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IDT 도입 대비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 초등교원 디지털 역량 진단: 중요도-수행도(IPA) 분석

        김요셉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AIDT 도입 대비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 초등교원 디지털 역량 진단: 중요도-수행도(IPA) 분석 Assessment of Digital Competency for Elementary Teachers in Gangwon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AIDT Implementation: A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AI융합교육전공 김요셉 지도교수 서순식 본 연구는 2025년 도입 예정인 AI 디지털 교과서(AIDT) 관련, 초등교원의 준비도와 인식을 바탕으로 디지털 역량을 진단하고 AI 디지털 교과서의 안정 적인 정착 방안을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AI 디지털 교과서는 기존의 전통적 교육 방식과 차별화된 AI 기반 맞춤형 학습 도구로, 초등교육에 도입됨에 따 라 교사들의 새로운 역량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교사들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AI 활용 역량을 진단하고 AI 디지털 교과서 도입에 있어 필요한 역량을 교사 들이 충분히 갖추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연구의 주요 목표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 초등교원 100명을 표본으로, 30개 설 문 문항을 통해 교원의 디지털 역량을 진단할 계획이다. 이 설문 문항은 교사 들이 디지털 기술 및 디지털 학습 도구를 얼마나 잘 이해하고 사용할 준비가 되어 있는지를 진단하는 내용이 담겨있다. 측정 방법은 리커트 5점 척도를 사 용하며 측정 도구는 중요도-수행도 분석(IPA, Importance-Perfomance Analysis)을 사용할 계획이다. 중요도-수행도 분석(IPA)으로 수집된 데이터를 SPSS 프로그램(ver 29.0)을 사용하여 결과를 도출할 예정이며, 결과 내용을 기반으로 교원의 디지털 역량 지표를 구체적으로 진단하고 AI 디지털 교과서 도입에 있어 교사들이 충분한 준비를 갖추고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디지털 교육 환경에서 중요도는 높지만 수행도가 낮은 영역을 찾아 필요한 추가 역량을 제안할 것이 다. 예상되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I 기반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의 인식도는 어느 정도 형성되었으나, 실제 AI 디지털 교과서 관련 체험이나 실 습 경험이 부족하여 디지털 역량 진단 결과 중요도는 높지만 수행도가 낮은 영역이 많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AI 디지털 교과서 도입 연수가 진행됨에 도 불구하고, 실제 AI 디지털 교과서를 직접 다뤄보지 못하고 프로토타입 단 계만 경험했기에 교사들은 충분한 준비를 갖추지 못한 상태일 가능성이 높다. 둘째, “교사들은 AI 디지털 교과서의 장점에 대해 충분히 인지하고 있으나, 교육부에서 발표한 AI 디지털 교과서 도입과 관련된 정책 및 지침 사항이 학 교 현장에 충분히 홍보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교사들의 준비도가 낮을 가능성 이 있다”(교육부, 2023). 본 내용을 바탕으로 AI 디지털 교과서의 실제 도입과 수용에 대해 아직 확신을 가지지 못할 수 있다. 이는 교사들이 AI 디지털 교 과서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추가 연수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시할 수 있다. 셋째, 교육부에서 발표한 교과용 도서에 관한 규정 개정안에 따르면 AI 디지 털 교과서는 법적 지위를 얻었으며 이를 통해 안정적으로 학교 현장에서 도입 될 예정이다(교육부, 2024). 그러나 이러한 법적 기반에도 불구하고 AI 디지털 교과서 관련 정책 및 지침 사항이 충분히 홍보되지 않은 점에서 교사들의 준 비도가 낮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교사들은 AI 디지털 교과서 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정보를 얻지 못했을 가능성이 높 기에 AI 디지털 교과서 도입이 원활히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정책 홍보와 교 육이 강화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넷째, 연구 결과에 따라 중요도와 수행도 모두 낮게 나오는 영역을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중요도-수행도 분석(IPA)을 통해 이러한 부분을 파 악하고 중요도와 수행도 모두 낮게 나온 영역을 높게 나올 수 있도록 개선이 필요할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AI 디지털 교과서의 필요성을 느낄 수 있도록 AI 디지털 교과서 사용법과 AI 학습 도구 활용법을 중심으로 진행되 는 연수를 도입하여 교사의 디지털 역량을 높일 필요가 있다. 그리고 AI 디지 털 교과서가 학교 현장에 안정적으로 도입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 초등교원 100명을 대상으로 디 지털 역량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AI 디지털 교과서가 교육 현장에 안정적으로 도입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주제어: AI 디지털 교과서(AIDT), 준비도, 인식, 디지털 역량, 초등교원, 연수, 만족도, 태도, 중요도-수행도 분석(IPA)

      • 제2위 성자 하나님, 위격적 연합의 주체

        김요셉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김요셉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조직신학 지도교수: 문병호 본 연구의 주제는 제2위 성자 하나님, 위격적 연합의 주체이다. 본 논문은 제2위 성자 하나님이 위격적 연합의 주체이신 것을 고찰하여서 그분이 누구이신가와 그 분이 신성에 따라서 행하신 일도 인성에 따라서 행하신 일도 그 주체는 예수 그리스도라는 것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개혁 신학자들의 삼위일체와 기독론 부분을 중심으로 개혁 신학자들이 제2위 성자 하나님을 위격적 연합의 주체로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 지를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칼빈의 작품들, 어거스틴의 작품들, 바빙크의 개혁 교의학, 뚤레틴의 변증신학강요, 찰스 핫지의 조직신학, 헤페의 정통 교의학과 학술지 논문들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2위 성자 하나님이 누구신지에 대해서 밝히기 위하여 아버지와 동일본질이시며 만세전에 아버지로부터 나신 분이시라는 관점에서 동일본질과 자성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위격적 연합의 주체를 밝히기 위하여 제2위 성자 하나님이 인성과 연합하셨지만 그 주체는 예수 그리스도시라는 관점에서 구성하였다. 구체적으로 신인양성의 위격적 연합과 위격적 연합가운데서의 신인양성의 교통, 비하의 상태 그리고 승귀의 상태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2위 성자 하나님은 성부와 동일본질이심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칼빈, 어거스틴, 니케아 신경과 칼케돈 신경 등에서 성부 성자 성령이 한 분이시며 동일한 본질이심을 밝히고 있다. 둘째, 제2위 성자 하나님은 만세전에 성부로부터 나셨음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칼빈은 성자가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하는 것은 말씀이 만세전에 성부에게서 나셨기 때문이라고 밝히고 있다. 바빙크는 영원한 나심이 영적이고 신적인 것이라서 구분이나 분리가 없다고 밝히고 있다. 어거스틴은 영원한 나심을 순수하게 관계적이라고 밝히고 있다. 니케야 신경은 영원한 나심이 아버지에게 출생하신 독생자이심을 밝히고 있다. 셋째, 위격적 연합의 주체는 제2위 성자 하나님이심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2위 성자 하나님이 때가 차매 인간의 전 본성을 취하셨고 자신의 위격에 인성을 연합시키셨다고 보았다. 반면 루터란은 성육신 때 인성이 신성을 취한다고 보았다. 넷째, 위격적 연합의 주체를 통한 신인양성의 교통임을 알 수 있었다. 양성의 교통은 속성교통, 사역의 교통, 은사의 교통을 통해서 알 수 있었다. 또한 개혁주의적 관점에서 루터란 처럼 양성이 자체적으로 교통하는 것이 아니라 양성이 위격 안에서 교통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위격적 연합의 주체는 비하의 상태에서 참 하나님이시며 참 사람이신 예수 그리스도이심을 알 수 있었다. 왜냐하면 율법의 순종은 한 인간의 순종이 아니라 위격적 연합의 주체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순종이시며 십자가에서 죽으심도 인성에 따라서 참 하나님이시며 참 사람이신 예수 그리스도가 십자가에 죽으셨기 때문이었다. 여섯째, 위격적 연합의 주체는 승귀의 상태에서 참 하나님이며 참 사람이신 예수 그리스도이심을 알 수 있었다. 왜냐하면 부활에서도 그 주체이신 예수 그리스도가 부활하신 것이며 승천, 재위 재림에서도 그 주체는 예수 그리스도이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루터란은 예수님께서 승귀의 상태 때 비하의 상태에서 사용하지 않은 신성을 다시 사용한다고 말하고 있었다. 루터란은 위격적 연합교리에서 인성이 주체가 도기 때문에 승천에서도 편재성을 인성에 돌린다. 그리스도의 재위에서 개혁주의는 인격이 주체가 되지만은 루터란은 인격이 아니라 인성이 주체가 된다. 루터란이 주장하는 그리스도의 인성은 모든 곳에 편재하시는 인성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본 연구를 통해 얻게 된 의의 또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위격적 연합의 주체이신 제2위 성자 하나님은 성육신 이후로 항상 신인양성의 위격연합가운데 계시다는 것이다. 율법의 순종, 십자가의 죽으심, 지옥강하, 부활, 승천, 재위, 재림은 신인양성의 위격적 연합이시므로 이 모든 것이 참된 의미가 있다. 즉 비하의 상태에서나 승귀의 상태에서나 위격적 연합의 주체는 예수 그리스도이시다. 인성도 아니고 신성도 아니다. 오직 그 분, 예수 그리스도가 주체이시다. 율법의 순종도 십자기의 죽음도 부활 재림 승천 재위 재림도 위격적 연합의 주체에 대해서 말하고 있다는 점이다. ABSTRACT God the Son, the Second Person, the Subject of the Hypostatic Union Kim, Joseph The Department of Systematic Theology The Graduate School, Chongshin University Supervisor: Prof. Dr. Moon, Byung-Ho The theme of this research is God the Son, the Second Person, the subject of hypostatic union. This thesis has its purpose to identify that God the Son as the second Person of the Triune God is the subject of hypostatic union, and thereby to illuminate who he is and to explain that Jesus Christ is the subject of all His works not only according to his divinity but also according to his humanity. The research method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how Reformed theologians understood that God the Son as the second Person is the subject of hypostatic union focusing on their doctrine of the Trinity of God and Christoloy. Specifically speaking, the examination was made focused on the works of Calvin and of St. Augustine, Reformed Dogmatics of Bavinck, Institutes of Elenctic Theology of Turretin, Systematic Theology of Charles Hodge, and Reformed Dogmatic of Heppe and the articles of theological journals. The structure of this thesis is as follows: Firstly, it was composed in the perspectives of his consubstantiality and sonship that to identify who God the Son as the second Person is, he is consubstantial with the nature of God the Father and is begotten before the world began. Secondly, it was structured from the perspective that Jesus Christ is the subject of hypostatic union, though God the Son as the Second Person united himself with human nature. Specifically it was knitted in the hypostatic union of both divinity and humanity, the communication of divinity and humanity in the hypostatic union, the state of humiliation and the state of exaltat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the writer could know that God the Son as the Second Person of the Trinity of God is consubstantial with the Father. For specifically Calvin, Augustine, Nicene Creed and Chalcedonian Creed, etc. identify that the Father, the Son, and the Holy Spirit are one God and the same substance. Secondly, it was found out that God the Son as the Second Person is begotten from God the Father before the world began. Specifically Calvin elucidated that God the Son is named the Son of God because the Word is begotten from the Father before the foundation of the world. Bavinck asserts that the eternal generation is spiritual and divine, therefore, there is no distinction or separation. Augustine explicated the eternal generation as being purely relational. Nicene Creed described the eternal generation is to be the only begotten Son from God the Father. Thirdly, it could be known that the subject of hypostatic union is God the Son as the Second Person. Specifically looking into it, God the Son as the Second Person assumed the whole human nature in the fullness of time and he unified humanity to His hypostasis. On the other hand, Lutherans regarded that human nature took divine nature in the time of his incarnation. Fourthly, it was found out that there is the communication of the two natures of divinity and humanity through the subject of the hypostatic unio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natures could be revealed through that of attributes, of office, and of honor. In addition, from the Reformed perspective rather than in the viewpoint of Lutherans. it could be known that both natures were not communicated for themselves, but in the hypostasis. Fifthly, it could be known that the subject of the hypostatic union is Jesus Christ who is true God and true Man in the state of humiliation. For the obedience of law was not that of a human being but of Jesus Christ who is the subject of hypostatic union, and even death on the Cross was that of Jesus Christ who is true God and true Man according to His human nature. Sixthly, the writer could know that in the state of exaltation the subject of hypostatic union is Jesus Christ who is true God and true Man. That is because Jesus Christ as the subject rose from the dead in the time of resurrection, and the subject was Jesus Christ even in times of ascension, reign, and the Second Coming. However, Lutheran was saying that Jesus used His deity again in the time of exaltation which was not used in the state of humiliation. Lutheran attributes omnipresence to the human nature in ascension because it is the subject in the doctrine of hypostatic union. In the reign of Christ, according to Reformers His Person is the subject, but according to Lutherans His humanity is the subject. We can know that the humanity of Christ, asserted by Lutherans, is omnipresent in all things and everywhere. In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r implication from this study is as follows: God the Son as the Second Person of the Triune God is always in the hypostatic union of both divine and human natures since His incarnation. Because the obedience of law, death on the cross, descension into hell, resurrection, ascension, reign and the Second Coming were done in the hypostatic union of both divine nature and human nature, all of these things have true meanings. That is to say, either in the state of humiliation or in the state of exaltation, the subject of hypostatic union is Jesus Christ. That is neither His human nature nor his divine nature. Only He, Jesus Christ is the subject. The obedience to commandments, the death on the Cross, the resurrection, the ascension, the reign and even the Second Coming are all alluding to the subject of hypostatic union.

      • 사회심리학 측면에서 제품구매 동조효과를 위한 디자인 요소 연구 : Digital Camera 를 중심으로

        김요셉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소위 디지털시대 속에서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키고자 끊임없는 소비 행위를 통해 자아(ego) 실현의 삶을 살아가고 있으며, 이러한 현시대에서 단순 소비자가 아닌 유형, 무형의 가치를 쫓아 자신의 상징성을 나타내는 제품을 구매하는 경향이 보편화 되고 있다. 또한 세계화, 다문화 적인 시대적 배경은 단순히 제품의 물리적 측면인 외형만을 강조하던 과거와는 달리 소비자의 사회적, 심리적 만족감을 줄 수 있는 내적인 측면의 통합적인 제품디자인이 소비자에게 환영받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소비자의 다양한 가치와 요구, 사회적 관계성을 반영한 제품디자인의 개발을 위해 최근 사회심리학은 중요한 학문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기업에서도 중요한 마케팅 자료로서 활용되고 있다. 특히나 제품구매 과정에서 나타나는 사회심리학적 현상들은 구매와도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각 상황에 대한 분석을 가능하게 하여 소비자의 니즈(needs)에 부합되는 제품디자인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어떠한 경우에는 제품을 '유행' 시키기도 한다. 어떠한 사회심리학적 측면의 현상들이 고려되었을 때 '유행'이 되는 것인가? '유행'은 사회심리학의 동조효과와 깊은 연관성을 가지며 단순한 제품 보다는 상대적으로 정보가 부족한 디지털제품이 동조효과에 의해 더욱 쉽게 구매되어진다. 이처럼 사람들은 제품을 자신의 기호에 따라 구입 한다고 하지만 소비자 자신이 인지하지 못하는 동조효과와 같은 무의식적인 제품구입 환경 속에서 자신을 돋보이기 위한 행위는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가설을 세워볼 수 있을 것이다. "소비자는 아름답고 자신을 돋보이기 위한 제품을 구매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며, 제품 구매 시 정보가 부족한 디지털 기기와 같은 고관여 제품에 대해 주변 사람을 통한 제품정보 획득 및 의견 조율 후 제품구매의 과정을 거치게 되는 동조효과를 보일 것이다. 이때 소비자는 단순 기능에 대한 제품 정보에 의해 제품 구매 과정을 일으키는 것이 아니라. 제품이 가지는 디자인 특성에 중점을 두는 동조효과를 일으킬 것이다." 일반인이 흔히 '유행'이라고 알고 있는 사회심리학적 제품구매 동조효과에 대해 검증하고 제품 디자인에 중요 요소를 디자인에 적용 할 수 있도록 제안 하고자 한다. 연구의 범위 및 방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심리학의 전반적 내용을 고찰하고 사회심리학의 사회적 필요성에 대해 인식한다. 둘째, 사회심리학의 동조효과를 정의하고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다. 셋째,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대한 조사를 통해 구매유형을 분류하고 동조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집단을 살펴본다. 넷째, 디자인 요소의 연구 대상이 되는 디지털카메라를 분석하고 디자인 요소를 분류한다. 다섯째, 성격유형 검사에 대해 정의하고 연구사례를 통해 동조유형을 알아본다. 여섯째, 가설을 검증하는 단계로 실험을 3단계로 나누어 진행한다. 실험의 1단계에서는 동조유형을 알아보기 위해 성격 측정을 실시하도록 하는데 측정 도구로는 표준화된 한국판 MBTI(GS)를 사용하여 조사한다. 조사 대상은 서울에 거주하는 트랜드에 민감한 20세 이상의 남, 여를 대상으로 한다. 2단계에서는 동조유형으로 분류된 실험자들이 실제 동조효과를 일으키는지 설문조사를 통해 검증하는 단계이다. 3단계에서는 검증된 실험자들이 실제 동조현상을 일으키는 디자인 요소를 찾기 위해 2006년 이후부터 생산된 제조사별 디지털카메라 모델을 이용한 Likert 5점 척도를 이용해 추출한다. 연구대상 제품을 디지털카메라로 선정한 이유는 제품디자인 요소가 많고 제품군이 다양하기 때문에 비교 대상 연구를 통한 긍정적인 결과를 예상하기 때문이다. 위와 같은 실험을 통해 실제 소비자가 제품 구매시 동조효과를 일으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준거집단에 대한 동조 또한 일어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동조성격 유형은 제품 구매 전 동조나 대인 민감성이 구매 후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 초기 디자인의 역할이 그만큼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품의 요소를 크게 분류하면 제품이미지 요소, 외부형태 요소, 내부 형태 요소로 나눌 수 있다. 소비자의 제품 구매 동조를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첫 번째, 먼저 제품의 전체 적인 느낌을 좌우하는 제품이미지 요소를 최우선으로 해야한다. 두 번째, 전체 형태 요소를 결정 짓는 외부형태 요소를 중점적으로 디자인 한다. 마지막으로 내부형태 요소에 대한 부분 순으로 중요도의 우선 순위를 둠으로써 제품 구매 동조현상에 의한 사용자에게 필요한 디자인을 제안 할 수 있다. 실험결과를 종합해보면 동조성격 유형의 소비자는 제품의 형태 요소 중 큰 면적을 차지하는 요소에 대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점점 작은 요소 부분으로 중요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작은 형태 요소는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는 부분 일수록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는 소비자가 실제 제품 구매시 동조하는 현상을 증명하고 동조성격 유형의 중요 디자인 요소를 분류하여 디자인 적용 방안에 대해 제안 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오늘날 소비자의 제품 구매 환경은 더욱 복잡해지고 있으며 제품 디자인 요소 또한 복잡해지는 상황에서 소비자의 사회적 현상과 관련된 유형 분류 따른 제품 디자인 요소 연구는 더욱 중요시 되어야 할 것이다. In the 21 century digital era, contemporary people get their egos realized through continuous consumptions that meet their desires. In such trend, they tend to purchase products that reflect invisible or visible values of themselves, i. e. signifying them. Also, globalization and multi-cultural society have made people look for more wholesome products that could satisfy social and psychological needs, rather than products that focus on showy appearance in the past. Social psychology has recently regarded as important since designs that reflect values and needs of consumers and their social relationships are sought in design development. It is also used in developing company marketing strategies. Especially, socio-psychological phenomena in purchasing give an explanation to how purchasing is done, and make it possible to analyze every purchasing pattern. Also, that helps us to develop products meeting consumers' needs, and sometime, it creates a fad. What social psychological aspects make something a 'fad'? A 'fad' has something to do with the influence of conformity, and such influence wields more power in seducing consumers of digital products that are relatively short of accessible information. People may think they understand what they really want and purchase it, but actually they continue purchasing something under the influence of conformity, just to make them look better. Therefore, following hypothesis can be established: "Consumers try to purchase products that make themselves look better and more beautiful, and in case they purchase highly expensive digital products, they unconsciously go through the influence of conformity by asking information to people around and discussing. And being affected by the influence of conformity, they rely on the designs, instead of on the product information." This study purposes to verify the influence of conformity in a socio-psychological perspective, which is generally known as a 'fad,' and it suggests what design factors are more important in product design. The scope and method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overviews social psychology and identifies why it is important. Second, it defines the influence of conformity in a socio- psychological perspective, and it examines what influences it has. Third, it surveys purchasing behavior of consumers, and it groups their patterns and traces what social groups have more to do with the influence of conformity. Fourth, it analyses digital camera in terms of design factors, and it categories their design factors. Fifth, it defines Personality Type Test, and it conducts case studies to find out types of influence of conformity. Sixth, it performs a three-step test for verifying above hypothesis. In the first step, the study tested personalities with Korean MBTI (G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conformity. 20-plus-year-old adults were subjects of the study, who were likely to be sensitive to trend. In the second step, it used a questionnaire to verify that subjects who were most likely to be subject to such influence were really affected by it. In the third step, it looked for design factors affecting subjects, based on a Likert 5 scale. Digital camera models that have been in market by each manufacturer since 2006 were used. Digital camera was chosen for the study because they include many design factors and a wide range of products and so they are expected to be good for comparing. Above test showed that consumers are affected by the influence of conformity, and also affected by the reference group. Especially, they are more heavily affected before purchasing, and also showed a high interpersonal sensitivity. It suggests that design plays a great role in the early stage of purchasing. Design factors are grouped in three categories, product image, outer appearance and inner appearance. To make consumers be affected by the influence of conformity, the first and the most important thing is product image that determines the overall impression of product. And the second important thing is outer appearance in designing. And finally, the third emphasis should be placed on the inner appearance. Taking the order into consideration, design developers can create designs effectively inducing the influence of conformity. To put the findings together, consumers that are more likely to be subject to the influence of conformity put the most importance on the part that take the most of the product appearance, and least on the part that take the least out of the appearance. As for the parts that take small area, they pay more attention to the part that they directly handle. This study purposes to verify the influence of conformity in consumer's purchasing, and to identify important design factors in order to provide insights to designing. Today, purchasing environment becomes more complicated, and so product design factors do. Taking it consideration into, studies on design factors, consumers' socio-psychological behavior and their relationship should be more highly appreciated.

      • 50KW급 인산형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의 설계 및 전산 모사

        김요셉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산형 연료전지 시스템은 원료로부터 수소를 만드는 개질 공정과 전기를 생산하는 스택 그리고 스택에서 열을 제거하는 냉각시스템으로 나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메탄을 이용한 개질 공정에 대해서 고려하였으며 100단의 50kw급 인산형 연료전지 시스템을 범용 전산모사기인 HYSYS를 이용하여 부하 변동에 따른 전산 모사를 수행하였다. 개질 반응기는 스택에서 나오는 미반응 수소를 개질기 버너에서 태워서 개질 반응에 필요한 열을 얻는 구조로 설계하였다. 만일 스택에서 부하 변화가 심하게 일어나면 스택에서는 미반응 수소가 적게 나오게 된다. 이로 인해 개질 반응에 필요한 열원이 감소하여 개질 반응기의 온도가 떨어지고 개질 반응이 적게 일어나 수소가 적게 생산된다. 이런 현상은 다시 스택에 영향을 미쳐 원하는 순간적으로 원하는 수소의 양을 얻을 수 없어서 시스템 운전이 어려워지는 상황이 발생한다. 이러한 이유로 부하 요구에 따른 스택에서의 수소 요구량과 그때 해당하는 개질기 버너의 수소 요구량을 정확히 파악하여 그 수소 총량을 얻기 위해 필요한 메탄의 양을 전산 모사를 통해 구해 보았다. 이에 근거하여 부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제어 방법을 제안하였다. Due to its clean and highly efficient energy conversion capability, the fuel cell system has drawn a keen and continuous interest from academia as well as industry. So far, the research has been confined mostly to the electrode material development and stack design. On top of this, researches on optimal design of the integrated system that consists of the reformer and stack have been often reported. On the other hand, research on control system design has been scarcely presented even though a fuel cell system may be subject to frequent load change during operation. Considering the above general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thesis study has been placed in the development of a control structure for a PAFC (Phosphoric Acid Fuel Cell) system. For this, a steady state flow-sheet model of a 50 Kw methane-based PAFC system has been constructed first using a commercial package, HYSYS. The prime difficulty encountered in the fuel cell control system design against load change is that it is not clear which process variable should be regulated in the primary control loop. In this study, after extensive simulation study, the hydrogen utilization ratio has been chosen as a regulation variable for the primary control loop. Since the hydrogen utilization ratio cannot be measured directly, an inference model has been presented, too. On the basis of the primary loop, a control structure for the whole PAFC system has been suggested. In order to evaluate the proposed control system structure, dynamic modeling of the PAFC system has been attempted next. For this, a computationally stable and efficient numerical model of the reforming reactor was developed. The pseudo-steady state was assumed for the component dynamics and the distributed heat balance dynamic model was approximated by a series of CFSTRs (Continuous Flow Stirred Tank Reactor). The concept of the above numerical modeling is believed to be applicable to the shift reactors, too.

      • 개념도 학습을 통한 설명문 쓰기 교육 방안

        김요셉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중학교 학습자들이 개념도 작성을 통하여 설명문 쓰기의 내용을 구성하고 조직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이들의 쓰기 능력 신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개념도 활용의 설명문 쓰기 교육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주요 선행 논의에서는 설명문 쓰기를 지도할 때에 텍스트 구조를 지도하여 글쓰기에 관련된 능력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가져온다는 점이 공통된 의견이었다. 그러나 설명문 쓰기는 구조와 관련된 지도뿐만 아니라 설명문 쓰기에 활용할 정보의 연결, 선택, 관계 등도 중요하기 때문에 단순히 글의 구조만을 생각하는 것에 머무르지 않고 글에 담길 정보들의 연결, 선택, 관계 등에 대한 지도도 필요하다. 설명문을 쓰는 것은 다양한 개념 간의 관계와 위계를 고려하여 고차원적인 인지 전략을 바탕으로 하는 쓰기 활동이기 때문이다. 최근 교육 현장에서 다양한 목적을 갖고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는 개념도는 Ausubel의 유의미 학습 이론에 근거하여 개념 학습을 증진시킬 목적으로 1972년 Novak에 의해 고안되었다. 개념도는 위에서 아래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어 나가며 일반적인 개념에서 구체적인 개념까지 내려오는 위계 구조를 개념 간의 시각적 표현, 그리고 개념 간의 연결어, 교차 연결로 나타내는 그래픽 조직자이다. 실제 개념도가 갖는 개념의 관계, 위계화, 범주화의 특징을 바탕으로 개념도를 설명문 쓰기에서 활용하면 다양한 각도에서 갖고 있던 지식들과 새로운 사실이나 정보를 위계에 맞게 전개해 나가고 있는지 점검할 수 있다. 아울러 주제를 설명하고자 할 때 주제에 필요하지 않은 사실들을 열거하는 경우를 통제하거나 객관적인 예를 들면서 글을 명료화할 때 구조적인 글을 쓸 수 있게 도울 수 있다. 따라서 마인드맵과 개념도를 혼동하거나 쓰기 과정의 한 부분에서 사용하였던 기존 논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올바른 개념도 작성법을 바탕으로 쓰기 과정 전반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개념도를 활용한 교육 방안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개념도 학습을 통한 설명문 쓰기의 교육 방안은 8단계로 이루어졌으며 1단계에서 사전검사를 통해 학습자의 쓰기 능력을 확인하였고, 본격적인 학습 단계의 시작인 2단계는 설명문의 특성을 설명하고 개념도에 대해 이해하였다. 3단계에서는 2단계에서 학습한 내용을 실습하는 단계로 교과서 설명문을 분석하여 설명문의 조직적, 내용적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실제 개념도로 작성하였다. 4단계에서는 개념도의 수정 및 평가를 통해 학습자가 개념도를 이해하고 올바르게 활용할 수 있는지 교수자가 간단하게 확인하였다. 5단계는 실제 설명문 쓰기에 앞서 선택한 주제와 관련된 개념을 학습자의 선행 지식에서 회상하거나 인터넷 등의 검색을 통해 새로운 개념을 확인하면서 개념도를 작성하여 주제의 개념 구조를 확인하고 관계 서술을 통해 쓰기 직전의 단계를 학습하였다. 6 ∼ 8단계는 개념도 작성과 설명문 쓰기를 연결하여 실제 쓰기 능력을 기르는 훈련을 하였다. 이와 같은 교육 방안의 효율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구성하여 중재학습을 2021 9월19일부터 10월 27일까지 진행하였다. 이 기간 동안 개념도 학습을 통한 설명문 쓰기 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평가 기준 및 평가 요소를 설정하고 평가 과제를 결정하고 채점 기준과 척도에 따라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분석한 논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념도 학습을 통한 설명문 쓰기 활동이 설명문 쓰기 능력 중 내용에 미치는 영향은 집단 간 양적 검사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개념도의 장점 중 하나인 개념들의 위계화, 범주화가 주제에 관련된 개념의 정보를 나열하는 수준에서 개념의 위계와 범주화를 통해 표층적 수준에서 심층적인 수준까지 이어지는 세부 내용을 작성할 수 있게 도움을 준 것이라 할 수 있다. 둘째, 개념도를 활용한 설명문 쓰기 활동이 설명문 쓰기 능력 중 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습자는 개념도를 활용하여 설명문 쓰기를 하면서 주제에 맞는 글을 작성할 때 주제에 대한 하위 주제, 주제에 대한 세부 내용에 대한 관계를 생각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단 구성하여 문단을 구성하는 능력이나 문단을 구분하는 능력까지 기른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는 개념도를 활용할 때 학습자는 단락별로 사전에 개념도를 그리면서 단락에 들어갈 내용의 관계를 생각하고 구조화하여 단락과 단락을 이어 글의 전체적인 짜임을 어떻게 보여 줄 것인지를 생각하기 때문일 것이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개념도 학습을 통한 설명문 쓰기 교육 방안은 설명문 쓰기 수행에서 쓰기 능력의 하위 요인인 내용, 조직, 표현 영역만 국한하여 글을 전개하는 것이 아니라 글의 내용과 관련이 있는 개념의 선택, 개념의 연결, 개념 간의 관계 설정, 개념 간의 조정 등을 통해 글에 필요한 내용을 정리하도록 작용할 것이다. 그리고 글의 구조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문장 형식의 개념 제시를 통해 쓰기 학습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실질적으로 교실에서 활용 가능한 개념도 학습 기반의 설명문 쓰기에 도움을 주는 모형을 통해 실제 설명문 쓰기 활용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교육 현장에서 학습자들을 위한 쓰기 지도에 적용 가능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educational method for writing explanatory text for middle school students while using a concept map that helps improve writing skills with the focus on composing and organizing the contents of explanatory text writing through concept map.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it is a common opinion that writing the explanatory text through guidance on text structure causes meaningful improvement in writing. However, in the explanatory text, the connection, selection, and relationship of information for writing the explanatory text are important as well as maps related to the structure because explanatory writing is an activity based on high level of cognitive strategies while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and hierarchy between the various concepts. The concept map developed by Novak in 1972 is based on Ausubel's theory of meaningful learning and has been recently used for various purposes in the educational field. Concept maps represent graphic organizers. Specifically, the hierarchy runs from top to bottom and from left to right. Also graphic organizer shows visual expression, connecting words, and cross-connections between concept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relationship between concepts, hierarchy structure, and categorization, using the concept map for the purpose of writing an explanatory text makes it possible to identify whether various knowledge and new facts are being written according to the hierarchy structure. It helps to write structured texts while controlling the enumeration of unnecessary facts when explaining a topic. It also helps to write clearly when giving objective examples. Therefore, an education method using the concept map is needed, in which the confusion between concept map and mind map is solved, and the problem of the existing discussion used in the writing process is resolved, and the concept map writing method is helpful for writing. The educational method for writing explanatory texts using the concept map presented in this study consists of 8 steps. The first step is to check the learner's writing ability through a pre-test. Step 2, which is the start of the actual learning phase, is the time for the explan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planatory text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map. Step 3 is a step for practicing the contents of Step 2 where the actual concept map is created after analysis of explanatory texts in textbooks and understanding of organizational and content characteristics of explanatory texts. Stage 4 is a stage where the teacher checks whether the learner understands the concept map and whether it can be used in the right way through the revision and evaluation of the concept map. Stage 5 is a stage where the student creates a concept map through the selected topic and related concepts and new concepts through internet search, and then learns the structure of the concept for the topic and the steps for writing. In steps 6-8, training for actual writing ability is made through the connection of concept map writing and explanatory writing. In each step, the learner revises the concept map according to the teacher's evaluation of the learning results. Creating a concept map can be easily learned with learning the basics. Therefore, the student learns the concept map by reading the explanatory text and drawing the concept map.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is teaching method, this study consisted of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and then mediated learning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9 to October 27, 2021. In order to evaluate the ability to write an explanatory text through the learning of the concept map during this period, this study set the evaluation criteria and evaluation factors, and then decided the evaluation task, and then performed the evaluation according to the scoring criteria and scal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evaluatio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the writing activity of explanatory text through learning of the concept map on the content among the ability to write explanatory text can be confirmed in the quantitative examination between groups. This is because the hierarchical and categorization of concepts, one of the strengths of the concept map, helps to write in-depth details from the level of listing information of concepts related to the topic into the deep level of contents which leads from the superficial level to the deep level through the hierarchy and categorization of concepts. Second, the influence of the activity of writing explanatory text using the concept map on the composition among the ability to write explanatory texts could be confirmed, which shows that the learner's ability to organize paragraphs or divide paragraphs has improved when writing an explanatory text suitable for a topic using a concept map by composing paragraphs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topics and detailed contents. This is probably because the learner thinks about how to show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text by drawing a concept map in advance for each paragraph, structuring the relationship of content, and linking paragraphs and paragraphs. The educational method for writing an explanatory text using the concept map presented in this study make it easy to organize the necessary content for the text. including content, organization, and expression, which are sub-factors of writing ability, as well as concept selection, connection, setting for relationships between concepts, and coordination between concepts, which is relevant to the content of the text.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요청 화행 교육 방안 연구

        김요셉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효과적인 요청 화행 교육 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학습자가 요청 화행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상황 맥락을 인지하고 그 상황에 적절하게 발화해야만 한다. 하지만 그간의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요청 화행을 수행하는 상황에 대한 관심이 비교적 미비했을 뿐만 아니라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가 요청 화행을 수행하는 상황에 대해서는 전혀 다루지 않았다. 또한 현장에서의 한국어 교육이 사용 중심이 아닌 지식 학습 위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학습자는 배운 문법과 어휘를 언제,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해 연습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요청 화행 교육에 있어 상황 맥락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가 요청 화행을 수행하게 될 대학 내 요청 상황을 면밀히 살핀 후에, 사용 중심의 요청 화행 수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Ⅱ장에서는 상황 맥락에 따라 요청 화행을 수행해야 함을 역설하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먼저 요청 화행의 적정 조건에 대해 상황을 고려한 수행 조건이 추가되어야 함을 살펴보았고, 담화 상황의 변별성에 따라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가 수행하는 요청 화행의 범위를 명령, 요구, 부탁, 제안 화행으로 나눠 제시하였다. 그리고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가 요청 화행을 수행하는 대학 내 상황에 대하여 교수, 교직원, 조교, 학생 등 청자를 중심으로 상황을 구성하는 요인에 대해 정리하였다. Ⅲ장에서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가 요청 화행을 수행하는 양상을 살펴보아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요청 화행 수행 능력을 평가하고 현실을 진단하여 본고의 필요성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요청 화행 수행 양상과 오류 양상을 살펴보아 교육 방안에 반영하고자 한였다. 이를 위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 3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요청 화행의 적절성 측면과 다양성 측면에서 분석하고, 학습자가 요청 화행을 수행할 때 생산한 오류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대학 내 요청 화행의 실현 양상을 살펴보고 교육 방안에 반영하기 위하여 한국어 모어 화자 대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 내 요청 상황 요인에 따른 38개의 요청 상황을 구성하여 각각의 상황의 발생 가능성 측면과 요청의 부담성 측면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또한 한국어 모어 화자가 다양한 요청 상황에서 어떻게 요청 화행을 수행하는지 분석하여 요청 화행을 수행하는 전형적이고 실제적인 발화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요청 화행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요청 화행 교육의 목표와 수업 설계 원리를 제시한 후, 요청 화행 교육 내용을 요청 화행, 요청 상황, 요청 전략, 요청 표현의 이해 등 네 측면으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효과적인 요청 화행을 위해 학습자 중심, 사용 중심의 교육 방법인 플립 러닝을 제안하고 이에 따라 수업 전 단계, 본 수업 단계, 수업 후 단계로 수업 모형을 설계하였다. 최종적으로 수업 전 사전 자료와 본 수업 교안, 그리고 수업 후 과제를 중심으로 요청 화행 교육의 실제를 보였다. 이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요청 화행 능력을 조사하여 요청 화행 교육의 필요성을 보였다는 점과, 대학 내 요청 상황에 대해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각각의 상황에 따른 한국어 모어 화자 대학생의 발화를 수집하여 요청 화행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실제적이고 전형적인 발화를 마련하였다는 데 의의를 갖는다. 또한 기존의 전통적인 수업 방식이 아닌 학습자와 사용 중심의 플립 러닝을 통한 요청 화행 교육 방안을 마련하여 실제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요청 화행 교육 방안을 보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설문 대상이 학습자와 모어 화자 각 30명으로 비교적 적었다는 점과 제시한 교육 방안의 효과를 실제 수업을 통해 검증하지 못하였다는 것이 본고의 한계로 남는다. This study proposes an effective plan of request speech act education for academic-purpose Korean learners. In order for the learner to successfully perform the request speech act, the learner must recognize the context of the situation and speak appropriately for the situation. However, in the previous studies, interest in the situation in which the learner performs the request speech act was relatively insignificant, and the situation in which the academic-purpose Korean learner performed the request speech act was not dealt with at all. In addition, since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field is focused on knowledge learning rather than usage-oriented, learners are having difficulties in practicing when and how to use the grammar and vocabulary they have learne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importance of context in the request speech act education was emphasized, and after closely examining the requested situation in the university where academic purpose Korean learners would perform request speech 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use-oriented method for request speech act instruction.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was conducted as follows. In Chapter II, I tried to emphasize that the request speech act should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context of the situation. Therefore, we first looked at the need to add a performance condition considering the situation to the appropriate condition for the request speech act, and divided the range of the request speech act performed by academic purpose Korean learners according to the distinctiveness of the discourse situation into command, demand, ask, and suggested dialogue act. presented. In addition, the factors constituting the situation in the university where the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perform the request speech act are summarized centered on the listeners such as professors, faculty, assistants, and students. Chapter Ⅲ tried to reinforce the necessity of this paper by examining the aspects of academic-purpose Korean learners performing request speech acts, evaluating the academic-purpose Korean learners' ability to perform request speech acts, and diagnosing the reality. In addition, it was intended to reflect learners' requested dialogue act performance and error patterns in the educational plan.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30 Korean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relevance and diversity of the request speech act, and the errors generated when the learner performed the request speech act were examined. In Chapter IV, a survey was conducted on 30 university students with native Korean speakers to examine the realization of the request speech act within the university and to reflect it in the educational plan. To this end, 38 request situations were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request situation factors within the university, and the possibility of occurrence of each situation and the burden of the request were analyzed. In addition, by analyzing how native Korean speakers perform request speech acts in various requested situations, it was attempted to derive typical and practical utterances performing request speech acts. Lastly, in Chapter V, we presented a method of teaching conversational act requests for Korean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First, the goal of the request speech act education and the principle of class design were presented, and then the contents of the request speech act education were presented in four aspects: the understanding of the request speech act, the requested situation, the request strategy, and the requested expression. Flip learning, a learner-centered, user-centered education method, was proposed for effective request dialogue, and a class model was designed in the pre-class stage, the main class stage, and the post-class stage accordingly. Finally, the actual practice of the request speech act education was shown focusing on the pre-class material, the main lesson plan, and the post-class task. This study showed the necessity of request speech act education by examining the request speech act ability of Korean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and presented the requested situation within the university in detail, and collected the utterances of university students from native Korean speakers according to each situation. It has significance in that it prepared practical and typical utterances used to perform dialogue acts.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showed a plan for request speech act education that can be applied immediately in the actual field by preparing a plan for request speech act education through flip learning centered on the learner and use rather than the existing traditional class method. However, the limitations of this paper are that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relatively small (30 learners and native speakers each) and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education plan could not be verified through actual classes.

      • 장수명주택 인증제도에 대한 실효성 연구

        김요셉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내 주택건설 사업은 도심 중심의 고밀도 아파트단지를 단기간에 조성하는 방식으로 급속한 양적 성장을 이루어나갔다. 그 결과 대량의 노후주택이 발생되는 문제를 안게 되었다. 국내 노후주택은 과다한 수선비용및 관리비용이 소요되며 주거 환경이 불량하여 효용성을 현저히 떨어뜨리는문제점이 있기에 구조체의 물리적 수명이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짧은기간에 재건축·재개발이 이루어진다. 이는 국외의 다른 나라 사례들에 비해수명이 현저히 짧은 편이며, 이러한 사회적·기능적 수명이 미확보 된 국내정비사업의 조기 철거는 대규모의 폐기물을 발생시키고, 국가자원 및에너지를 낭비시킨다. 이와 같은 문제로 인하여 오랫동안 주택의 수명을유지관리 할 수 있는 장수명 주택에 대한 필요성이 부각되었고, 저출산고령화 시대의 사회적 흐름에 맞춰 가족 구성 변화 및 주생활 변화의 다양화를 수용 할 수 있는 가변성이 확보 된 주택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이에, 100년의 내구성을 갖추고 가변 및 수리가 용이한 지속가능 주택이될 수 있도록 공동주택 1,000세대 이상 건설 시 2014년 12월 24일 기준으로 국토교통부에서 고시한 「장수명 주택 건설·인증기준」에 따라 의무적으로 장수명 주택 인증을 취득하도록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2019년 9월을 기준으로 작성한 장수명 인증 업무보고(2019)에 의하면, 장수명 주택 인증을 취득 한 647건 중에서 단1건만 양호등급을 취득하였고, 99.81%가 법적 의무등급이며 최저등급인 일반등급을 취득하였다. 일반등급은 일부 가변요소만을 최소한 적용한 등급으로서 장수명주택이 추구하는 목적과 취지에 부합되지 않았다. 또한 장수명 주택 인증우수등급 이상 취득 시 용적률 및 건폐율 등에 대해 115/100의 범위 안에서 완화하는 인센티브를 제공하였으나 모두 일반등급을 취득하였으므로 인센티브를 취득 한 단지는 1건도 없었다. 장수명 주택 활성화를 기대하였으나 오히려 저하되었다. 이에, 2014년 12월 장수명 주택건설·인증 기준 고시 이후 2020년 현재까지 장수명 주택 인증이 법적 규제 수단인 제도로서 적합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지, 실제로 효과가 있는지, 장수명 주택 본연의 목적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는지 검증하는 대해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장수명 주택 인증제도의 실효성 검증을 위해 인증기준의적정성과 인증제도와 연계되는 인센티브, 건축물의 구조방식에 대해분석하였다. 첫째, 장수명 주택 인증기준 지표에 대한 적정성 분석을 위해 비슷한 평가 항목이 존재하는 타분야 인증과 비교 분석하였고, 그간에 장수명 주택인증 취득 현황 분석과 녹색건축인증 주택성능분야 인증항목을 장수명 주택 인증 등급별 점수로 변환 분석한 결과를 통해 최저등급인 일반등급만을 취득하는 원인에 대해 파악하였다. 둘째, 장수명 주택 인증 집행에 대한 실효성을 분석하기 위해 등급상향이 가능한지 분석하였고, 장수명 주택 활성화의 유일한 수단인 인센티브 사항 및 본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반영 되어야 할 건축물의 구조방식에 대해 분석하였다. Domestic housing construction projects have achieved rapid quantitative growth by creating high-density apartment complexes centered on urban centers in a short period of time. As a result,there was a problem with large numbers of old houses. As oldhouses in Korea require excessive repair and management costs and have problems that significantly reduce their utility due to poor living conditions, reconstruction and redevelopment are carried out in a short period of time, even though the physical life of the structure. This is significantly shorter in life compared to other foreign countries' cases, and the early removal of domestic maintenance projects whose social and functional lifespan is not secured generates large-scale waste and wastes national resources and energy. Such problems have highlighted the need for long-lived houses that can maintain long-term housing life, and require houses that have the flexibility to accommodate changes in family composition and diversification of household life in line with the social trend of low birth rate and aging population. As a result, it will be mandatory to acquire long-term housing certification under the government's announced "Long-Term Housing Construction and Certification Criteria" in order for more than 1,000 apartments to be built as sustainable housing that is easy to build, change and repair for 100 years. However, according to the Long Life Certification Report (2019) written by KICT in September 2019, only one out of 647 cases of long-lived housing were acquired, and 99.81 percent of them were legally required, the lowest grade. The general grade did not meet the purpose and purpose of a long-lived house with at least a few variable factors applied. In addition, incentives were provided to ease floor areaand building-to-land ratio when certifying long-term housing, but none of the complexes received incentives when acquiring general grades. Long-lived homes were expected to be activated, but rather declined. Thu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verify that the certification of long-lived housing is playing a suitable role as a system of legal regulation, whether it actually works, and whether it properly reflects the original purpose of long-lived housing. In this study, the adequacy of the certification standards, incentives linked to the certification system, and structural methods of buildings were analyz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long-lived housing certification system.

      • 긍정적 자아개념과 자기신뢰감이 청소년기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요셉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understand the state of adolescent stress in current society and examine the effect of positive self-concept and self-confidence on adolescent stress. This study also aims to present possible solutions for the field of social welfare, for not only improving the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but also strengthening positive self-concept and self-confidence in adolescents to enable proactive management of stress. This study analyzes data from the fourth wave of the Korean Youth Panel Survey on 4^(th)grade elementary students beginning in 2004, for a total of 2077 students in their first year of junior high school in 2007. The independent variables consist of general demographics, parental factors, school-related factors, and self-image factors, and the dependent variable is stress consisting of five subordinate factors - stress related to academics, stress related to friends, stress related to parents, stress related to physical appearance, and stress related to material possessions. To explore gener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and an independent samples t-test was performed to assess socio-demographic differences regarding stress. Moreover,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xistence and strength of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included in the regression model. Lastly,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effect of adolescent self-concept and self-confidence on stress and phasing in demographics, parental factors, school-related factors, and self-image as additional explanatory variables. For research question 1, descrip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stress factors and revealed that the average level of stress is 2.39(±.71), which is at about the middle of the 5-point scale measurement (48^(th)percentile). The subordinate factors of stress were experienced to various degrees by adolescents, with highest amount of stress experienced in relation ted chool at 2.94(±1.01), followed by parent related stress at 2.61(±.96), physical appearance related stress at 2.27(±.97), material possessions related stress at 2.19(±1.02), and friends related stress at 1.84(±.83). For research question 2, stress level differences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assessed. Females were shown to experience a statistically higher level of stress than males. On the other ha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resulted from analyses of lower- and higher-than-average household incomes and lower- and higher-than-average allowances. For research question 3, the effect of self-image factors (positive self-concept and self-confidence) on stress was analyzed. Among the variables included in the regression model, stress was higher in females than males and increased with more abuse experienced, with less attachment to friends, and with less attachment to teachers. Moreover, analysis of the key independent variables of self-image revealed an inverse statistical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self-concept and stress, and self-confidence and stress.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nce female students experienced higher amount of stress compared to male students, differentiated stress mediation strategies are required to a greater degree for females when resources are limited. Second, as domestic abuse between parents or against their children increased stress, social services concerning adolescents require a family-level intervention. To cause less stress in adolescents, emotional development through an appropriate level of bonding within the family should be encouraged, and a family atmosphere in which the adolescents are treated with greater respect needs to be created. Third, analysis on school-related factors showed that lower attachment to friends and teachers increased stress; positive relationships among peers and with teachers help improve adjustment to school and levels of stress. Hence, group programs emphasizing peer support or developing emotional support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may be effective in social services targeting adolescents. Lastly, analysis of the factors relating to self-image, an internal supporting resource, confirmed that stress decreased with increasing positive self-concept and self-confidence. Therefore, to prevent problems related with adolescent stress, solutions that strengthen self-image must be considered. Through cooperation with mental health or counseling centers, schools may create programs promoting positive self-image, and the government should consider providing the necessary institutional support and human resources, such as school social workers. Despite some limitations, this study makes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social work literature, in that it demonst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self-concept, self-confidence and the prevention of adolescent stress, through using a representative national panel data that overcomes limitations commonly associated with small scale regional data. 본 연구는 청소년기 스트레스 실태를 파악하고, 긍정적 자아개념과 자기신뢰감이 청소년기 스트레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통해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는 청소년의 외부 환경요인 뿐 아니라 자아관에 해당하는 긍정적 자아개념과 자기신뢰감을 강화하여 스트레스에 대해 적극적 대처가 가능하도록 돕는 사회복지 실천적 함의를 찾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한국청소년패널조사 초등학교 4학년(2004년) 4차년도(2007년) 자료를 이용하여 총 2,077명의 중학교 1학년 표본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독립변수는 4개의 변수군(일반적 특성, 부모변인, 학교변인, 자아관변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종속변수인 스트레스는 5개 하위영역(학업관련 스트레스, 친구관련 스트레스, 부모관련 스트레스, 외모관련 스트레스, 물질관련 스트레스)으로 구성되었다.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고, 본 연구의 회귀모형에 포함된 변수들 간 관련성 여부와 그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본 연구의 목적인 청소년의 긍정적 자아개념과 자기신뢰감과 같은 자아관 변인이 스트레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청소년 관련 일반적 특성, 부모변인, 학교변인, 자아관변인 등을 단계적으로 투입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 1의 청소년의 스트레스 수준에 대한 기술통계 결과를 살펴보면, 전체 스트레스 수준의 평균은 2.39(±.71)로 나타나 최대 스트레스 수준(5점 척도의 만점기준)의 중간정도(48%)의 스트레스를 보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스트레스의 하위요인들의 기술통계에서는 학업관련 스트레스가 2.94(±1.01)로 가장 높았고, 부모관련 스트레스가 2.61(±.96) 그 다음이었으며, 외모관련 스트레스(2.27, ±.97), 물질관련 스트레스(2.19, ±1.02), 친구관련 스트레스(1.84, ±.83)순으로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정도가 약간씩 다른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구문제 2의 청소년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스트레스 수준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남자보다 여자의 경우 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반면 가구소득과 용돈을 평균 이상과 이하 집단으로 구분하여 스트레스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연구문제 3의 청소년의 자아관(긍정적 자아개념, 자기신뢰감)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 결과, 본 연구의 회귀모형에 포함된 변수들 중 종속변수와 주요 독립변수들 간 관련성은 남자보다 여자가, 학대경험이 많을수록, 친구 애착이 낮을수록, 선생님 애착이 낮을수록 스트레스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본 연구의 주요 독립변수인 청소년 자아관의 경우 긍정적 자아개념이 클수록, 자기신뢰감이 높을수록 스트레스 수준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관련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성별에 따른 스트레스의 차이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자원이 한정적일 경우 여학생에게 차별화된 스트레스 중재가 더욱 요구됨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로 가정 변인에서 부모간 폭력이나 학대의 경험이 많을수록 청소년의 스트레스 수준은 더 높아지고 있어, 청소년에 대한 서비스는 가족단위의 개입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이에 청소년에게 스트레스를 적게 주기 위해서는 가족 내의 적당한 수준의 애착을 통해 정서적 발달을 촉진하고, 청소년이 더욱 존중받을 수 있는 가정 분위기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셋째로 학교 변인에서 친구 애착과 선생님 애착이 낮을수록 스트레스 수준은 높아지고 있어, 청소년기의 또래 및 교사와의 긍정적인 관계는 청소년의 학교적응과 스트레스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이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에서 또래지지를 활용한 집단프로그램이나 교사와 학생간의 정서적 지지를 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내부적 지지자원인 자아관 변인에서는 긍정적 자아개념과 자기신뢰감이 높을수록 스트레스 수준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관련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서 청소년의 자아관을 강화하는 방법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학교는 청소년 정신보건센터나 상담센터와 연계하여 학생들이 긍정적 자아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정신보건프로그램을 제공하고, 또한 정부에서는 이를 뒷받침 할 수 있는 제도적 지원과 학교사회사업가와 같은 인력 배치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여러 가지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청소년의 긍정적 자아개념과 자기신뢰감이 스트레스 보호요인으로 기능할 수 있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밝혀냈다는 점과 전국적인 규모의 표본자료인 패널데이터를 사용함으로써 특정지역의 소규모 데이터가 초래하는 한계를 일정 정도 극복하였다는데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축정렬 오차에 의한 웜기어시스템 치합전달오차의 수치적 해석

        김요셉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Cylindrical worm gear drives is widely used in industry field because it has several advantages like high reduction gear ratio. There are few types of worm profile such as ZA, ZN, ZI, ZK. And there are usually used with worm gear. Worm gear (or worm wheel) is generated by hob which has the same or larger profile of worm. If a hob which have same profile of worm is used to make worm gear, it is called that ‘the worm and worm gear are conjugated.’ Because of the line contact, conjugated pair of gears can transmit higher power and it is stronger then other pair of gears which have point contact. But under misalignment condition, Conjugated gear pair shows violent transmission error. In this reason, the worm gear made by oversized hob is frequently used. In this paper, Transmission errors and contact patterns of the worm gear drives under different 9 cases of misalignment condition were shown. And It calculated transmission error in a way of using common finite-element programs ANSY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