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방기 김영수와 냉전 -극단 신청년 작품을 중심으로-

        김옥란 ( Kim Ock-ra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1 한국학연구 Vol.- No.62

        김영수와 극단 신청년은 해방기를 대표하는 작가와 극단이다. 김영수의 극단 신청년 작품들은 미군정기와 단독정부 수립기를 배경으로 좌익 연극인들이 월북한 이후 중도파의 관점에서 해방기 현실에 대한 작품을 남겼다. 그러나 그동안 김영수에 대한 연극사적 평가는 유치진ㆍ오영진 중심의 반공우익 계열 연극인들의 평가에 비해 소홀하게 다루어져 왔다. 극단 신청년은 극협과 함께 해방기 대표적인 극단으로 활동했지만, 대중극단이라는 선입견 때문에 제대로 된 연구가 부족했다. 김영수는 1947년부터 1948년까지 극단 신청년 전속작가로 활동하였다. 김영수의 대표작 <상해야화>, <여사장>, <혈맥>은 모두 극단 신청년 작품이다. 극단 신청년 활동시기는 남한 연극계가 우익연극인들로 재편되던 때였다. 극단 신청년 또한 우익 연극인 동원을 위한 관제 연극제인 문교부 주최 제1ㆍ2회 전국연극경연대회(1948, 1954)에 참가하였다. 그러나 1948년 <혈맥>을 실질적인 마지막 작품으로, 김영수의 극작 활동이 마감되는 것은 시사적이다. 김영수는 1949년 극단 신청년과 작가 생활 10년을 정리하며 소설집과 희곡집을 각각 펴낸다. 김영수의 대표작 세 편은 바로 이 희곡집 _혈맥_에 수록된 것으로, 대중극 영역에서 이 시기 냉전의 구체적인 양상을 확인할 수 있는 작품들이다. 이 작품들을 통해, 미군정기 여성 대중물의 인기, ‘미국 넘버원’의 세속화된 냉전 논리, 독립에의 의지를 포기하지 않는 중도파의 윤리의식을 살펴볼 수 있다. Kim Young-soo(金永壽) and the theater company Sinchengnyeon(新靑年, Young man) are writers and theater companies representing the liberation period. Kim Young-soo’s works in the year of application for the theater company left a balanced view of the reality of the liberation perio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centrists after leftist theater performers defected to North Korea against the backdrop of the US military rule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independent government. However, the historical evaluation of Kim Youngsoo has been neglected compared to the evaluations of anti-communist rightwing writers centered on Yoo Chi-jin and Oh Young-jin. The theater company Sinchengnyeon worked as a representative troupe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along with the theater company Geughyeob(劇協), However, due to the preconceived notion that it is a popular theater company, proper research was lacking. From 1947 to 1948, Kim Young-soo worked as an exclusive writer for the theater company. Kim Young-soo’s representative works “Shanghai Hwahwa(上海夜話, Shanghai Night Story)”, “Yeosajang(女社長, The Lady President)”, and “Hyeolmaeg(血脈, Bloodline)” are all works by the theater company. The period of activity during the application year for the theater company was when the South Korean theater world was reorganized into rightwing performers after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left and the right and the defectors of the playwrights defected. The year of application for the theater company also participated in the 1<sup>st</sup> and 2<sup>nd</sup> National Theater Contests(1948, 1954) hos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 controlled theater festival for the mobilization of right-wing theater performers. However, it is suggestive that Kim Young-soo’s playwright activities ended with 1948’s “Hyeolmaeg(血脈)” as the actual last work. In 1949, Kim Young-soo published a novel and a playbook, arranging the year of application for the theater company and 10 years of writing. Kim Young-soo’s three representative works are included in this playbook Hyeolmaeg(血脈, Bloodline), and are works that can confirm the specific aspects of the Cold War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in the realm of popular dramas. Through these works, we can examine the popularity of popular female dramas during the U.S. Military Government, the secularized Cold War logic of ‘American No. 1’, and the ethical consciousness of the centrists who do not give up their will to independence.

      • KCI등재
      • KCI등재

        유치진과 미국, 드라마센터와 문화냉전

        김옥란 ( Kim Ock-ra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8 한국학연구 Vol.0 No.51

        이 글은 ‘문화냉전’의 관점에서 유치진이라는 텍스트를 다시 읽고자 한다. 그중에서도 록펠러재단 지원을 계기로 건립된 드라마센터는 유치진과 미국 문화냉전의 관계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이다. 미국 중심의 문화냉전의 관점에서 봤을 때, 해방 이후 연극단체와 극장은 ‘(민족)예술’로서의 가치보다 ‘(냉전)미디어’로서의 가치가 우선적으로 중시되었다. 아시아재단의 신협 공연 제작 지원금, 아시아재단과 록펠러재단에 의한 유치진 개인에 대한 집중 지원 방식, 아시아재단 행정지원을 통한 세계연극전시회, 초ㆍ중ㆍ고등ㆍ대학 연극경연대회 등 유치진을 중심으로 기획된 다양한 문화 행사들은 유치진 개인 지원을 통한 ‘반공’의 정치적 목적과 효과를 보여준다. 일제 말기 친일 행적에도 불구하고 ‘한국연극의 아버지’로 명명되는 유치진의 상징적인 권위는 해방 이후 연극뿐만 아니라 문화예술 전체를 아우르는 공적 활동들에 근거한다. 그런데 유치진과 미국 공보기관과의 관계에서 봤을 때 유치진의 상징적 권위는 미국 기관과 민간재단의 협력을 통한 ‘공보’ 활동의 결과물로 이루어진 것이다. 유치진이라는 이름은 반공 국가 한국, 자유 아시아, 자유 유럽과 연결되는 반공 블록을 구축해나가는 국제극예술협회(ITI) 네크워크에서 중요한 연결고리의 하나로 자주 등장하고 있다. 따라서 록펠러재단 지원의 드라마센터 건립은 이러한 문화냉전의 관점에서 재검토되어야 하며, 드라마센터를 통해 본 문화냉전의 역사는 지금 현재 한국연극에서 뜨거운 이슈가 되고 있는 ‘공공극장으로서의 드라마센터 정상화’를 위한 운동에서 화두가 되고 있는 국가적ㆍ시민적 공공성의 문제를 보다 확장된 역사적 맥락에서 다시 살펴볼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한다. In this article, I want to investigate the Korean theater specialist Yoo Chi-Jin and Drama Center from the viewpoint of ‘cultural cold war’. The Drama Center is an important exampl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Yoo Chi-Jin and the American cultural cold war. The Drama Center was built in 1957~1962 with the support of the Rockefeller Foundation, the Asia Foundation and the Korean anti-communist regime. The process of setting up the Drama Center is showing what the role of US public service and private foundations has been to Drama Center as ‘theater media’. From the view point of the cultural cold war, the value of Korean drama and theater as a ‘Cold War media’ rather than a value as a ‘national art’ was given priority to America. The Asia Foundation and the Rockefeller Foundation’s intensive support to Yoo Chi-Jin shows the political message of anti-communism. The symbolic authority of Yoo Chi-Jin, named as ‘the father of Korean drama’, is based on public activities not only in theater but also in the entire culture and arts after the Korea Liberation. However, the anti-communist theatrical activities of Yoo Chi-Jin were based on the support of US public service organiz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ultural cold war, the construction of a Drama Center should be re-examined in aspect of distorting the direction of Korean drama and degrading the public nature of Korean drama.

      • KCI등재
      • KCI등재

        냉전 센터의 기획, 유치진과 드라마센터-아시아재단 유치진·신협 파일을 중심으로-

        김옥란 ( Kim Ock-ra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한국학연구 Vol.0 No.47

        현재 냉전 연구는 새로운 전기를 맞고 있다. 정보공개법에 의해 최근 공개된 미국 공공기관과 민간단체의 문서 열람이 가능해지면서 미국을 중심으로 한 한국 냉전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다. 이 논문은 스탠포드 대학교 후버연구소 아카이브에 보관되어 있는 아시아재단 유치진 서류를 중심으로 전후 연극계에 대한 냉전사적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후버 아카이브에 보관되어 있는 유치진 관련 파일은 1954~962년에 생성된 유치진 개인 문서, 유치진이 대표로 있었던 신협 지원과 관련해 1955~959년에 생성된 문서이다. 같은 시기 젊은 연극인들의 소극장 운동의 핵심 역할을 했던 제작극회의 1958년 공연제작 지원 문서도 함께 참고하였다. 이 시기 아시아재단의 유치진·신협 지원작은 <나도 인간이 되련다>, <한강은 흐른다>이다. 또한 아시아재단은 한국의 대표적 극작가 유치진을 매개로 한 중고등·대학 연극경연대회를 지원했다. 그런데 1957년 전국대학연극경연대회 지정작 유치진의 <왜 싸워>가 친일극 논란을 불러일으키면서 문총의 반발과 문교부 검열에 의해 대회가 무산되었다. 아시아재단은 당시 <왜 싸워> 사건 관련 보고서를 기밀문서로 지정하면서 한국 문화계의 동향을 신중하게 파악하고 있다. 유치진과 관련하여 아시아재단 지원의 또 하나의 특징은 록펠러재단과 연계된 사업이다. 대표적으로 드라마센터 건립 지원이 그 예이다. 유치진은 록펠러재단의 지원을 받아 1956년 미국 연극계를 시찰하는 한편 록펠러재단·한미재단·아시아재단의 지원을 받아 신협의 이름으로 실험 소극장을 목적으로 한 드라마센터를 건립하였다. 유치진은 별도로 비영리 단체 한국연극아카데미를 설립하여 록펠러재단 지원을 받았다. 한국연극아카데미는 현재 서울예술대학의 전신이며, 드라마센터는 서울예술대학의 실습장으로 쓰이다가 현재 서울시 서울문화재단의 제작극장으로 임대 중이다. 드라마센터 건립 시기는 젊은 연극인들에 의해 소극장 운동이 활발하게 일어나던 때로 애초에 ‘실험 소극장’으로 설계되었던 드라마센터에 대한 연극계의 전폭적인 환영의 분위기 속에서 건립되었으나 건립 1년 만에 운영난으로 막을 내리고 서울예술대학의 전유물이 되면서 소극장 건립에 대한 연극계의 오랜 염원 또한 무산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최근 한국연극의 공공극장 논란과 관련하여 드라마센터의 공공성과 함께 냉전 시대의 산물로서 드라마센터에 대한 새로운 접근과 연구가 시급하다. Contemporary research about the Cold War has reached a turning point. In particular, as it has become possible to access documents from American public institutions and private organizations recently made public due to the Freedom of Information Act, research about Korea’s cultural Cold War, pivoting around the United States, has been become invigorated. This paper uses the Asia Foundation Yoo Chi-jin documents stored in the Stanford Hoover Institute Archive to examine postwar theatre from the perspective of Cold War history. The file relating to Yoo Chi-jin, stored in the Hoover Archive, contains the personal documents of Yoo Chi-jin produced between 1954~1962 and papers from 1955~1959 relating to the Shin Hyop Theatrical Company for which he was a representative. I also referenced documents about production support in 1958 from the Theatre Production Drama Society, which played a critical role in the small theatre movement of young theatre artists from the same period. The productions supported by Yoo Chi-jin and Shin Hyop from this period are I Want to Become a Human Being and The Han River Still Flows. In addition, through Yoo Chi-jin, a representative Korean playwright, the Asia Foundation supported theatre contests in middle schools, high schools, and universities. However, Yoo Chi-jin’s Why Fight, a production chosen by the 1957 Nationwide University Theatre Competition, received accusations of being pro-Japanese, and amid opposition from the National Federation of Culture Associations and censorship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competition was closed down. At the time, the Asia Foundation classified reports about the Why Fight incident as being secret in nature, but the documents reveal a close grasp of the trends from the world of Korean culture. One distinctive characteristic of the Asia Foundation’s support in relation to Yoo Chi-jin is that the project was affiliated with the Rockefeller Foundation. A representative example is the support for the construction of the Drama Center(now Namsan Arts Center). Yoo Chi-jin received backing from the Rockefeller Foundation to survey the world of America theatre, and then received support from the Korean American Foundation, the Asia Foundation, and the Rockefeller Foundation under the Shin Hyop name to build the Drama Center as an “experimental small theatre”. He also separately received funding from the Rockefeller Foundation to create a Korean Research Institute For Dramatic Arts Inc. as a nonprofit group. This Drama Academy is now the Seoul Institute of the Arts, and the Drama Center, previously used as a training arena for the Seoul Institute of the Arts, and is now being leased as the production theatre Namsan Arts Center for the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The Drama Center was built as an “experimental small theatre” in an era when young theatre artists were driving the small theatre movement and therefore was widely welcomed by the theatre community, but after only a year the theatre was closed due to management difficulties to be taken over by the Seoul Institute of the Arts, and with it went the longstanding hopes of the community for the small theatre. New approaches and research are needed to understand the public character of the Drama Center in relation to recent controversies in the theatre community about public theatres as the products of the era of Cold War culture.

      • KCI등재

        오영진과 반공ㆍ아시아ㆍ미국

        김옥란(Kim, Ock Ran) 동악어문학회 2012 동악어문학 Vol.59 No.-

        오영진은 식민 말기부터 해방 이후 제3공화국에 이르기까지 극작가이자 평론가, 잡지 발행인, 영화 제작자, 정당 정치인 등 다양한 정체성의 삶을 살았다. 또한 해방 이전과 이후, 전쟁과 전후, 소 군정하의 북한과 미 군정하의 남한을 모두 경험한 이채로운 경력의 소유자이다. 오영진은 해방 직후 평양의 민족지도자 조만식의 조선민주당 창당 과정에 참여했으며 1947년 월남한 이후 1952년 전시 부산에서 월남 문인들을 중심으로 문학단체를 조직하는가 하면 반공서적 전문 출판사를 설립했으며, 1953년 미 국무성의 리더스 그랜트로 미국을 다녀온 이후 1955년 미 공보원과 공동으로 반공영화를 제작하는 등 1950년대 내내 ‘반공 전사’, ‘반공 이데올로그’로서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오영진은 서북 출신 기독교인이자 민족주의자로 전후 냉전 체제, 특히 미국 중심의 세계 반공 질서에 적극 동의하고 있었다. 오영진은 1960년대의 ‘동원된 국가 이데올로기’로서의 반공과 달리, 분단?월남?전쟁 체험을 통한 ‘자발적 반공주의자’로서 냉전의 세계질서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었다. 한편 오영진의 이러한 ‘자발적 반공주의자’의 면모는 이승만 정권에 전적으로 통합되거나 동원되지 않는 1950년대의 또다른 균열지점을 보여주고 있어 흥미롭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이승만의 우상화가 대대적으로 진행된 1950년대 후반, 이승만 전기를 소재로 쓰여진 오영진의 시나리오 〈청년〉과 희곡 〈풍운〉에 주목하게 되었다. 오영진의 시나리오 〈청년〉은, 이승만의 82회 탄신기념일에 맞춰 극단 신협에 의해 연극 〈풍운〉으로 공연되었고, 선거운동의 일환으로 1959년 신상옥 감독에 의해 〈독립협회와 청년 이승만〉으로 영화화되었다. 〈풍운〉은 당시 자유당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던 극단 신협에 의해서 공연되었고, 〈독립협회와 청년 이승만〉은 이승만과 경무대의 직접적인 지시를 받아 반공예술인단에 의해 제작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서 ‘반공’(친미와 연동된)과 ‘식민지 기성세대’(친일과 연동된)의 복귀라는 정치적 연결고리를 발견할 수 있다. 반면에 이 글이 주목하고 있는 것은 이러한 일련의 ‘동원’의 과정이 결코 매끄럽게만 진행되지는 않았다는 점이다. 실제로 작가 오영진과 극단 신협의 이해랑?유치진 등 보수우파 연극인들 그리고 이승만 사이에는 대미의식?대일의식?이승만 우상화에 대한 균열적인 시선이 포착된다. 1950년대 오영진의 이승만 전기극을 둘러싼 정치적?문화적 풍경들은 우리 사회의 반공 보수주의가 그 기원에서 어떤 과정을 통해서 조형되어가고 있었는지의 모습을 보여준다. Oh Young-Jin worked in various fields : he was a playwriter, critic, magazine publisher, film maker, and politician. And he had unusual experiences before and after the Liberation, North Korea under the Soviet military and South Korea under the United States at the same time. Oh Young-Jin involved in the process of founding the Korean Democratic Party led by national leader Cho Man-Sik in Pyongyang 1945, and he escaped from the North to the South in 1947. He organized literature club in Busan during the war time, and established a publisher specialized in anti-communism books. In 1953, he was dispatched to the U.S. for the Leaders Grant Program held by the U.S. Department of State. Afterward, he produced a movie of anti-communism jointly with the United States Information Service. Throughout the 1950s, he lived as an anti-communist ideologue. Experiencing division, escaping, and the war, he became a voluntary anticommunist. This paper analyzes the text which is about Rhee Syng-Man, scenario A Young Man(1957), drama Wind and Cloud(1957) and the film Rhee Syngman and Independence Movement(1959). Drama Stormy was performed by the theatre company Shinhyeop to commemorate Rhee Syng-Man"s 82th birthday. The theatre company Shinhyeop was closely related with Rhee"s Liberal Party. And the film Rhee Syngman and Independence Movement was made for the purpose of a part of election campaign by film director Shin Sang-Ok. This film was produced under the direct directions of Rhee and the Presidential residence. Similarities between these works are ‘anti-communism’(related to pro-America) and ‘pro-Japanese’.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point of crack between playwriter Oh Young-Jin, right wing conservative theatrical people of Shinhyeop and Rhee Syng-Man about consciousness toward the America, Japan, and Rhee"s idolization. Oh Yong-Jin"s dramas about Rhee Syng-Man shows the origins of anti-communist conservatism during 1950s.

      • KCI등재후보

        한국연극과 드라마투르그의 역할과 위치 : 프로덕션 드라마투르그 개념을 중심으로

        김옥란 ( Ock Ran Kim ) 한국드라마학회 2013 드라마연구 Vol.- No.39

        This paper is a report on the activities of dramturg in the Korean theater. I started dramaturg job by the proposal of directors in the middle of 2000s. My early dramaturg duties, without a clear recognition, were critical commentary in the objective gaze(``outside eye``). Having a lasting relationships with particular theater company, I began to recognize the role of ``production dramaturg``. In the 2010s, producing theaters, Namsan Arts Center, Myeongdong Theater and National Theater Company of Korea, were launched and I began to work professional dramaturg. This process showed how dramaturg works and environment changes of the Korean theater production were closely related each other. This paper sought to explore the role of the Korean dramaturg through the dramaturg theory and history of world theater`s. This article mentioned theoretical case of Lessing and Brecht. In particular, Brecht`s concept of ``production dramaturg`` will be a good reference to ``theater company dramaturg`` and ``producing theater dramamturg`` in Korea. 이 글은, 한국연극에서의 드라마투르그 활동에 대한 현장 보고서의 성격을가진다. 필자는 2000년대 중반 개별 연출가들의 제안에 의해 드라마투르그 작업을 시작했다. 필자의 초기 드라마투르그 활동은 드라마투르기에 대한 명확한 인식 없이 평론가의 객관적 시선(``외부자적 시선``)에서의 논평에 대한 요구로부터 시작되었다. 이후 여러 시행착오를 거치며 드라마투르그 활동에 대한의식적인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특히 특정 극단과 지속적인 관계를 맺으면서 ``프로덕션 드라마투르그``의 역할을 인지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2010년대에접어들면서 남산예술센터, 명동예술극장, (재)국립극단, 두산아트센터 등 국공립 제작극장의 출범 이후 전문적인 드라마투르그로서 활동하게 되었다. 이상초기의 자생적이고 무의식적인 활동 과정, 특정 극단과 지속적인 유대감과 파트너십을 가지고 활동하던 시기, 2009년 이후 본격화된 제작극장 시대에 요구되는 전문적인 드라마투르그 활동 등 필자의 활동 과정 자체가 한국연극의 환경 변화와 드라마투르그의 작업이 얼마나 긴밀하게 맞물려 있는지 보여준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필자가 드라마투르그로서 겪었던 혼란과 고민들을 정리하고자 했다. 그리고 그러한 고민들을 해결해나가는 방법의 하나로 드라마투르기의 이론과 역사의 한국적 적용 가능성과 현실적인 비전을 제시해보고자했다. 이 글에서 이론적 역할 모델의 일부로 제시한 레싱과 브레히트의 사례, 특히 브레히트의 ``프로덕션 드라마투르그``의 개념은 한국적 현실에서 ``극단 드라마투르그``와 ``극장 드라마투르그``의 앞으로의 발전 가능성에 중요한 참고지점이 되었다.

      • KCI등재

        1950년대 연극과 신협의 위치

        김옥란 ( Kim Ock-ran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08 한국문학연구 Vol.0 No.34

        1950년대는, 1950년 국립극장 전속극단으로 출발한 신협의 활동을 통해 신극의 부흥기를 맞이했다. 신협은 정통 신극의 인적ㆍ물적 토대가 완전히 국립극단으로 통합되는 1961년 이전 활동한 대표적인 신극 단체이다. 신협의 대표작은 1950년 국립극장 개관 당시 유치진 작 「원술랑」, 중국 작가 조우의 「뇌우」, 1951~52년 피난지 대구에서의 셰익스피어 비극 「햄릿」, 「오델로」, 「맥베드」, 1955~57년 환도 후 서울에서의 미국 현대극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느릅나무 그늘의 욕망」, 「뜨거운 양철지붕 위의 고양이」, 「세일즈맨의 죽음」 등이다. 신협의 공연은 창작극보다는 세계명작이나 걸작 등의 번역극에서 뚜렷한 성과를 보였으며 1950년대 전반에 걸쳐 지속적이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또한 이 시기에 이르러 기존의 ‘극연의 유치진.으로부터 ‘신협의 이해랑과 김동원’으로 연극계의 중심 주체가 이동했다. 유치진의 경우 식민지 시기 대표적인 신극운동가이지만 일제 말기 국민연극 활동으로 해방 이후 그 상징적 지위가 위축되었다. 반면에 이해랑과 김동원은 일제 말기 국민 연극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았었고 해방 이후 우익 계열 민족연극운동에 참여하면서 본격적인 활동을 재기하여 해방 이후 좌우익의 대립과 친일논란으로부터 비교적 자유로웠고 정통 신극운동의 순수성과 민족연극을 대변하는 대표성을 획득하였다. 1950년대 내내 국립극단을 둘러싸고 연극계의 내부 분열이 계속되면서 국립극단의 역사 자체가 분열의 역사로 점철되었던 데 비해 극단 신협은 국립극단과의 끊임없는 길항관계 속에서 ‘신협’이라는 단체명을 고수하며 신극운동의 명맥을 이어갔다. 그리고 1950년대 창작극의 세계가 반공극과 역사극으로 퇴보해 들어갔던 데 비해 세계적인 걸작의 번역극 공연이라는 새로움에 도전하였다. 신협의 대표적 레퍼토리인 셰익스피어극이나 미국 현대극은 미국을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었던 1950년대의 ‘세계상’을 이루는 중요한 심상 지리를 제공해주는 한편 식민의 기억을 지우고 전쟁을 경험한 1950년대 문화 주체들이 새롭게 호흡하고 싶었던 동경의 세계를 보여준다. In 1950s, the Korean modem drama was revived through activities of theatrical company Shinhyup which started as a theatrical company attached to Korean National Theater from 1950. Shinhyup, working before 1961 when the base of human and material were combined into Korean National Theater, was major Korean modem theater company. The masterpiece of Shinhyup were : (1) played in 1950, Seoul, Wonsulrang (written by Ryu Chi-jin), Thunderstorm(written by Chinese writer Cho Woo), (2) played in 1951~1952, Daegu, Hamlet, Othello, Macbeth(written by Shakespeare), (3) played in 1955~1957, Seoul, A Streetcar Named Desire (written by Tennessee Williams), Desire under the elms(written by Eugene O'Neill), Cat on a Hot Tin Roof(written by Tennessee Williams), Death of a Salesman(written by Arthur Miller). Stage of Shinhyup showed outstanding result in translated dramas rather than Korean original dramas and did major role in 1950s. At that time, the main subject was shifted to Lee Hae-rang and Kim Dong-won of Shinhyup from Ryu Chi-jin of Kugyun. Although Ryu Chi-jin was the representative Korean modem drama writer in colonial period, his symbolic position was shrank after Liberation in 1945 for the activity of 'National Theater', controlled by Japan, in last years of colonial period. But Lee Hae-rang and Kim Dong-won didn't participate to National Theater in that time, so they were free from the blame of pro-Japanese after Liberation and got the representative position of 'Racial Theater' and genuineness of legitimate Korean modern drama movement. As Korean original dramas were withdrawn to anti-socialism dramas and historical dramas in 1950s, Shinhyup accomplished the mature of Korean theater through the playing translated dramas of world classic masterpiece. The typical repertory of Shinhyup, Shakespeare dramas and American modem dramas, showed the world image of newly organized by USA in 1950s and the new fantasy of Korean peoples who wanted to clean up the memories of the colony and Korean Wa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