공간적 제약 없이 다른 학습자들과의 상호작용 기회가 많이 제공되어 서로간의 생각이 교환되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독서 교육 시스템에 필요한 요소들을 살펴 보고 독서 지도에 따라 여러 가지 독서 활동을 할 수 있는 웹에 기반한 독서 교육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Reading education has been recognized as being important area in the education. But it has many limitations to achieve education effects, because it is very difficult to process in reality. In these days, traditional education methodology needs to be changed for the development of computer science and network communications. It is also applied at the area of reading education. To achieve educational goal in reading education, students must be able to interchange their views without restrictions of time and space. Through this circumstances, they can improve logical thinking and discussion ability. Therefore we need the reading education system which supports reading actions as well as reading instruction. In this paper, a web based reading education system is designed and implemented to improve logical thinking and discussion ability.

      • KCI등재

        Windows Update 및 Automatic Updates의 설계 오류 분석 및 해결 방안

        김윤주,윤영태,강성문,Kim, Yun-Ju,Yun, Young-Tae,Kang, Sung-Moon 한국융합보안학회 2006 융합보안 논문지 Vol.6 No.3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보안패치 적용을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윈도우즈 업데이트(Windows Update)와 자동 업데이트(Automatic Updates)의 적용 대상 보안패치 검색 모듈에서 설계상의 오류가 발견되었고, WFP(Windows File Protection)에 대한 우회 방법이 공개되었다. 이로 인해 취약점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보안패치 검색이 되지 않도록 하는 보안패치 가장 공격이 가능함을 입증하고, 위협 시나리오를 구성한다. 그리고 보안패치 검색 모듈의 설계상 오류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한다. It discovered a design error from the module to search required installing security patch of Windows Update and Automatic Updates that Microsoft supports it to install security patch easily and quickly. It explains and tests security patch-disguise attack by this error. Security patch-disguise attack is to maintains a vulnerability and to be not searched the security patch simultaneously. Also it composes an attack scenario. Is like that, it proposes the method which solves an design error of the module to search required installing security patch.

      • KCI등재

        치열교정 환자의 전문가 칫솔질 및 구강보건교육에 따른 치면세균막 관리효과

        김윤주 ( Yun Ju Kim ),정호진 ( Ho Jin Jeong ),윤정원 ( Jung Won Yun ),김예황 ( Yea Hwang Kim ),윤현서 ( Hyun Seo Yoon ),이선미 ( Sun Mi Lee ),이정화 ( Jung Hwa Lee )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2018 大韓口腔保健學會誌 Vol.42 No.2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n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on organized professional toothbrushing by determining its effects on plaque control in patients undergoing orthodontic treatment. Methods: The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professional toothbrushing and oral health education weekly for 4 weeks, and those in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the same program without professional toothbrushing education. Results: The difference in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s on oral health was higher among the experimental group who underwent professional toothbrushing and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The effects of toothbrushing time on the plaque index were significantly lower in experimental group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It is suggested that adequate oral health and professional toothbrushing education program should be implemented to improve oral health.

      • KCI등재

        劉熙載「書槪」의 周易美學的 考察

        김윤주(Kim Yun ju) 한국서예학회 2017 서예학연구 Vol.30 No.-

        劉熙載(1813-1881)는 「書槪」 첫머리에서 “聖人이 易을 지을 때 象을 만들어 그意를 다 나타내었다. 意는 先天이니 書의 本이 되고 象은 後天이니 書의 用이 된다.” 고 말했다. 이를 통해『周易』의 宇宙觀을 제일 중심 배경으로 삼아 그의 서론을 전개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그의 서론에는 한 쌍의 상호 대립적이고 연계적인 개념을 가지고 비교, 구별하고 이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그 안에 담긴 규율을 분석해 낸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周易』에서 陰과 陽의 對待적 관계성을 통해 자연과 인 간을 설명해내려 했던 방식과 통한다. 또한 유희재는「서개」에서 『주역』의 음양대대적 특성을 내재하고 서론을 전개했는데 각 서체에 관한 것, 筆과 관련한 것, 서예와 인간에 관한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이는 『易傳』이 “만물을 陰과 陽, 動과 靜, 剛과 柔, 正과 反 등 상호 대립하고 상호 變化.生成하는 것”으로 나누어 설명한 태도와 같다. 또한「서개」에는 剛과 柔, 速 度와 法度, 完과 破, 直體와 曲致를 통해 음과 양의 대대작용의 중요성을 설명했다. 그리고 이를 그대로 서예의 용필과 장법, 서예와 서예가의 인격, 남파와 북파의 서예에도 그대로 적용했다. 그리고 이와 같이 中和를 존중하는 태도를 바탕으로 하여 창조성의 발현을 이끌어내기 위한 원리로서의 神, 妙, 丘壑, 貫, 洞達 등의 관점에 주목했다. 이는 周易美學에서 陰과 陽이라는 사유 구조를 바탕으로 한 對待 작용을 통해 生命의 創造를 이끌어내는 것과도 통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 沈著과 奇拔, 高韻과 堅質, 力實과 氣空, 生熟 등을 사용했고 이러한 개념들을 설명하는 방식으로 陰陽對待觀을 적용했다. 또한 여기에서 나아가 예술에서만이 적용할 수 있는 창조정신의 원리를 발견해야 한다고 보고 “서예를 공부하는 사람이 益에 힘쓰는 것은 損에 힘쓰는 것보다 못하다. 실제로 損하는 것이 곧 益하는 것”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Liu Xizai said “When the saint wrote the Book of Changes, he expressed the meaning making the image. The meaning is an apriority, so it is the means of calligraphy, and the image is a posterior, so it is the function of calligraphy.” at the beginning of Shugai. It showed that he developed his calligraphic theory based on the perspective of the universe in the Book of Changes. Also, his calligraphic theory compared and distinguished a pair of opposing and connecting concepts and analyzed the principle through their interaction. It had in common with the way that the Book of Changes tried to explain nature and human through the correlative relationship between yin and yang. In addition, Liu Xizai developed his calligraphic theory embedding the correlative characteristics of yin and yang in the Book of Changes into Shugai, that could be categorized into three: about calligraphic style, about brush and about relationship between calligraphy and human. It was the same as the attitude which the Book of Changes explained that all things were in mutually opposing, changing and producing relationship between yin and yang, dynamic and static, strength and weakness, and rightness and counter. Moreover, Shugai emphasized the significance of the correlative effects of yin and yang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ngth and weakness, rapidity and regulation, perfection and irregularity, and straight and curve. Furthermore, it applied the correlative effects of yin and yang into calligraphic law of using brush and disposing, calligraphy and calligrapher’s personality, and Southern and Northern school. He also concentrated on the perspective of superbness, profundity, imagery, penetration, and mastery as the principle to derive the expression of creativity with the attitude that respected Equilibrium-Harmony. It had in common with the aesthetics in the Book of Changes that drew the creation of life through the correlative effects of yin and yang. In addition, it used imperturbability and ingenuity, elegant taste and simplicity, substantiality and emptiness, unfamiliarity and familiarity and applied the perspective of the correlation between yin and yang to explain those concepts. Furthermore, he thought that he should find a principle of creative spirit to apply on the arts, and he said that people should understand that “A person who studies calligraphy should concentrate on subtraction rather than addition. To subtract is to add.”

      • KCI등재

        秋史論畵詩(추사논화시)에 드러난 藝術境界(예술경계)

        김윤주 ( Yun Ju Kim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3 漢文古典硏究 Vol.27 No.1

        논화시는 주로 제발문에 나타나고 또 그 그림을 그린 이의 비평을 주로 하고 있지만 그 내용에서 그의 화론의 전반적인 내용이 모두 집약되어있다. 추사 논화시를 예술경계적 측면에서 보면 ‘格物致知의 學畵觀’, ‘書畵一致의 批評觀’, ‘不一不異의 藝術觀’이 드러나는 것을 알 수 있다.‘格物致知의 學畵觀’에서는 추사가 그림에 대한 학습을 추구하는 방법으로 격물치지의 방법을 썼으며 이러한 성격을 드러낸 그의 논화시를 살펴보았다. 추사는 蘭畵에 대해 “대체로 이 일은 하나의 작은 技藝이지만, 그 전심하여 공부하는 것은 聖門의 격물치지의 학문과 다를 것이 없다”고 말한다. ‘격물치 지’를 직접 인용하며 회화와 학습의 연관성에 대해 말했다. 격물치지적 문예 미학사상과 그 기반을 함께한 추사는 서예에 있어서 격물치지적인 학습법을 한의 비에서 찾으려 했다. ‘비학파’의 추종자들은 자신들의 서체가 고대 사람들이 사용하던 원본의 서체와 더 가깝고 보다 충실하다는 고증적 주장을 해나갔다. 추사는 그림을 그리는 데에는 체계적인 학습과 노력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그래서 “다작한 연후에 가능하지 한순간 부처가 된다거나 맨손으로 용 잡을 수는 없”다고 말한다. 추사는 전통의 학습을 강조한 동기창의 화론에 도 많은 영향을 받았다. ‘書畵一致의 批評觀’에서는 추사가 그림과 서예를 하나로 보고 그림을 그린인물과 그림에 대한 평가의 기준으로 삼은 것이 드러난 그의 논화시를 살펴 보았다. 여기서 말하는 ‘서화일치’는 서화용필상의 일치를 말하는 것이다. 동기창은 『화안』에서 글씨를 잘 쓰면 그림을 잘 그릴 수 있고 그림을 잘 그리면 글씨를 잘 쓸 수 있다고 말하는데 이는 이 두 가지 일이 결국 같은 일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림에 서예의 필법이 담겨 있고 이러한 필치가 살아있어‘쇠라도 녹일 만’하다는 것이다. 추사는 옹성원의 그림에 담긴 서예 필법을 보고 그림의 진가를 평가한다. 이는 추사가 서예의 필법을 그림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삼았다는 것을 알 수 있는 부분이다. ‘不一不異의 藝術觀’에는 추사가 추구하고자 했던 그림에 대한 생각이 불교의 선종적 측면과 물아일체적 성격을 드러내는 시를 살펴보았다. 추사는 『題蘭』에서 이십 년 만에 그린 난화에서 우연히 ‘性中天’을 드러냈다고 말한다. 추사가 性의 근원인 天을 이해하기 어려웠으나 우연히 난화에 ‘性中天’이 드러났다고 표현한 것은 난화를 통해 ‘性中天’을 이해하는 경지로 나아갈 수 있었다는 것이다. 추사가 『題蘭』 ‘유마의 불이선’은 『유마경』의 입불이법문품 에 나온다. 『유마경』은 평등의 不二사상의 실천을 담고 있다. 이러한 궁극적 깨달음의 경지는 언어와 문자를 초월해 있다. 추사는 禪과 예술의 일치적인 성격을 발견한다. 선과 예술 모두 감성에 가깝게 느껴지는데 선종 역시 이성의 체계를 거부한다. 이른바 ‘不立文字’, 즉 직관에 바탕을 둔다. 최수강은 『흑백지간』에서 “직관 감수의 勃興은 또한 돌 발성을 가지고 있다. 즉, 예술가는 부지불식간에 자신이 원하는 像에 도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수로에 물이 이르는 것이고 삽시간에 심미적 쾌감을 느끼는 것”이라고 말한다. 『임천고치』에서는 “경계가 완숙해지고 마음과 손이 서로 어울리게 된 뒤에야 비로소 가로와 세로 어디로 움직여도 법도에 맞고 왼쪽과 오른쪽 어디로 움직여도 근원과 통하게 된다”라고 말한다. 이는 『논어』의 “하고자 하는 대로 하여도 법도에 어긋나지 않는” 상태인 것이다. 그리고자 하는 대로 그려도 법도에 어긋남이 없는 상태 즉 추사는 그림을 그리려는 법으로 그린 것이 아닌 경지에 이를 것을 요구한다 Chusa`s poems on drawing appear in postscripts. Although the main contents are comments on the drawing, the contents include Chusa`s theory of drawing. Chusa`s poems on drawing indicate ‘格物致知學畵觀’, ‘書畵一致批評觀’, and ‘不一不異藝術觀’ in the point of view of arts. In the point of view of 格物致知學畵觀, the method of drawing study is 格物致知itself and this character is appeared in his poems on drawing. Chusa demonstrated that 蘭畵is one of small 技藝, however studying hard is not different from the study of 聖門格物致知. Futhermore, he said 格物致知to explain the connection between drawing and studying. Chusa found out aesthetics of 格物致知in Han dynasty 碑石. Therefore, he said that nobody can become Buddha suddenly and catch the dragon with bare hands. He thought that it is only possible when he has lots of exercises. The systematic study and efforts are the most important things for him. In the point of view of 書畵一致批評觀, drawings and writings are not different. It means that writing well is drawing well and these two things which are the same. In the point of view of the 不一不異藝術觀, we can find that Chusa`s thought of drawing was influenced by Zen of Buddhism. Therefore He thought that perfect enlightenment transcends the limits of language and letters. For him, Zen is same with arts, because they are based on intuition.

      • KCI등재

        청소년의 건강관련행동과 구강건강행태가 구강질환증상에 미치는 영향

        김윤주 ( Yun Ju Kim ),이정화 ( Jung Hwa Lee )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2020 大韓口腔保健學會誌 Vol.44 No.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of healthrelated behaviors, oral health behaviors and develop an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adolescent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health-related behaviors of adolescents and their oral disease symptoms. Methods: Data of 62,276 adolescents were derived from the 13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Chi-square test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complex sampling to determine the effects of health-related behaviors and oral health behaviors on the experience of oral disease symptoms among the adolescents. Results: In total, 52.9% had developed oral symptoms in the previous year. The sample population consisted of 55.1% females, 53.4% third grade high school students, and 51.1% academic achievers. Among the adolescents, 57.6% of those categorized as having low economic status showed high oral disease experience (P<0.001). The increased intake of sweet drinks and snacks due to a higher subjective depression and perception of stress, increased the experience of oral symptoms (P<0.05). Fewer times of toothbrushing per day was correlated to an increase in oral disease symptoms (P<0.001). Conclusions: As health-related behaviors and oral health behaviors formed during adolescence affect adulthood, a systematic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for proper health-related behaviors and oral health management in adolesc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