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日本語の動詞分類に關する再考察 : 金田一春彦の四分類をめぐつて

        金玉英 釜山大學校 1995 人文論叢 Vol.47 No.1

        일본어 동사의 상을 논할 때 빠짐없이 인용되고 있으며 상연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金田一春彦의 동사분류와 金田一春彦의 동사분류로부터 출발한 玲木, 談井, 吉川의 동사분류를 재검토하여 지금까지 남아 있는 문제점과 그 해결책을 찾아 보려고 했다. 일본어는 진행을 나타내는 형태와 결과의 상태를 나타내는 형태가 「-ている」라고 하는 하나의 형식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두 의미의 구별이 애매한 경우가 흔히 나타나지만 한국어의 경우는 「-고 있다」 「- 어 있다」라고 하는 두가지 형태가 각각 존재하여 형태상으로 뚜렷이 구별되기 때문에, 한국어 입장에서 일본어를 고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제4종동사는 「-ている」가 항상 접속되어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되어 있는데, 「一ている」가 접속될 경우 상태를 나타내는 것(순간동사)과 구별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제4종동사가 항상 상태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며 계속의 의미를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 제4종동사를 형태상으로 단일형태(似る, 聳える)와 「一 する」 형태로 나눌 수 있는데, 전자인 단일형태의 경무는 결과의 상태를 나타내며, 후자인 「一 する」 형태인 경우에는 계속의 의미를 나타낸다. 2. 일반적으로 계속동사와 순간동사에 걸쳐 있다고 하는 「來る, 崙ちる」와 같은 동사는, 경우에 따라서 순간동사, 계속동사가 되는 것이 아니라 원래 계속동사와 순간동사의 특성을함께 갖고 있는 동사이기 때문에 순간동사, 계속동사와는 다른 동사로서 하나의 다른 동사로 분리하여야 한다. 3. 「着る」 「持つ」라고 하는 동사류는 계속동사와 순간동사로 쓰이는 것이 아니라 두개의 계속의 의미를 갖고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즉 「着る」의 경우를 보면, 옷을 입고 있는 동작을 하고 있는 경우와 옷입은 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경우의 두가지 계속의 의미가 포함된다. (보통 후자의 의미를 옷을 입은 결과의 상태라고들 하고 있다) 소위 재귀동사류가 여기에 속한다. 4. 金田一春雇와는 달리 일단 일본어 등사를 가령 상태동사, 계속동사, 순간등사, 변화동사로 나눌 수 있다고 생각되나, 이번의 관찰은 일본어 등사분류의 문제점과 그 해결책을 제시 하는데 그치므로 새로운 동사분류는 금후의 과제로 해 두기로 한다.

      • KCI등재

        日本語の食動詞の意味分析

        金玉英(김옥영, Kim, Ok-Yeong) 일본어문학회 2009 일본어문학 Vol.46 No.-

        日本語の「食べる」「食う」「食らう」という三つの食動詞は、韓国語の「먹다」という一つの動詞と対応しているため、韓国人の日本語学習者には日本語の食動詞の意味領域の区別が簡単でない。食動詞の「食べ物を食する」という行為は、「食べ物を口の中に入れてかむ」それから「胃の中へ飲み込む」という一連の動作で成り立つ行為である。そのため、「かむ」と関わる意味と「飲み込む」と関わる意味が生じてくるため、意味領域が広くなってくる。まず、「飲み込む」から生じた意味領域には①「食べる」「食う」「食らう」の「食べ物を食する」②「食らう」の「飲み物を食する」③「食らう」の満喫する④「食べる」「食う」の「生計を立てる」⑤「食う」「食らう」の「被害を被る」⑦「食う」の人の領域を侵すという意味がある。なお、「かむ」から生じた意味領域には⑧「食う」「食らう」の「かむ」⑨「試合で勝つ」⑩「食う」の「相手より能力などが勝る」⑪「食う」の「相手を見くびる」という意味がある。「食べる」は丁寧な言い方であり、「食う」「食らう」はぞんざいな言い方であるが、「食らう」の方がぞんざいさの度合いが高い。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복식문화의 변화와 강릉방언

        김옥영(Kim, Ok-young) 한국어학회 2017 한국어학 Vol.7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spects and causes of the change and disappearance in the Gangneung dialect vocabulary about costume. A typical example of linguistic factors that influence the change of costume vocabulary is competition with the standard language. However, costume as culture has a more powerful effect than linguistic factor. For example, the following factors lead to the disappearance: the disappearance of the referent,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the costume, the introduction of the new culture, and the change in values about costume.

      • KCI등재
      • KCI등재

        강릉방언의 음식명 어휘변화

        김옥영 ( Kim Ok-young )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18 언어와 정보 사회 Vol.34 No.-

        Lexical changes are caused not only by intra-linguistic factors but also by extra-linguistic factors in the external world acting on the lexic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causes of the changes in dialects by examining the food-names vocabulary in Gangneung dialects. One of the causes of the lexical changes is the interaction between vocabularies which occurs inside the lexicon. The food-names vocabulary in Gangneung dialects clearly shows the interaction between native Korean and Sino-Korean, and between dialect and standard language.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hypernyms and hyponyms also causes the lexical changes. Factors in the external world, such as referent, technology, and shared values, are also closely related to the lexical changes in dialects. The food changes according to the attributes of its own referent, which also affects changes in its food-name vocabulary. In addition, the food culture changes according to technology and shared values, which are also factors influencing the lexical changes.

      • KCI등재

        강릉방언의 `-잔쏘`류 복합 종결어미 연구

        김옥영(Kim, Ok-young)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서강인문논총 Vol.0 No.40

        단어의 생성과 마찬가지로 새로운 어미의 형성에도 문법 요소의 결합과 변화 과정에서 찾을 수 있는 일정한 원리가 있을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강릉방언에서 실현되는 어미 ‘-잔쏘, -장가, -잔나’ 등의 분석을 통해 이들 어미의 형태소 구성과 문법 기능의 변화, 생성 원리 등을 밝히고자 한다. 먼저 2장에서는 강릉방언의 종결어미에 대한 선행 연구와 ‘-잔쏘’류 어미의 분석 가능성을 검토한다. 그리고 3장에서는 강릉방언의 ‘-잔쏘’류 어미가 공시적으로 분석 가능하지만 독립된 하나의 문법 단위로 쓰이는 평서형 복합 종결어미라는 점을 논증하고자 한다. 이는 ‘-잔쏘’류 어미를 ‘-지 않-소’나 ‘-잖-소’로 분석하게 되면 이들 어미가 담당하는 문장종결법이 달라진다는 점을 통해 증명할 수 있다. 이러한 논의에 이어지는 4장의 내용은 복합종결어미의 생성에 작용하는 원리에 대한 것이다. 이 논문에서 추론한 어미 생성의 원리는 다음 두 가지이다. 첫째, 새로운 어미의 생성에는 기존의 종결어미 목록이 적극적으로 관여하며 그 결과 어미 목록 내의 형태론적 유사성이 유지된다. 둘째, 새로운 어미에는 반드시 새로운 의미가 덧붙게 되는데 ‘-잔쏘’류의 경우는 동일한 등급의 단일어미에 ‘확인’ 및 ‘강조’의 의미가 부가된다. Words are formed by grammar rules found in the combinational and modifying process of grammatical elements, and the same is true of the development of the final endings. In this study, the final endings realized in Gangneung dialect, such as ‘-jansso, -jangga, -janna’, are analyze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om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these final endings, e.g. morphemic constructions, changes of grammatical function, generative principles, etc, through the above-mentioned analysis. In section 2, the previous study on the final endings of Gangneung dialect is done, and then the possibility of analyzing the ending "-jansso" and its kind is examined. In section 3, it is proved that the ending ‘-jansso’ and its kind are declarative complex final endings that can be analyzed synchronically but serve as an independent grammatical unit. The basis of this proof is the following:when analyzing the ending ‘-jansso’ into ‘-ji anh-so’ or ‘-janh-so’, sentence final mood of this ending alters. Section 4 deals with the principles working on the development of the complex final endings. Two principles of the development of the complex final endings deduced in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 existing inventory of final endings is highly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f the final endings; there are lasting morphologic similarities within the inventory of final endings. Second, new meanings need to be added to the new final endings, and in case of the ending ‘-jansso’ and its kind, the meaning of ‘confirmation’ and ‘emphasis’ is added to the single final endings of the same level.

      • KCI등재

        지역방언 연구의 필요성과 방법

        김옥영(Kim, Ok-Young) 동남어문학회 2010 동남어문논집 Vol.1 No.30

        A dialect is a form of a language that is spoken in a particular are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the research method and the necessity of the regional dialect. In Chapter 2, I discuss the necessity of the dialect research as the record of the regional culture and the apprehension of language phenomenon. Based upon this premise, the research method of regional dialect is argued in chapter 3. In 3.1 on the subject of the dialect survey and systematization, I will analyze the efficiency into the dialect survey of narratives and the dialect dictionary. And in ‘3.2. Optimality Theory and dialect analysis’, I try to prove that OT is a way to explain the dialect data more effectively. As a consequence, the most important of this paper is that the dialect data must be complementary to the theory of language.(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 학술적 글쓰기를 위한 대학에서의 글쓰기 교육

        김옥영(Kim, Ok-young) 한국어문교육학회 2011 어문학교육 Vol.42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he suggest teaching model for developing academic writing proficiency of university students.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university writing are not only to increase expression abilities and thinking skills but also to develop academic writing skills. In this paper academic writing includes report, research paper and dissertation for academic activity in university. I proposed curriculum based on lecture and presentation for improving academic writing 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The contents of the writing lecture is based on the writing process, i.e. selecting subject, collecting data, structuring, writing and revising. Attendance at this lecture give a presentation on their paper, and then take questions from the students. In the process, the students can improve their reading and presentation skills, as well as their writing 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