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대(經臺) 김상현(金尙鉉)의 교유시에 대한 일고찰

        김용태 ( Kim Yong-tai ) 한국한문학회 2021 韓國漢文學硏究 Vol.- No.83

        김상현은 19세기 중반 서울 문단의 중요한 작가였지만 안타깝게도 문집이 오늘날 전해지지 않고 있는 가운데, 그가 젊은 시절에 지은 시들을 모은 『경대시략』과 『경대시존』만전하고 있다. 본고는 이 자료를 통해 김상현의 교유시를 살펴보았다. 젊은 시절 김상현의 교유는 크게 ‘정약용 부자와의 교유’, ‘김매순과 홍석주 등 선배 문인과의 교유’, ‘윤종의와 박규수 등 동료 문인과의 교유’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정약용 부자와의 교유’에서는 김상현이 어떻게 당파가 다른 정약용에게서 가르침을 받을 수 있었는지 그 경위를 밝혔고, 어린 김상현의 눈에 정약용과 정학연이 어떠한 모습으로 비쳤는지를 살펴보았다. 이 부분은 향후 다산학단의 시문학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선배 문인과의 교유’에서는 ‘북촌 한문학’이 19세기 전반기 세대에서 중반기 세대로 이어지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김상현은 김매순, 이정리, 홍석주 등 선배들의 학문과 문학을 존경 어린 시선으로 증언하고, 선배들은 김상현을 격려하며 이끌어주었다. ‘동료 문인과의 교유’에서는 1840년 무렵 김상현이 동료 문인들과 매우 활발한 교유 활동에 나섰음을 확인하였다. 이 당시 이들의 움직임에서는 대단히 활기찬 에너지가 감지되는데, 끈끈한 동지적 결속을 바탕으로 미래에 대한 희망이 이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 점은 문학사를 넘어 정치사에서도 주목할 지점이라고 생각되는바 향후 학계의 집중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Kim Sang Hyun is an important writer of Seoul literary circles in the mid-19th century, but unfortunately, his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is not available today. However, the books of poetry he wrote when he was young, “Kyung Dae Si Ryak(經臺詩略)” and “Kyung Dae Si Jon(經臺詩存)” remain. Therefore, in this paper, I analyzed the poems he wrote while interacting with people, based on Kyung Dae Si Ryak and Kyung Dae Si Jon, which are the only materials that can examine the literary world of Kim Sang Hyun. Kim Sang Hyun’s social interaction in his youth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interaction with Jeong Yak Yong’s family”, “interaction with senior writers such as Hong Seok Ju”, and “interaction with fellow writers such as Yoon Jong Eui and Park Kyu Soo”. In the chapter on “interaction with Jeong Yak Yong’s family”, I revealed how Kim Sang Hyun was able to be taught by Jeong Yak Yong of other factions. In addition, Kim Sang Hyun’s poems about Jeong Yak Yong’s family were examined to understand what the appearances of Jeong Yak Yong and Jeong Hak Yeon were reflected in the eyes of Kim Sang Hyun at that time. The contents in this chapter can be used for future study on literature of Dasan Academy. In the chapter on “interaction with senior writers”, it was possible to see how “Sino-Korean literature in Bukchon” was changing from the first half of 19th century to the mid-19th century. Kim Sang Hyun respected the studies and literature of his seniors such as Kim Mae Soon, Lee Jeong Ri, and Hong Seok Ju. Hence, the seniors encouraged and guided him. In the chapter on “interaction with fellow writers”, it was confirmed that Kim Sang Hyun had active interaction with many fellow writers around 1840, while he had mainly interacted with the Jeong Yak Yong family and senior writers before. This fellowship seems to come from the strong comradeship between young writers and their hope for the future. However, this atmosphere rapidly disappeared after the death of Heonjong of Joseon. This point should be noted not only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but also in the history of politics, and intensive research will be necessary for the future.

      • KCI등재

        USN 기반의 실시간 수도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김용태,유능환,박길철,김석수,김태훈,이상호,Kim, Yong-Tae,Yoo, Neung-Hwan,Park, Gil-Cheol,Kim, Seok-Soo,Kim, Tai-Hoon,Lee, Sang-Ho 한국정보통신학회 2007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1 No.6

        기존의 수도설비의 밸브실과 유량계의 관리는 기계적이고 숙련자의 경험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USN 기반의 실시간 수도설비 모니터링 시스템을 활용한 시설물 관리는 안전성과 정확성을 제공함으로서 양질의 수자원을 관리하는데 기술적인 발전을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USN(Ubiquitous Sensor Network)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망을 이용한 수도 시설물의 안전 관리 시스템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수도 설비 중에서 밸브실과 유량계실을 대상으로 유량계, 압력센서, 진동센서, Co센서, 온 습도센서들의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센서로 구성된 USN을 구성하고, USN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수도 시설물 정보 및 수(水)처리 측정 정보를 수집하여, CDMA망을 통해 원거리 관제 시스템에 전송한다. USN 기술을 이용하여 수도설비를 관리함으로서 현장에서의 편리성, 안전성, 정확성을 높여 더욱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깨끗한 수돗물을 공급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This paper has researched water supply facilities management using real-time water utility monitoring system based on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which is consisted of wireless sensors transferring waterworks facilities md treatment information about a valve-room and flowmeter-room of water supply installation. In the manholes, it was installed with flowmeter, pressure sensors, vibration sensors, Co-sensors, and hydro-thermograph sensors. These measurement values which are received by PDA are used for facilities operation on the spot safely and conveniently. It has also provided safe installation management via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network which transfers data to remote servers to monitoring at a distance place. With safety management system of water supply facilities on USN technology convenience and safety is increased in real situation, and it is expected that we can supply clean water to people as much safer and more effective water supply installation management.

      • KCI등재후보

        아시아 공공주택기관의 사업특성 및 재무현황 비교 연구 : 한국, 일본, 싱가포르, 홍콩을 중심으로

        김용태,박신영,조승연,Kim, Yong-Tai,Park, Shin-Young,Cho, Seung-Youn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11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ol.2 No.4

        본 논문은 최근 정책적 이슈로 대두되고 있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부채문제 및 미래 역할과 관련하여 일본 도시재생기구(UR), 싱가포르 주택개발위원회(HDB), 홍콩 주택청(HA)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국가별 주택정책의 전개과정과 각 기관의 사업내용 및 재무적 상황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비교하였다. 그 결과 주택대량공급 정책의 재검토, 임대주택 수혜계층 범위 확대, 도시재생 활성화, 민간과 지자체와의 협력강화, 정책사업 수행을 위한 LH 자금조달과 사업 손실에 대한 정부지원 강화, 공공주택기관 부채에 대한 재인식 등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론적 관점이 아니라 주택 및 도시문제 해결을 위해 우리나라와 유사한 정책집행체계를 운영하고 있는 아시아 국가의 공공주택기관 실태를 통해 정책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Recently, one of the critical issues in Korea is the huge debt and future role of Korea Land and Housing Corporation. In this rega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t implications from other public housing agencies in Asian countries such as UR of Japan, HDB of Singapore and HA of Hongkong. The changes of housing policy since 1960s, business and financial structure of housing agencies in each nation are investigated and compared. As a result, some policy directions can be proposed as follows : review of current mass housing program, relaxing qualifications for public rental housing, promotion of urban renewal projects, reinforcing cooperation with private sector and local governments, more government's support to LH's financing and loss from businesses for public interests and re-evaluation of LH's debt.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hat suggestions to improve housing policy and to alleviate financial problem of LH are based on the actual conditions of public housing agencies in Asian countries where the housing policy implementation system is similar to Korea, not on the theoretical basis.

      • KCI등재

        錦舲 朴永輔의 글쓰기에 끼친 茶山의 영향

        김용태(Kim, Yong-tai) 대동한문학회 2020 大東漢文學 Vol.62 No.-

        박영보는 19세기 조선의 유명한 시인이었던 신위의 수제자였다. 스승을 따라 박영보 또한 19세기 중반 서울의 유명한 시인이 되었다. 그런데 박영보는 조선 후기를 대표하는 대학자였던 정약용에게 직접 가르침을 받기도 하였다. 정약용은 박영보의 재능을 아껴 학자로서 대성하기를 바랐지만, 박영보는 학자의 길 대신에 관료의 길을 선택하였다. 그렇지만 두 사람의 사제관계는 다산이 삶을 마칠 때까지 이어졌고, 정약용의 가르침은 박영보의 사상과 행동에 적지 않은 영향력을 발휘했다. 박영보의 풍부한 작품세계에서 그 비중이 크지는 않지만, 정약용의 문학과 사상의 영향이 감지되는 시와 산문 작품이 뚜렷이 존재한다. 그 작품들을 통해 박영보는 백성들의 고통을 자신의 아픔으로 여기기도 하고, 수리시설의 필요성을 주장하기도 하고, 군사적 방어시설의 확충을 주장하기도 하고, 수레 제도의 개선을 요구하기도 하였다. 이런 작품들은 정약용의 사상과 일정한 연관 관계를 맺고 있다고 보인다. 그렇지만 박영보를 학자나 사상가로 규정할 수는 없다. 정약용의 사상과 학문을 계승하고 있는 저술이 많지는 않기 때문이다. 박영보는 관료의 삶이 너무 바빠 학문에 전적으로 힘을 기울일 수 없었다. 다만 그는 정약용에게서 배운 애민정신을 실제로 실천하기 위해 모든 힘을 기울였고 성실하게 관료 생활에 매진하다가 결국 과로로 삶을 마감하고 말았다. 이러한 점은 박영보라는 시인을 이해할 때 비중 있게 고려되어야 하며 또한 정약용의 학문이 후학에 의해 활용되었던 한 양상으로 기억되어 마땅하다. Park Young-bo was a brilliant pupil of Shin Wi, a famous poet of Joseon in 19th century. As his teacher Shin Wi was, Park became a famous poet in the mid-19th century Seoul. Park Young-bo not only learned from Shin Wi but also from Dasan Jung Yak- yong, one of the prominent scholars of the late Joseon dynasty. Jeong Yak- yong hoped to conserve Park Young-Bo s talents and succeed as a scholar, but Park Young-Bo instead chose the bureaucratic path.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ntinued until Dasan finished his life, and Jeong Yak-yong s teachings exerted considerable influence on Park s thoughts and actions. Although it is not a large proportion of Park Young-bo’s abundant literary works, some of his literary works express what he learned from Jung Yak-yong in poetry and prose. Throughout these works, Park Young-bo grieved at the people’s suffering, insisted on the need for irrigation facilities, claimed the expansion of military defense facilities, and demanded the improvement of the wagon system. These works are closely related to Jung Yak-yong’s thoughts. In spite of that, Park Young-bo cannot be defined as a scholar or a philosopher. This is because there are not many writings that inherit the thoughts and studies of Jung Yak-yong. Park Young-bo’s official life was so busy that he couldn t concentrate fully on literary studies. However, he did his best to practice the love of the people he learned from Jung Yak-yong, and he ended his life with overwork while serving as a government official. This point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when understanding the poet Park Young-bo, and it should be remembered as one aspect in which the studies of Jung Yak-yong were used by later scholars.

      • KCI등재

        이건창(李建昌) 글쓰기의 문제적 성격에 대하여 ― 김택영(金澤榮)이 산삭했던 산문의 분석을 중심으로

        김용태 ( Kim Yong-tai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8 大東文化硏究 Vol.104 No.-

        이번에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에서는 그동안 학계에서 발굴해온 이건창 관계 문헌을 총망라하여 새로 『이건창 전집』을 펴내었다. 이건창의 문학 연구와 관련하여 『전집』에서 특히 주목되는 부분은 초고본 계열의 필사본들이다. 김택영이 편집하여 공간했던 『명미당집』과 초고본을 대조해 보면 편집 과정에서 상당수의 글들이 대거 산삭되었음을 알 수 있는데 이 글들의 성격을 규명하는 것이 학계의 시급한 숙제로 떠오르게 되었다. 이건창에 대한 기존의 일반적인 이미지를 떠올려 보면 ‘강직한 관료’, ‘문장으로 이름난 문인’, ‘시대를 아파하였던 우국문학의 실천자’ 등으로 압축할 수 있을 듯하다. 그런데 김택영이 산삭한 글들을 살펴보면 이러한 이미지와 어울리지 않는 내용이 많이 들어 있다. 선배 문인 학자들에 대한 날선 비판이 거침없고, 자신만의 개성적 문학을 열정적으로 모색하는 과정에서는 조선 문단의 지상명령과도 같았던 도문일치의 명제를 과감히 부정하기도 하였다. 나아가 성리학을 넘어서서 도교와 불교에 대해서도 그 진리성을 인정하는 태도를 보였다. 그런데 이건창의 이러한 ‘문제적’ 면모들이 방종이나 일탈로 흐르지 않았음은 『전집』의 모든 글들이 증명하고 있는 바이다. 이건창은 자신의 자유롭고 치열했던 문학적 고민을 자산으로 삼아 시대를 외면하지 않고 아프게 증언하는 문학으로 승화시켰다. 앞으로는 본고에서 검토한 이건창의 문제적 면모와 기존에 알려졌던 우국문학을 종합적으로 검토하는 논의가 이어져야할 것이다. This time, the Daedong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of Sungkyunkwan University published the complete works of I Konch'ang. Particularly noteworthy is the fact that there is part of the manuscript collection of the first-draft version related to literary researches of I Konch'ang. As contrasted with Myongmidangjip which was modified by Kim T'aekyong, the first-draft version was cut from a fair number of writings during the editing process. It is urgent for academia to investigate the character. An existing image of I Konch'ang seems to summarize as an upright government official, a well-known writer, and a performer of patriotic literature. But, a close look at a revised text of Kim T'aekyong included contents of non-matching image. He criticized a senior literary scholar without a hitch, and strongly denied thesis of Tomunilch'i(道文一致) in the process of seeking individual literature. Furthermore, he recognized the truth of taoism and buddhism beyond neo-Confucianism. However, the complete works of I Konch'ang proved that he did not deviate from standard such as the problematic aspect. I Konch'ang sublimated his anger and did write and testify to his free and fierce worry about literature without turning away from the times. In the future, these studies will continue to put together patriotic literature and problematic aspect.

      • KCI등재

        풍고(楓皐) 김조순(金祖淳)과 ‘북촌시단’

        김용태 ( Kim Yong-tai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6 민족문학사연구 Vol.61 No.-

        김조순은 19세기 전반기 서울 북촌에서 시회활동을 주도하였는데, 이 모임은 연속성을 가지고서 19세기 후반까지 이어졌다. 본고에서는 이 연속적 시회활동을 ‘북촌시단’이라 명명하고자 한다. 본고는 북촌시단에 대한 연구의 첫걸음이라 할 수 있다. 북촌시단에는 당대 어떤 시회보다도 고위 인사들이 다수 참여하였고, 해외로부터 들어오는 학술과 문화정보를 얻기에 유리한 위치에 있었다. 그런 점에서 북촌시단은 당대 가장 중심적 시단이었다고 말할 수 있다. 김조순은 직업적 전문시인들과 함께 시적 표현의 새로운 지평을 넓히기 위해 노력하였고, 이러한 흐름은 김조순이 죽은 뒤에도 계승되어 북촌시단의 한 특징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앞으로 북촌시단이 통시적으로 변화되어 갔던 양상을 연구하고, 또 ‘남촌’, ‘동촌’ 등 당시 서울의 다른 곳에서 열렸던 시회들과의 비교 연구를 진행하게 되면, 조선후기 한시사를 보다 입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Buckchon poetry club’s activity through Kim Jo -soon who was a central figure of the Buckchon poetry club. At the outset, it is imperative to clarify the meaning of the keyword, Buckchon poetry club. Buckchon poetry club is not a current term in the academic world, however I would like to define the poetry club which had been continued over the 19th century as Buckchon poetry club. It might be said that this paper is a first step of the study on Buckchon poetry club. Describing the feature of this poetry club is as follows. Kim Jo-soon had led the poetry club’s activities in the former half of 19th century, and this club has continued until the latter half of 19th century. Furthermore, many high-ranking people participated in Buckchon club than any other poetry club at that time, and the club was in an advantageous position to achieve academic and cultural information from overseas countries. In these points, it can be said that Buckchon club was the most central poetry club at that period. Kim Jo-soon worked hard to extend a new prospect of poetic expression with professional poets. After Kim Jo-soon’s death, such activity had been succeeded and consequently it characterized Buckchon poetry club. It is anticipated that studying diachronic aspect of Bukchon club’s change and comparing it to Seoul’s other poetry clubs such as ‘Namchon’ and ‘Dongchon’ will enable us to prospect the overall history of late Joseon’s Chinese poem in more detail.

      • KCI등재

        虛白亭洪貴達과 초기사림파

        김용태(Kim, Yong-Tai)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9 동양한문학연구 Vol.28 No.-

        이 논문은 洪貴達(1438〜1504)의 삶과 문학에 대한 보고서이다. 홍귀달은 생의 대부분을 관료로서 보냈으며 그의 문학도 그러한 관료적 삶의 반영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을 놓고 보면, 그는 ‘훈구파’다. 그러나 그는 만년에 연산군의 실정을 대단히 매섭게 비판하였으며 이로 인해 비참한 죽음을 맞고 말았다. ‘갑자사화’도 그의 죽음으로부터 비롯되었다. 그가 만년에 이러한 강렬한 비판정신을 발휘할 수 있었던 것은, 金宗直, 曺偉, 金馹孫 등과 같은 ‘사림파’와 공고한 연대를 맺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보인다. 이러한 측면을 놓고 보면, 그는 ‘사림파’다. 이러한 홍귀달의 특이한 삶의 양태는, ‘훈구’와 ‘사림’을 둘러싼 학계의 논쟁에 대하여 새로운 시사점을 주고 있다. 논쟁의 초점은 ‘훈구’와 ‘사림’은 명확히 구분하기 어려운 개념이라는 점이다. 그런데 홍귀달의 삶은 ‘훈구파’에서 ‘사림파’로 변모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당시 시대정신의 변화와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고 보인다. 성리학이라는 시대정신이 진전됨에 따라 홍귀달은 좀 더 원칙을 중시하는 실천가로 변모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홍귀달은 ‘초기 사림파’라 볼 수 있으며, ‘훈구’와 ‘사림’의 개념은 여전히 이 시대를 설명하는 유효한 이론이라고 판단된다. This paper is a report on the Gwi-dal Hong's life and literature. He spent most of his life as a bureaucrat and his literature can be seen as a reflection of such a bureaucratic view of life. Looking on these aspects, he belongs to ‘Hungu’ school. However, at his later years, he criticized fiercely Prince Yeonsan's misgovernment and as a result of it, his death was disastrous. Massacre of scholars in the year Gapja(1504) was caused by his death. What made him achieve such intense criticism seems that he had a solid relationship with ‘Sarim’ school such as Jong-jik Kim, Wi Cho and Il-son Kim, etc. In this regard, he is one of ‘Sarim’ school. This unusual way of Gwi-dal Hong's life, provides a new suggestion on academic debate over 'Hungu' and 'Sarim' schools. The focus of the dispute is that ‘Hungu’ and ‘Sarim’ are a hard concept to be clearly divided. While his life shows a transition from ‘Hungu’ school to ‘Sarim’ school, which is deeply related to the changes in Zeitgeist of the time. As Seongni-hak(Korean new Confucianism), the spirit of the time, has been developed, Gwi-dal Hong turned into a practician attaching more importance to principle. In this sense, Gwi-dal Hong is a ‘Sarim’ of the early days and the concepts of ‘Hungu’ and ‘Sarim’ is judged to be a valid theory explaining the times.

      • KCI등재

        19세기 중후반 서울 문단의 여성 인식 : 조면호와 박영보의 경우를 중심으로

        김용태(Kim, Yong-tai)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20 동양한문학연구 Vol.55 No.-

        19세기의 사상과 학술 그리고 문학은 보수적이고 억압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이는 서양 세력에 대한 두려움 때문이었다. 그렇지만 19세기 문학사에 부정적인 측면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여성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여성에 대한 편견을 극복해 나가는 흐름이 존재하였다. 19세기 전반기에는 여성 성리학자들에 의해 ‘하늘이 인간을 낳을 때 남녀를 차별하지 않았다’는 명제가 제시되어 남성 성리학자들에게 받아들여졌다. 여성 예술가와의 진정한 결연을 고대하는 풍조도 남성 문인 사이에 유행하여, 여성을 존중하는 분위기가 조성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성과는 19세기 중반으로 계승되었다. 조면호는 시를 창작하는 과정에서 여성이 극심한 가사 노동에 시달리고 있음을 새롭게 ‘발견’하고, 남성들은 염치없게도 고마워할 줄 모른다며 통렬하게 반성을 하였다. 또 박영보는 남성이 여성보다 우월하다고 보는 인식은 아무런 자연법적인 근거가 없으며 다만 인간이 만든 문화일뿐이라는 탁견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여성에 대한 편견을 극복하는 흐름은 19세기 후반으로도 이어져서 김윤식과 김택영의 글쓰기에서도 발견된다. 그리고 19세기 말에는 북촌의 여성들이 여성 교육을 필요성을 주장하는 집단적 운동을 벌이기도 하였다. 이는 19세기 전반기부터 이어진 서울 문단의 여성 인식이 일정한 영향력을 발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Thoughts, scholarship, and literature of the 19th century was conservative and oppressive. This was due to fear of Western powers. However, literary history of the 19th century was not just negative. Looking at the perception of women, there was a flow of overcoming prejudice against women. In the early 19th century, female neo-Confucian scholars made a proposition that “when the heaven gave birth to human beings, there was no sexual discrimination” and male neo-Confucian scholars accepted the proposition. There was also a trend among male writers in anticipation of close exchanges with female artists in the fields of literature and art, creating an atmosphere of respect for women. This progress of perception of women continued into mid-19th century. In the process of writing poetry, Jo Myeon-ho newly recognized that only women suffered from extreme housework, and he reflected on himself severely, saying that men unashamedly did not appreciate. Also Park Young-bo suggested outstanding idea that the custom seeing men as superior has no basis in the light of natural law, and that was only human-made culture. The flow of overcoming prejudice against women continued into the late 19th century, and is found in the writings of Kim Yun-sik and Kim Taek-young. And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women in Bukchon initiated a group movement to argue for the necessity of women s education. This can be seen as the influence of perception of women in the literary world of Seoul, which continued from the early 19th century.

      • KCI등재

        표해록(漂海錄)의 전통에서 본 『海外聞見錄』의 위상과 가치

        김용태 ( Yong Tai Kim ) 한국한문학회 2011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48

        일본 천리대학에 소장되어 있는 『海外聞見錄』은 宋廷奎(1656?1710)가 1704년 제주목사로 부임하여 저술한 漂海錄이다. 『해외문견록』에는 17세기 초반부터 18세기 초반까지 제주에서 발생하였던 표류 관련 사건이 수록되어 있는데, 기존의 표해록이나 여타 자료에 보이지 않는 정보가 풍부히 담겨 있어 자료적 가치가 매우 높다. 예를 들어, 1611년에 발생하였던 이른바 ''유구(오끼나와) 왕자 살해설''과 관련해서는, 베트남에서 일본 측에 보내는 외교문서가 수록되어 있는데, 이 외교문서는 다른 어느 자료에서도 볼 수 없는 내용이다. 또 1653년 발생하였던 ''하멜 표류''와 관련해서는, 송정규가 제주 관아에 보관되어 있던 하멜 일행의 무기류를 직접 살펴보고 그 특징을 자세히 기록한 내용이 있는데, 이 또한 『해외문견록』에서만 볼 수 있는 내용이다. 이밖에 『해외문견록』에는 중국 선박의 구조에 대한 치밀한 보고서가 수록되어 있고, 중국 남부, 베트남, 일본, 대만 등지에서 이루어지고 있던 국제 무역의 현황에 대해서도 많은 정보가 수집되어 있다. 당시 조선은 민간의 해외 무역을 엄격히 금지하고 있었던 시절임에도 불구하고, 송정규가 이러한 저술을 하였던 것은, 언젠가는 해양의 시대가 열릴 것이므로 이를 대비해야 한다는 송정규의 사상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송정규의 혜안은 朴齊家(1750~1805)가 『北學議』(1778)를 저술하여 해외통상을 주장하였던 것보다 수십년을 앞선 것이니 만큼, 이에 대한 학계의 정당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Overseas Travelouge in the possession of Tenri University of Japan is Pyohaerok authorized by Song Jeong-gyu(1656~1710) after he was assigned to serve as the governor of Jeju in 1704. The Overseas Travelouge describes ships drifting incident that occurred off Jeju from the early 17th century to the early 18th century. Compared with other ship drifting records and other data, Pyohaerok encompasses ample information, offering highly valuable materials. For instance, in connection with the presumed homicide of Prince Yugu (Okinawa) in 1611, the Overseas Travelouge describes a diplomatic document that Vietnam sent to Japan, and this document is not mentioned in other materials. Also, in connection with the Hamel's Account of the Voyage in 1653, Song Jeong-gyu detailed the weapons of the Hamel-led travellers which were kept at the Jeju government office, after he personally observed them. This description can be found only in the Overseas Travelogue. In addition, the Overseas Travelogue describes details of Chinese ship structures, as well as international trades conducted in southern China, Vietnam, Japan and Taiwan. At that time, Joseon strictly banned non-governmental overseas trade, but by writing the book, Song Jeong-gyu probably believed that the country must prepare for the opening of marine era someday. Such foresight was tens of years ahead of that of Park Je-ga (1750~1805) who recommended to conduct overseas trade by writing Bukhakui (Observations of Qing China Civilizations) (1778). As such, his foresight should be rightly evaluated by the academia.

      • KCI등재

        해장(海藏) 신석우(申錫愚)와 북촌 시사

        김용태 ( Kim Yong-tai ) 우리한문학회 2021 漢文學報 Vol.45 No.-

        본고는 신석우에 대한 인물 연구를 심화하면서, 북촌 한문학에 대한 이해를 넓히려는 의도에서 집필되었다. 신석우는 평생 ‘北社’ 즉 북촌 시사의 일원으로 자신을 규정하였던바 북촌 시사는 19세기 서울의 한문학을 입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개념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신석우의 사례를 통해 북촌 시사의 실상이 좀 더 분명히 밝혀지고, 북촌 시사의 관점에서 신석우의 문학도 더 깊이 규명될 수 있을 것이다. 신석우가 태어나 평생을 살았던 북촌은 도성 안에 자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풍광이 수려하여 자연의 풍취를 간직한 곳이었다. 그래서 북촌 시사의 동인들은 자신들의 집을 운치 있게 가꾸는 풍조가 있었으며 서로의 집을 돌아가면서 시회를 열었다. 또 북쪽 성곽을 넘어가서 백석동천에서도 종종 시회를 열었으니 북촌은 문화의 중심지이면서도 수려한 자연을 즐길 수 있는 곳이었다. 신석우는 그러한 북촌을 사랑하며 자신의 집을 가꾸는 데도 큰 관심을 기울였다. 신석우는 경화세족의 일원으로서 안동김씨와 풍양조씨 등 당대의 세도가와 북촌에서 가깝게 교유하였다. 그러한 한편 그는 젊어서부터 洪良厚, 朴珪壽 등 북학파의 후예들과도 긴밀히 교유하였고, 徐湄나 金鑾과 같이 출신이 한미한 시인들도 북촌 시사의 동인으로 받아들이는 개방성을 보였다. 그리고 신석우는 젊어서 북촌 동인들과 함께 박지원이나 서유구와 같은 선배 문인 학자들의 문예와 학술을 계승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는 박지원의 글을 열심히 학습하였을 뿐 아니라 徐有榘의 『種藷譜』를 읽고 고구마를 실제로 심어 보급하는 실험을 하고 그러한 내용을 시문으로 남겼다. 또 벗들과 함께 ‘필담’을 연습하여 훗날 외국 문인과의 교유를 대비하기도 하고, 古禮의 연구와 실천이라는 관점에서 투호 놀이를 하기도 하였다. 그리고『海國圖志』를 함께 연구하며 서세동점의 위기 국면을 타개할 방안을 고민하기도 하였다. 신석우와 북촌 시사와의 관련성을 간략히 정리하면, 신석우는 북촌 시사의 동인들과 우의를 다지며 18세기 서울의 진취적 문예와 학술을 계승하였으며, 당대의 역사 현실에 대응하기 위해 고심하였다는 점으로 요약할 수 있다. This article intend for deeper understanding about author Shin Seok-woo along with Bukchon Poetical Circle(北村시사). Shin for whole life defined himself as a member of ‘Buksa(北社)’, which stands for Bukchon Poetical Circle. Buksa is expected as keystone to diverse explanation for 19th century Sino-Korean Literature, so research on Shin might clarify the concept of Bukchon Poetical Circle, which will allow us to investigate Shin’s literature intensly in a point as a member of Buksa. Shin Seok-woo was born and lived whole life in Bukchon where landscape is fascinating with tranquil mood created by surrounding nature, although Bukchon was placed in center of the city. Members of Buksa had interest in decorating their own house to be quite elegant, and hosting a poetic club from one house to another. Also members crossed over northern Seoul castle border and enjoyed Baeksokdongcheon(白石洞天). Therefore Bukchon was the center of contemporary culture and place of enjoying nature beauty at the same time. Shin showed his love on Bukchon and had great interest on decorating his house. He was a member of Gyeonghwasejok(京華世族, Nobility in Seoul for generation), thus he had close relationship with contemporary authorities such as Andong Kim Family or Pungyang Cho Family and hung out in Bukchon. At the same time he had intimate relationship with descendants of Bukhak Scholars(北學派) like Hong Yang-hoo or Park Kyu-soo, and he showed open friendliness toward poets of insignificant background such as Suh Mi or Kim Ran to be a member of Bukchon Poetical Circle. Shin tried to succeed literary and academic achievements of predecessors like Park Ji-won or Suh Yu-goo with his fellow Bukchon members. He studied Park’s writtings and tried to farm sweet potato following Suh’s Jongjeobo(『種藷譜』) and left his experience into poems and writings. Also he prepared ‘Pildam(筆談)’ with his friends for later day when he will face foreign scholars, and he played Tuho(投壺) in order to study and follow Ancient Manners(古禮). He researched Haegukdoji(『海國圖志』) with other scholars to find breakthrough in critical situation of ‘Western Powers over East(西勢東漸)’. To sum up, Shin Seok-woo had friendship with his colleagues of Bukchon Poetical Circle, succeeding adventurous tradition of 18th century on literature and scholarship, and having struggles to respond toward historical events happening in his ti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