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시대 변화와 도예교육의 확장 : 공예매개인력 양성 교육

        김지혜 ( Jihye Kim ),김예성 ( Yesung Kim ),이은 ( Eun Lee ),정호정 ( Hojeong Jeong ) 이화여자대학교 도예연구소 2020 陶藝硏究 Vol.- No.29

        이화여자대학교 도자예술전공은 2016교과과정개편 이후 다변화된 동시대적 예술개념 안에서 학문과 매체로서의 도예에 대한 탐구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으로 이론수업을 강화하였다. 또한 공예매개인력에 대한 사회적 수요와 전문인력 부족현상에 주목하고 그에 따른 교육의 필요성을 절감하여 2015년 공예문화기 획트랙을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공예문화기획트랙은 시대 문화적 변화에 따라 다양한 산업 분야와 도자영역을 융합하여 새로운 영역을 창출하고, 전시기획, 비평, 유통 등 도자분야의 전반을 주도하는 융합적인 예술인재를 양성한다는 목표를 지닌다. 특히 공예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수요가 확대되고 있는 현 시점에, 기획을 담당하는 전문 인력이 현저히 부족하기 때문에 향후 다양한 분야로의 진출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도자영역의 확장에도 기여할 수 있으리라는 기대를 가지고 있다. 공예문화기획트랙의 설립과 운영으로 매개인력교육에 대한 경험과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음이 인정되어 이화여자대학교는 2019년〈공예매개인력양성교육〉프로그램의 수행기관으로 선정되었으며, 2019년도 사업의 성과를 인정받아 2020년에도 지속적으로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공예매개인력양성 교육과정 수행은 도자의 영역확장과 상호 학제적 교육을 지향하는 본 전공의 교육방향의 연장선상에 있다. 본 논문은 다소 생소한 개념인 공예매개인력의 개념과 그 필요성에 대해 먼저 알아보고 이화여대에서 2년간 수행하고 있는〈공예매개인력양성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개요와 성과를 소개함으로써, 공예매개분야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그 전망을 제시하고자 한다. 더불어 이 프로그램이 이화여대 도자예술전공의 교육 방향과 어떠한 상관관계에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The Department of Ceramics at Ewha Womans University expanded the theoretical classes with the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exploring ceramics as a medium and study within the diversified notion of contemporary art after reorganizing its curriculum in 2016. In addition, it has opened and operated the Craft & Art Administration Track in 2015 by paying attention to the social demands and shortages of the intermediary in crafts fields, and desperately agreeing with the need for education. The Craft & Art Administration Track aims to create a new field by integrating various industrial fields and ceramic fields according to the cultural changes of the times, and to cultivate convergent artistic talents who lead the entire ceramic field such as curating, critics, and merchandising. In particular, at the present time when the perception of crafts is changing and demand is expanding, so it is possible to advance into various fields in the future because there is a remarkable shortage of the professional intermediary in crafts fields. At the same time, we expect that it will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the ceramic field. Ewha Womans University was selected as the implementing institution of the 〈Crafts Cultural Intermediary program〉 in 2019, as it was recognized as possessing experience and expertise in educating for intermediary due to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The Craft & Art Administration Track. It has been recognized and continues to conduct business in 2020. The Department of Ceramics at Ewha Womans University aims to expand the territory of ceramics and provide interdisciplinary education. The implementation of the Crafts Cultural Intermediary program is an extension of the educational direction of this major.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concept and necessity of the Crafts Cultural Intermediary, a somewhat unfamiliar concept, and introduces the outline and achievements of the Crafts Cultural Intermediary program that Ewha Womans University has been conducting for two years, thereby enhancing understanding of this field. We want to present a prospect. In addition, We would lik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is program and the educational direction of the department of Ceramics.

      • KCI등재

        체육전공 대학생들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세계시민성 현황 및 세계시민성이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박선영 ( Park Sunyoung ),김예성 ( Kim Yesung ),이미리 ( Lee Meery )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023 스포츠사이언스 Vol.41 No.3

        본 연구는 대학교육에서 세계시민성 함양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체육을 전공하는 대학생들의 특성에 따른 세계시민성 수준은 어떠하며, 세계시민성이 실제 자아정체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체육전공 대학인 서울소재 H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2022년 10월 20일에서 11월 30일 기간 동안 온라인 설문을 통해 세계시민성 수준, 인구학적 특성, 학교생활 특성, 자아정체감수준에 대해 조사하여 235명의 응답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의 성별, 학년, 소속 전공에 따른 세계시민성 수준을 비교한 결과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저학년보다는 고학년이, 체육전공 보다는 생활체육전공 학생들의 세계시민성 수준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학교생활 경험에 따른 세계시민성 차이를 검증해본 결과 동아리활동과 자원봉사활동 경험을 지니는 학생일수록 세계시민성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세계시민성 수준이 체육전공 대학생들의 자아정체감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인구학적 변인들의 영향력을 통제한 이후에도 세계시민성은 자아정체감을 높이는 유의미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체육전공 대학생들의 세계시민성 함양을 위해 세계시민성에 관한 기본적인 지식을 쌓고 실질적인 세계시민성 함양 경험을 제공하는 방안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level of global citizenship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whether global citizenship affects actual self-identity development, and furthermore, what direction university education should be in order to cultivate global citizenship.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targeting students at H University, a college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about their level of global citizenship,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chool life characteristics, and level of self-identity, and analyzed the responses of 235 people.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level of global citizenship according to gender, grade, and department among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the level of global citizenship was higher in female students than male students, in upper grades than in lower grades, and in the College of Health and Human than in the College of Sports Science. It was confirmed that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 in global citizenship according to school life experience, it was confirmed that students with more experience in club activities and volunteer activities had a higher level of global citizenship.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the level of global citizenship on the level of self-identity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global citizenship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factor in increasing self-identity even after controlling for the influence of demographic variable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we discussed ways to build basic knowledge about global citizenship and provide practical experiences in cultivating global citizenship in order to foster global citizenship among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 장소 특정적 미술과 현대도예 : 담론적 장소에 관한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김예성 이화여자대학교 도예연구소 2021 陶藝硏究 Vol.- No.30

        역사 초기에 도자는 주어진 환경과 장소에 따라 용도와 형태가 다른 '장소 특정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예를 들어, 신석기시대 초기 토기의 일종인 빗살토기는 강이나 해변과 같은 모래땅에 살았던 신석기 시대 사람들이 토기를 안정적으로 바닥에 박아 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밑이 뾰족한 모양을 하고 있었다. 이후 인류의 역사를 통틀어 발달한 모든 도예 양식은 주어진 환경, 장소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해석적 근거에 따라 현대미술 환경에서 도자와 장소의 관계, 동시대도자의 의미와 가치를 연구함으로써 현대 시각 예술과 문화의 담론으로 도예가 확장되는 경향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장소와 공간에 대한 이론적 이해에 대한 선행연구와 현대도예의 현장 사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배경 연구가 되는 Ⅱ 장에서는 이-푸 투안의 공간과 장소에 대한 이론을 바탕으로 모더니즘의 공간에서 동시대 미술의 장소성 회복으로의 변화 과정을 설명하고 과 권미원의 『장소 특정적 미술 One Place After Another』에서 기술한 장소 특정적 미술의 특징을 요약하였다. Ⅲ장에서는 점토예술과 동시대 도자예술의 영역에서 장소성에 대한 작업을 활발히 하고 있는 국내외 두 작가 이연숙와 클레어 투미(Clare Twomey)의 최근 프로젝트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현대미술과의 교차점을 그리며 발전해 온 도자가 어떻게 영역을 넘어 이 시대의 문화로 확장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는 계기가 될 것이다. In the early days of history, ceramics had 'site-specific' characteristics with different uses and shapes depending on the given environment and place. For example, comb earthenware, a type of earthenware in the early Neolithic period, had a pointed shape so that people in the Neolithic age who lived in sandy land such as rivers and beaches could use earthenware by stably driving it into the floor. Since then, all the ceramic styles developed throughout human history are closely related to a given environment and pl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tendency of ceramic art to expand into the discourse of contemporary visual art and culture by stud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eramics and place, and the meaning and value of contemporary ceramics in the contemporary art environment according to various interpretive grounds. For this purpose, prior research on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place and space and case studies of contemporary ceramics were conducted. Chapter Ⅱ, which serves as a background study, explains the process of change from the space of modernism to the restoration of placeness in contemporary art based on Yi-Fu Tuan's theory of space and place. Also, Kwon Miwon's 『One Place After A nother』 are described and summarized the characteristics of site-specific art. Chapter ⅡI analyzes the recent projects of two domestic and foreign artists, Yeonsuk Lee and Clare Twomey, who are actively working on spatiality in the fields of clay art and contemporary ceramic art. This study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examine how ceramics, which have developed at the intersection with contemporary art, can be extended to the culture of this era beyond the real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