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스포츠심리학 / 대학생의 댄스스포츠 참여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김승철(SeungChulKim),황명자(HwangMyung-Ja) 한국체육학회 1999 한국체육학회지 Vol.38 No.4

        본 연구는 댄스스포츠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댄스스포츠에 참여한 경험이 없는 대학생 110명을 무선표집하여 그 중 96명을 14주간 주 2회 댄스스포츠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댄스스포츠 참여전·후에 따른 정신건강 지수의 변화를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긍정적 정신건강으로 자기신체평가와 자아존중감의 지수는 댄스스포츠에 참여하기 전보다 참여한 후에 더 지수가 더 높았다. 부정적 정신건강 즉, 신체화, 강박증, 대인예민성, 불안, 적대감, 공포불안, 편집증, 정신증, 전체심도지수는 댄스스포츠 참여하기전보다 참여한 후에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댄스스포츠 프로그램 참여는 정신건강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This 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the influence on mental health of university students by partipation in dancesport. Dancesport programs were executed two times a week for 14 weeks with 96 students who did not have had experience in dancesport. The results of comparative analysis on the changes of mental health indicators between before partipation of dancesport and after that, are following ;When dancesport programs was finished, the self-physical estimation and self-esteem indicators as positive ones showed a rise-up in compared with before. The phsicalization, fear complex, anthropophobia, anxiety, hositility, morbid fear, paranoia, mental disorder indicators all as negative ones showed a fall-down in compared with before.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such as that partipation in dancesport effects a good influence on mental health.

      • KCI우수등재

        스포츠 심리학 : 심상훈련이 수영선수의 수행력에 미치는 영향

        김승철(SeungChulKim),김종구(JongKooKim) 한국체육학회 1998 한국체육학회지 Vol.37 No.3

        본 연구는 6개월간의 심상훈련을 실시하고 난 후 CSAI-2의 하부요인인 인지불안, 신체불안, 자신감이 운동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피험자는 K수영클럽에 소속되어 있는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남자 3명과 여자 5명 총 8명의 선수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영선수들에 맞게 심상훈련을 개발하여 6개월간의 훈련기간동안 사전검사와 3개월 훈련 후 2차측정, 6개월 후 3차측정을 통해서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CSAI-2의 하부요인인 인지불안, 신체불안, 자신감은 SPSS/PC 하부프로그램인 일원분산분석(ANOV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유의차 발생시 사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경기력에 관한 자료는 개인별로 서술분석하였다. 그 결과 CSAI-2의 하부요인인 인지불안, 신체불안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자신감은 증가를 보였으며 경기력은 8명의 대상자 중 6명이 기록향상을 보였다. 이는 심상훈련을 통해서 시합에 대한 자신감이 향상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ental trainings on competitive anxiety and siwmming performance. The subjects involved in this study were elite high school swimmers(3 male and 5 female). The subjects were instructed to include the mental training program, specially designed for swimmers by the researcher, before and after their regular practice. CSAI-2 inventory was administered 3 times to the subjects, before the implementation of the mental training program and two more times with 3-month interval. Those measures were taken 20-minutue before the competition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one-way repeated ANOVA with three dependent variables, the scores of cognitive and somatic anxiety and confidence. The swimmers records of the subjects taken during the three competitions were compared in relation to the pattern of the change of CSAI-2 score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1. The mean values of cognitive and somatic anxiety were significantly reduced, but that of confidence was increased over the 6-month mental training period. 2. Among the 8 subjects, six of them improved swimming record. In general,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mental training program specially designed for swimmer had positive effects on the reduction of competition anxiety. At the same time it appears to increase the level of competitive confidence. Consequently, the low level of anxiety, complied with high level of confidence seem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wimming performance.

      • KCI등재

        뮤지컬전공 대학생의 신체적 자기지각과 자기관리가 무대불안에 미치는 영향

        김승철(SeungChulKim),안정욱(JungUkAn) 한국체육학회 2010 한국체육학회지 Vol.49 No.5

        본 연구는 뮤지컬 전공 대학생들의 신체적 자기지각과 자기관리 및 무대불안에 대한 차이와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신체적 자기지각과 자기관리가 무대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 질적, 양적 향상된 뮤지컬배우로서의 성장과 완성도 높은 뮤지컬공연을 제공하수 있도록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둔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제5회 즐겨라 뮤지컬 페스티발”에 참가한 8개 대학의 뮤지컬전공생 275명을 대상으로 ANOVA분석, 상관분석, 단계별 변수선택법, 다중회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배경변인에 따른 자기관리, 자기지각, 무대불안의 정도에서 남자보다 여자가 높게 나타났으며, 6-9회의 공연 참가자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뮤지컬 전공생들의 무대불안, 자기지각, 자기관리의 상관관계에서는 총 8개의 하위변인 중에서 대인관리가 정서적 불안과 정의 관계를 가지며, 훈련관리, 자기가치, 컨디션 모두는 정서적 불안, 인지적 불안, 신체적 불안 모두와 정의적 관계를 가졌다. 셋째, 뮤지컬 전공생들의 자기지각과 자기관리가 무대불안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신체적 불안에는 몸 관리가 정의 영향을 미치며, 정서적 불안에는 몸 관리, 자기가치, 유능감이 정의 영향을 컨디션이 부의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인지적 불안에는 자기지각의 자기가치와 컨디션이 정의 영향을 미치고, 몸매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accomplish the development the performing art students and the mastery of the musical performance by identifying the effects of physical self-perception and self-management on the stage anxiety through the analysis of differences and correlations. For this study, 275 students majoring musical performance from 8 different colleges participating the 5th "Enjoy Musical Festival"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and ANOVA, correlation, step-wise variable selec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 degree of self-management, self-perception, and stage anxiety showed males to be higher than females, while those participating 6-9 times in performances showed higher results. Secondely, within the correlation of stage anxiety, self-perception, and self-management of musical majors showed, among the total 8 sub-variables, th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emotional anxiety while training management, self-value, and condition all showed a relation with emotional anxiety, cognitive anxiety, and physical anxiety. Next, for effects of self-perception and self-management on stage anxiety, body care showed a relation with physical anxiety, while body care, self-value, and competence showed a relation with emotional anxiety. In addition, self-value and condition were shown to have a relation with cognitive anxiety while body shape was shown to have a negative relatio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musical actors with higher degrees of self-perception and self-management seemed to have a higher stage anxiety in order to achieve a performance with higher degrees of completeness.

      • KCI등재

        대학 교양스키 수강생의 참가동기가 스키몰입 및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윤흥한(HeungHanYoon),김승철(SeungChulKim) 한국체육학회 2010 한국체육학회지 Vol.49 No.6

        본 연구는 대학 교양스키 수업을 수강하는 대학생의 참가동기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스키몰입과 미래의 지속의사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대학 4개교 총 300명을 연구 자료로 채택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t-test 검증, 일원분산분석,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스키 수강생의 성별에 따른 참가동기는 건강과 체력 요인을 제외한 모든 하위요인에서 남자가 높고, 인지몰입과 행위몰입에서도 남자가 높게 나타났으며, 지속의사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스키 수강생의 장비보유 유무에 따른 참가동기와 스키몰입, 그리고 지속의사의 모든 영역에서 장비를 보유한 집단이 높았다. 셋째, 스키 수강생의 기능 수준에 따른 참가동기는 기술발달, 즐거움, 성취감, 컨디션, 사교, 무동기에서 상급 수준의 집단이 높았으며, 인지몰입과 행위몰입, 그리고 지속의사에서도 상급 수준의 집단이 높았다. 넷째, 스키 수강생의 즐거움은 정적, 무동기는 부적으로 인지몰입에 영향을 미치며, 기술발달, 즐거움, 컨디션, 외적과시는 정적으로 행위몰입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다섯째, 스키 수강생의 즐거움과 컨디션은 정적, 그리고 무동기는 부적으로 지속의사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of college level students taking physical activity classes, and, further, to identify its effects on flow and exercise adherence. Questionnaires responses from 300 students of 4 universities in Seoul and Kyungki area were collected for this, and the frequency and reliability analyses,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All the sub-factors of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except for the exercise and fitness factors, and both of the cognitive and behavioral flow were greater for the male students while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for the exercise adherence. Secondly, students having an equipment of own scored high for all questionnaire. Third, highly skilled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 flow, exercise adherence, and most sub-factors of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Next, students' pleasure and no-motivation factors influenced the cognitive flow while the skill development, pleasure, condition, external display influenced the behavioral flow. Finally, the pleasure, condition, and no motivation factors influenced the exercise adherence.

      • KCI등재

        Green Exercise의 심리적 효과분석: 주의력과 기분상태에 미치는 영향

        장세용(SeYongJang),김승철(SeungChulKim) 한국체육학회 2013 한국체육학회지 Vol.5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숲 또는 공원과 같은 자연환경에서 이루어지는 운동을 의미하는 Green Exercise가 인지능력과 기분 상태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대학생 28명을 실내운동(n=14)과 실외운동(n=14)그룹으로 구분하여 유산소 운동 사전, 사후에 인지능력(Trail B), 기분상태(POMS), 주관적 운동 강도(RPE)등을 측정하였다. 이후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2주 후 그룹을 바꿔서 동일한 실험을 반복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Green Exercise가 실내운동에 비해 인지능력을 개선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6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진 기분상태의 경우도 Green Exercise가 실내운동에 비해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동일한 운동임에도 불구하고 1, 2차 실험 모두 실내그룹에 비해 Green Exercise그룹이 운동의 강도를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운동의 효과와 함께 자연환경에서 경험하는 빛, 소리, 공기는 물론 나무와 같은 식물에서 얻게 되는 시각적 청량감과 같은 다양한 물리적 환경의 상호작용에 의한 결과로 판단되며, 운동효과의 질적 향상을 위한 추가적인 요인으로서 자연환경의 접목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f Green Exercise, exercising in the wood or in the natural environment, such as parks, has effect on cognitive abilities and mood states. Divided into outdoor exercise(n=14) and indoor exercise(n=14) groups, 28 college students(24 men, 4 women) were measured on pre and post program of aerobic exercise on cognitive abilities(Trail B), Profile of mood states(POMS), and Rating of perceived exertion.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the experimental results, repeating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after two weeks with reversed group of peopl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Green Exercise appeared more effective on improving the cognitive abilities compared to indoor exercise. Second, both first and second experiments show that the Green Exercise has a positive effect on mood state, consists of six-factors including anxiety, depression, anger, vigor, fatigue, confusion, compared to indoor exercise, Third, although the intensity of the training was the same for primary and secondary experiments, the Green Exercise group recognized the intensity of the training lower than the indoor group. These results determine that the experience in the natural environment, light, sound, air as well as the result of the interaction of a variety of physical environments that are obtained from plants such as trees, becomes an additional factor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the exercise, and shows that converging the natural environment to the exercise can be effective.

      • KCI등재

        자연과학편 : 만 중년여성의 신체조성, 혈액성분 및 운동지속 관련 변인에 있어 m-Health App 사용의 효과검증

        김태욱(TaeUkKim),김승철(SeungChulKim),조은형(EunHyungCho) 한국체육학회 2015 한국체육학회지 Vol.5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비만 중년여성의 운동 효과를 높이고 운동을 지속시키기 위해 운동과 m-Health App을 병행하고 이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S시 소재의 K건강증진센터 회원 총 33명(실험군 16명, 통제군17명)이 참여하였으며, 두 집단 모두 12주간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하였고 실험군은 m-Health App을 사용하였다. 본연구의 측정은 총 3회(사전, 6주, 12주)로 이루어졌으며, 2-way RM ANOV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체중의 시기×집단 간 상호작용효과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나타냈다. 둘째, 체지방량, BMI, WHR, LDL의 시기에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셋째, 운동지속의 하위요인중 경향성의 시기×집단 간 상호작용효과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나타냈다. 넷째, 운동결과기대의 시기×집단 상호작용효과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나타냈다. 다섯째, 운동만족의 심리적, 정신적, 신체적 혜택요인의 시기×집단 상호작용효과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나타냈으며, 대인관계증진요인은 시기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특히 운동지속관련 변인의 긍정적인 변화는 운동행동을 지속시킴으로 건강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m-Health App은 운동참여자의 운동지속과 효과적인 운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for promoting and continuing the effect of exercise of middle aged female, applying m-Health App with exercise simultaneously and verifying the effect of it. Total 33 subjects(experimental group(n=16), control group(n=17)) participated in this study. Both group exercised for 12 weeks while experimental group used m-Health App in their daily lives. Health status was measured for 3 times(pre-test, after 6 and 12 weeks). 2-way RM ANOVA was used in the result as follows. First of all, there was meaningful reduce in weight, Time×Group interaction. Secondly, there was reduce in fat, BMI, WHR, LDL in terms of time. Thirdly, there was meaningful change in tendency of exercise satisfaction subcategory, Time×Group interaction. Fourthly, there was meaningful change in exercise expectation, Time×Group interaction. Fifthly, there was meaningful change in psychological, mental, physical benefits of exercise satisfaction, Time×Group interaction and improvement of personal relations in terms of time. In conclusion, m-Health App is considered to help exercise participants to have continuous effect of exercise and effective exercise.

      • KCI우수등재

        스포츠심리학 : 청소년 운동선수의 탈진 정도와 스트레스 요인에 관한 연구

        송우엽(WooYoupSong),김승철(SeungChulKim) 한국체육학회 1999 한국체육학회지 Vol.38 No.2

        본 연구는 청소년 운동선수들의 운동탈진의 강도를 알아보고 스트레스 요인을 분석하여 지도자들에게 청소년 운동선수들을 지도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중·고등학교 축구, 농구, 야구선수 279명이며 운동경력은 3.2년이고 운동시간은 주당 34시간이다. 청소년들의 운동 탈진 강도는 고등학교 선수들이 중학교 선수들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고등학교 선수들에게 있어서 개인에 대한 성취감은 낮게 나타나 높은 탈진현상을 보였다. 또한 청소년 운동 선수들의 스트레스 요인으로는 훈련과 시합에 대한 부담감, 지도자의 코칭스타일에 대한 불만, 부정적인 대인관계, 운동에 따른 개인적 손실, 학업 및 진로걱정, 실패 및 처벌의 두려움 등으로 나타났다.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탈진 강도와 스트레스 요인을 논의하고 운동스트레스에 따른 탈진 예방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level of exercise burnout of youth athletes and help coaches and physical educators give some directions for youth athletes. The number of subjects was 279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students from soccer, basketball, and baseball teams. The period of exercise experience was 3 years and 2 months. The average practice period was 34 hours per week. High school athletes had higher level of exercise burnout than junior high school athletes. The athletes with higher burnout level showed less achievement motivation score. The factors that make athletes feel anxious were pressure from practice and game, unsatisfactory coaching style, negative relationship with significant others, and personal losses such as time, money, and friendship, and fear of failure and punishment. The researcher wants to make some suggestions to prevent youth athletes from exercise burnout and have higher achievement motivation.

      • KCI등재

        성인의 신체활동을 예측하기 위한 심리적변인의 통합적 접근

        이학권(HakKwonLee),김승철(SeungChulKim) 한국체육학회 2011 한국체육학회지 Vol.5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의 신체활동 예측에 있어 계획된 행동이론의 하위변인과 변화 단계의 통합 모형을 통하여 변화 단계의 중재 역할 및 가설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하는데 있다. 성인 총430명(계획전단계: 27명, 계획단계: 62명, 준비단계 103명, 행동단계 33명, 유지단계 201명; 평균나이=33.21세)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심리적 변인과 현재의 운동단계 및 신체활동 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태도, 주관적 규범, 행동통제지각 질문지, 운동변화단계 및 신체활동 질문지 등이 적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모든 변인들이 운동행동 변화단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경로분석 결과 행동통제지각은 변화의 단계에 가장 높은 영향력을 보였으며, 그 다음은 태도가 높은 경로계수가 나타났다. 연구모형에서 설명된 신체활동은 31%에 설명력을 나타냈다. 검증된 모형의 적합도를 토대로 신체활동에 대한 변화단계의 직접효과는 높게 나타났으며, 변화단계는 행통통제지각을 통하여 완전한 중재 역할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통합적 모형의 사용이 성인의 긍정적인 신체활동 변화를 증진시켜주는 효율적 전략에 사용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goodness of fit’ in the mediating role and hypothetical model in the stages of change through subordinate variables of the planned behavior theories and the integrative model of the stages of change in the prediction of adults` physical activity. Participants were 430 adults (the pre-stage of planning: 27, the planning stage: 62, preparation stage: 103, behavior stage: 33, maintenance stage: 201; and mean age = 33.21 year-old). In order to measure psychological variables, current exercise stage, and physical activity levels of participants, attitude, subjective norms, questionnaire papers of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stages of exercise change, and the questionnaire papers of physical activity were applied. Statistical difference was significant in the stage of change in exercise behavior of all variables in this study. As a result of path analyses,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had the highest effect on the stage of change, which was followed by attitude. Physical activity, which was explained in the study model, showed the explanatory activity at 31%. Based on the ‘Goodness of fit’ in the verified model, immediate effect on physical activity in the stage of change appeared to be high. Complete role of mediating was identified through the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in the stage of change. This study indicates that integrative model is used for the effective strategies which can promote the positive change of adults` physical activity.

      • KCI등재

        감각-운동 학습 및 적응에 관여하는 전운동영역과 후두정엽의 역할

        이지항(JiHangLee),김승철(SeungChulKim),이동현(DongHyunLee) 한국체육학회 2008 한국체육학회지 Vol.47 No.1

        이 연구는 감각-운동 적응의 메커니즘을 밝히고자 프리즘 적응 패러다임을 이용하여 이에 관련된 두뇌 부위들의 역할을 유추하였다. 일차적으로 전형적인 프리즘 적응 패러다임에 2가지 시각 조건(terminal visual feedback condition과 Concurrent visual feedback)을 적용, 적응 정도 및 형태를 비교 분석했으며 다음으로 프리즘 적응에 관여 한다고 알려진 두뇌의 전운동영역과 후두정엽이 프리즘 적응의 어떤 세부 메커니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각 부위에 반복적 경두개자기 자극(rTMS)을 적용, 그로 인해 발생하는 행동적 손실을 관찰했다. 연구의 결과로는 첫째, 운동 적응 중에 제공되는 시각 정보의 양에 따라 적응의 패턴이 변화함을 재확인 했다. 동시 시각 피드백 조건에서는 고유감각의 이동이 적응의 주요소이었으며 종말 시각 피드백 조건에서는 시각의 이동이 적응의 주요소였다. rTMS 적용 결과 동시 시각 피드백 조건에서 전운동영역이 자극을 받았을 때 고유감각의 이동이 방해를 받았으며 종말 시각 피드백 조건에서는 후두정엽이 자극을 받았을 때 주로 시각의 이동이 방해를 받았다. 결론적으로 전운동영역과 후두정엽이 비록 시각, 고유감각 모두의 처리에 관여 하지만 감각을 재정렬 시켜야 할 경우 각각 한가지의 감각만을 주로 이동시킴으로서 전체적인 적응을 유도하는 고유한 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밝혀내 것이 본 연구의 성과이다. To identify the sensory motor adaptation and its underlying mechanisms we have used the prism adaptation paradigm. By introducing 2 different visual feedback environments(terminal visual feedback condition, TV; Concurrent visual feedback, CV to the typical prism adaptation paradigm, we were able to compare the amou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adaptation. Also, we used the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rTMS) technique on the premotor cortex and the posterior parietal cortex to investigate how different brain areas influence different aspects of prism adaptation. Depending on the amount of visual feedback during the prism exposure period, the characteristics of adaptation changed. In the concurrent visual feedback con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proprioceptive shift. On the other hand, the visual shift was significant in the terminal visual feedback condition. The rTMS application revealed that the proprioceptive shift in the CV condition was reduced when the premotor cortex was stimulated. And the visual shift in the TV condition was also reduced when the posterior parietal cortex was stimulated. We found that the premotor area and the parietal cortex plays distinctive roles in sensory shift mechanisms during the prism adaptation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