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완전 방실중격결손증의 수술적 교정 후 잔존 좌측 방실판막부전에 대한 장기적 임상 경과 관찰

        김시호,박한기,장병철,조범구,방정희,박영환 대한흉부외과학회 2003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6 No.12

        배경: 완전 방실중격결손증에 대한 많은 수술기법의 변형과 개선이 있어 왔으나 아직 완전 방실중격결손증의 수술 후 잔존 좌측 방실판막부전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일반적인 임상양상이다. 수술 후 잔존 방실판막부전은 유병률과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재수술에 있어 가장 흔한 적응증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완전 방실중격결손증의 수술 후 잔존하는 좌측 방실판막부전에 대한 컬러도플러 초음파검사법을 이용한 추적검사결과로 수술 후 좌측방실판막부전의 장기적인 임상경과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4년 7월부터 2002년 3월까지,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에서는 77명의 완전방실중격 결손증 환아에게 완전교정술을 수술하였다. 수술 당시의 평균나이는 30.2 69.1개월(1∼456개월, 중간값 10개월)이었으며 남아는 40명, 여아는 37명이었다. 수술 후 30일 이내 사망한 경우와 수술 후 퇴원을 하지 못하고 병원 내에서 사망한 경우를 술 후 조기사망으로 정의하였고, 77명의 환자 중 술 후 조기사망한 9명(11.7%)과 초음파를 시행하지 못한 환자 4명을 제외한 64명의 환자에서 컬러 도플러 심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본 연구 기간 동안 수술 직후에 비해서 잔존 좌측 방실판막부전의 정도가 1도 이상 증가한 상태로 악화된 경우는 수술 사망한 환자를 제외하면 19명으로 30.2%였다. 그러나 악화된 정도는 가벼웠고 비교적 술 후 이른 시간에 일차적인 변화를 보였다. 수술 후 첫 24개월 동안 잔존 좌측 방실판막부전은 10(16.5%)명에서 수술 직후에 비해 악화되어 5명은 2도, 나머지 5명은 1도 증가되었다. 수술 후 첫 12개월 동안 판막 부전의 악화는 없었다. 수술 후 첫 12개월 이후부터 24개월까지는 잔존 좌측 방실판막부전 정도의 변화가 다양하게 관찰되었고, 수술 후 24개월 이후에는 8명에서 판막 부전의 정도가 증가하였으나 모두 전 기간에 비해 1도의 증가를 보였다. 특히 이 중 3도 이상의 판막 부전이 발생한 경우는 3명이었다. 수술 후 48개월 이후에는 1명에서 4도의 판막 부전이 발생하였다. 잔존 좌측 방실판막부전에 있어서 그 심한 정도의 분포를 수술 후 추적검사 기간에 따라서 비교해 본 결과 판막 부전의 정도의 변화는 각 기간 간에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분포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전체 대상 환자 중 모두 8명(11.8%)의 만기 사망이 발생하였다. 수술 후 조기사망을 제외한 전체 환자의 5년 및 10년 생존율은 87.2%와 80.0%였다. 전체 환자 중 19명(27.9%)의 환자에서 3도 이상의 잔존 좌측 방실판막부전이 발생하였고 이 중 2명(10.5%) 및 7명(36.4%)에서 수술 사망과 만기 사망이 각각 발생하였다. 또한 5명(7.4%)의 환자에서 수술 후 4도의 잔존 좌측방실판막부전이 발생하여 이 중 2명(40%)이 만기 사망하였다. 3도 이상의 잔존 좌측 방실판막부전 발생 회피율은 5년 및 10년이 각각 70.7%와 62.8%였고, 4도의 잔존 좌측 방실판막부전 발생 회피율은 5년 및 10년이 88.2%였다. 전체 77명의 환자 중 4명(5.2%)의 환자에서 5번에 걸쳐 재수술을 시행하였고 5년 및 10년 재수술 회피율은 92.9%였다. 결론: 결론적으로 수술 후 12개월 이후부터 2년까지는 잔존 좌측 방실판막부전이 심해질 수 있기 때문에 면밀한 검사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며 그 이후로는 잔존 좌측 방실판막부전의 정도는 큰 변화 없이 일정한 수준을 유지한다고 생각된다. 수술 후 심각한 3도 이상 그리고 4도의 잔존 좌측 ...

      • SCOPUSKCI등재

        선천성 대동맥 협착증의 술전 및 술후 단기간의 수축말기 좌심실 내벽 스트레스의 변화

        김시호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2000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3 No.10

        Congenital aortic stenosis in children is characterized by "excessive" left ventricular hypertrophy with reduced left ventricular systolic wall stress that allows for supernormal ejection performance. We hypothesized that left ventricular wall stress was decreased immediately after surgical correction of pure congenital aortic stenosis. Also measuring postoperative left ventricular wall stress was a useful noninvasive measurement that allowed direct assessment for oxygen consumption of myocardium than measuring the peak systolic pressure gradient between ascending aorta and left ventricle for the assessment of surgical results. Material and Method: Between September 1993 and August 1999, 8 patients with isolated congenital aortic stenosis who underwent surgical correction at Yonsei cardiovascular center were evaluated. There were 6 male and 2 female patients ranging in age from 2 to 11 years(mean age, 10 years). Combined Hemodynamic-Ultrasonic method was used for studying left ventricular wall stress. We compared the wall stress peak systolic pressure gradient and ejection fraction preoperatively and postoperatively. Result: After surgical correction peak aortic gradient fell from 58.4${\pm}$17.6, to 23.7${\pm}$17.7 mmHg(p=0.018) and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decreased but it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consideration of some factors that influence left ventricular end-systolic wall stress excluding one patient who underwent reoperation for restenosis of left ventricular outflow tract left ventricular end-systolic pressure and left ventricular end-systolic dimension were fell from 170.6${\pm}$24.3 to 143.7${\pm}$27.1 mmHg and from 1.78${\pm}$0.4 to 1.76${\pm}$0.4 cm respectively and left ventricular posterior wall thickness was increased from 1.10${\pm}$0.2, to 1.27${\pm}$0.3cm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ngificant whereas left ventricular end-systolic wall stress fell from 79.2${\pm}$24.9 to 57.1${\pm}$27.6 kdynes/cm2(p=0.018) in 7 patients. For one patient who underwent reoperation peak aortic gradient fell from 83.0 to 59.7 mmHg whereas left ventricular end-systolic wall stress increased from 67.2 to 97.0 kdynes/cm2 The intervals did not change significnatly. Conclusion ; We believe that probably some factors that are related to left ventricular geometry influenced the decreased left ventricular wall stress immediately after surgical correction of isolated congenital aortic stenosis. Left ventricular wall stress is a noninvasive measurement and can allow for more direct assesment than measuring peak aortic gradient particularly in consideration of the stress and oxygen consumption of the myocardium therefore we can conclude it is a useful measurement for postoperative assessment of congenital aortic stenosis.

      • SCOPUSKCI등재

        신생아에서 발생한 심장 섬유종의 외과적 치료 -1례 보고-

        김시호,조범구,홍유선,Kim, Si-Ho,Jo, Beom-Gu,Hong, Yu-Seon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5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28 No.5

        A fibroma arising in the right ventricle outflow tract of a 14 month-old infant was successfully removed. The patient was first seen because of shortness of breath and tachycardia. Pertinent clinical and laboratory findings included a grade II/VI systolic murmur, blood pressure of 120/60 mmHg, slight cardiomegaly on chest X-ray, a mass obstructing the outflow tract of the right ventricle on echocardi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On october 30,1992, under cardiopulmonary bypass, a 4cm x 3cm x 3cm tumor was resected from the right ventricular outflow tract, together with a portion of the ventricular wall. Histologically, it was diagnosis as a fibroma. The patient was sent home on the 6th postoperative day following an uneventful recovery form the operation. Although cardiac fibroma is the second most common cardiac tumor in infancy and childhood, it is usually found in the left ventricle and one arising in the right ventricle is considered rare. Although it is a benign tumor, it could produce a severe cardiac dysfunction and even sudden death, depending on its size and location. With the advance in diagnostic techniques and operative management, there is a renewed interest in the early detection and operative removal of these tumors. The case herein presented is the first such case successfully managed and reported in the Korean literature.

      • SCOPUSKCI등재

        우폐동맥단절과 우심증을 동반한 완전내장역위 수정대혈관전위의 해부학적 교정

        김시호,박영환,이삭,조범구,Kim, Si-Ho,Park, Young-Hwan,Lee, Sak,Cho, Bum-Koo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2000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3 No.12

        A 4-year and 11-month old child was diagnosed as having dextrocardia, pulmonary atresia, atrioventricular discordance, aorta from right ventricle, PDA, the interruption of right pulmonary artery and postoperative state of Blalock-Taussing shunt on right pulmonary artery. Anatomical repair so called \"double switch operation\" was performed; the Ratelli procedure on ventricular level and the Mustard procedure on atrial level. We report the successful anatomical repair of congenitally Physiologically Corrected Transposition even with Dextrocardia, Situs Inversus and the interruption of Right Pulmonary Artery.ry Arte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