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누가 OTT 서비스를 이용하고, 얼마나 시간을 보내는가? 인구사회학적 및 성격 특성을 중심으로

        김예솔란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23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23 No.5

        Understanding individuals who consume content on OTT platforms is crucial for media operators and marketers due to the dominance of OTT services in the global media market. This study compared socio-demographic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OTT non-users and users, and tested these characteristics impact on usage time of OTT services. Cross-sectional data from 9,686 respondents aged 13 and above that extracted from the 2022 Korean Media Panel Survey were analyzed, revealing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gender, age, education level, income level, employment status, openness to experience, conscientiousness, extraversion, agreeableness, and neuroticism. Moreover, gender, age, education level, income level, employment status, conscientiousness, extraversion, and agreeableness influenced usage time of OTT service. The findings expected to be valuable data that media operators and marketing practitioners can refer to when formulating strategies that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users.

      • KCI등재

        1인 미디어의 커뮤니케이션 특성이 콘텐츠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 한 연구 : 준사회적 상호작용의 매개효 과를 중심으로

        김예솔란,김나경,이세진 한국광고학회 2021 광고학연구 Vol.32 No.2

        최근 미디어 기술의 발전과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변화로 1인 미디어가 콘텐츠 산업의 한 축으로 부상하면서 기업을 비롯한 다양한 조직들은 그 마케팅적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1인 미디어를 활용한 마케팅에도 그 특성과 수용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한 전략적 인 접근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라스웰(Lasswell)의 커뮤니케이션 모형에 기초하여 1인 미디어의 크리에이터 특성(매력성, 전문성, 진정성, 유사성), 콘텐츠 특성(흥미성, 유익성, 몰입도), 플랫폼 특성(상호작용성)이 콘텐츠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수용자 요인으로서 준 사회적 상호작용의 매개 역할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매력성, 유사성, 흥미성, 유익성, 준 사회적 상호작용은 콘텐츠 수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매력성, 진정성, 유사성, 흥미성, 몰입도, 상호작용성은 준사회적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매력성, 진정 성, 유사성, 흥미성, 몰입도, 상호작용성은 준사회적 상호작용을 매개하여 콘텐츠 수용의도에 간 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인 미디어의 사회적 및 마케팅적 영향력이 높아지고 있는 오늘날, 이 같은 연구결과는 1인 미디어 마케팅 연구의 활성화를 위한 토대이자 1인 미디 어 사업자와 마케팅 실무자에게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위한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With recent advances in media technology and changes in consumer lifestyles, one-person media emerges as a potential marketing tool in various organizations and industries. It is time for applying a strategic approach based o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and acceptance of marketing using one-person media. This study, based on Laswell's SMCRE model of communication, tested the effect of creators (attractiveness, expertise, trustworthiness, similarity), contents (enjoyment, usefulness, engagement), and channel (interactivity) characteristics of one-person media on intention to contents acceptance, mediated by parasocial interact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attractiveness, similarity, enjoyment, usefulness, and parasocial interaction had a positive and direct effect on intention to contents acceptance. Second, attractiveness, trustworthiness, similarity, enjoyment, engagement, and interactivity had a positive effect on parasocial interactions. Third, attractiveness, trustworthiness, similarity, enjoyment, engagement, and interactivity was found to have an indirect effect on intention to contents acceptance through parasocial inter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 KCI등재

        미디어 노출이 다이어트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기제에 관한 연구 : 자기대상화이론을 중심으로

        김예솔란,이미나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0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6 No.4

        This study tested the roles of public self-consciousness, body surveillance, body shame, and body dissatisfaction based on culture cultivation theory and self-objectification theory with the aim of revealing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underlying the influence of media exposure on diet intention. As a result of conducting a survey on 350 women in their twenties and perform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is study found that media exposure causes public self-consciousness, which increases body surveillance and body shame, thereby increasing body dissatisfaction and thus increasing diet intention. In addition, public self-consciousness indirectly influenced body shame through body surveillance. Body surveillance was found to have an indirect effect on diet intention through body dissatisfaction, whereas body shame had a direct effect on diet inten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본 연구는 미디어 노출이 다이어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기제를 밝히기 위해 문화배양이론과 자기대상화이론에 기초하여 공적자기의식, 신체감시성, 신체수치심, 신체불만족의 역할을 상정하고 그 경로를 검증하였다. 20대 여성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통해 그 영향관계와 경로를 검증한 결과, 미디어 노출로 인해 야기된 공적자기의식이 신체감시성이나 신체수치심을 거쳐 신체불만족에 영향을 주고 이는 다이어트의도로 이어지는 모형이 지지되었다. 또한 공적자기의식은 신체감시성을 매개로 신체수치심에 영향을 미쳤다. 신체감시성은 신체불만족을 매개로 다이어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신체수치심은 다이어트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이론적 및 실무적 의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간판 개선이 점포 및 지역 브랜딩과 수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보성, 오락성, 방해성을 중심으로

        김예솔란,이세진 한국OOH광고학회 2023 OOH광고학연구 Vol.20 No.1

        In Korea, a government-led signboard improvement project is being implemented to make the street environment beautiful and pleasant. The main participants in this project, the store owners and local governments, expect to gain store branding and local branding effects from this project, respectively. The government agency, which is the main body of the project, hopes that the project will be successfully accepted by members of society.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the perceived informativeness, entertainment, and irritation of improved signboards on store and local branding and acceptance intention to projects.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with 300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informativeness and entertain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store and local branding effects and acceptance intention to projects, but irritation had a negative effect. These results will serve as basic data for academic research on the effect of signboard improvement, and a guideline for establishing a successful business model that can promote mutual benefits of project participants such as store owners, local governments, and government agencies. 우리나라는 아름다운 간판 거리를 조성하려는 목적으로 정부 주도의 간판 개선을 시행하고 있다. 간판 개선은 여러 참여자의 협력으로 진행되기에 그 성과를 평가하는 기준이 이해관계자의 관점에 따라 다르다. 특히 주요 참여자인 소상공인은 점포 브랜딩 효과, 지자체는 지역 브랜딩 효과를 기대한다. 사업 시행 주체인 정부 기관은 사업이 우리 사회에서 성공적으로 수용되길 바란다. 이에 이 연구는 개선된 간판에 대해 그 최종 수용자인 소비자가 인식하는 정보성, 오락성, 방해성이 점포 및 지역 브랜딩 효과와 사업 수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했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부산 소재 대학교의 학부생과 대학원생 3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 점포 및 지역 브랜딩 효과와 간판 개선 사업 수용 의도에 대해 정보성과 오락성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방해성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간판 개선의 효과에 관한 학술연구의 토대를 마련하고, 간판 개선 사업의 참여자들이 공동의 기대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성공적인 사업 모형을 구축하는 것에 공헌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개인화 수준이 소비자의 인식과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모바일 쿠폰을 중심으로

        김예솔란,이세진 한국광고학회 2016 광고학연구 Vol.27 No.7

        최근 개인화 서비스를 이용한 마케팅이 각광 받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개인화 서비스는 소비자의 개인정보를 활용한다는 점에서 프라이버시 문제를 지적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 에서는 최근 기업에서 개인화 서비스로서 많이 활용하고 있는 모바일 쿠폰을 통해 개인화 수준 에 따른 소비자의 인식과 수용행동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개인화 수준은 메시지에 포함된 개인정보의 정도에 따라 고・중・저 세 가지 수준으로 구분했으며, 혜택 측면의 인식은 인지된 유 용성으로, 위험 측면의 인식은 프라이버시 염려로, 수용행동은 수용의도를 통해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개인화 수준이 높아질수록 인지된 유용성과 프라이버시 염려가 증가하지만, 개인화 수준이 일정 수준을 넘어서면 인지된 유용성은 오히려 감소하여 역 U자형 관계가 성립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또한 수용의도에 대해 인지된 유용성은 정적인 영향을, 프라이버시 염려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개인화 서비스의 개인화 수준이 소비자의 인식과 수용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 함으로써 개인화 서비스를 광고 분야에서 활용함에 있어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Personalized marketing is getting attention in the Era of Big Data. On the other hand, it raises the privacy concerns due to the use of consumers’ personal information. According to Privacy Calculus Model, consumers are engaged in the adjustment process in which privacy risks are weighted against benefits of information disclosure. Therefore, companies need to identify the most appropriate level of personaliz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the level of personalization level on consumer’s perceptions and acceptance behavior. For the empirical analyses, personalization is divided into three levels according to the degrees of individu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message. The proposed model integrates a perceived usefulness factor in the benefit-side and privacy concerns as a factor in the risk-side, and examines how these factors influence acceptance behavior. The results show that perceived usefulness and privacy concerns increase as the level of personalization is high. However, when the level of personalization exceeds a certain level, perceived usefulness has been decreased. In other word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izaion level and perceived usefulness is inverted-U shape. Second, perceived usefulness has a positive relation to acceptance behavior while privacy concerns has a negative relation to it. This study provides academic and managerial implications for utilizing Big data in the advertising by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the level of personalization on consumer’s perception and acceptance behavior.

      • KCI등재

        자아존중감과 프라이버시 염려 그리고 SNS 이용

        김예솔란,김도연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20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24 No.3

        본 연구는 개인의 심리적 특성인 자아존중감과 프라이버시 염려가 미디어 이용행동인 SNS의이용 여부와 이용 정도와 어떻게 관계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규모의 대표성이 확보된 표본인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미디어 패널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NS 이용자가 비이용자보다 자아존중감과 프라이버시 염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존중감과 프라이버시 염려가 높을수록 SNS를 이용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SNS를 더 자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토대로 SNS 이용에 관한 이론적 및 실무적 함의를 제시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 between self-esteem, privacy concerns and the SNS use through a nationwide representative sample including both SNS users and non-users. For this, we analyzed the media panel data of KISDI(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NS user group showed higher self-esteem and privacy concern than non-user group, while controlling the influence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cond, the higher the self-esteem and privacy concern, the more likely it is to belong to the SNS users, under the control of influence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ird, controlling the influence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lf- esteem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degree of SNS use. This study provide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SNS use by more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effects of self-esteem and privacy concerns on SNS use based on the panel data.

      • KCI등재

        메타버스 이용자의 인구사회학적 속성과 성격에 관한 탐구

        김예솔란,김태은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3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9 No.6

        With the advent of the metaverse era, understanding individuals who engage in metaverse activities has become an important task for businesses and marketing practitioners.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socio-demographic and personality factors of metaverse non-users and users, and to ascertain the impact of thes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n use of metaverse. Cross-sectional data from 9,686 respondents aged 13 and above that extracted from the 2022 Korean Media Panel Survey were analyzed, revealing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etaverse non-users and users in terms of gender, age, education level, income level, marital status, employment status, openness to experience, extraversion, and conscientiousness. Gender, age, openness to experience, and neuroticism influenced the possibility of metaverse use. Age, education level, and openness to experience were found to impact the extent of metaverse use.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serve as foundational insights for businesses and marketing practitioners aiming to formulate strategies in utilizing the metaverse.

      • KCI등재

        간판 개선을 시행한 간판의 점포 적합성이 점포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보성, 오락성, 방해성의 매개효과

        김예솔란,이세진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3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9 No.2

        이 연구는 간판 개선을 시행한 간판에 대해 소비자가 인식하는 점포 적합성이 점포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피고, 그 관계에서 정보성, 오락성, 방해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조사연구이다. 연구문제 검증을 위해 간판 개선을 시행한 지역에 방문한 경험이 있는 학부생과 대학원생 150명을 대상으로 2022년 11월 7일부터 11월 18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데이터는 SPSS 26.0과 PROCESS Macro 4.2의 Model 4를 이용해 분석했다. 연구 결과, 점포 적합성은 정보성과 오락성을 매개하여 점포 방문 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간판 개선 사업에 참여하는 소상공인과 지자체 및 정부 기관의 실무자에게 간판 개선 시 간판의 점포 적합성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인터넷 노출과 플라스틱 소비 행동 : 사회적 규범의 매개효과

        김예솔란,이미나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22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22 No.4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Internet exposure on plastic consumption behavior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norms. The survey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20 college student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 26.0 and PROCESS macro 4.1 (model 4).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exposure and intention to plastic consumption was mediated by descriptive norm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ternet exposure and social norms are important factors that can promote or constrain plastic consumption behaviors. Based on these results, we presente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본 연구는 인터넷 노출이 플라스틱 소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피고, 그 관계에서 사회적 규범의 매개효과를밝히고자 했다. 연구문제 및 연구모형의 검증을 위해 대학생 2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수집된 데이터는SPSS 26.0과 PROCESS macro 4.1(model 4)로 분석했다. 연구 결과, 인터넷 노출은 플라스틱 소비에 관한 묘사적규범을 매개하여 플라스틱 소비 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플라스틱 소비에 관한 묘사적 규범과 명령적 규범은 플라스틱 소비 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인터넷 노출과 사회적 규범이 플라스틱소비 행동을 촉진하거나 억제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한다. 이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이론적 의의와 실무적함의를 제시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