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시공원.녹지의 시민만족도 모형 - 안양시를 사례로 한 교류적 접근 -

        유일,정규,안진성,아현,Kim, Yoo-Ill,Kim, Jung-Gyu,An, Jin-Sung,Choi, A-Hyun 한국조경학회 2010 韓國造景學會誌 Vol.3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공원과 녹지공간의 이용과 미적 측면에서 도시민들이 중요하게 가치를 두고 있는 요인들을 평가하고, 다양한 공원녹지 요소에 대해 이용자 만족도 변화를 다루는 방법을 찾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안양시의 1999년과 2007년의 환경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 교류적 접근방법을 이용한 동적모형과 공원녹지만족도 개념모형을 발전시킨다. 그리고 실증적 연구방법으로 1999년과 2007년의 공원녹지 환경 조사와 1999년의 573개, 2007년의 982개의 설문을 포함한다. 분석결과, 첫째, 공원녹지만족도의 가장 중요한 요인은 '도시공원'이고, 그 다음으로 '도시경관'이었다. 둘째, 모형에서 공원녹지만족도는 도시거주성과 경관의 질을 포함한 도시환경의 질적 만족도의 원인이 된다. 셋째, 요인분석결과, 평가인자는 도시경관, 도시녹지, 선형시설, 도시공원, 하천녹지, 산림녹지의 6개 요인이었으며 2007년에는 시민들이 참여한 '안양천 되살리기 운동'으로 인해 하천녹지 요인이 새로이 나타났다. 넷째, 교류적 관점에서 환경변화 결과는 시민들의 태도변화 측면, 안정성 측면의 양면을 보여주고 있다. 만족도는 향상되었지만 대부분의 요인에서 만족-불만족 항목의 패턴은 변화되지 않았다. 녹도를 포함한 하천녹지와 선형시설(보행자전용도로, 자전거도로, 조깅로 등)은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2007년에 공원녹지만족도는 안양시의 노력과 시민운동으로 조성된 도시공원 및 하천과 녹도로 인해 두드러지게 향상되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at factors citizens value in urban parks and green spaces in terms of usage and aesthetic value and to find ways to deal with the changing patterns of user satisfaction for these various green elements. To achieve this, the study developed a dynamic model employing a transactional approach to evaluate environmental quality for 1999 and 2007 in Anyang City as well as a conceptual model of parks and greens satisfaction. This study relied on an empirical study method including the 1999 and 2007 green conditional survey and citizen questionnaires totaling 573 in the year 1999 and 982 in the year 2007. As a result, first, the factor 'urban parks'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and 'cityscape' is the second most important factor in parks and greens satisfaction(PGS). Second, PGS in turn causes environmental quality satisfaction(EQS), which is related to two items--'urban livability' and 'aesthetic quality'--in the model. This means that PGS is the intervening variable of urban livability. Third, the factor analysis resulted in six factors: cityscape, urban green, linear facilities, urban parks, riverside green, and urban forest. 'Riverside green' emerged as a factor in 2007 as a result of public participation in the 'Anyang River Revitalization Project'. Fourth, through a transactional view, the environmental changes result in either a change in or stability of public attitude. The levels of satisfaction were elevated but patterns of satisfied-unsatisfied items remained unchanged for most factors. The perception of riverside a greenway and linear surface facilities(pedestrian walkways, biking and jogging trails, etc.) have changed positively. PGS changed significantly in 2007, as a result of urban events and development, including parks, rivers and greenways which were built through the joint effort of the local government and civic participation.

      • KCI등재

        초등 음악수업에서 국악을 통한 통일교육 방향 및 내용

        김아현(Kim, A-Hyun)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0 교육논총 Vol.40 No.4

        본 연구에서는 초등 음악수업에서 국악을 통한 통일교육의 방향과 내용을 제시하였다. 초등 음악수업에서 통일교육은 대부분 민요를 통해 북한 이해 교육이 이루어졌고, 창작동요를 통해 통일의 필요성과 통일 후의 미래 모습에 관해 지도하고 있었다. 또한, 표현 영역, 특히 노래 부르기 중심의 교수・학습 활동이 절반을 차지하였고, 초등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방법과 감성적 유대관계를 형성하는 활동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악을 통한 통일교육 방향과 내용을 다음 세 가지로 설정하였다. 첫째, 남북한의 민요를 통해 우리 음악의 공통점을 이해하고 한민족이라는 공동체 의식을 느끼도록 구성하였다. 둘째, 북한 창작동요 ‘대홍단 감자’와 북한 악기 ‘소해금’을 통해 상호문화주의 관점에서 북한의 음악 문화 이해하기를 제시하였다. 셋째, 온라인 플랫폼에서 온라인 통일 음악회를 개최하여 작품을 감상하고 비평하도록 하였다. 향후 다양한 국악 제재곡 개발, 중등 음악수업으로의 적용 연구, 남북한 음악 교류 기회 확대 등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학생들이 남북한의 정서적, 문화적 교감을 바탕으로 우리 민족의 동질성을 회복하고 통일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실천 의지를 신장시키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presents the direction and contents of unification education through Korean music in elementary music classes. In elementary music classes, unification education was mostly conducted about the North Korean understanding education through folk songs and was taught them about the necessity of unification and the future after unification through creative children s song. In addition, unification education accounts for half of the areas of expression, especially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focusing on singing. It recommends a method of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activity of forming emotional bonds. Based on this, the study offers three recommendations for the direction and contents of unification education through Korean music. First, it highlights the commonalities of music and a sense of togetherness through folk songs of the two Koreas. Second, North Korea s creative children s song “Daehongdan Potato” and the musical instrument “Sohaegeum” emphasize the country’s music culture from a mutual cultural perspective. Third, a unification concert was held on an online platform to appreciate and criticize musical works. In the future, it is critical to develop Korean music sanctions, apply them to secondary music classes, and expand opportunities for inter-Korean music exchanges. Accordingly, we hope that students will restore the homogeneity of the Korean people based on the emotional and cultural communion between the two Koreas, and promote a positive perception and willingness to practice unification.

      • KCI등재

        긴장도 유발 집중과제가 위등세모근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이현주(Hyun-Ju Lee),김아현(A-Hyeon Kim),완수(Wan-Su Kim),혜민(Hye-Min Kim),태기식(Ki-Sik Tae)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21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Vol.1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어깨 통증군과 비통증군에서 위등세모근 긴장도에 따른 근활성도를 비교하고, 이완 및 집중 과제 이후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20대 성인 남녀 29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실험에 모두 동일하게 참여하되 설문조사를 통하여 어깨 통증군과 비통증군으로 나누었다. 대상자의 평상시와 이완 시, 집중 과제 후 근전도 값을 통해 위등세모근의 활성도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어깨 통증군에서 왼쪽 위등세모근의 이완 이후 측정한 값과 과제 후 측정 값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또한 비통증군은 왼쪽 위등세모근의 이완 전 측정값과 이완 후 측정값, 그리고 이완 후 측정값과 과제 후 측정값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두 군 모두 왼쪽 위등세모근 이완 후와 과제 후를 비교하였을 때는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결과를 보였으며, 특히 어깨 통증군에서 비통증군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은 근활성도가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후 어깨 통증군에 대한 근 긴장도의 질적 해석이 가능한 근전도 연구가 보강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muscle activity according to the upper trapezius muscle tone in the shoulder pain group and the non pain group, and to compare the changes after relaxation and intensive task. 29 healthy adult in their twenties were subjected to the same experiment, and they were divided into a shoulder pain group and a non pain group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cle activity of the left upper trapezius between post relaxation and the intensive task in the shoulder pain group. In the non pain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s in muscle activity of the left upper trapezius pre and post relaxation, as well as post relaxation and after task. Both group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hen comparing the left upper trapezius after relaxation and after the intensive task.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he shoulder pain group maintained a higher overall muscle activity than the non pain group. In the future, EMG studies that enable qualitative interpretation of muscle tone for shouder pain groups should be reinforced.

      • KCI등재후보

        Biochanin A의 미백 효과에 관한 연구

        박성하 ( Sung Ha Park ),김아현 ( A Hyun Kim ),박병준 ( Byoung Jun Park ),진준 ( Jin Jun Kim ) 대한화장품학회 2013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9 No.4

        본 연구는 미백 소재 개발을 위하여 강진향(Dalbergia odorifera T. Chen) 추출물에서 분리한 활성물질인 biochanin A의 멜라닌 생성에 연관된 효과를 알아보았다. Biochanin A는 B16F1 melanoma 세포에서 농도의존적으로 멜라닌 양을 억제하였으며, 멜라닌 생합성 저해 효과는 10 μg/mL 농도에서 멜라닌 생성 억제율이 48%로 나타났다. Western blot을 이용하여 microphthalmia 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Tyrosinase, Trp-1와 Trp-2의 발현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biochanin A는 미백 효능을 갖는 화장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To develop a new whitening agent for cosmetics, we investigated the inhibitory effects of biochanin A on melanogenesis. The biochanoin A is an active component in the extracts of Dalbergia odorifera T. Chen. It reduced melanin contents of B16F1 melanoma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decreased to about 48% at a concentration 10 μg/mL. It also inhibited the expression in microphthalmia 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Tyrosinase, Tyrosinase related protein 1 (Trp-1), and Tyrosinase related protein 2 (Trp-2) in melanocytes. The results suggested that biochanin A has considerable potential as a cosmetics ingredient with a whitening effect.

      • KCI등재

        다중이용 시설의 공기 케어 제품 디자인 요인에 대한 복합 분석 연구

        박경진(Park, Kyong Jin),준형(Kim, jun Hyung),황인희(Hwang In Hui),이보영(Lee Bo-Young),김아현(Kim, A Hyu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0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8 No.5

        본 연구는 산업화에 따라 발생하는 환경 문제로부터 비롯되었다. 국내 외 문제와 공간 및 사용자의 문제 등이 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환경 문제의 일반적인 현상이다. 그 중에서 특히 대기 환경 즉, 공기질 문제에 따른 제품 솔루션과 이를 위한 디자인 개발을 위한 요소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공기의 질은 여러 요소가 융합되기 때문에 디자인 역시 여러 요소가 융, 복합적으로 적용되는 것이 논리적 귀결로써의 문제의식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배경으로 서론에서 공기질과 관련한 제품 디자인을 위한 공간적 연구 범위를 설정하고 사용자가 인식하는 공기 케어의 핵심 문제를 파악하기 위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직접 관련한 공기 케어 제품을 디자인하기 위해 필요한 핵심 요소를 도출하기 위한 조사를 동시에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일반적인 조사결과를 혼합 분석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통한 연구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사용자는 여러 가지 융합 요인이 작용하는 다중이용 시설에서 공기 질에 대한 관심이 높게 나타나는데 공기 케어 제품을 경험하기 전과 경험한 후의 관심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중시설 공기청정 제품 디자인과 관련한 UI 요구로써 자연스러움과 적극성에 대하여 높은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직관적인 디자인을 자연스럽게 경험하는 것에 대한 관심이 높다는 것으로 해석 가능하다. 본 연구를 통해 공기와 같이 비가시적이며 간접적인 환경 개선 제품을 디자인 하는 경우 인터페이스 요소와 경험 요소가 복합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집중한 디자인 개발 과정이 적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 친화적인 디자인 결과물을 얻어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originated from environmental problems arising from industrialization. It is a general phenomenon of environmental problems that a combination of domestic and foreign problems, space and user problems, etc. Among them, the necessity of researching factors for product solutions and design development for the air environment, namely air quality problem, has emerged. Air quality is a problem consciousness as a logical consequence that several elements are applied in a complex design as well as several elements are complex. With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as a background, a spatial research scope for product design related to air quality was set in the introduction, and a surve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ore problems of air cleanliness perceived by users. At the same time, an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o derive the key elements necessary for designing directly related air cleaning products. This study presented a method of analyzing a mixture of general research results, and derived research conclusions. As a result of this study, users are highly interested in air quality in multi-use facilities, but it was confirmed that interests before and after by experiencing air cleaning products differ. In addition, it was investigated to show high interest in naturalness and activeness as a UI request related to the design of air cleaning products for multiple facilities. This can be interpreted as a high interest in experiencing intuitive design naturally.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when designing an invisible and indirect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duct such as air, interface elements and experience elements work in combination. The design development process focused on this point can be applied and it is expected that user-friendly design results can be obtained.

      • KCI등재

        기술수용의도에 기반한 디자인 프로토타입의 사용성 융합 평가 모델 연구

        박경진(Park, Kyong Jin),황인희(Hwang, In Hui),이보영(Lee, Bo Young),김아현(Kim, A Hyun),임지욱(Lim, Ji wook)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1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9 No.5

        본 연구에서는 신제품을 사용하고자 하는 예비 사용자들의 수용 의도를 파악하는 모델인 기술수용모델(TAM) 이론에 입각하여 디자인 결과물로 도출된 프로토타입으로도 단시간 내에 사용자의 수용 의사에 대한 예측 분석으로 수용 태도 및 의도가 판단될 수 있는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론적 고찰을 통해 기존 선행 연구인 기술수용모델에서의 변수인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사용 용의성 그리고 제품의 수용의도를 정의하였고, 이들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 디자인진흥원에서 제시한 사용자경험품질지수에서 크게 세 가지로 분류된 미적가치, 사용가치와 사회/감성 가치를 정의하였다. 기술수용모델에 세 가지 사용자 경험 가치 특성을 적용시켜 새로운 평가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본 모델의 타당성 및 가치 평가를 위해 가설 설계 및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의 분석 및 실증을 통해 미적가치, 사용가치, 사회/감성가치 모두 지각된 유용성과 영향이, 사용가치는 지각된 사용의 용이성과 영향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출시 전 하드웨어 타입의 제품 디자인 프로토타입을 평가하는 모델로 적용이 가능하다는 기반적 연구로 정립할 수 있었으며, 향후 보완 연구를 통해 새로운 사용성 평가 모델로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In this study,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theory, which is a model that identifies the acceptance intention of prospective users who want to use a new product, in this study, even with a prototype derived from a design result, the acceptance attitude was analyzed with a predictive analysis of users’ acceptance intention within a short time. and a new model in which intentions can be judged. Through theoretical review, the variables i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which are the existing prior studies, were defined a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usability, and product acceptance intention. In the quality index, aesthetic values, use values, and social/emotional values, which are largely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were defined. A new evaluation model was proposed by applying the three user experience value characteristics to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hypotheses were designed and analyzed to evaluate the validity and value of this model. Through the analysis and verification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aesthetic value, use value, and social/emotional value all had perceived usefulness and influence, and use value had perceived ease and influence of use.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establish as a basic study that it can be applied as a model to evaluate a product design prototype of a hardware type before release, and it is judged that it can be presented as a new usability evaluation model through future complementary studies.

      • KCI등재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한 도심 지하공간의 커뮤니티 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하미경(Ha, Mi-Kyoung),김아현(Kim, A-Hyun),이효창(Lee, Hyo-Chang)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3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2 No.3

        Korean cities need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based on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space and resource. Especially a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needs the activation of community in the urban underground space as urban development cen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elements and factors of spatial planning of community in urban underground space for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and to propose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planning of community in urban underground space according to strategies of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The research methods of this study used to conduct research include precedent study reviews and survey.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The application of various factors related to spatial planning aspect of communication, supportive cultural facilities, accessibility and nature is needed for creating a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Especially, in urban underground space, the application of spatial planning for community activation considered strategies of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should be necessary. And introduction of cultural facilities, multi-dimensional pedestrian network for accessibility and natural elements for activating community in urban underground space are needed for making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 KCI등재

        초등 음악 원격수업에서 국악 교육용 콘텐츠 활용의 문제점과 개발 방향

        김아현 ( Kim A-hyun ) 한국예술교육학회 2021 예술교육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초등 음악 원격수업에서 기존 개발된 음악 교육용 콘텐츠 중 국악 교육용 콘텐츠를 중심으로 활용할 때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국악 교육용 콘텐츠 개발 방향을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국악 교육용 콘텐츠는 학교 교육과정 체계와 밀접성이 결여되고, 학습자의 실기·체험을 위한 활동과 피드백이 부재하며, 콘텐츠 활용을 위한 편집 및 플랫폼의 제한이 있다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이에 대한 개선을 토대로 국악 교육용 콘텐츠 개발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과 교육과정과의 밀접성 강한 국악 교육용 콘텐츠를 개발해야 한다. 둘째, 음악 수업 내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온라인 학습 도구 기능을 삽입하여 학습자의 실기·체험 활동과 피드백 및 평가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개발해야 한다. 셋째, 온라인 음악교육 플랫폼에서 국악 교육용 콘텐츠를 한 번에 관리하고, 교수·학습에 맞게 다양한 콘텐츠를 수집, 편집, 재가공하여 구성형 콘텐츠를 개발해야 한다. 향후 국악 교육용 콘텐츠 개발은 저작권법 완화, 교사와의 협업을 통한 국악 관련 기관의 지속적인 콘텐츠 개발, 미래 음악교육을 위한 인프라 구축 등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음악 원격수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이와 더불어 국악 수업이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에 맞추어 변화하고 발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educational Korean music contents development direction by deriving the problem utilized in elementary music distance learning. Educational Korean music contents had the following problems: lack of closeness to the school curriculum system, lack of activity and feedback for learners' practical skills and experiences, editing and platform restrictions for content utilization. Based on this problem, educational Korean music contents development direction in elementary music distance learning is as follows: First, we need to develop contents for Korean music education that are closely related to music curriculum. Second, online learning tool features that support interactions in music classes should be inserted to facilitate learners' practical and hands-on activities, feedback and evaluation. Third, contents for music education should be managed at once on online music education platforms, and various contents should be collected, edited, and re-processed to suit teaching and learning to develop compositional contents. In the future, educational Korean music contents should be accompanied by easing copyright laws, continuous content development of Korean music-related institutions through cooperation with teachers, and infrastructure for future music education. Through this, it is hoped that elementary music distance learning will be stable and that Korean music classes will be able to change and develop in line with changes in the educational paradigm.

      • KCI등재

        초등학교 음악 교과용 도서에 제시된 국악 가창 교수ㆍ학습 방법의 유형 분석

        한윤이 ( Han Yunyi ),김아현 ( Kim A-hyun ),조순이 ( Cho Suni ) 한국예술교육학회 2021 예술교육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국악 가창 교수·학습 방법의 유형을 분석하는 기준을 마련하고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와 지도서에 제시된 국악 가창 교수ㆍ학습 방법을 분석함으로써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고찰 결과 국악 가창 교수·학습 방법은 단일 활동 유형 13개, 통합 활동 유형 5개가 있었다. 초등학교 3~4학년 음악 교과용 도서에서는 13개의 유형이 적용되고 있었다. 전래동요는 구전심수법, 신체동작 활용법, 정간보 활용법, 놀이 통합 학습법, 창작 통합 학습법을 모든 교과서에서 적용하고 있었고, 민요는 구전심수법, 손시김 활용법, 놀이 통합 학습법을 모든 교과서에서 적용하고 있었다. 초등학교 5~6학년 음악교과용 도서에서는 15개의 유형이 적용되고 있었다. 전래동요는 총 18개의 유형 중 10개, 민요는 13개, 국악창작 동요는 10개, 시조는 7개, 판소리와 병창 등의 제재곡은 3개의 유형이 교과용 도서에 적용되고 있었다. 초등학교 음악 교과용 도서에서는 다양한 국악 가창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교 국악 가창 교수·학습 방법의 문제점과 그에 따른 개선 방안을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 교과용 도서에서의 다양한 국악 가창 교수·학습 방법의 활용성을 높여야 한다. 둘째, 현장 교사들이 국악 가창 교수·학습 방법별 단계를 설정하거나 학년군별 중점을 두어서 활용할 수 있도록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음악 교과용 도서에는 부분 활용법이나 가창 방식 활용법과 같이 국악의 특징을 반영하여 옛 명인들이 실제로 노래를 배우던 방법 등을 적극적으로 제시하여 학생들이 국악의 특징을 체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래서 국악 교수·학습 방법의 이론을 수립하여 국악 교육 방법론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 향후 개발되는 음악 교과용 도서에 다양한 국악 교수·학습 방법이 적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standards for analyzing the types of Korean music singer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analyse the Korean music singer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presented in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s and guides books to identify problems and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based on them. There were 13 single types of activities and 5 integrated types of activities for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music. 13 types were applied to music curriculum books for 3rd and 4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Traditional children's songs were applied in all textbooks, including the oral core method, physical motion utilization method, Jeongganbo utilization, integrated play learning method, and creative integrated learning, while folk songs were applied in all textbooks to the oral core method, the use of hand gestures, and the integrated play learning method. 15 types were applied to music curriculum books for 5th and 6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Of the 18 types of traditional children's songs, 10 were folk songs, 13 were folk songs, 10 were Korean music creative children's songs, 7 were sijo, and 3 were applied to textbooks. It was confirmed that various Korean music singer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ere used in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problems of the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music at elementary schools and the improvement plan accordingly are as follows. First, the utilization of various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music in music curriculum books should be enhanced. Second,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so that teachers can set steps for each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music or focus on each grade group. Third, music textbooks should actively 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music, such as how to use it partially or how to use the singing method, so that students can lear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music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music. Therefore, it is hoped that various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music will be applied to music textbooks that will be developed in the future by establishing a theory of methods for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mus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