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흉쇄관절에 발생한 화농성 관절염과 결핵성 관절염의 수술적 치료

        김영율(Young-Yul Kim),권종범(Jong Beum Kwon),이연수(Yeon-Soo Lee),김상일(Sang-Il Kim),지종훈(Jong-Hun Ji)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0 대한견주관절의학회지 Vol.13 No.1

        목적: 흉쇄관절에는 드물게 발생하는 화농성 관절염과 결핵성 관절염에서 조기에 흉쇄 관절의 완전한 절제와 철저한 변연 절제술을 시행하여 그 치료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9월에서 2008년 9월까지 본원에서 흉쇄관절에서 발생한 2예의 화농성 관절염과 1예의 결핵성 관절염에 대하여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들 세 예를 대상으로 진단 및 그 임상적 결과를 평가하였다. 결과: 1년 이상 추시한 단순 방사선 소견 및 혈액 검사상 염증의 소견은 호전되었으며, MRI소견상 원위 쇄골단과 흉골에 골부종과 함께 흉쇄 관절에 경도의 활액막염이나 액체 저류 소견 등이 관찰되었으나, 임상 증상은 호전되었으며 1년 이상 추시하여 더 이상의 재발 없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결론: 흉쇄관절에서 화농성 관절염과 결핵성 관절염은 드물게 발생하는 질환으로, 진단 시 이미 흉쇄관절 주위의 골로 파급되어 골수염의 소견이 관찰되므로 조기에 흉쇄 관절의 골수염에 대한 완전한 변연 절제술과 철저한 소파술을 조기에 시행하여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Purpose: Here we report clinical results for surgical treatment of 2 cases of pyogenic arthritis and 1 case of tubercular arthritis, which only rarely develops in the sternoclavicular joint. Materials and Methods: From September 2003 to September 2008, we did early marginal resection and thorough debridement of osteomyelitis of the sternum and distal clavicle in 3 patients and evaluated clinical results after short-term follow up. Results: All 3 patients were satisfied with their clinical results and none had any recurrences according to follow up X-rays and laboratory datas. The follow up MRI showed bone edema in the distal clavicle and proximal sternum and a little fluid retention around the sternoclavicular joint. Conclusion: Even though diagnosis of these diseases are made earlier, infection of the adjacent bone and osteomyelitis could already have developed. We did early marginal resection and thorough debridement of osteomyelitis of the sternum and distal clavicle and achieved satisfactory results.

      • 슬관절에 생긴 연골종 - 증례보고 -

        지종훈,김영율,김진영,모하메드 샤피,김지창,이상욱,김원유,Ji, Jong-Hoon,Kim, Young-Yul,Kim, Jin-Young,Shafi, Mohamed,Kim, Ji-Chang,Lee, Sang-Wook,Kim, Weon-Yoo 대한관절경학회 2004 대한관절경학회지 Vol.8 No.1

        슬관절에 생긴 연골종은 드물게 보고되고 있어 저자들은 본원에서 경험한 1예의 임상양상과 조직학적 소견에 대해 보고하고자 하였다. 본 증례는 특별한 외상없이 발생한 슬관절 동통 및 종창을 주소로 내원한 38세 환자에 대한 것으로 슬관절의 전방 압통이 관찰되었으며 슬관절 전반에 경한 종창이 관찰되었다. 관절경하에서 종양을 절제한 결과 2 5 ${\times}$ 1.5 ${\times}$ 1 cm크기의 비교적 단단한 종괴였으며, 이는 중심부에 갈색을 갖는 부분적인 병변이 관찰되었고, 현미경학적으로 바깥쪽에 활액막이 얇게 덮여있는 초자 연골로 구성된 연골종으로 확인되었다. Intracapsular chondromas of the knee have been reported rarely, so the authors report one case about its clinical and histologic findings. This is the case about 38-year-old man who feel painful swelling of the knee joint and the tenderness on the anterior aspect of knee. After arthroscopic excision, grossly there was a 2.5${\times}$l.5${\times}$1cm sized white colored firm mass which had central brownish lesion. Microscopically it was confirmed to chondroma which was consisted of hyaline cartilage and outer thinly synovial membrane.

      • 상완골 대결절 골절 손상에 대한 관절경적 치료 -예비 보고-

        지종훈,김영율,박상은,라기항,도정훈,김원유,Ji, Jong-Hoon,Kim, Young-Yul,Park, Sang-Eun,Ra, Ki-Hang,Do, Jeong-Hun,Kim, Weon-Yoo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7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6 No.1

        목적: 관절경하에서 봉합 나사못을 이용하거나 또는 도관나사못을 동반 사용하여 상완골 대결절 골절편을 고정하며 동시에 동반된 병변을 치료하여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고 그 유용성을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4월부터 2006년 4월까지 전위 골절, 복잡 골절, 회전 근개 파열, 견관절 구축이 나 관절 순 손상을 동반한 미세 전위된 상완골 대결절 골절 중에서 관절경하에서 봉합 나사못을 이용하거나 또는 도관나사못을 동반 사용하여 정복 및 고정을 시행한 총 7예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6개월 이상 추시된 환자의 최종 운동 각도 및 ASES 및 UCLA score를 이용하여 술후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임상적 결과로 평근 ASES 및 UCLA score는 술후 최종 추시 시 93.6점과 31.5점로 향상되었으며 술후 최종 추시시 평균 운동 범위는 전방거상 154.3도, 측방거상 145.8도, 외회전 32.6도, 내회전 제 1 요추 수준으로 향상되었다. 결론: 상완골 대결절 골절에서 전위된 골절이거나, 골절편이 작거나 여러개일 경우, 또는 회전근 개 파열, 견관절 구축이나 반카르트 병변등의 동반질환들이 있는 경우에는 관절경하에서 동반 병변 치료와 함께 봉합 나사못을 이용하거나 또는 도관나사 못을 동반 사용하여 대결절 골절을 고정하는 방법은 유용한 치료방법중의 하나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result of arthroscopic treatments by using suture anchors or suture anchors combined with cannulated screw in the greater tuberosity fracture of the proximal humerus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rch 2004 to March 2006 we have used suture anchor or suture anchors combined with cannulated screw for 6 cases of the greater tuberosity fracture which include displaced fractures, comminuted fractures and minimally displaced fractures with comcomittent lesions such as rotator cuff tears, stiffness and labral lesion. In this retrospective study, we analyzed the clinical outcomes by using the range of mo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at Los Angeles shoulder rating scale (UCLA) and the ASES shoulder index score (ASES) in the average 6 months follow up. Results: At the last follow up, average range of motion was improved to 154.3 degree, 145.8 degree, 32.6 degree and L1 vertebrae in each forward flexion, abduction, external rotation and internal rotation. Clinically the UCLA rating scales improved to 31.5 and the ASES shoulder index score (ASES) improved to 93.6 in the last follow up. Conclusion: Arthroscopic treatments by using suture anchor or suture anchors combined with cannulated screw in the greater tuberosity fracture of the proximal humerus fracture is an alternative treatment of the greater tuberosity fracture of the proximal humerus fracture.

      • 동적 초음파를 이용하여 진단한 주관절 척골 신경 아탈구

        지종훈,정재중,김영율,강현택,박상은,김동진,Ji, Jong-Hun,Jung, Jae-Jung,Kim, Young-Yul,Kang, Hyun-Taek,Park, Sang-Eun,Kim, Dong-Jin 대한정형외과초음파학회 2010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Vol.3 No.2

        Musculoskeletal ultrasonography has been used as a convenient and simple tool for diagnosis of various conditions of orthopaedic diseases for many years. Generally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is thought to be the best method to search for anatomical structures or variations. However, for dynamic conditions such as dislocation or subluxation of tendons and nerves, MRI is not superior to ultrasonography, especially dynamic ultrasonography. So we present such a patient with an ulnar nerve subluxation at the elbow who has symtoms mimicking cubital tunnel syndrome diagnosed by dynamic ultrasonography and treated successfully by ulnar nerve anterior transposition and think that dynamic ultrasonography is a useful method for diagnosing dynamic condition such as ulnar nerve subluxation mimicking cubital tunnel syndrome. 근골격계 초음파는 오랜 기간 동안 다양한 정형외과적 질환의 진단을 위해 유용하고 간단한 방법으로 사용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MRI가 해부학적 구조나 변이를 발견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나 건이나 신경의 탈구 또는 아탈구 등과 같은 동적인 조건의 경우에는 초음파, 특히 동적 초음파의 유용성에는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원에서는 주관 증후군 유사 증상을 보인 환자에서 동적 초음파 검사를 이용하여 척골 신경 아탈구를 확인한 후, 척골 신경 이전술을 시행하여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여, 주관 증후군과 유사한 증상을 유발하는 척골 신경 아탈구 환자에게 동적 초음파의 이용은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생각하여 그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 KCI등재

        불안정성 대퇴골 전자부 골절에서 시멘트형 주대와 무시멘트 주대를 이용한 인공관절 반치환술의 수술 후 출혈량 및 합병증 비교 -선택적 시멘트형 주대 사용의 유용성-

        박상은 ( Sang Eun Park ),김영율 ( Young Yul Kim ),정재중 ( Jae Jung Jeong ),최승균 ( Seung Gyun Choi ),정동석 ( Dong Seok Jeong ),김원유 ( Weon Yoo Kim ) 대한고관절학회 2013 Hip and Pelvis Vol.25 No.1

        목적: 고령의 불안정성 대퇴골 전자부 골절 환자에서 인공관절 반치환술을 시행하는 경우에, 시멘트형 주대를 사용한 그룹과 무시멘트 주대를 사용한 그룹의 수술 후 출혈량과 합병증을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3년 10개월 간(2008년 1월-2011년 10월) 본원에서 불안정성 대퇴 전자부 골절로 인공 관절 반치환술을 받은 환자 104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시멘트형 주대를 사용한 64명을 제1군, 무시멘트형 주대를 사용한 40명을 제2군으로 분류하였다. 수술 전에 대퇴골 근위부의 골질을 평가하여 어떤 형태의 주대를 사용할지 결정하였고, 두 군의 수술 후 출혈량과 합병증을 조사하였다. 추가로, 환자의 INR 수치와 BMI 값에 따른 수술 후 출혈량의 차이가 있는지 여부에 대해 조사하였다. 결과: ``수술 중 출혈 예상량``은 제1군이 평균 389.8 cc, 제2군이 평균 395.3 cc로 차이가 없었고(P =0.88), ‘수술 후 배액된 출혈량’은 제1군이 219.6 cc, 제2군이 338.1 cc로, 시멘트형 주대를 사용한 제1군이 유의하게 출혈량이 적었다(P=0.004). 수술 소요 시간은 제1군과 2군이 각각 평균 96분과 72분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85). 한편, ``수술 후 배액된 출혈량``은 INR (international normalized ratio) 수치나 BMI (body mass index)값에 따라 차이가 나지 않았다(P=0.28, P=0.08). 저혈압성 쇼크나 폐색전증 등의 합병증은 양군 모두에서 없었고, 제2군에서는 인공삽입물 주변부 골절이 3예 발생하였다. 결론: 대퇴골 전자부 골절 환자에서 인공관절 반치환술을 시행할 때, 시멘트형 주대를 사용할 경우 무시멘트형 주대를 사용할 때보다 수술 후 출혈량이 적었고 합병증도 적었다. 수술 전 골질을 평가하여 시멘트형 주대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합병증을 줄일 수 있는 좋은 치료 방법이다. Purpose: In cases of patients who underwent bipolar hemiarthroplasty (BPHA) for treatment of a pertrochanteric fracture,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amount of blood loss and complications between a group using the cemented stem and a group using the cementless stem.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04 patients who underwent BPHA for treatment of a pertrochanteric fracture in our hospital for three years and 10 months (From January 2008 to October 2011)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mong the 104 patients, 64 patients with a cemented stem were categorized into group 1, and the other 40 patients with an uncemented stem were categorized into group 2. Before surgery, the type of stem was determined by the bone quality of the proximal femur, which had been evaluated with a simple X-ray. Then, after surgery, the amount of blood loss and complication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Expected blood loss during the operation was 389.8 cc in group 1, and 395.3 cc in group 2(P=0.88). Postoperatively, average drained blood loss was 219.6 cc in group 1, and 338.1 cc in group 2. Cemented stem was associated with significantly less blood loss (P=0.004). The average operation time in group 1 and in group 2 was 96 minutes and 72 minut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perating time (P=0.85). In addit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INR (International Normalized Ratio) and BMI (Body Mass Index) (P=0.28 and 0.08) regarding total amount of postoperatively drained blood loss. There was no occurrence of hypotensive shock or fatal pulmonary embolism in either group. Three cases of periprosthetic fracture occurred in group 2. Conclusion: Fewer occurrences of postoperative blood loss and fewer complications were observed in the cemented stem group than in the cementless stem group. Preoperative evaluation of bone quality and use of the cement stem for patients with poor bone quality may be a good treatment method that can help to reduce complications.

      • KCI등재

        DHS를 이용한 안정형 전자부 골절의 최소 침습적 수술

        김원유 ( Weon Yoo Kim ),박상은 ( Sang Eun Park ),지종훈 ( Jong Hun Gi ),윤종성 ( Jong Seong Yoon ),김영율 ( Young Yul Kim ) 대한고관절학회 2006 Hip and Pelvis Vol.18 No.3

        목적: 안정형 대퇴골 전자부 골절에서 최소 침습적 방법으로 시행한 활강 압박고나사 내고정술의 술식을 소개하고 그 결과를 기존 고전적 방법과 비교하여 이러한 술식의 유용성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4월부터 2004년 3월까지 전자부 골절로 본원에 내원하여 압박나사못 내고정술을 시행받은 환자중 12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한 환자 32명 32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기존의 방법으로 압박활강 나사로 고정한 16명과 최소 침습적 방법으로 수술한 16명을 나누어 이에 대한 역행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남녀비는 11: 21이였고, 평균 연령은 73.2세였다. 수술시간, 실혈량, 술 후 평균 혈색소 하강정도를 측정하였고 기능적 평가는 Harris Hip Score(HHS)를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골 유합은 술후 정기적으로 시행한 방사선 촬영을 근거하여 판정하였다. 결과: 평균 수술시간은 고전적 방법은 69.3분, 최소 침습적 방법은 42.5분으로 관찰되었고, 실혈량에서는 기존 방법으로 수술시 hemovac으로 배출된 총 혈액은 평균 640cc의 실혈이 있었으며, 최소 침습적 압박나사 고정술에서 는 평균 143 cc의 실혈을 보였다. 임상적 결과로서 술후 HHS는 최종 추시시 평균 85.9점, 89.2점으로 양군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평균 혈색소 하강정도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 0.05). 방사선학적 소견상 불유합은 일어나지 않았다. 결론: 고관절 전자부 골절에서 최소침습적 수술법은 안정형 골절에서 실혈량의 감소와 수술시간의 감소를 보이면서 고정술의 약화나 골절 치유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현저한 실혈량의 감소와 수술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좋은 술식으로 생각 된다. Purpose: To report the surgical skills needed, and the clinical results of, minimally invasive hip surgery with dynamic hip screws and the comparison with the classical technique in stable pertrochanteric fractures of the femur. Materials and Methods: Thirty-two patients with pertrochanteric fractures of the femur who were treated with dynamic compression hip screws between April 1999 and March 2004, and were evaluated retrospectively, and were followed up for more than 12 months. 16 cases were treated with a classical dynamic hip screw technique and 16 cases with a minimally invasive technique in random order. The mean age was 73.2 years, and there were 11 males and 21 females. The operative times, total hemovac bleeding loss, functional scores, and average hemoglobin decrease ratios were evaluated. The clinical assessments were performed with the Harris Hip Score (HSS) and bony union was evaluated with serial follow-up plain radiographs. Results: The average operative time was 63.9 minutes with the classical technique and 42.5 minutes with the minimally invasive technique. The total average hemovac blood loss was 640 cc with the classical technique and 143 cc with the minimally invasive technique. Clinically, the HHS was an average of 85.9 and 89.2 in groups 1 and 2, respectively, by the last follow-up and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P <0.05) The hemoglobin decrease ratio was the same in both groups and there was no nonunion. Conclusion: Minimally invasive dynamic hip screw insertion was useful in stable pertrochanteric fractures, because it decreased blood loss and operative times; and there were no changes in fracture healing and functional outcomes.

      • KCI등재

        증례 보고 : 골반골 불유합의 수술 시 장서혜 도달법을 이용한 접근 후 발생한 고환괴사 -1예 보고-

        박상은 ( Sang Eun Park ),김영율 ( Young Yul Kim ),지종훈 ( Jong Hun Ji ),한창환 ( Chang Whan Han ),김원유 ( Weon Yoo Kim ) 대한골절학회 2006 대한골절학회지 Vol.19 No.4

        불안정성 골반환 손상 후 발생하는 골반골 불유합은 매우 치료가 어렵다. 손상의 형태에 따라 골반골에 대한 전방 혹은 후방 접근법을 사용해야 하며 손상이 전후방에 함께 존재하는 경우 전방 및 후방접근법을 함께 사용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저자들은 골반골 불유합의 치료 시 전방에 대한 절골술 및 금속판 고정을 위해 장서혜 도달법을 이용한 후 발생한 고환괴사의 증례를 경험하여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Pelvic nonunion is very difficult to treat. According to the nonunion site, anterior or posterior surgical approach should be used selectively. And if the nonunion site is located in both anterior and posterior, both anterior and posterior surgical approach should be used. We report a case of testicular necrosis after ilioinguinal approach used as a anterior approach to pelvis to treat pelvic nonunion developed as a result of unstable pelvic ring injury.

      • KCI등재

        불안정성 골반환 손상시 전방 골반환의 고정방법

        김원유(Weon-Yoo Kim),지종훈(Jong-Hun Ji),김영율(Young-Yul Kim),양영준(Young-Jun Yang),이동엽(Dong-Youb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1

        목적: 골반환의 전방 고정을 외고정 또는 내고정술로 치료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고자하였다. 대상 및 방법: 33예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방법으로 환자의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29개월(범위; 12-54) 이었고 type B는 도수정복 후 외고정기 고정술 또는 관혈적 정복 후 금속판 내고정술로 전방 고정을 시행하였으며 type C는 공통적으로 경피적 천장나사못을 이용한 후방 고정술을 시행 후 전방은 고정술을 시행하였다. 외고정군은 16예, 내고정군은 17예였으며 각 군의 만족도는 Postel score를 이용해 평가하였다. 결과: 외고정군은 장기간 착용하는 불편함과 핀삽입부의 염증으로 인한 과다한 흉터 및 반흔조직 등 뿐 아니라 부정유합으로 인하여 환자가 느끼는 통증 및 보행의 장애가 가장 큰 불편함으로 평가되었으며(Postel score 9.9; range, 8-11), 내고정군은 모든 환자가 양호 이상이었다(Postel score 11.6; range, 10-12). 결론: 불안정성 골반환 손상의 경우 전방 고정 시는 외고정 장치를 이용한 방법보다는 관혈적 방법으로 해부학적 정복을 이룬후 견고한 내고정을 시행하는 것이 치료결과가 더 양호할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We reviewed the clinical result of two techniques of anterior fixation method for unstable pelvic ring injuries, which are external and internal fixation.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clinical analysis was performed on 33 cases which had been operated from September 1998 to February 2003. Mean follow-up period is 29 months (range, 12-54 months). Previous to anterior fixation percutaneous iliosacral screw fixation was applied on iliosacral joint in Type C injury. After then plate and screw fixation were done in 17 cases and external fixation in 16 cases as an anterior fixation method. The patient's functional outcome was evaluated by Postel score and comparison between two groups was performed. Results: In external fixator group the complaints are long duration of application of external fixator, excessive scar formation due to pin tract infection, pain and discomfort (Postel score 9.9; range, 8-11) due to malunion. In internal fixation group all of them showed more than good result and satisfactory to the postoperative condition and clinically (Postel score 11.6; range, 10-12). Conclusion: An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technique is better than external fixation for the treatment of injured anterior pelvic ring in unstable pelvis frac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