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용문(Kim Yongmoon),안광국(Ahn Kwangkuk)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2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3 No.3
본 논문은 ABAQUS 유한 요소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층지반(화강풍화토-점토-화강풍화토)에서의 외말뚝과 군말뚝의 횡하중에 대한 영향을 설명한다. 본 연구에서의 변수는 캡이 없는 외말뚝과 캡이 있는 군말뚝으로, 파일의 직경은 0.5m, 길이는 10m인 말뚝을 사용하였다. 수치 해석은 말뚝의 간격을 (s=3D, 4D, 5D) 변화시켜 외말뚝과 군말뚝의 거동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1×3군말뚝(leading pile, middle pile, trail pile)은 각각의 말뚝의 저항분포와 수평저항력을 조사하기 위하여 선정되었다. 점토의 해석모델은 Druker-Prager 구성관계를 이용하였고, 화강풍화토의 물성치는 기존의 논문을 사용하였으며, 말뚝은 탄성 원형 콘크리트로 모델링하였다. 해석 결과, 말뚝의 간격이 넓어짐에 따라 P-multiplier의 값이 leading pile의 영향을 덜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단층지반이 다층지반에 비해 수평저항력이 약 4~20%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results for a numerical analysis of single piles and pile groups in multi-layers soil(granite soil-clay-granite soil) subjected to monotonous lateral loading using the ABAQUS finite element software. The investigated variables in this study include free head and embedded capped single pile, pile diameter (0.5m), pile length (10m), and pile groups. Numerical analyses were conducted by variation of spacing piles(s=3D, 4D, 5D) to compare the behaviour of single pile without cap and group pile. The 1×3 pile group(leading pile, middle pile, trail pile) was selected to investigate the individual pile and group lateral resistance, the distribution of the resistance among the piles. The analysis model of clay and the material of granite soil was modeled by using Druker-Prager constitutive relationship and existing treatise respectively. The pile was considered as a elastic circular concrete pile. As a result, the more pile space was extended, the value of P-multiplier is appeared to be less effective to leading pile. The lateral resistance of single-layer showed approximately 4-20% larger than the multi-layers.
김용문(YongMoon Kim),이영재(YoungJai Lee) 한국방재안전학회 2014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 Vol.7 No.2
Recently, many accidents occur frequently because sprinklers aren’t installed or don’t work right when there are outbreak of fire in houses and aggregate buildings. Therefore, they can result in damage for humans and loss of property. Sprinklers are the most appropriate which can extinguish buildings' fire in the initial stages. Through lack of legal system, in domestic cases, sprinklers cannot operate their inherent performance. Domestic standard simply classifies installation objects according to types of business and forms of buildings, also divides into uses and floors of buildings. Especially it only regulates that sprinklers must be installed every floors in particular fire buildings that have more than eleven floors. While it doesn’t need to install sprinklers below ten floors, so we are threatened the safety. In this study, we derived causes and implications by analyzing concepts of sprinklers facilities, installation standards in domestic and foreign legal system, and recent cases that expanded damages in fire accidents because of weak point of installation and control standards. In domestic cases, as a result, government has to provide an institutional strategy and law that regulate duty to install sprinklers to all aggregate buildings regardless of floors in terms of new buildings. Also, if someone who has existing buildings wanted to install them, government would guarantee subsidy to encourage installation. In addition, government supervises fire-fighting activities when there are fire by compensating standards about regular inspection by a qualified technician, operation and maintenance of sprinklers as well as reinforcement of administrative criteria. 최근 들어 주택 및 집합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어 있지 않거나, 설치되어 있어도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서 많은 인명과 재산상의 손실을 초래하는 경우를 자주 목격하게 된다. 건축물 화재가 발생하면 초기에 진압 하는 소화설비로써 가장 적합한 것은 스프링클러라 여겨진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법체계의 미비로 인해 스프링클러 설비가 가진 본연의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우리나라 기준은 스프링클러 설비의 설치 대상을 업종과 건축물 형태에 따라 단 순하게 분류하며, 건물의 용도나 건축물의 층수로 구분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층수가 11층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에만 모든 층에 스프링클러를 설치하게 되어 있을 뿐, 법적으로 10층 이하의 건물에는 스프링클러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안전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프링클러 설비에 관한 개념, 국내외 법체계상에서 규정하는 스프링클러의 설치 기준, 그리고 근래에 발생한 화재사고에서 스프링클러 설치 및 관리기준의 허점으로 인해 피해를 키운 사례를 분석하여 그 원인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결과적으로 국내의 경우 신축 건물에 대해서 층수에 관계없이 모든 집합건물은 스프링클러를 의무적으로 설치하게 하는 법 및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또한 기존의 건축물 중에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건 물의 경우에는 신규로 스프링클러를 설치하고자 하면, 정부 보조금을 지급하여 스프링클러 설치를 장려하는 정책적 시행도 요구된 다. 더욱이 스프링클러의 설치적 기준의 강화뿐만 아니라 전문기술자격자에 의한 수시, 정기점검을 강화하는 등 스프링클러의 운용 및 유지에 대한 관리적 기준도 보완하여 화재 발생 시 소방 활동이 제대로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김용문(Yongmoon Kim),심재만(Jae-Mahn Shim) 한국보건사회학회 2025 보건과 사회과학 Vol.- No.68
게임중독 혹은 게임 과몰입의 개념은 몰입적인 게임이용에 대한 연구의 주된 접근 방식 중 하나였다. 하지만 사회적 행위나 스트레스 해소 등 모든 몰입적 형태의 게임이용을 병인화해 이해한다는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특히 게임중독의 개념을 통한 접근은 몰입적인 게임이용이 다른 일상 행위들과 어떻게 공존할 수 있는가에 대해서 적절한 이론적 설명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위와 같은 문제의식에 따라 본 연구는 게임 이용자 패널조사 자료에 잠재 집단 분석을 수행해 게임을 포함하는 한국 청소년들의 일상생활 조직을 유형화하고, 선형 회귀 분석을 통해 일상 생활조직 유형들과 게임 과몰입 점수 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잠재 집단 분석 결과 분석 자료 내에서 ‘학업’, ‘표류’, ‘여가’, ‘게임-여가’의 네 가지 일상생활 조직 유형을 발견하였다. 이들 집단과 게임과몰입 점수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학업’ 집단에서 가장 낮은 게임 과몰입 점수를 보인 반면 ‘표류’와 ‘게임-여가’ 집단에서 가장 높은 게임 과몰입 점수를 보였다. 잠재 집단 유형과 게임과몰입 점수의 하위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표류’ 집단에서 ‘게임-여가’ 집단보다 업무태만 하위 요인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들을 통해 본 연구는 사회적 행위 등 육체적 이환 상태 외의 게임이용에 대한 다른 설명들을 게임이용 장애의 배재 진단과 감시에 적용해야 함을 주장한다. 아울러 게임과 다른 행위들 간의 공존을 설명하기 위해 육체적 이환상태로서의 게임이용을 폭넓은 행위이론 틀 안에 포함시킬 필요가 있음을 주장한다. Although gaming addiction or gaming disorder has been a major approach to explain intensive video-game use, these concepts have been criticized for tending to pathologize all kinds of intensive gaming such as stress management and socialization. Particularly, the question of how intensive video gaming can coexist with other behaviors has not been fully addressed in behavioral addiction approaches. To fill this gap, this study aims to identify various types of organizing daily practices among South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by applying latent class analysis to data from a Game-User Panel Survey. The association between types of organizing daily practices and video-game over-indulgence (VOI) score is examined via regression models. As a result, four types of organizing daily practices are identified: academic, drifting, leisure activities, oscillating. VOI score is found the lowest in the academic group and highest in the drifting and oscillating groups. However, the ‘neglect to work’ subfactor score is found significantly higher in the drifting group.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argues that explanations of intensive gaming other than body impairmen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surveillance, diagnosis and treatment of patients. Furthermore, a spectrum of video gaming, ranging from non-use to the exclusive use needs to be reconceptualized in a theoretical framework of a holistic process of organizing daily pract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