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밀 농업을 위한 데이터 수집기 및 개방형 데이터 공유 플랫폼 개발

        김승재 순천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한국형 스마트팜 모델은 모바일 기반 원격 시설제어가 가능한 1세대 스마트팜에서 정밀 생육관리가 가능한 2세대 스마트팜으로 고도화를 추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팜 빅데이터 수집 확대를 위한 이기종 장치 간 데이터 수집기 개발 및 개방형 데이터 공유 플랫폼 구축 연구를 수행하였다. 데이터 수집기는 스마트팜 농가에서 사용하는 각종 이기종 ICT 장비의 다양한 통신방식을 수용하기 위해 RS-232, RS-485 등의 시리얼 통신 및 WiFi, ZigBee등의 무선 통신방식을 수용하기 위하여 확장성이 용이한 SLOT 방식의 통신 보드를 사용하여 설계되었다. 개방형 데이터 공유 플랫폼은 사용자 입장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간편한 UI로 디자인하였으며, 데이터 수집기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는 공유 플랫폼 내에서 시계열 분석, 생육량 예측, 원격 환경 제어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현하였다. 본 연구의 성능 평가를 위하여, 토마토 작물을 대상으로 한 시설원예 농가에 직접 데이터 수집기를 설치, 개방형 데이터 공유 플랫폼과 연동하여 기능 검증을 진행하였다. 해당 연구 결과는 차세대 스마트팜 모델로 발전하기 위한 빅데이터 수집 체계 확립에 기여하고, 다양한 농업 데이터를 개방형 공유 플랫폼에 축적 및 공유함으로써, 농업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 물리치료사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김승재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에서는 물리치료사의 소진 정도와 소진 관련 요인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자아탄력성과의 관련성을 조사하고 업무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도 지역에 병원에 근무하는 물리치료사 759명을 대상으로 인구 사회적 변인과 자아탄력성, 심리적 소진, 직무스트레스, 사회적 지지로 구성된 척도로 설문지를 실시하였으며 통계분석은 SPSS 18.0과 AMOS 18.0을 이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 사회, 경제적 변인에 따른 물리치료사의 자아탄력성, 심리적 소진, 직무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의 변화를 살펴볼 때, 성별에서 자아탄력성은 남자가 심리적 소진은 여자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서는 연령이 높을수록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는 증가하였고 업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은 감소하였다. 결혼여부에서는 기혼에서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높았으며 업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은 미혼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에서는 자아탄력성이 대학원졸> 4년대졸> 전문대졸로 유의미하였으며, 심리적 소진은 전문대졸> 4년대졸> 대학원졸로 유의미하였다. 월소득 집단비교에서는 300- 400만원 월소득이 자아탄력성, 심리적 소진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으며 현직 근무년수에서는 3-5년 사이에 심리적 소진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종교 유형별 집단 비교에서 종교를 가진 집단이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 심리적 소진에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둘째,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조사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인구, 사회적 요인, 직무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을 순서대로 추가하여 상대적 영향력의 크기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인구 사회적 요인이 투입된 모형1에서는 설명력이 9.4%로 나타났으며 모형1에 직무스트레스를 투입한 결과, 설명력이 40.4%로 증가를 보였으며 사회적 지지가 투입이 되었을 때는 49.7%, 자아탄력성이 투입된 모형에서는 66.5%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설명력을 비교하여 볼 때 심리적 소진에 중요한 요인으로는 직무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을 꼽을 수 있다. 셋째, 물리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 심리적 소진의 변수 간의 관계와 직, 간접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구조방정식을 실시하였다. 자아탄력성 관련변인의 관계를 그 영향의 크기 순서대로 살펴보면,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심리적 소진은 감소(β= -.731)하였고, 사회적 지지는 증가(β=.607)하였으며, 직무스트레스는 감소(β=-.448)하였다. 직무스트레스 관련변인의 관계를 살펴보면 직무스트레스가 증가할수록 심리적 소진은 증가하였다. 사회적 지지의 관계를 살펴보면 심리적 소진과의 직접적인 영향은 없었지만 직무스트레스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β= -.079)와 사회적 지지(β= -.045)가 간접효과를 나타내어 매개효과를 보였다. 넷째, 자아탄력성, 심리적 소진, 직무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의 관계에서 성별, 연령의 조절작용을 살펴본 결과, 성별은 남자의 경우 자아탄력성(β= .247)이 증가되고, 여자는 사회적 지지(β= -.070)가 감소되는 결과를 보였다. 연령에서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자아탄력성(β= .095)이 증가되고, 사회적 지지(β= -.016)는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의 연구결과로 심리적 소진을 감소시키기 위한 가장 핵심적인 변인이 자아탄력성이므로 다양한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고 적용하는 후속 연구를 제안한다. 또한 심리적 소진 감소에 직무스트레스, 사회적 지지가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성별, 연령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므로 이에 따른 프로그램 개발과 적절한 인력관리에 대한 기초자료로 도움이 되고자 한다.

      • 부천의 지역문화 거버넌스 체제에 관한 연구 : 시각문화영역을 중심으로

        김승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부천의 시각문화를 위한 지역문화 거버넌스 체제에 관한 연구로서 지금까지 미술사적 관점과 미술교육학적 관점에서만 설명되어 오던?시각문화?의 범주를 확장하여 지역문화의 거버넌스와 함께 이해하고자 한 연구이다. 한편으론 도시문화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지역문화의 창달을 이루는데 시각문화가 만들어 나갈 수 있는 넓은 범주의 영역들이 부적절한 관료적 문화정책의 틀에서 변화를 이루지 못하고, 창조성과 자발성에 기초한 지역문화의 발전을 도모하지 못하는 한계에 대한 지적이다. 아무리 시각문화의 내용을 가꾸고 창의적으로 조성해 낸다고 하더라도 지역문화의 장에서 이를 펼칠 수 있는 길은 합리적인 문화행정과 정책의 수립 그리고 이의 집행과 같은 공적 문화진흥의 영역과의 조화로운 응용과 참여, 실천 속에 달려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역문화의 행정체계는 지금까지도 문화적 활동들에 대한 정치적 영향력의 간섭과 이해관계 속의 세력화에 기반을 둔 비정상적인 문화간섭 행위들이 공공연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형편이다. 이 논문은 지역문화의 합리적 거버넌스 체계 중에서도 특히 시각문화를 중심으로 한 분야와 내용의 문화적 창달을 위한 과정을 다루고 있다. 시대적 기술의 변화와 더불어 문화와 문화콘텐츠의 관점에서 발전한 시각문화의 층위에 대한 연구의 흐름과 동향을 정리하고, 이로부터 향후 지역문화 거버넌스 내에서 이의 활용과 실천을 위한 바탕과 배경에 대해 이해하고 지역문화콘텐츠와 시각문화와의 상관성에 이르기까지 연구의 범위를 확장, 발전시킬 수 있는 맥을 찾고자 하며, 이를 통해 새로운 시각문화의 성장 동력을 유추하고 경제적 가치와 사회 구조 속의 활용 범위를 가늠하여 지속 가능한 문화 생산의 원천을 위한 기초를 제시하는 것이 이 글이 지향하는 바이다. 문화콘텐츠라는 용어 자체가 내포하고 있는 경제성, 수익성, 산업성의 논리가 시각문화와 접목하여 산출하게 될 무한한 가능성의 체계화, 분류화의 작업은 이제 시작단계에 접어들었고 기존의 시각문화의 연구 초기 결과물들이 지난 10여 년간 교육의 장에서 다양한 연구 결과물들을 산출해 왔다면 이를 통해 창조적 능력을 겸비한 인재 양성과 사회 발전에 기여하고 고부가가치 생산 활동의 산업적 바탕이 무엇이 될 것인지에 대한 연구를 통한 제시가 필요하다. 시각문화를 교육적 관점에서만 바라보는 경향에서 진일보하여 이제는 시각문화적 내용요소 자체의 생산성과 응용성, 각급의 현장에서의 활용성에 대한 연구와 논의가 발전되어야 한다. 이러한 논의를 발전시키는데 지역문화 거버넌스의 장을 십분 활용해 나가는 것은 사회적 역할과의 접점에서 시각문화의 방향성을 틀 잡고 그 운용방안을 넓혀 나가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이다. 지역문화 행정 주체의 정책적 역할을 문화콘텐츠로 설정하고 시각문화와 관계된 산업의 육성과 발전을 도모해 나가는 것이 향후 사회적 기업의 생산, 일자리 창출, 고부가가치 창출, 고용창출의 수순을 밟아 각 지역사회의 조건과 역량에 걸맞은 적합한 거버넌스 모델을 완성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 논문은 본 연구자가 경기도와 인천의 공적 문화조직에서 문화행정에 직접 종사하며 경험하여 온 지역 문화에 대한 인식에 비추어 지난 14년 동안 직접 거주하고 경험하여 온 부천 지역 거버넌스의 실체를 직접 관찰하고자 한 연구 결과물이다. 이를 위해 관련 전문인들과의 인터뷰와 설문을 통해 현재적 시점에서 진행 중인 문화사업 일반에 대한 시각문화의 내용요소와의 접목을 시도하였다. 따라서 이 논문의 연구결과는 지속적으로 부천 지역의 문화 거버넌스를 해석하고 응용하는 기제로 활용될 것이며 실질적인 문화 정책 방향의 설정과 추진에 실제로 반영해 나갈 것이다.

      • 액상인산염을 이용한 중금속 오염토양 복원 연구 : 아연오염토양 복원을 중심으로

        김승재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Soil pollution can be divided into an artificial pollutant and a natural one. Heavy-metal soil pollution caused by the latter indicates the emission of heavy metals, resulting from weathering of a matrix, high in heavy metals so that a contamination level differs according to the content of materials that absorb them such as clay, hydroxide and organic matter. The former includes mining activities(mining and mineral dressing), agricultural activities(the use of fertilizer and insecticide), combustion of fossil fuel, landfill and all sorts of industrial activities. Among them, tailing, mine waste, acid mine drainage, etc. led by mining activities are a major source of heavy-metal pollution that draws attention in the field of soil pollution nowadays. There are a variety of ways to restore the soil contaminated by heavy metals. However, when choosing a technology for restoration, we need to make a choice of the optimum way, considering soil characteristics, existence form of heavy metals or economic feasibility and so on. This technology can largely categorized as immobilization(solidification/stabilization) that minimize a possibility of heavy-metal contaminant transports and soil washing/flushing. Even though the latter contains a variety of heavy metals and disposal methods, such a technology should be chosen in consideration of economic feasibility such as utility value of treated soil, reutilization or disposal of heavy metals after soil flushing. The former, a technology to curb the characteristics of contaminant transports by changing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contaminated soil after injection of additives into the soil, has a problem of remaining as a potential soil pollutant because heavy metals are not destroyed nor removed by a chemical reaction. In addition, these technologies(soil washing, solidification/stabilization, phytoremediation) have a problem of high cost, inflexible reutilization of contaminated sites or a long term. Nevertheless, a way of using phosphate, which has recently been discussed, is a treatment technology for the soil polluted by heavy metals that can solve such a problem. Accordingly, this research aims at eliminating zinc by immobilizing the artificially zinc-contaminated soil in the form of stable metal phosphate by means of arsenic coagulation and liquid phosphate. As a result of conducting an experiment by selectively creating reaction of phosphate formulation and alkali one each to a solution contaminated with a zinc density of 2,000 mg/L, the injection of phosphate formulation and alkali one in turn, followed by their mixture, led to 98.7~99.5%, a high immobilizing rate, and the injection by a reaction molar ratio of 1 to 3 resulted in 99.5% of zinc removal rate. In order to find the optimum immobilizing time of zinc in the artificially contaminated soil in which zinc density measures 400 mg/kg by the standards of soil washing, we carried out an experiment at different reaction hours after immobilizing a proper zinc density confirmed in a liquid reaction, and molar rate(1:3), temperature(15℃) and mixing intensity(100rpm) of immobilizing agents. As a result, more than 86.5 percent of zinc was immobilized within reaction 1hr, showing no big difference in a change to an immobilizing rate with a total of 93.8 percent to 94.9. In this regard, an immobilizing reaction is thought to be mostly completed within 24hr. We also conducted an immobilizing experiment by injecting immobilizing agents, which had melted into an acid solution, into the artificially contaminated soil and creating further reaction of additional alkali formulation. When 1 mole of zinc and 3 moles of phosphate and alkali formulation, namely the molar ratio of 1 to 3, met zinc contained in the soil, an immobilizing rate turned out to be 93.8 percent, while a constant increase in the molar ratio of immobilizing agents showed only a slight difference, which can be regarded as no increase in an immobilizing rate. We also changed a reation temperature into 5~25℃ within range of Korea's toil temperature and immobilized a zinc density and a molar ratio of immobilizing agents(1:3), mixing intensity(100rpm), and then caused a reaction for a day. In consequence, soil temperature was found to have little effect on an immobilizing rate as an increase in temperature had been seen to make little change in zinc immobilization efficiency. Contrary to this result, dependence on temperature turned out low within a reaction temperature of zinc immobilization and it is not likely to be a problem to apply an immobilizing reaction, using phosphate formulation, to the spot under the soil temperature(5~25℃) of South Korea with distinct four seasons. As an experimental result of changing a reaction intensity(the number of times being mixed) into 50~250 rpm in order to enhance zinc immobilizing rate, even such a change turned out to make little difference in removal efficiency since it was still 90.1~95.9 percent. Therefore, the number of times being mixed seems to have no influence on zinc immobilizing reaction as experimental results did not show a big difference in the mixing intensity of 50~250 rpm Then, we looked into a long-term experiment on soil wash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contaminant transports so as to evaluate the stability of zinc phosphate, created by an interaction of immobilizing agents and zinc, targeting the immobilized soil. In consequence, the soil with a reaction completed showed 93.8 percent of immobilization efficiency and the density of phosphorus residues was under 0.3 mg/L. A long-term experiment on soil washing for 60 days found that zinc has hardly been detected in the immobilized soil with the passage of time, while, in the control group, it flowed out in the contaminated soil due to the injection of a simulated solution of simulated acid rain at the beginning of a reaction time, from 1th to 13th day, which can cause the pollution of ground-water syst 토양 오염은 인위적 오염원과 자연적 오염원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자연적 오염원에 의한 토양의 중금속 오염은 중금속 함량이 높은 모암이 풍화되어 중금속을 방출하는 경우이며, 점토, 수산화물, 유기물질과 같이 중금속을 흡착시키는 물질의 함량에 따라 오염정도가 다르게 나타난다. 인위적 오염원으로는 광업활동(채광 및 선광), 농업활동(비료와 살충제 사용), 화석연료 연소, 폐기물 매립, 각종 산업 활동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러한 오염원 중에서 광업활동을 통해서 발생되는 광미, 폐석, 산성광산배수(Acid Mine Drainage) 등은 근자에 들어 토양오염분야에 있어서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주요한 중금속 오염원이다.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의 복원 방법은 다양하며, 복원기술의 선택 시 토양의 특성이나 중금속의 존재형태,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방법을 선택하여야 한다. 중금속 오염토양의 복원기술은 중금속의 오염이동 가능성을 최소화시키는 부동화방법(고형화/안정화)과 중금속을 용출/분리하는 방법(Soil Washing/Flushing) 두 가지로 크게 대변된다. 중금속을 용출/분리하는 방법은 다양한 중금속 및 처리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나 처리된 토양의 이용가치나 분리 후 중금속의 재이용 혹은 처분 등의 경제성을 고려하여 선택되어야 한다. 중금속의 오염이동을 최소화시키는 부동화방법은 토양 내에 첨가제를 주입하여 오염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변화시켜 오염물질의 이동특성을 감소시키는 기술로 중금속들이 화학반응에 의해 파괴되거나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토양 내에 잠재적인 오염원으로 남아있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이러한 기술(토양 세척법, 고형화/안정화, 식물정화법)들은 비용이 비싸거나, 오염부지의 재사용이 용이하지 않고 오랜 기간이 걸린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지만, 최근에 거론되기 시작한 인산염을 이용한 방법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중금속 오염토양 처리기술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연으로 오염되어 있는 인공오염토양을 대상으로 비소응집제와 액상인산염을 사용하여 안정한 금속인산염 형태로 고정화시켜 아연을 제거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2,000 mg/L의 아연 농도로 오염된 용액에 인산염제제, 알칼리제제를 각각 선택적으로 반응시켜 수행한 결과, 인산염제제, 알칼리제제의 순으로 투입하여 혼합하였을 때 98.7~99.5%의 높은 고정화율을 보였고, 1:3의 반응몰비로 투입 시 99.5%의 아연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용출기준 아연농도가 400 mg/kg으로 측정된 인공오염토양에 아연의 최적 고정화시간을 찾기 위해서 액상반응에서 확인된 적절한 아연농도와 고정화제의 mole비(1:3)와 온도(15℃), 교반강도(100rpm)를 고정하고 반응 시간을 달리하여 실험을 수행한 결과, 반응 1hr 안에 아연의 86.5% 이상이 고정화 되었으며, 전체적으로 93.8~94.9%의 고정화율을 보여 고정화율 변화에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정화반응이 24hr내에 대부분 완료가 되어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인공오염토양에 산성용액으로 녹인 고정화제를 투입하고 추가로 알칼리제제를 반응시켜 고정화실험을 수행한 결과, 아연 1mole과 인산염제제 및 알칼리제제 3mole 즉 1 : 3 mole비로 토양 내 아연과 반응시켰을 때 고정화율이 93.8%로 나타났으며 고정화제의 투입 mole비를 계속 증가시킨 결과 미미한 차이지만 고정화율은 증가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응온도를 우리나라의 토양온도 범위인 5~25℃로 변화시키고 아연농도와 고정화제의 mole비(1:3), 교반강도(100rpm)를 고정하고 하루 동안 반응을 시켰다. 결과를 살펴보면 온도가 상승하면서 아연 고정화효율의 변화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나 토양온도가 고정화율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연고정화의 반응온도 범위에서는 이와는 다르게 온도의존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오히려 사계절이 뚜렷한 우리나라 토양온도 조건(5~25℃)에서 인산염제제를 이용한 고정화 반응을 현장에 적용하는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아연의 고정화율을 높이고자 반응강도(교반횟수)를 50~250 rpm으로 변화시키고 실험한 결과, 교반횟수를 50 rpm에서 250 rpm으로 증가시켜도 제거효율은 90.1~95.9%를 보여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50~250 rpm의 교반강도에서는 실험한 결과값에 차이가 뚜렷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교반횟수는 아연고정화반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고정화처리한 토양을 대상으로 고정화제와 아연의 반응으로 생성된 아연인산염의 안정성을 평가하고자 장기용출실험 및 이동특성을 알아본 결과, 반응이 완료된 토양은 93.8%의 고정화효율을 나타내었고 잔류인의 농도는 0.3 mg/L 이하를 나타내었다. 60일간의 아연 장기용출실험결과, 고정화처리된 토양은 시간이 경과해도 아연이 거의 검출되지 않은 반면에 대조군에서는 1~13일 초기반응시간에 인공산성비 모사용액의 주입으로 인한 오염토양 내 아연이 용출되어 장기적으로 볼 때 지하수계에 오염을 유발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pH는 중성수준으로 측정되었으며 인산염제로 첨가되었던 잔류인은 0.3 mg/L 이하로 검출되어 수계로의 2차오염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장기용출실험 후 칼럼 내 아연과 인산염인의 이동특성은 아연의 경우, 미반응 오염토양에서는 어느 정도 수직방향으로 아연이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고정화 처리된 토양에서는 대부분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동적학교생활화(KSD) 반응특성과 중학생의 정서, 자기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김승재 한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청소년시기에 중요한 발달과업으로 정서, 자아정체감 및 적응 문제가 학교생활과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나아가 자아정체감 형성에 중요한 요인이 무엇인지를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이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성별에 따라 정서적 불안정성과 자기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정서적 불안정성과 자기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셋째, 정서적 불안정성과 학교생활적응 사이의 관계를 자기존중감이 매개하는가? 넷째, 동적학교생활화(KSD)의 반응특성과 정서적 불안정성과 자기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의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자는 S시에 소재한 중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188명(남학생 96명, 여학생 92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도구는 학교생활적응검사, 동적학교생활화(Kinetic School Drawing ; KSD), 정서 및 자기존중감 검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은 성별에 따른 정서적 불안정성과 자기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에서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 상관분석, 매개효과 및 질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론은 첫째, 정서적 불안정성과 자기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에서 여학생들이 남학생들 보다 더 큰 정서적 불안정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해석해 볼 수 있었다. 둘째, 정서적 불안정성과 자기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는 남녀학생 모두 정서적 불안정성은 자기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과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셋째, 동적학교생활화(KSD)의 반응특성과 정서적 불안정성과 자기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의 관계는 인물상의 특징과 정서적 불안정성과 자기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의 전체와의 관계에서는 인물상의 특징 중 얼굴표정은 동적학교생활화의 관계에서는 인물상의 특징 중 교사상의 얼굴표정과 역동성의 인물상간의 상호작용이 교사상에 부적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동적학교생활화(KSD)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해비시각화 되고 비의식화 된 생각의 표현을 학교 환경과 생활에서의 상관관계와 역동성 등을 파악하는데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결론적으로 동적학교생활화(KSD) 검사활동을 통해 청소년 시기에 중요한 발달과업으로 정서, 자아정정체감 및 적응 문제의 올바른 형성을 통해 원만한 학교생활을 하는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주제어 : 동적학교생활화(KSD), 자기존중감, 학교생활적응

      • 통계적 분석 기반의 딥러닝 모델에 의한 국내 코로나19 확진자 수 예측 연구

        김승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COVID-19는 전염성이 강한 호흡기 질환으로 전 세계로 확산되어, 지역사회의 경제와 건강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COVID-19의 피해를 감소하고 근절하기 위해 확산 방지와 예방을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 이에 COVID-19 확진자 수를 예측하는 연구가 많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COVID-19 확진자 수를 예측하는데 있어, 어떤 모델이 적합한지, 어떤 입력변수를 사용해야 성능이 좋은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COVID-19 확진자 수와 검사자 수에 COVID-19에 영향을 줄만한 외부요인들을 취합하여 통계적 방법의 상관분석과 변수 선택법을 통해 변수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변수들을 입력변수로 하여 다양한 모델(LinearRegression, DecisionTree, RandomForest, XGBoost, GBM, LightGBM, AdaBoost, LSTM, GRU)을 활용하여 COVID-19 확진자 수를 예측하고 시각화하여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로는 LSTM 모델이 실제 확진자 수와 비교하여 3가지 평가지표(MAE, MSE, RMSE)에서 가장 좋은 성능을 보였다. 본 연구는 COVID-19 확진자 수를 예측함으로써 COVID-19의 예방과 근절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COVID-19 is a highly contagious respiratory disease that has spread worldwide and has a fatal impact on the economy and health of communities. Therefore, anti-spreading and preventive measures are needed to reduce and eradicate COVID-19 damage. Therefore, many studies have been proposed to predict the number of confirmed COVID-19 individuals. However, research on which model is appropriate for predicting the number of confirmed COVID-19 and which input variable should be used for good performance is insufficient. In this paper, we incorporated external factors that affect COVID-19 into the number of confirmed COVID-19 and the number of inspectors, and selected variables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of statistical methods and variable selection method. Utilizing various models(LinearRegression, DecisionTree, RandomForest, XGBoost, GBM, LightGBM, AdaBoost, LSTM, GRU) with the selected variable as the input variable, predict, visualize and compare the number of confirmed COVID-19 did.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LSTM model showed the best performance in three evaluation indexes(MAE, MSE, RMSE) compared with the actual number of confirmed persons. In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and eradication of COVID-19 by predicting the number of confirmed COVID-19.

      • 양자화 방식의 딥러닝 프레임워크 모델에서의 메모리 사용량 절감에 따른 네트워크 모델 최적화 방법 연구

        김승재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as the use of deep learning has been expanded in embedded devices, research on the use of deep learning is also being carried out in the field of embedded systems. Deep learning has shown good performance in the fields of image classification and object recognition, and there is an increasing tendency to introduce it in embedded systems. However, it is a fact that it is difficult to perform in embedded device due to high calculation complexity and memory usage. Various optimization methods have been studied for this purpose. There have been a lot of studies to reduce memory usage by reducing the amount of connection synapses or quantization to reduce the weight, and to reduce the execution time by using a computational accelerator.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certain amount of accuracy must be reduced when these techniques are applied. The proposed method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 accuracy is reduced in inverse proportion by reducing the buffer usage when optimizing the quantization method. We tried to find the optimization point of the quantization method which can reduce the loss of accuracy to the minimum by reusing the buffer that stores the input and output during deep running.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when the bits of the connection weight are represented by 8 bits, only 25% of the memory is us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single quantization method. However, when expressed in 4 bits, we show that the accuracy decreases sharply, and that 8-bit connection weights should be used to maintain accuracy. Based on the use of such a quantization scheme, the time, accuracy, and memory usage of the 13 proposed layers are optimized more than the network of VGGNet 19, and the buffer reuse method is applied to the improved 13 layers of 8 bits. As a result, we proposed a model that can reduce the execution time by a little bit compared to the existing method and use only 35.5% of the memory usage and the accuracy by 8% using the quantization method and the buffer reuse method. 최근 임베디드 디바이스에서 딥러닝 사용이 확장됨에 따라 딥러닝 활용에 대한 연구가 임베디드 시스템 분야에서도 진행되고 있다. 딥러닝은 이미지 분류와 객체 인식과 같은 분야에서 좋은 성능을 보이며 두각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에 임베디드 시스템에서도 이를 도입하려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계산 복잡도와 메모리 사용량이 높은 관계로 임베디드 기기에서 수행은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이를 위해 다양한 최적화 방법이 연구되고 있으며, 연결 시냅스의 양을 줄이거나 양자화(quantization)을 통해 가중치의 크기를 줄임으로서 메모리의 사용을 절감하고, 연산 가속기를 사용하여 수행시간까지 절감하려고 하는 연구들이 많이 수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법들을 적용할 시에는 일정부분의 정확도가 감소해야 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제안된 방법은 이러한 양자화 방식의 최적화를 진행할 때 버퍼 사용의 절감을 통해 정확도가 반비례하여 감소한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딥러닝 수행중의 입출력을 저장하는 버퍼를 재사용하는 방식으로 정확도의 손실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양자화 방식의 최적화 지점을 찾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연결 가중치의 비트를 8비트로 표현하였을 때 기존의 단일 양자화 방식의 사용 때와 비교하여 25%의 메모리 밖에는 사용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4비트로 표현하였을 때는 정확도가 급격하게 감소함을 보이면서 정확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8비트의 연결가중치를 사용해야함을 밝혔다. 또한 이러한 양자화 방식의 사용을 기반으로 VGGNet 19의 네트워크보다 새로 제안된 13 layer에서의 시간, 정확도 및 메모리 사용량이 최적화됨을 보이며, 8비트의 개선된 13 layer에 버퍼 재사용 방식을 적용하였다. 이로 인하여 기존의 방식보다 실행 시간을 소폭 줄이면서, 양자화 방식과 버퍼 재사용 방식으로 메모리 사용량을 기존 사용량의 35.5% 만을 사용하며 정확도를 8%가량 상승시킬 수 있지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