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온라인 설문에서의 불성실 응답 방지 방법에 대한 연구: 객관적 자기인식 이론의 적용
Due to the ease of implementation and considerations of cost-effectiveness compared to conventional paper-pencil surveys, online surveys are widely used not only in general survey research but also in organizational research, such as in customer and employees surveys. There have been much researches on detecting careless respondent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data collected through surveys, but there has been lack of empirical research on how to prevent careless responding in advance.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find a way to prevent careless responding in online surveys by applying the objective self-awareness theory in social psychology. In study 1 and 2, undergraduate students were surveyed, and in the study 3,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employees. The key research question with regards to three studies concerns whether the careless responding decrease in experimental conditions where the objective self-awareness is manipulated; compared to control conditions using general instructions. Further statistical properties of several existing indicators developed for detecting various types of careless respondents were compared among the conditions. In study 1, I designed an online survey page (inserting mirror images on the screen) to induce self-awareness, which was compared with the condition using warning instructions and with the control group using general survey instructions. Results in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 tendency that the careless responding of the mirror condition decreased (four indicators of psychometric antonyms, Mahalanobis distance, time index, bogus items) compared to the control condition. In addition, there was a tendency that the careless responding of the mirror decreased (two indicators of time index, bogus items) compared to the warning condition, suggesting that the use of the mirror image to induce self-awareness is likely to reduce the careless responding. However, Study 1 does not directly measure the level of objective self-awareness, so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 use of the mirror image has not been tested to increase self-awareness. In study 2, I tried to replicate the effects of the mirror image insertion on preventing careless responding shown in study 1 and explored the effects of other methods for manipulating self-awareness (image selection in terms of facial features, recall of a personal episodic memory). The results of Study 2 showed that there was a tendency that the careless responding of the mirror condition decreased (two indicators of even-odd consistency, time index) compared to the control condition, and the careless responding was also decreased (only time index) in the image condition,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condition and the recall condition. Compared to study 1, the effect is somewhat weakened, but the result suggests that manipulation to induce self-awareness could prevent careless responding. However, since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conditions in the score of the self-awareness scale inserted for the manipulation check, there was a limit in explaining the difference in the careless responding between the conditions as the effect of self-awareness. Therefore, in study 3, I used the Linguistic Implications Form to measure self-awareness. In study 3, I tried to replicate the effects of the mirror image insertion on preventing careless responding shown in study 1,2 and to compare the effect of preventing careless responding with the control condition by using the image selection (study 2) and the I-priming task together. I also added Vignette quiz scores and response lengths to open questions as indicators of careless responding and conducted an online survey on 315 employees of various ages to generalize the results in studies 1 and 2. First, in comparison between control condition and experimental condition 1 using a mirror image, there was a tendency that the careless responding experimental condition 1 decreased(only maximum longstring) compared to the control condition.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onditions in the self-awareness scores. Therefore, the effect of experimental condition 1 could not be explained by the self-awareness. Next, in comparison between the control conditions and experimental condition 2 (using image selection and I-priming task), there was a tendency that the careless responding experimental condition 2 decreased (maximum longstring, time index, the response length to open questions) compared to the control condition. However, the Mahalanobis distance valu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experimental condition 2 than in the control condition. Although the mediation analysis of self-awareness could not be tested for the maximum longstring and the response length to open questions, for time indicators, it was shown that there is a mediating effect of self-awareness. When review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s a whole, time index was a indicator of relatively consistent differences between control and experimental conditions. This suggests that the method for inducing objective self-awareness has the effect of keeping people 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 for a longer time. Finally,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the current research were discussed. 온라인 설문은 기존의 지필형 설문에 비해 실시의 편의성과 비용적인 측면에서 이점이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연구 장면뿐만 아니라, 고객 및 종업원 인식조사 등 실무 장면에서도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설문을 통해 수집한 데이터의 질을 높이기 위해 불성실 응답자를 탐지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왔으나, 불성실 응답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는 매우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심리학의 객관적 자기인식의 이론을 적용하여, 온라인 설문에서 불성실 응답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 세 개의 온라인 설문 연구로 구성되었고, 연구 1과 2에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 3에서는 일반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세 개의 연구에서 공통된 핵심 연구 질문은 ‘일반적인 지시문을 활용하는 통제조건에 비해서 객관적 자기인식을 조작하기 위한 실험조건에서 불성실 응답이 감소하는가?’이며, 비교를 위해서 기존 불성실 응답 연구들에서 도출된 지표를 활용하였다. 연구 1에서는 자기인식을 유발하기 위해 거울이미지를 배경으로 삽입하는 온라인 설문 화면 구성하였으며, 거울이미지의 불성실 응답 방지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경고지시문을 활용한 조건 및 일반적인 조사 지시문을 활용한 통제 조건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심리측정적 반의어, 마할라노비스 거리, 시간지표, 위조문항의 네 개 지표에서 통제조건에 비해 거울이미지를 삽입한 거울조건 응답자들의 불성실 응답이 감소하는 경향성이 나타났다. 또한 시간 지표 및 위조문항 지표에 대해 경고조건에 비해 거울조건 응답자들의 불성실 응답이 감소하는 경향성을 보임으로써, 자기인식을 유발하기 위한 거울이미지 사용이 불성실 응답을 감소시킬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다만, 연구 1에서는 객관적 자기인식 수준을 직접 측정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거울이미지의 사용이 자기인식을 높이는 지에 대해서는 검정되지 않았다는 한계점이 있다. 연구 2에서는 연구 1에서 나타난 거울이미지 삽입의 불성실 응답 방지 효과를 반복검증하고, 거울이미지 외에 자기인식을 조작하기 위한 다른 방법들(얼굴형태 이미지 선택, 개인적 일화 회상)의 효과를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거울조건의 응답자들은 홀-짝 일관성 지표와 시간 지표에서 불성실 응답이 감소하는 경향성이 나타났으며, 이미지조건의 참가자들은 시간 지표에서 불성실 응답의 감소가 나타났으나, 통제조건과 회상 조건 간에는 아무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 1에 비해서 그 효과는 다소 약해졌으나, 자기인식을 유발하기 위한 조작이 불성실 응답을 방지할 가능성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하지만 조작 체크를 위해 삽입한 자기인식 척도의 점수에서 조건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조건 간에 나타난 불성실 응답의 차이를 자기인식의 효과로 설명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연구 3에서는 자기인식을 측정하기 위해 Linguistic Implications Form이라는 도구를 활용하였다. 연구 3에서는 연구 1과 2에서 나타난 거울이미지 삽입의 불성실 응답 방지효과를 재검증하고, 얼굴형태 이미지 선택과 나-대명사 과제를 함께 사용하여 통제조건과의 불성실 응답 방지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또한 빈넷 퀴즈점수 및 개방형 문항에 대한 응답길이를 불성실 응답의 지표로 추가하였으며, 다양한 연령대의 일반 직장인들 31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함으로써, 연구 1과 2에서 나타난 결과를 일반화하고자 하였다. 먼저, 통제조건과 거울이미지를 삽입한 실험조건1의 비교에서는 최대 롱스트링 지표에서 통제조건에 비해 실험조건1 응답자들의 불성실 응답이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나, 자기인식 점수에서 조건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기 때문에 불성실 응답의 방지효과를 자기인식의 효과로 설명하는 것에 여전히 한계가 존재한다. 다음으로 통제조건과 얼굴유형 이미지선택 및 나-대명사 과제를 사용한 실험조건2와의 비교에서, 비록 마할라노비스 거리에서는 예상과는 반대의 결과가 나왔으나, 최대 롱스트링 지표, 시간지표, 개방형 질문에 대한 응답 길이에서 통제조건에 비해 실험조건2 응답자들의 불성실 응답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최대 롱스트링 지표와 개방형 질문에 대한 응답길이에 대해서는 자기인식의 매개효과를 살펴볼 수 없었으나, 시간지표에 대해서는 자기인식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전반적으로 살펴보았을 때, 통제조건과 실험조건 간의 비교에서 비교적 일관되게 차이를 보였던 지표는 시간지표이다. 이는 객관적 자기인식을 유발하기 위한 방법이 사람들을 더 오랜 시간 설문에 참여하게 하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방향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김우영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본 논문은 복음성가가 회중찬송으로 불려지기 위해서 어떻게 창작되고 사용되어야 하는지를 다루고 있다. 보수적인 성향의 사람들은 복음성가를 예배에서 사용해서는 안 된다고 말한다. 그 이유는 복음성가가 가사나 곡조의 면에서 기존의 찬송가보다 질이 낮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한편으로는 대부분의 현대 교회들이 복음성가를 예배 시간에 도입하여 부르고 있는 실정이다. 그 이유는 복음성가가 젊은 세대들에게 호소력을 가지고 있으며 찬송가보다 쉽게 마음에 와 닿기 때문이다. 그러나 예배 시간이나 집회 시간에 불려지는 복음성가들 중에서는 실제로 가사와 곡조 면에서 회중찬송으로 불려지기에 합당하지 않은 곡들이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복음성가가 회중찬송으로 불려지기 위한 합당한 기준과 조건들을 제시하고자 노력하였다. 본 논문의 내용을 간략히 요약하자면 우선은 복음성가를 지나치게 거부하는 입장에 반대하여 복음성가를 교회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이유를 기독교 세계관의 관점에서 설명하였다. 그 이후로는 크게 가사와 곡조의 두 부분에서 어떤 기준으로 복음성가를 만들어야 하는지에 대해서 제시하였다. 또한 실제적인 적용을 돕기 위해 그 기준을 바탕으로 한국 교회에서 널리 부르는 복음성가들을 분석하였다. 찬양이 예배의 핵심적인 요소로 자리잡게 된 현대 교회에서 복음성가의 창작과 사용에 대한 문제는 무시할 수 없는 주제가 되었다. 이에 대한 진지한 고민과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본 논문을 통하여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약국의 입지특성 및 서비스품질이 약국의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 - 재방문의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김우영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3 국내박사
본 연구는 의약분업 이후 약국의 입지특성이 변화하고 고객 중심의 약국 경영으로 변모하면서 약국의 입지특성과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에 따른 재방문의도 및 추천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측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2012년 국내 약국현황은 공급이 넘쳐 무한경쟁을 벌이고 있는 상황이며 이로 인해 약국들은 한정된 고객을 대상으로 상호간의 경쟁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그러므로 한번 찾은 고객이 일회성 방문에 따른 구매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추후 재방문을 유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는 약국의 경영성과로 바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약국 운영의 시장상황을 고려할 때 약국의 입지특성과 약국의 차별화된 서비스 품질이 고객 재방문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설문을 통해 여러 요인들을 평가하고 매개변수를 통해 종속변수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분석하여 향후 약국 운영을 계획하거나 기존 약국의 서비스를 개선하고자 하는 약사들에게 지표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약국입지특성은 접근성과 가시성으로 요인화하여 분석하였는데 먼저 접근성은 실증분석을 통해 고객의 재방문의도에 유의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0년 7월 의약분업이 시행된 이후에 약국의 입지환경은 병․의원 근처에 얼마나 가깝게 입지하느냐에 따라 약국의 운영의 성패가 좌우되는 특수한 환경으로 변화하게 되면서 일반적인 소매상권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약국입지 패러다임이 적용되어 접근성이 약국의 가장 중요한 입지특성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가시성의 경우에는 고객재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의약분업시대 이후 약국이 병ㆍ의원과 지리적으로 가까이 근접하거나 동일 건물에 함께 입지하여 의료소비자인 고객에게 조제와 동시 투약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동선이 중요하게 됨에 따라 가시성 요인이 일반 소매상권과 달리 약국의 재방문의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은 이러한 약국입지의 특수성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둘째, 약국의 서비스 품질과 관련하여 대응성, 전문가성, 편리성에 대하여 요인화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대응성은 고객의 재방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서 나타났다. 약국의 서비스가 약사 중심에서 고객 중심으로 변화하면서 고객에게 감동을 주지 않으면 경쟁력을 가질 수 없게 된 것이다. 이것은 정확한 조제와 복약지도가 약국의 기본이라면 고객을 감동시킬 수 있도록 친근감과 관심이 약국의 서비스 차별화를 가지게 만드는 것이다. 또한 약사진의 처방에 대한 전문가성과 복약지도에 관한 항목인 전문가성도 고객의 약국 재방문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약국의 서비스 품질 중 편리성은 조제 및 판매시 대기장소나 시간 등의 효율성 여부에 따라 고객의 재방문 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고객 중심서비스 관점에서 편리성을 갖춰 효율적인 경영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재방문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단골고객을 확보하게 되고 한번 단골고객이 되면 지속적으로 약국을 재방문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재방문의도와 추천의도간의 인과관계를 통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약국 이용고객의 재방문의도는 추천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인과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약국 입지특성인 접근성이나 가시성보다 서비스 품질요인인 대응성, 편리성, 전문가성 순으로 약국에 대한 재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이는 의약분업 이후 매출 증대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약국의 입지임이 분명하나, 고객의 재방문을 위해서는 약국의 서비스가 더욱 더 중요하다는 것을 설명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본 연구를 통해 가시성 요인이 일반 소매점과는 달리 고객 재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분석하였다는 점은 향후 약국의 입지를 선정할 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으며, 앞으로 약국의 입지선정에 있어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예악사상(禮樂思想)의 조형개념(造形槪念)에 관한 고찰 : 조선시대(朝鮮時代) 병산서원(屛山書院)을 중심으로
김우영 國民大學校 테크노디자인전문大學院 2004 국내석사
조선시대의 정신세계를 대표하는 유가사상은 오늘날까지 사회조직, 행동양식, 생활윤리 등 우리사회 전반에 걸쳐 밑바탕을 이루는 사상의 근간이 되었다. 성리학적 사유에 의하면 세계와 우주, 인간과 자연은 일원적 통합체계를 이루고 있다. 유가(儒家)에서는 이(理)·기(氣)의 이원론적 계념을 통하여 우주(宇宙)의 생성(生成)과 구조(構造), 인간 심성(心性)의 구조, 사회에서의 인간의 자세(姿勢) 등에 관하여 깊이 사색함으로써 인간의 현실적 문제를 중심으로 해결하고자 하였다. 통합체의 원리로 해결방안을 모색했던 학문이자, 정신이었다. 그 내용은 크게 나누어 태극설(太極說)· 이기설(理氣說)·심성론(心性論)의 이념이 있다. 이러한 바탕아래 학문과 삶의 구심적 역할을 담당했던 유가건축인 서원은 타 전통건축과 비교해 볼 때 스케일 면에서 압도적이지 않으며 시각적으로 지나치게 화려하지도 않으며, 과장되지도 않은 특징을 가졌다. 또한 공간이 개방 되어 있어 비어 있는 듯한 느낌을 받기도 한다. 성리학적 이념을 건축적 실현을 통해 삶을 풍부하게 하고자 적극적 노력을 기울였다. 이러한 건축 형식을 이해하는데 있어서는 지리적 환경과 정치, 사회적 환경은 물론, 정신내면의 문화적 고찰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유가는 이념의 근본을 천(天)에 두고 있으며 이는 우주, 즉 태극(太極)이라 는 개념을 상정하고 있다. 유가에 의하면 태극은 모든 사물에 이치로 존재 한다. 이친셋 '그렇게 있어야 할 바' 그대로의 사물을 만들어 준다. 만물의 생성의 원인을 의미하며 이친셋 그 사물의 극, 즉 사물의 궁극적인 표준이다. 전체로서의 우주는 또한 궁극적인 표준이 존재한다. 그것은 모든 사물의 이치를 포괄하며, 또 천지만물의 질서의 총화이다. 그러므로 그것은 거대하게 큰 극:'태극(太極)'이라 불리 운다. 주자는 다음과 같이 언급하였다. 물(物)마다 모두 하나의 표준 극(極)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궁극적인 이치이다. 천지 만물을 총괄하는 것은 바로 태국이다. <주자(奏者)> 태극(太極)이란 단지 맨 끝에서 이르러 더 이상 갈 데가 없어 무극이라고도 한다. 지극히 높고, 지극히 현모하며, 지극히 전교하고, 지극히 신비로워 더 이상을 나갈 곳이 없다. <주렴계>는 사람들이 태극은 형태를 가지고 있다고 말 할 까봐, '무극이 곧 태극'이라 하였다. 이는 아무 것도 없는 가운데 지극히 이??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우주 질서를 통해 유간셋 유교의 이상인 '천인합일(天人合一)과 ,물아일체(物我一體)'에 이르고자 하였다. 유간셋 태극의 이치를 근본으로 인간이 갖추어야할 네 가지 덕 인의예지(人, 義, 禮, 知)를 강조하였다. 이는 수행을 통해 자연의 이치(理致)를 깨닫고 예(禮)를 통해 실천하는 유교적 실천개념이다. 인의예지는 우주의 이치로 형성된 것이고 인간 또한 지켜야 할 도리로 삼았다. 유간셋 그 중에서 예(禮)를 강조 하여 예의 실천(행(行))을 강조하였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예(禮)는 천지(만물)의 질서이고, 악은 천지(만물)화합이다. 화합(化合)함으로 해서 천지(만물)를 모두 화생(化生)할 수 있다. <예기(禮記)> 예(禮)는 물(物)을 형성하기 때문에 예(禮)를 사용에 오류를 범하면 사회(社會)가 어지러워진다. 하였다. <공자(孔子)> 예(禮)의 질서와 규범으로 사람을 구별하되 존경을 하도록 해주고 ,악(樂)의 감화로 친근하게 하여 동화(感化)하게 해준다. 악(樂)은 사람의 관계를 원활하게 하여 감정의 합(合)을 이끌어 다시 예(禮)의로 드러내도록 하는 것을 예악(禮樂)이념 이라하였다. <공자(孔子)> 따라서 우주의 이치(태극)와 질서로 형성된 만물은 형(形)을 갖고 이것은 인간에 의해 형성된 형(形)또한 태극의 이치이다. 결과적으로 유??실천하는 것은 우주의 이치로 존재하는 물(物)을 예(禮)의 형식을 통해 형성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원리는 인간 생활에 적용하기 위해 삼강오륜의 기본개념을 바탕으로 생활문화를 구성했고, 민중의 감정과 유교적 인생관에 따른 절제와, 중용의 사상을 통해 본연의 질서와 부합하는, 평상의 이치를 찾으며, 시중(時中)의 타당성에 따라 조형의식과 미학(美學)의 개념형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조선시대의 정치(政治), 사회(社會), 문화(文化), 예술(藝術)의 시대정신의 근본원리를 이룬다. 본 연구를 통해 예악사상의 조형적 개념은 만물의 경계를 뛰어넘는 화생(化生)의 상태, 즉 허(虛)의 체계'임을 도출할 수 있었다. 허(虛)의 체계에 대해여 주자는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 '허(虛)는 진실보다도 더 진실하며, 도(道)는 허로 모여들고(유도집허唯道集虛),.. "허공이 없으면 만물은 생겨나지 않는다. "고 한다. 위와 같이 태극이 만물을 생성하게 하는 본체인 점에서 병산서원의 건축은 태극(太極우주)의 이치를 따르며 이를 유가(儒家)가 예(禮)적 형식을 빌어 건축으로 표현한 예의 건축으로 본다. 이는 건축을 통해 예(禮)와 악(樂)을 실천하여 화생(化生)에 도달하려 했고, 나아가 유교의 이상을 추구하려 했다. 병산서원의 공간은 생기(生氣)가 예(禮)를 낳고 악(樂)을 형성시켜 예(禮)를 다시 생(生)하게하는 장소이며 이(理)와 기(氣)가 움직이는 허(虛)의 장이기도하다. 그리고 병산서원의 건축공간은 우주의 질서를 유가의 예적 실천을 통해 그 이념이 내제되어 표현된 건축이라 할 수 있다. 즉 병산서원은 예(禮)의 실천이며 악(樂)의 동화를 이끌어 만물과의 조화를 이끄는 건축이다. 따라서 병산서원의 건축체계는 우주의 질서, 태극의 질서 체계이며, 아무것도 더할 것도 없고 뺄 필요도 없는 허(虛)의 체계를 형성케 하는 공간이다. ◁그림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본 시(詩)는 예악사상의 화생(化生)에 대한 이해와 태극(太極)의 체계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제시한다. 淸夜吟 청야음 달 밝은 밤에 邵康節 소강절(1011~ 1077) 月到天心處 월도천심처 달이 천심처에 이르고 風來水面時 풍래수면시 바람이 수면에 일때 一般淸意味 일반청의미 일반의 청량한 기분이 멋을 料得少人知 요득소인지 아는 이 적음을 헤아려 알았노라. 소강절 선생은 어느 여름밤 한 갈피 호수의 수면을 스친셋 시원한 바람의 예(禮)적 형식에 놀라고 감동하는 악(樂)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천지를 새로 깨우쳐 자아를 돌아보았다.'는 동양사상의 근본인 물아일체(物我一體)에 도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예기 禮記>에서 예(禮)는 자연의 질서에서 이끌어낸 규정으로 단순한 공손함이나 인습을 초월한 인간과 자연을 조화시키는 중대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하여 예의 역할을 중시하였다. 예악사상(禮樂思想)의 본질은 예(禮)로써 깨우치고 악(樂)으로서 감화(感化) 시키듯, 인간은 동화로써 깨우친셋 존재이다. 시 '청야음'은 자연적 질서(禮)를 통해 감화(樂)를 꽤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얻은바 없고 잃은바 없는'자연(自然)과 일합(一合)하는 자아(自我)를 보여주고 만물의 이치를 이해시키고 있다. 달빛과 바람이 존재하고 실상과 허상이 자유롭게 소통하는 경계가 없는 곳이다. 이는 인격(人格)과 합(合)하여 천지의 질서와 인도(人道)를 말하며 미(美)이자 선(善)의 모태가 되는 것이다. 시<청야음>에서 내포하는 것은 자연의 상태를 언어라는 예(禮)적 표현으로서 동화라는 악(樂)의 형태로 승화하여, 주역의 이치와 순리를 깨닫게 하고 인도(人道)의 방향을 제시 하고 있다. 공자가 "아침에 도(道)를 듣는다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고 한 것은 인간이 도를 떠나서 존재 할 수 없음을 강조하는 것과 같다. 이 조용한 작간셋 예(禮)적 질서로 악(樂)의 감동을 이끌어, 일합(一合)란 도(道)의 형태로 승화시켰고, 또한 화생(化生)을 실천하고 있다. 이를 통해 예악의 의미를 알 수 있다. 예(禮)는 그 뜻을 진술하며, 악(樂)으로는 그 소리를 조화 시킨다. 악(樂)은 천지의 조화(調和)이다. 악(樂)은 조화로움의 극치이며, 예(禮)는 순조로움의 극치이다. 공경은 예(禮)이고 조화로움은 악(樂)이다. 성인의 악(樂)은 조화로움일 뿐이다. <禮記,樂記中以...> 이러한 연구 결론을 바탕으로 예악 공간(禮樂空間)은 주관적인 동시에 객관적이고 사상과 감정을 예악의 조화를 통해 내면으로 표현할 것을 요구한다. 또한 사상과 감정을 객관자연의 형상 속에 용해시키되, 심미주체의 능동적인 통제 하에서 주·객체의 교육을 실현하는 실천의 장으로서 건축 공간을 구사하였다. The base of the YAC and ACK have taken it's origin in the sky. The base of the courtesy appeared in the admiration of the nature. The comprehension on this phenomenon started in the sky. In the human society the courtesy was the social virtue and the music was th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 During the Choseon period for the name of the neo - confucianisme it effected the metaphysics, individual courtesy, national politics and philosophy. This origin was a neo - confucianist concept of music and courtesy: The order and the harmony. In the metaphysic the human wisdom is the minimum manner between individuals. Your behaviour should be moral and express the social group model. Good manners make people like and respect eachothers said Confucius. The rule of the nation encouraged improvement and advancement of the people. The confucianists of Choseon always follow and keep their theory. We call these outstanding books who they represent Yeahak. The philosophers taught the theoryof the music and courtesy and spread it out worldwide. The place of education was an auditorium. This theory is about investment of music and courtesy. This analyse is the representive building of the music and courtesy theory. Coursety is politic ethics and human virtue and the music is th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 I will try to explain how it worked through the theoretical reflection. The analyseresults are as follows 1) The ACK and YEA through the meaning of the sky represent the order of the universe and the harmony. 2) In the space courtesy is the rule, respect, honesty, consideration and the superiors and inferiors distinction... the order is determined by the relationship. In the space the ACK is knowledge, trust, assimilation, confidence, etc. And both realised the transformation. 3) When the music and courtesy fused and the harmony was realised this theory permitted the modelling of an empty space.
도심 환경 속 정밀지도와 라이다 오도메트리를 이용한 차량 위치 추정 방법
본 연구는 자율주행차량에서 LiDAR 센서를 사용하여 자율 주행 레벨 4단계 이상을 위한 위치 추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정밀 지도는 위치 추정이나 경로 생성과 같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활용되고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GNSS 장비의 멀티패스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LiDAR 센서와 visual 센서의 오도매트리 위치 추정 법으로 사용하고 이는 루프 클로저와 같은 에러들이 발생한다. 이를 극복하기 실시간으로 취득된 센서 보와 지도 데이터를 정합하여 지도상에서 자율주행 차량의 위치를 찾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면, 여러 가지 문제가 생기는데 그중 하나는 작동 컴퓨터의 메모리와 컴퓨팅 파워이다. 포인트 클라우드가 1초에 120만 개의 포인트를 획득하고 정밀 지도 LSA 파일과 매칭하기 위해 많은 메모리가 필요하다. LAS 파일을 도식화한 SHP 파일을 활용한 방법을 제안한다. 각 시간에서의 차량의 위치를 pose라 하고 서로 다른 pose에서 포인트 클라우드를 이용하여 두 지점 사이에 복셀 스코어를 이용하여 상대 위치를 파악하고 센서 정보를 통해 pose와 복셀에 제약조건을 생성한다. 이렇게 나온 pose와 SHP 정밀 지도의 맵 매칭을 통해 정확한 위치를 얻을 수 있다. 맵 매칭하는 방법 중 많은 방법이 있는데 본 연구에선 ICP, NDT 방법을 비교하고 나온 값을 LAS 정밀 지도와 비교하여 그 결과 이전 연구 대비 낮은 컴퓨팅 파워와 메모리의 사용을 통해 더 가벼운 차량 위치 추정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전자책을 통한 영어 다독이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읽기 능력과 읽기 속도 및 다독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우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English is an essential language for communicating in a globalized world. For effective English communication, L2 learners should not only improve the four language skills, but also acquire the characteristics of good language learning: positive attitudes towards other English speakers and their lives and the ability to learn. These properties of effective communication are reflected in the “core values” of the 2015 national English curriculum. A number of studies reported that extensive reading had a positive effect on communication ability by improving four language skills and improving effective communication skills. Despite these benefits, extensive reading is rarely included in English education in Korea. There are several factors contributing to the exclusion of extensive reading programs. One of these factors is the heavy focus on intensive reading. Another reason is the difficulty in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extensive reading programs. A potential solution that addresses these factors is using e-books. Additionally, various functions of e-book can confer benefits on English language learning. This study thus purposes to implement an extensive reading program through e-books in English reading classes under the current curriculum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uch a program o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reading rate, and attitude towards extensive reading. The study was conducted in regular classes for four weeks at a high school in Gyeonggi province in Korea. The participants were 52 EFL third grade Korean high school students.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 control group was assigned to read paper books and a experimental group was assigned to read e-books. As a pretest, the participants performed a reading ability test and a reading rate test. Also, they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regarding attitudes towards extensive reading. Before the experiment, students were instructed how to read extensively and presented with the recommended book list based on their reading ability. During the experiment, students freely selected the books and read them in their free time. They were required to submit a reading log once in a week. After 12-weeks of experiment, they performed a post test for their reading ability and reading rate and filled out a post questionnaire. In addition, several students were selected for an in-dept interview; and separately, a few students’ reading logs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l the participants’ scores of reading ability increased in the post-reading test. Though all the improvement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improvement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close to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The experimental group also showed gain that was very close to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bottom-up reading ability. Second, the reading rates were also increased in both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the increase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larger than one in the control group, though both of them were not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like the improvement in the reading ability test. Third, the affective domain of the participants was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ost-questionnaire, in-dept interview and reading journal. Most students in both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were satisfied with the extensive reading activity they participated in. They also responded positively toward extensive reading; however, the differences of the improvement in attitudes toward extensive reading between the pre- and post- questionnaire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There was a statistically meaningful change between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in their willingness to read extensively. Participants in experimental group were more eager to read English books than those in control group after the experiment. In particular, they reported the sense of achievement which led them to became autonomous learners of English. Additionally, they also showed positive attitude and willingness toward extensive reading via e-book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extensive reading through e-books is more effective when it comes to improving bottom-up skills of English reading and willingness to read extensively. It is more effective, however, to read extensively through paper books to increase a reading rate. This suggests that careful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how to select the mode of extensive reading according to the need of students and objective of the lesson. The further work of this study can be conducted with longer time period. In addition, further research on the modes of extensive reading could be needed to analyze if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reading comprehension, reading rate, and the affective domain among the participants of different English proficiency. With all these implications in mind, teachers could carefully choose the modes of English extensive reading when implementing English extensive reading program in the lessons. By doing so, it will eventually lead students to be able to effectively communicate in English. 영어는 현대 사회에서 세계인이 서로의 의사소통을 위해 함께 쓰는 국제어로서 확고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세계인들은 영어 언어 지식을 갖추어야 영어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의사소통이 좀 더 효과적이도록 하기 위해서는 언어 학습에 대한 이해, 외국어 사용자의 삶과 문화, 학습 능력 등이 학습되어야 한다.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이 세계인으로서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하여 한국 영어 교육은 여러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영어 다독 활동은 영어 읽기 능력, 어휘력, 쓰기 능력을 높여주고 더 나아가 영어를 통한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돕는 유용한 활동으로서 변화에 대한 해답을 줄 수 있다. 그러나 여전히 한국 영어 교육 현장에서는 문법 위주의 정독 수업에 치중하고 있으며 영어 도서를 확충되어야 하는 문제 등으로 교육 현장에 쉽게 적용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자책을 통한 영어 다독과 종이책을 통한 영어 다독을 실시하여 두 다른 다독 자료 유형에 따라 영어 다독의 효과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서 비교하였다. 영어 다독의 효과는 영어 읽기 능력, 영어 읽기 속도, 그리고 다독에 대한 정의적인 태도 이렇게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의 고등학교 1학년 2개 학급, 52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한 학급은 종이책 다독 집단, 다른 학급은 전자책 다독 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에 대한 영어 읽기 능력 통제는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실험을 실시하기에 앞서 사전 읽기 능력 및 읽기 속도 평가와 사전 기본 설문을 진행하였다. 다독 활동의 규칙, 다독일지 작성 방법, 그리고 효과적인 다독 자료 선택 방법에 대해서 안내하였으며 그 뒤로 12주간 다독 활동을 진행하였다. 학습자들은 본인의 자유 시간을 이용하여 다독 활동을 하였으며 2주에 1권씩 책을 읽도록 권장되었다. 또한 책을 읽을 때마다 다독일지를 작성하였고 작성된 다독일지는 일주일에 한 번 수업시간에 교사에 의해 점검되었다. 전자책 다독 집단 학습자들은 전자책에서 제공되는 오디오 파일을 반드시 들으면서 다독 자료를 읽어야 했으며 원하는 경우에 한하여 다독을 하면서 전자책의 다른 기능들도 사용할 수 있었다. 실험 활동 이후에는 사후 읽기 능력 및 읽기 속도 평가, 사후 설문 조사와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사전․사후 읽기 능력 평가는 전반적인 읽기 능력과 하향식, 상향식 읽기 능력으로 구분하였고 사전․사후 읽기 속도 평가는 읽기 자료로는 문학 작품 활용하였으며 읽기 속도가 적절한 글의 이해를 바탕으로 한 것인지를 판단하기 위해서 이해 평가 문제도 함께 포함하였다. 이와 함께 각 집단의 학습자가 작성한 다독일지를 선정하여 학습자의 다독 과정에 변화가 있었는지 분석하였으며 사전․사후 기본 설문조사, 사후 심화 설문조사, 그리고 심층 면담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들의 영어 다독에 대한 정의적인 태도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독 자료 유형별 영어 다독 활동이 영어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을 때 두 집단 모두 사전에 비해 사후에 점수 향상이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은 아니었다. 그러나 전자책 다독 집단의 경우 사전․사후 전반적인 읽기 능력 평가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에 아주 근접하였으며 사전․사후 하향식․상향식 읽기 능력 향상을 비교 분석한 결과, 상향식 읽기 점수에 주목할 만한 향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독 자료 유형별 영어 다독 활동이 영어 읽기 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을 때 두 집단 모두 집단내 사후 읽기 속도 평가에서 향상된 점수를 보였으나 유의미한 점수 향상은 아니었다. 다독 자료 유형별 집단간 읽기 속도 향상을 비교 분석한 결과, 종이책 다독 집단이 전자책 다독 집단에 비해서 더 높은 읽기 속도의 향상이 있었다. 다독 자료 유형별 영어 다독 활동이 학습자의 영어 다독에 대한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을 때 다독 자료 유형별 집단내에서는 두 집단 모두 다독에 대한 느낌과 감정과 같은 정의적 태도 설문 영역에서 사후에 유의미한 응답 변화를 보였다. 다독 자료 유형별 집단간에서는 다독의 자발성이나 적극성과 관련된 행동적 태도 설문 영역에서 두 집단의 학습자들 사이의 반응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전자책 다독 집단의 행동적 태도 설문 영역 응답에 있어 가장 많은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실험 결과를 토대로 살펴보면,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들의 상향식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는 전자책 영어 다독 활동이 효과적이며 읽기 속도 향상을 위해서는 종이책 영어 다독 활동이 더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다독 자료 유형에 상관없이 영어 다독 활동은 영어 다독을 통해 다독에 대해서 긍정적인 느낌과 다독에 대해 흥미를 가지게 되며 다독 행위에 대한 자발성과 적극성을 향상시키는 데에는 전자책 영어 다독 활동이 더욱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한국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영어 다독 활동을 진행할 때에는 학습자가 다독 활동을 위해서 향상시키고자 하는 영어 능력이 무엇인지, 어떤 목적으로 다독 활동에 참여하는지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져야 하며 이러한 이해와 요구 분석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다독 자료 유형을 선정하여 활동을 진행해야할 것이다. 또한 후속 연구로 6개월 이상의 다독 자료 유형별 영어 다독을 진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는 실험이나 다독 자료 유형별 집단내 학습자들을 영어 수준별로 나누어 영어 다독을 실험하는 것도 도움이 될 것이다.
2007년 개정 유치원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적용에 관한 연구
김우영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본 연구는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적용에 대하여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의 구성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도와 적용도는 어떠한가? 2.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의 5개 영역별 교육내용에 대한 교사들의 중요도와 적용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의 공, 사립 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 250명에게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적용에 관한 연구’설문지를 배부한 후 205부를 연구 자료로 사용하였으며 전체 82%의 회수율을 나타내었다. 연구에 사용된 질문지는 김영옥, 조부경, 홍혜경, 김희진(2006)이 제6차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실태 조사에서 사용한 설문지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 재구성하여 사용하였으며 유아교육전문가 3인과 현장 원장 3인으로부터 내용 타당도를 검증받아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연구문제 1〕의 해결을 위하여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교육과정의 기본 방향, 개정의 중점, 추구하는 인간상, 영역별 교육목표 등 4개 분야에 대하여 알아보았고,〔연구문제 2〕의 해결을 위하여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5개 하위 영역의 구체적인 항목들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적용 정도를 4단계 Likert 척도에 따라 일치되는 정도를 표시하게 하였다.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적용의 설문 결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SPSS 14.0 프로그램으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의 구성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도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새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구성의 내용들을 대체로 이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의 구성에 대한 교사들의 적용도를 분석한 결과 개정의 중점에서 ‘수준별 교육과정’이 가장 많이 이루어지는 활동은 언어로 나타났고 ‘문자 기초 교육’을 위해서 우선 실시하는 활동은 책읽기, ‘초등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를 위한 활동’으로 가장 많이 실시되는 활동은 언어로 나타났다. 또한 ‘추구하는 인간상’의 적용도를 분석한 결과 5개 부분의 인간상을 대체로 고르게 적용하고 있었고, ‘교육목표 및 영역별 하위목표’의 적용에서는 5개 생활영역 중에서 건강생활과 언어생활의 적용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의 구성에 대한 이해도와 적용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추구하는 인간상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도는 높은 반면 적용도는 그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의 5개 영역별 교육내용에 대한 교사들의 중요도를 조사한 결과 5개 영역 모두에서 대체로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의 5개 영역별 교육내용에 대한 교사들의 적용도를 분석한 결과 건강생활과 언어생활은 ‘대체로 적용한다’ 이상의 응답을 나타냈고, 표현생활과 탐구생활은 ‘대체로 적용한다’에 가까운 응답을 나타냈으며, 사회생활의 경우 내용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의 5개 영역별 교육내용에서 교사들이 인식하는 중요도와 적용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교사들이 인식하는 중요도에 비해 실제로 적용하는 면에서는 중요도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적용의 결과가 교육 현장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제시하며 새 교육과정을 활용하여 유아교육의 질과 효과를 높이기 위한 여러 가지 실제적인 방법들에 대해서 연구할 방향과 가치를 시사한다고 하겠다.
A Study on Precision Alignment System using Micro Pattern Characteristics
본 연구는 미세 패턴을 대면적화할 때 필요한 패턴의 정밀 정렬 공정을 새로운 방법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는 주기적인 패턴의 특성을 활용하여 패턴을 주파수 영역에서 분석하고자 하며, 이미지를 고속 푸리에 변환하고 푸리에 스펙트럼이 나타나는 위치를 파악하여 방향의 정렬 오차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패턴은 발수 성능이 검증된 피치 40 ㎛의 Hexagonal array micro wall 패턴으로 정렬 공정법을 검증하기 위해 패턴을 2D 모델링한 후 알고리즘에 사용됐다. 이후 회전된 패턴 이미지를 고속 푸리에 변환했을 때 푸리에 스펙트럼들이 이루는 각도는 패턴이 회전된 각도와 같은 것을 확인했다. 마찬가지로 반복되는 패턴 두 개를 겹친 후 한 패턴이 회전되었을 때도 푸리에 스펙트럼이 이루는 각도는 한 패턴이 회전한 각도와 같은 것을 확인했다. 하지만 겹쳐진 패턴을 정렬할 때 회전축의 위치에 따라 , 방향으로 정렬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했다. , 방향으로 발생한 정렬 오차는 MATLAB에 내장된 길이 측정 도구를 활용하여 픽셀 단위로 실측한 후 ㎛로 환산하여 정렬하고자 했다. 앞서 소개된 , , 방향의 정렬 오차 측정법을 이용하여 실제 패턴들을 이용하여 정렬 공정을 수행했다. 몰드 패턴(음각의 Hexagonal array micro wall 패턴)과 임프린트된 패턴(양각의 Hexagonal array micro wall 패턴)을 겹친 후 측정된 정렬 오차를 장비에 입력하여, 최종적으로 두 패턴의 형상이 일치되는 것을 확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