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항암화학요법 환자의 가정간호 이용 양상과 간호 만족도

        김윤옥,백희정,Kim, Yun-Ok,Baek, Hee-Chong 한국가정간호학회 2003 가정간호학회지 Vol.10 No.2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utilization of home care service and home care nursing satisfaction for clients with cancer who had completed secondary and tertiary chemotherapy session. Raw data was collected by reviewing charts and questionnaire of 23 clients with cancer between September, 2002 and November 2002 at an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Seoul. Korea. The result are as follows: 1. Characteristics in the use of home care: After applying for home care service, patients were visiting an average of 1.88 days later. The major purpose of using home care service was to help recovery after hospitalization or to maintain present health. The average period for home care service was 14.6 days, with 4 visits over this period, for 35.78 minutes per visit. 2. Content of home care service: A total of 47 items of service were provided - basic nursing care, education and counseling, and therapeutic nursing care. On every visit, an average of 19 items of home care service were provided, and the majority (7 items) were therapeutic nursing care. 3. Satisfaction with home care services: Satisfaction was very high, an average of 3.88 on a scale of 4 points. Both patients and families expressed high satisfaction with all sub-domains of nursing care: guidance by the home care nurses, knowledge, skill, attitud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emotional support, and accessibility. In conclusion, home care served basic nursing care, teaching and counseling, and therapeutic nursing to clients with cancer going through secondary or tertiary chemotherapy. Therefore they changed knowledge and attitude to disease and treatment which were difficult to change.

      • KCI등재

        듣기,말하기 교육에서 비언어적 의사소통 교육 내용 고찰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김윤옥 ( Yun Ok Kim ) 한국화법학회 2014 화법연구 Vol.0 No.26

        그동안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언어적 의사소통을 보완하는 역할에 주목하였지만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상당히 중요한 기능을 한다.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감정을 표현하고, 문화 정체성을 형성하며, 관계를 정의한다. 초등학교 국어교육에서 듣기·말하기 영역에 반영된 비언어 의사소통 내용을 살펴보니 교육과정상에서 성취 기준으로 제시되어 있었다. 교과서에 반영된 내용을 보니 1학년부터 5학년까지 교육내용으로 제시되어 있었으며 3학년에서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었다. 그리고 비언어적 의사소통 기능 중에서 문화 정체성 형성하기는 모든 단원에 제시되어 있었고 관계 정의하기는 5개 단원에, 감정 표현하기는 6개 단원에 제시되어 있었다. 이를 토대로 학습자들이 비언어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인식하도록 하기 위해, 비언어 의사소통의 지향점을 대인 관계를 지향하는 비언어적 의사소통 교육, 관계 지향적 의사소통이 되도록 비언어적 표현을 조절, 맥락에 따른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내용을 강화하고, 문화 정체성 교육으로 제안하였다. We take notice that Non-verbal communicating assist in verbal communicating all the while. But Non-verbal communicating functions considerably in communication. The function is expressing emotions, expressing culture identity and defining relationship. I invested the Non-verbal communicating of Listening-Speaking area in Korean curriculum and the textbooks in elementary school. As the result, I searched the contents from 1 grade to 5 grade. And It is presented mainly in one chapter for a semester in 3rd grade textbook. It presented 9 units about cultural identity, 5 units about defining relationship and 6 units about expressing emotions. In this basis, I suggest the Intention of Non-verbal communicating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First, it needs changing the viewpoint of Non-verbal communicating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 Second, it needs to teach controlling Non-verbal express. Third, it needs strengthening Non-verbal communicating education contents. At last it needs cultural identity education.

      • KCI등재

        부모-자녀의 대화 양상 연구-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가정을 대상으로-

        김윤옥 ( Yun Ok Kim ) 한국화법학회 2014 화법연구 Vol.0 No.24

        이 연구는 실제 가정에서 부모-자녀의 의사소통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화법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학생들의 언어생활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화법 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가정에서의 학생들의 의사소통 실태를 파악하여야 한다. 가족 간 의사소통의 특성을 정해진 관계에 의한 대화, 자아정체성형성, 문화 습득으로 보고 논의하였다. 그리고 두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의사소통을 조사해보니 부모는 자녀에게 부모로서의 권위를 가지고 자녀들에게 문화 습득을 의도하는 대화를 많이 하고 있었으며 자녀들은 부모와 대화하면서 자아정체성이 형성되고 친밀감을 표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화법 교육에 대한 4가지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나- 전달법을 교육한다. 둘째, 상대방의 감정이나 정서를 이해하고 배려하는 화법교육을 한다. 셋째, 화법 교육 상황에서 닫힌 질문과 짧은답을 요하는 질문을 지양한다. 넷째, 긍정적인 자아정체성을 형성하도록 칭찬과 격려하기를 많이 사용하고 공감적 경청을 가르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direction of speech education based on the parent-children communication in family. For helping to the students` speech and speech education, It needs to look into their communication at home. The characteristics of family communication are talks in conformity with relationship, self identity formation and acquisition of culture. The results of research on parent-children communication are that the parents talk to their children with authority, the children form self-identity and express their intimacy. So I suggest 4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The first, we teach I-message. The second, the students need to understand and be considerate of others` feelings at communication. The third, we sublate the closed-questions. The last, for forming positive self- identity, we compliment and encourage the students and teach the empathic listening.

      • KCI등재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경험적 내러티브 양상 연구

        김윤옥 ( Kim Yun-ok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7 청람어문교육 Vol.0 No.64

        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경험적 내러티브 양상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2016년 10월과 2017년 2월에 초등학교 1학년 1개 반을 대상으로 발표 상황에서 주말 지낸 이야기와 겨울 방학 보낸 이야기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 1학년 내러티브의 발달 수준은 3.6수준이며, c-unit의 개수는 2.3개였다. 그리고 초등학교 1학년 경험적 내러티브를 살펴보니 시간-사건-자신의 감정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자신의 경험 중에서 중요한 사건을 선택하여 발표하였다. 경험적 내러티브 양상에는 성별 차이가 있었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1.6수준 높고, C-unit의 개수는 약 1개 더 많았다. 남학생은 단문으로 짧고 간결하게 말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여학생은 복문으로 길게 이야기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듣기-말하기 지도방법과 교재 개발에 도움을 줄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the aspects of personal narrative discourses of first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researcher analyzed 41 narrative discourses in a class generated from first graders in Sejong. The personal narrative discourses are created on October 2016 and February 2017. They are about the students’ experiences during the weekend and winter vacation. The students selected and presented one important event that occurred during their weekend and vacation. Analysis shows that the students presented their personal narratives using a time-event-emotion structure. In addition, it shows that the level of development, in terms of structure, is 3.6 and 2.3 C-units on average. Researcher compared and noted the gender differences in narrative discourses. The level of the female students’ narratives are 1.6 higher and have one more C-units than male students. Furthermore, male students tend to speak short, concise sentences while female students speak with longer and more complex sentences. Therefore, the results are beneficial in developing the listening and speaking aspects of textbooks as well as the teaching methods used with first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