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 회곽묘에서 확인된 사람 정강뼈에 나타난 톱 자국에 대한 법의인류학적 고찰

        김이석(Yi-Suk Kim),오창석(Chang Seok Oh),김명주(Myeung Ju Kim),기호철(Ho Chul Ki),홍지윤(Ji Youn Hong),김시덕(Shidouk Kim),신동훈(Dong Hoon Shin) 대한체질인류학회 2014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7 No.1

        우리 나라 회곽묘는 조선시대 중/후기에 주로 조영되었으며 사회경제적 수준이 양호한 사람들(사대부) 사이에 많이 만들어진 무덤이다. 이러한 형태의 무덤은 두꺼운 회곽에 의해 관이 보호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물리적인 침입이 매우 어렵다. 회곽묘에서는 피장자가 보존상태가 극히 양호한 상태로 많이 확인되어 조선시대 사람의 건강과 질병상태 연구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한편 최근 용인시 발굴 현장 조선시대 회곽묘에서 수습된 조선시대 사람 인골에서는 이전에 볼 수 없었던 매우 흥미로운 법의인류학적 손상 소견을 확인하게 되어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 사례는 노년층 여성 뼈대로서 신장은 약 150 cm 전후로 추정되었는데 양쪽 정강뼈에 특이한 모습의 톱질흔이 발견되었다. 여기서는 치유흔을 볼 수 없었지만 발굴 시 확인된 대부분의 뼈가 1차매장 당시의 온전한 형태 그대로 남아있었기 때문에 이 톱질흔은 사망 전후하여 만들어 진 것으로 추정하였다. 다만 이러한 톱질흔이 어떤 연유로 피장자의 뼈에 남게 되었는가에 대한 부분에 있어서는 여러 가지 가능성을 타진해 보았으나 현재로서는 정확한 이유를 알 수 없다. 이 조사는 조선시대 회곽묘에서 발견된 인골로서는 매우 희귀한 사례로서 향후 유사한 법의인류학적 검토를 필요로 하는 고고학적 사례를 접하게 될 연구자에게 많은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여 이를 보고한다. Tomb with lime-soil mixture barrier (LSMB) was constructed by the people from upper class people of Joseon Dynasty. The coffin of LSMB was surrounded by hard concrete barriers, being successfully protected from outside invasions until the archaeological excavation begins. The human remains were extremely preserved well, providing important information on the health and illness of the people of Joseon dynasty. Recent investigation into human skeletons from LSMB in Yong-in city was another forensic anthropological case that was very meaningful to our research. During the examination on the elderly Joseon female bones, we discovered unusual saw-marks on the shaft of both tibiae. We could not find any osteological evidences suggestive of healed bone process. Considering archaeological and anthropological findings altogether, the occurrence time of saw-marks was considered to be perimortem period. However, as for why such a saw mark was made on the tibiae, we did not get any information about it. We expect that this report facilitate other researcher to do explore the usefulness of forensic anthropology examination on the similar human skeleton cases identified in various archaeological rui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