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인 김문현 서예의 가치탐구

        김수천 한국서예학회 2019 서예학연구 Vol.35 No.-

        Kim Moon-hyun is a calligrapher who distinguished himself as a calligrapher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e not only contributed to modernizing the Korean Gung style but also accepted the Chinese calligraphy based on the calligraphy which had been passed down for generation to create the new world for calligraphy. After failing to concentrate on calligraphy due to family affairs for a while, he started calligraphy activities again in 1957, starting with the founding of the Eastern Calligraphy Society. Kim Moon-hyun did calligraphy as a sophisticated hobby rather than as a career artist. However, we cannot help but to mention him because of the value and meaning of his calligraphy spirit. In Today's calligraphy, many people talk about outer shape and technique but the spirit of calligraphy contained in the work are not discussed. That's because the literary spirit of traditional calligraphy has been diluted. In this aspect, Kim Moon-hyun's calligraphy in which high academic, cultural, and calligraphic spirit are harmonized, is worth discussing. Kim Moon-hyun who was the eldest brother of 20th century Korean calligraphy masters Kim Chung-hyun and Kim Eung-hyun is not well known compared to his brothers. In this paper, we tried to express that Kim Moon-hyun has as much weight in modern calligraphy as his brother. 김문현은 일제강점기 때 필명을 날린 서예가다. 한글궁체를 현대화하는데 기여하였을 뿐 아니라 집안에서 내려오는 가학서예를 전승한 바탕위에 중국서예를 받아들여 새로운 경지를 열었다. 한동안 가정사정으로 인해 서예에 전념하지 못하다가 1957년 동방연서회 창립을 기점으로 그곳에서 서예지도를 하면서 다시 서예활동을 시작한다. 김문현은 직업서예가로 활동했다기보다는 교양적인 취미로서의 서예를 했다. 그러면서도 그를 거론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은 그의 서예정신이 갖는 가치와 의미 때문이다. 오늘날의 서예는 외형적인 조형과 기법을 논하는 사람은 많아도 작품 속에 담긴 서예의 정신을 이야기하려 하지 않는다. 그것은 전통적으로 이어져 내려오는 서예의 문인정신이 희석되었기 때문이다. 그런 견지에서 볼 때 높은 학문과 교양 그리고 서예의 탐구정신이 잘 조화를 이루었던 김문현의 서예는 논의할 가치가 많다. 김문현은 20세기 한국서예의 거장 김충현과 김응현의 맏형으로 동생들에 비해 세상에 알려지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김문현이 아우들 못지않게 근현대서예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는 것을 피력하고자 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一中 金忠顯 『槿域書譜』 출판의 의미와 근거자료

        김수천 한국서지학회 2017 서지학연구 Vol.71 No.-

        For a while, the study on Kim, Chung Hyun was focused on his calligraphy works. The Geunyeokseobo which was introduced at the 10th memorial ceremony of Iljung Kim, Chung Hyun by Iljung Kim, Chung Hyun Memorial Association in October, 2016 provided an opportunity to evaluate Kim, Chung Hyun again. The original Geunyeokseobo is a reference that was published in a series 150 times from Mar. 07, 1967 to Apr. 16, 1968 on Shina Daily Newspaper ; the published Geunyeokseobo at this time is a book which is completed by editing the past newspaper sources again. Making a book by editing newspaper series again is a rare case. The process of changing the 150 newspaper columns into a 725-page book in 50 years was revealed in this thesis through the interviews with the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editing of this book. Geunyeokseobo of Kim, Chung Hyun refers mostly to Geunyeokseohwajing of Oh, Se Chang. Thus, in this thesis, introducing Oh, Se Chang who provided a lot of references to Geunyeokseobo and the book Geunyeokseohwajing, the value and the meaning of Geunyeokseobo of Kim, Chung Hyun were highlighted in terms of succession and development. If the writings that were published in a newspaper in 50 years were not found and edited, they could be disappeared. However, they got new lives by being published as a book. Moreover, they were not published as they were ; instead, they were analyzed and published by editing in a modern way. Thus, it is very meaningful. The academic achievement of Oh, Se Chang is continued by Kim, Chung Hyun, and it is continued by Iljung Kim, Chung Hyun Memorial Association again ; consequently, it was published as a book named Geunyeokseobo, which is a new fruit. 그동안 김충현에 대한 연구는 서예작품에 집중되었다. 2016년 12월 일중선생기념사업회가 일중선생 10주기 추모행사 때 내놓은 『근역서보』는 김충현을 재평가하는 새로운 계기를 마련해주었다. 본래의 『근역서보』는 1967년 3월 7일부터 1968년 4월 16일까지 150회에 걸쳐 신아일보에 연재된 자료이며, 2016년에 출판한 『근역서보』는 과거의 신문자료를 재편집하여 단행본으로 완성한 것이다. 신문 연재물을 재편집하여 단행본으로 만드는 것은 아주 드문 예에 속한다. 본 논문에서는 신문칼럼이 50년이 지나 단행본으로 탈바꿈하는 과정을 편집에 참여했던 분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밝혔다. 김충현의 『근역서보』는 오세창의 『근역서화징』을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근역서보』에 많은 근거자료를 제공하고 있는 오세창은 어떤 인물이며, 『근역서화징』이 어떤 자료인가를 밝히면서 김충현의 『근역서보』가 지닌 가치와 의미를 계승과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조명했다. 50년 전 신문의 칼럼으로 실린 이 글을 발굴해 정리하지 않았다면 그대로 사라지고 말 정보였지만 단행본으로 펴내면서 새로운 생명을 얻게 되었다. 게다가 당시 글을 그대로 싣는 것이 아니라 이를 해석하고 윤문해서 현대적으로 펴냈으니 그 의의가 더욱 크다 하겠다. 오세창의 학문적인 업적이 김충현으로 이어지고, 그것이 다시 일중선생기념사업회로 이어져 『근역서보』라는 단행본으로 발행되어 새로운 결실을 맺었다.

      • KCI등재
      • KCI등재

        아가서에 나타난 에로스 사랑에 대한 영성신학적 분석

        김수천 한국실천신학회 2013 신학과 실천 Vol.0 No.35

        지혜문학에 속하는 아가서에 대한 해석은 다양한 견해들이 존재하지만 일반적으로 이스라엘 민족이 남긴 남녀간의 사랑에 대한 서정시로 이해되어 왔다. 동시에 아가서는 신자와 하나님 사이의 친밀한 사랑의 교제를 추구해온 기독교 영성가들에게도 많은 영감을 주어왔다. 본 논문은 아가서에 표현된 사랑의 개념들이 영성신학에 제공하는 통찰들을 세가지로 분석하였다. 첫째, 사랑에 대한 갈망이다. 아가서의 여 주인공은 사랑은 죽음만큼 강하며 홍수도 끌 수 없는 불과 같다고 고백한다. 주석가들은 8장에 표현된 이 구절을 아가서의 주제라고 결론짓는다. 이 사랑에 대한 갈망은 신자와 하나님 사이에서도 핵심 주제이다. 영성은 피조되지 않은 신적 사랑을 갈망하는 것이며 그 사랑을 경험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둘째, 상사병의 고통이다. 아가서에서 여 주인공은 사랑하는 남자와의 세 번째 만남후에 상사병의 고통을 경험한다. 상사병은 사랑하는 사람에게 사랑의 감정이 형성되고 어느 정도의 교제 기간이 지난 후에 일어나는데 사랑하는 자가 부재시에 그 사랑을 확신할 수 없으면 발병한다. 이 상사병의 고통은 영적 정진의 길을 가는 신자에게는 “영혼의 어두운 밤”으로 경험된다. 16세기에 십자가의 성 요한에 의하여 정립된 영혼의 어두운 밤이란 하나님의 임재의 부재 시기를 의미한다. 상사병처럼 이 영혼의 어두운 밤도 영적 진보의 초보자에게는 나타나지 않는다. 어느 정도 능동적인 신앙생활을 통해 하나님과의 만남이 깊어지고 영적인 진보를 경험하는 신자에게 나타난다. 즉, 이제까지 기도나 말씀 묵상 같이 능동적인 영적 삶을 통해 경험되던 하나님의 임재를 더 이상 경험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하나님은 더 이상 그러한 노력에 반응하지 않음을 통해 신자가 정화와 조명을 경험하도록 한다. 나아가 하나님의 은혜 없이는 인간은 절대적으로 무기력한 존재라는 인간의 실존을 경험하게 된다. 이 영혼의 밤은 아가서의 여인이 다시 사랑하는 남자를 만날때까지 자신을 성찰하는 것과 같다. 그러한 성찰이 남녀간의 사랑을 더 깊고 의미 있게 만드는 것처럼 영혼의 밤을 통해 신자는 영적 진보의 최종적인 목적지인 하나님과의 연합을 위해 유익을 얻는다. 셋째, 아가서는 남녀간의 연합의 의미를 통해 하나님과의 연합에 대한 좋은 통찰을 제공한다. 아가서의 남녀는 결혼을 통해 완전한 연합에 이르게 된다. 부부는 이 세상에서 서로를 가장 잘 아는 사이이며 사랑하기에 서로가 원하는 것을 위해 기꺼이 헌신하는 사이이다. 이것이 하나님과의 연합의 의미를 분명하게 이해하도록 돕는다. 영성가들에 따라 다소 주관적으로 경험되고 이해되기도 했던 하나님과의 연합이란 하나님의 뜻에 대한 일치이며 그 뜻에 대한 순종이라고 할 수 있다. 신자가 하나님과 친밀한 사랑의 교제를 경험하다 보면 하나님의 뜻을 확신할 수 있다. 나아가 사랑하기에 어떤 어려운 계명도 기쁨으로 순종할 수 있다. 그 순종의 정점은 자신을 부인하고 십자가의 길을 가는 것인데 하나님을 사랑하기에 즐거움으로 그 길을 갈 수 있다.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theological meanings expressed in Song of Songs in terms of Christian spirituality. Even though the text itself describes the love of Eros between men and women, it has inspired many spiritual thinkers throughout the history of Christianity. We can draw three meanings from the text to apply to Christian spirituality. First, it describes the desire for love. The female protagonist in the text says that the desire for love is strong like death. Also, the desire for love is like the fire which even a flood cannot extinguish. The reason the love of Eros is so strong is that it is sweeter than any other human experience on earth. This point could apply to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the believer. The foundation of spiritual life is to long for the love of God and to love God. In addition, the spiritual life is to experience that the love relationship with God is far sweeter than the Eros love. Second, the text tells us about the lovesick. After the third meeting with her lover, the protagonist suddenly suffers from love sickness. She wanders on the streets in Jerusalem and asks her friends to help her find her lover. It is the suffering from the absence of a lover. We can find a similar theme in the theology of Christian spirituality. St. John of the Cross in the 16th century developed the idea of “Dark Night of the Soul.” The dark night of the soul means the absence of God. In other words, the believer experiences that God does not respond to his prayer anymore through which he has experienced the presence of God. Usually, it does not happen to the spiritual beginner. When the believer is on progress spiritually, God could allow the period of the dark night of the soul. The believer would experience some purifications and illuminations during that period. Those experiences benefit the believer for the union with God, which is the final goal of spiritual advance. The third insight from the Song of Songs is the union of husband and wife in marriage. The husband and wife enjoy the intimate relationship by which they know each other’s wants. Furthermore, they willingly commit themselves to each other’s wants. It gives a light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union with God. For the believer, it means that he clearly understands what God wants. In addition, he fully dedicates his life with joy to accomplish God’s will.

      • KCI등재

        商나라 명문의 창조성

        김수천 한국서지학회 2009 서지학연구 Vol.44 No.-

        The Bronze Inscriptions of the Shang Dynasty are the oldest written language in China and a stating point of calligraphic history. Yet its calligraphic significance was not profoundly discussed so far. Therefore,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focused on the following three aspects. First,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ancient people is inspected. Second, explored is the artistic beauty of the calligraphic style of the Bronze Inscriptions by clarifying the uses of the bronze wares of the Shang Dynast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later ones. Lastly, the distinct features of the characters and the structures of the unfixed forms on the Bronze Inscriptions of the Shang Dynasty are discovered. The study is the first attempt to connect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ancient people and the meaning of the uses of the bronze wares of the Shang Dynasty with the artistic beauty of its Bronze Inscriptions. By connecting art history, epigraphy, and calligraphic history in a coordinated way,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the Bronze Inscriptions of the Shang Dynasty was thus able to be clearly revealed. 商銘文은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문자이며 서예사의 출발점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그의 서예사적인 가치에 대해 깊이 있게 논의된 적이 없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세 가지 문제에 주안하여 보았다. 첫째, 고대인들의 미의식을 살펴보았다. 둘째, 상나라 때 사용된 청동기가 후대 청동기와는 달리 특수용도로 사용되고 있음을 밝히면서 청동기 명문서풍의 예술미와 연결지어 보았다. 셋째, 상명문에 나타난 문자학적 특징과 부정형의 구조가 주는 의미를 밝혔다. 본 연구는 고대인들의 미의식과 상나라 청동기의 용도의미를 상명문의 예술미와 연결지으려고 한 첫 시도였다. 미술사, 금석학, 서예사를 유기적으로 연결지어 봄으로서 상명문이 지닌 가치와 의미를 좀 더 분명하게 밝힐 수 있었다.

      • KCI등재

        성 버나드의 사랑신비주의 영성 분석

        김수천 한국실천신학회 2013 신학과 실천 Vol.0 No.36

        본 논문은 12세기 사랑신비주의 영성가였던 성 버나드(St. Bernard of Clairvaux)의 “하나님의 사랑에 관하여(On the Love of God)"에 표현된 사랑의 개념을 분석하고 한국교회에 주는 통찰을 숙고하였다. 버나드는 신자가 영적 성숙에 따라 경험하는 4단계의 사랑에 대하여 말하였다. 첫째, 자신을 위한 자기 사랑으로 신자의 본성적 자기 사랑을 의미한다. 본성적 자기 사랑은 이기적인 사랑으로 신자는 이기적인 사랑을 극복하기 위해 이웃 사랑을 실천해야 한다. 둘째, 하나님의 은혜를 위한 하나님 사랑이다. 신자가 자신의 영적인 비참함을 경험할 때 신자는 하나님의 자비를 구하게 된다. 셋째, 하나님을 위한 하나님 사랑이다. 신자가 자신의 영적인 필요에 의해 하나님을 사랑하고 하나님과 교제하다보면 하나님의 선하심을 깨닫게 되어 하나님의 하나님 되심에 대하여 사랑하게 된다. 넷째, 자신을 위한 하나님 사랑이다. 이것은 하나님의 사랑 가운데 머물러 있는 자신을 위한 하나님 사랑이다. 피조되지 않은 신적 사랑의 임재에 압도되어 있는 상태를 추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경험의 결과로 신자는 하나님의 뜻만 추구하게 되며 하나님과 동행하는 삶을 살게 된다. 그것은 세상사의 압박을 초월하게 한다. 하나님의 임재가 세상의 염려로부터 자유롭게 하는 것이다. 버나드의 가르침이 한국교회에 주는 실천적 적용으로 세 가지를 숙고하였다. 첫째, 한국교회에게 기독교적 의미의 사랑의 가치를 재인식하게 해 준다. 한국교회가 그러한 가치를 인식할 때 한국교회는 예배와 교회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신앙 생활의 전 영역을 통해 그러한 사랑의 경험을 추구하게 될 것이다. 둘째, 성령의 능력을 추구하는 카리스마의 영성에서 성화의 영성을 추구하게 될 것이다. 카리스마의 영성이 강한 한국교회가 성화의 영성이 약한 이유는 신자의 내면을 정화하고 조명하는 성령의 활동 가운데 충분히 머물지 않기 때문이다. 그런데 성령의 임재를 통한 하나님의 임재 가운데 충분히 오래 머물 때 날마다 성화되는 길을 가게 될 것이다. 셋째, 생명을 주는 교회가 될 것이다. 신적 사랑 가운데 머물면 신자의 내면 속에 하나님의 생명이 넘치는 하나님의 나라가 형성되는데 그러한 신자들이 모이는 한국교회는 한국사회속에서 자연스럽게 생명을 주는 공동체가 될 것이다. This research analyzes the concept of love expressed in On the Love of God by St.Bernard of Clairvaux in the 12th century and relates it to the Korean church of the 21st century. Bernard teaches four steps of love according to the spiritual growth of a believer. First, the believer loves himself for himself by an innate self-love. The believer, however, needs to practice loving neighbors, since the self-love is a kind of selfish love. Second, the believer loves God for His grace. When the believer realizes that he or she is miserable spiritually, the believer loves God to seek His mercy. Third, the believer loves God for God himself. When the believer maintains an intimate love relationship with God for His mercy, the believer learns the goodness of God. Thus, the believer begins to love God for God Himself. Fourth, the believer once again loves himself for himself. The believer appreciates the worth of the state in which he experiences the overwhelming love of God. When he or she is filled with the love of God, he or she is also united with God's will. Then, the believer understands God's will in his or her life and commits his or her life to God's will. At the same time, the believer transcends the pressures and concerns of earthly life, since he or she only wishes to practice the will of God, no matter how demanding life is. This research then reflects upon the Korean church. First, it helps the Korean church appreciate the meaning of Christian love. Understanding its value allows the pursuit of experiencing love through activities like worshipping and studying the Bible. Second, it directs the Korean church to focus on the sanctification of its members. In general, the church has focused on the empowerment of the Holy Spirit, which is characteristic of charismatic spirituality. One of the reasons why the Korean church displays a lack of the fruits of sanctification is because the church did not remain in the activities of the Holy Spirit long enough for the purification and illumination of the soul. Third, it guides the Korean church to be the giver of life. When the believer habitually abides in the presence of God's love, the kingdom of God is realized in the believer's inner world. The believer is filled with the life God characterizes by love, peace, and joy. When individual members of the church experience such divine life, the life in the church expands beyond the walls of the church. The church then becomes a community of life for a society that is thirsty for true life.

      • KCI등재

        “Spirituality of Suffering” Drawn from the Event of the Transfiguration in the Gospels

        김수천 한국실천신학회 2013 신학과 실천 Vol.0 No.37

        The authors of the Synoptic gospels commonly place the events of the transfiguration in the same sequence: the confession of Peter, the announcement of Jesus’ suffering and death, the transfiguration, and a repetition of the prophecy about the passion. The event of Jesus’ transfiguration reveals that the glorious resurrection and ascension come only after suffering on the cross, of which the idea of “spirituality of suffering” can be developed from. When Christians practice the “spirituality of suffering,” they experience three blessings. First, the person who receives from them benefits materially as well as spiritually. As Christians practice the “spirituality of suffering,” they live a life of love, which is giving. Even though they do not give their whole life for others like Jesus, they still live the life of giving. Thus, the person who receives benefits as much as the one who gives. Second, the Christians who live in the “spirituality of suffering” experience complete joy. Jesus, in his parable of the vine and the branches, teaches that “my joy may be in you, and your joy may be complete.” He promises that the Christians who live the life of love will be rewarded with complete joy. Therefore, the “spirituality of suffering” becomes the “spirituality of joy” in the life of Christians. Finally, the Christians experience their own transfiguration through the “spirituality of suffering.” When they practice the “spirituality of suffering,” they experience the presence of God through the Holy Spirit as the Bible promised. As they experience God’s presence in their soul, their inner beings are purified and illuminated. Then, the Christians seek the presence of God even more. As a result, they are united with God in His will. At the same time, their inner beings are ignited by the light of God and become bright. Then, their faces shine, since they reflect the divine light in their hearts. In that spiritual state, they realize that the event of the transfiguration becomes their own experiences, although it is not the same experience as Jesus’, since it is fully realized only in heaven or after the second coming of Jesus. Still, they discover that the transfiguration of Jesus gradually becomes their own until the end of their life on earth.

      • KCI등재

        해방 후 우리 나라 교육과정과 '교육과정 2000'

        김수천 한국교육과정학회 1997 교육과정연구 Vol.15 No.2

        해방 후 우리 나라 교육과정은 그동안 민족 주권의 회복과 민주시민 의식의 강화, 교육기회 확대에 따른 내용의 심화·확장, 통일성 있는 교과의 개설과 내실화, 과학-기술교육의 강화 등을 통해 그 나름대로 국민의 자아실현과 삶의 질 향상, 국가의 경제발전과 민주화 등에 크게 기여해 왔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미진한 부분, 왜곡된 측면도 적지 않아 여러 가지 약점도 지적되고 있다. 전통과의 단절·급격한 서구화에 따른 혼란, 삶과 교육내용의 관련성에 대한 의문, 필수과목 중심의 교과편제와 획일화, 교육과정 총론과 각론간의 괴리, 분산식 이수방법에 따른 피상적 학습과 과중한 학습부담, 대학입시 중심의 파행적 교육과정 운영, 행정편의주의·교과이기주의의 체질화 등이 그 대표적 약점이라 할 수 있다. 문민 정부의 개혁열풍에 힘입어 교개위 주도 아래 제시된 '교육과정 2000'은 '21세기의 세계화·정보화 시대를 주도할 자율적·정보화 시대를 주도할 자율적·창의적인 한국인을 육성'한다는 목표와 함께 ① 국민공통 기본교육기간의 설정 ② 과감한 교과통합과 학기별 이수과목수의 축소 ③ 고등학교2,3학년의 학생 선택중심 교육과정 ④ 수준별 교육과정 등 주목할 만한 대안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개혁의 정신과 내용이 좀 더 검토되고 필요한 수정·보완을 거쳐 일관성 있게 학교현장 개선으로 이어진다면 2000년대의 우리들의 학교는 아마 크게 달라질 수도 있을 것이다. 다만 ①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에 있어서의 교과수와 학생선택제 도입 여부 ② 수준별 교육과정의 적용범위와 그 운영방법 ③ '교육과정 2000'의 현장 적용을 위한 제도적, 행·재정적 지원 등에 대해 충분한 재검토와 보완이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Meanwhile, We have pointed out many kinds of strengths and weaknesses in relation to our school curriculum. As the strengths, we can list ① strengthening national consciousness and democratic values ② modernizing educational contents and school subjects ③ improving the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and other. At the same time, however, we should point out more serious weaknesses of our school curriculum. They are as follow : ① the confusion of national identity came from sudden westernization of the curriculum ② the doubtfulness of the relations between our lives and school subjects ③ the rigid subject system composed mainly by the required subjects, and so forth. 'Curriculm 2000' is the different name of the 7th school curriculum in Korea. It involves various characteristics : ① the national common curriculum from Grade 1 to Grade 10 ② the elective subject system during the two years, from grade 11 to Grade 12 ③ the curriculum suitable to students' ability levels, etc. 'Curriculum 2000' also has some following difficulties and limitations : Why can we not introduce the elective system to national common curriculum? Might the ability-level curriculum not strengthen the hightly competitive climate of our schools more extremely? Are we able to sufficiently provide with appropriate support system for 'Curriculum 2000' within two or three years? … In shor, we should check them more considerately and select more trustworthy alternat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