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동주택단지 내 텃밭 운영 현황고찰 및 시사점

        김민선(Kim, Min-Sun),정윤남(Jeong, Yunnam),김세용(Kim, Seiyong) 대한건축학회 2015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1 No.3

        The study examines trends of gardening in apartment complexes which is currently making progress, and aims to draw implications for vitalizing vegetable garden within apartment complexes through survey and analysis on the sites with gardening cases that are constructed and managed in various forms. By summarizing the trends of vegetable garden in an apartment complex, firstly, it can be said that vegetable garden in an apartment complex has a good possibility to become activated by utilizing constructed spaces, facilities, and human resources. Secondly, vegetable garden in an apartment complex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cases according to construction and management method, and they are the case that gardens constructed by a self-community, the case that gardens constructed by a local government, and the case that gardens constructed by a construction company when establishing a new complex. Thirdly, features,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ach category appeared differently as the result of survey and analysis. It should make an effort to arrange cooperation plan of each subject"s features and strengths in steps from constructing gardens to managing and supporting.

      • 생활 SOC 유형화를 위한 해외 선행연구 분석

        김연수(Kim, Yeonsoo),김세용(Lee, Seiyong) 대한건축학회 2019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39 No.1

        As the problem of population reduction and declining of urban areas deepened, the government announced "Living SOC Project" to expand living infrastructure as its alternative. However, the ‘Living SOC Project,’ which is in the beginning stage, has yet to be established and Living SOC"s academic definition, concepts, classification standards, and individual facilities have not finalized. However, foreign advance researches have classified it as accessibility and spatial equity and highlighted its importance. In this study, the scope of the Living SOC was limited, and its types were organized to provide primary data for future studies by analyzing foreign advance studies which are selected based on the national minimum standard of the living infrastructure.

      • KCI등재

        인구감소 군지역의 공공건축 증가 수준 분석을 통한 투자심사 개선방안

        김준래(Kim, Junlae),김세용(Kim, Seiyong) 한국도시설계학회 2021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2 No.5

        최근 공공건축은 본연의 기능인 공공서비스 제공 장소뿐만 아니라 지역 사회 거점으로서의 역할을 요구받고 있으나 지역 단위의 수요 변화 진단과 수요대비 공급 적정성은 심도있게 논의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인구감소로 지방소멸에 직면한 군지역을 대상으로 공공건축 증가에 지방재정세입 요인이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공공건축 건립 시에 요구되는 지방재정 투자심사에 대한 개선방안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실증분석 결과, 인구감소 지역에서 의존재원이 공공건축 증가를 견인하면서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이 나타났을 개연성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인구감소와 상반된 공공건축 증가는 향후 지방재정을 더욱 위축시킬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지방소멸 관점에서도 시급한 개선이 요구된다. 이에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투자심사 단계에서 첫째, 사업비와 함께 인구수요 변화를 검토할 수 있도록 기준 절차를 정비할 필요가 있으며 둘째, 투자 심사 기준이 되는 재원은 원출처로 변경하여 일반재원 개념이 아닌 자주재원으로 검토하여, 인구감소 심화 수준과 기 공급된 공공건축 현황이 연계·검토될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한다. Recently, public architecture has been required not only to provide public services, but also to serve as a base for the local community, but diagnosis of changes in population demand at the local level or appropriateness of supply compared to demand have not been discussed in dep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impact of local financial on the level of public building growth in areas where the population has decreased, and to derive improvement measures for local financial investment review required when building public buildings. The panel analysis showed that the regression coefficient of local grant tax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opulation reduction areas, indicating an imbalance in supply and demand as dependent resources drive the increase in public buildings. This increase in public architecture is likely to dampen local finances, so urgent improvements are also needed in the perspective of extinction of local citi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first, it is necessary to review changes in population demand at the local financial investment review stage, and second, second, financial resources, which are the criteria for investment screening, need to be changed to original sources and reviewed as self-financing resources, and improved so that they can be linked to the level of population reduction and the current status of public buildings supplied.

      • KCI등재

        커뮤니티 가든 활성화를 위한 공동주택단지 내 외부 공간 선호도 연구

        김소은(Kim, Soeun),오주석(Oh, Jooseok),김세용(Kim, Seiyong) 한국도시설계학회 2016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7 No.3

        본 연구는 기존 도시농업과 커뮤니티 가든의 개념적 차이를 타진하고, 이를 바탕으로 공동주택단지 내 주민 인식조사를 통해 공동주택단지 내 커뮤니티 가든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 선행연구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도시농업은 그 개념이 커뮤니티 가든의 유사한 성격과 목적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국내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공동주택단지 내 작물재배 활동이 가능한 총 6개의 외부공간 유형을 도출하였고, 현장 설문조사를 통해 거주민들이 선호하는 공동주택단지 내 주요 외부공간을 타진함으로써 각 주동 옥상과 주변 녹지공간에 대한 주민들의 선호도가 타 유휴지 대비 높음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설문조사 및 통계분석을 통해 커뮤니티 가든 활동에 대한 관심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 취미, 심신안정, 휴식 등과 같이 기존 커뮤니티 가든이 추구하는 목적에 부합함을 일부 밝혔다. 그러나 커뮤니티 가든의 중요 목적 중 하나인 이웃 간 교류는 응답자의 참여 의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highlight differences in the concepts of the urban agriculture and a community garden and to explore ways to vitalize community gardens within joint housing complexes based on surveys on residents. By analyzing researches, this paper found that the urban agriculture in Korea shares similarity to the community garden in terms of its features and objectives. Also this research spotted six types of outdoor spaces within multiple housing complexes for cultivation. Surveys on residents then found that the rooftop of each apartment building and the surrounding green spaces were the most favored compared to other unused spaces. Finally, surveys on residents revealed that major factors that drew residents’ attention to activities in community gardens were to take a rest, relax and to enjoy as a hobby, among others. Exchanges among neighbors, however, did not affect much on their willingness to join the activities, though it is one of the key goals of the facilities.

      • KCI등재

        지역사회 재생을 위한 캠퍼스타운 계획 및 설계 연구

        오주석(Oh, Jooseok),김동현(Kim, Donghyun),여혜진(Yeo, Hyejin),김세용(Kim, Seiyong) 한국도시설계학회 2014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5 No.2

        본 연구는 최근 대두되고 있는 캠퍼스타운 조성과 대학-지역사회 간 협력을 통한 환경 개선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대학 인접지역에 지역사회의 재생을 위한 전략적 거점구역의 선정 및 캠퍼스타운의 계획안을 제시한다. 연구의 방법으로 첫째,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 대학 주도의 캠퍼스타운 조성의 당위성과 방법론을 모색한 후 대상지 선정을 위한 지표를 도출하였고, 둘째, 대상지인 고려대학교 안암캠퍼스를 중심으로 낙후한 주변 지역의 재생과 대학의 시설 충족 및 주변 시설 간 연계 방안을 목적으로 하는 거점구역을 선정하여 캠퍼스타운 계획의 근간을 마련하였다. 셋째, 구역 내 필지 및 건축물의 현황을 바탕으로 대상지의 지역성 보존, 대학시설과 지역산업 간 연계, 그리고 정주환경 개선을 통한 주거환경 증진을 위해 구역 내 건축물의 보수, 신축, 개축, 존치 등을 바탕으로 한 소단위 정비계획안을 수립하였다. 또한 대학과 대상지 간 연계성 확보를 위한 가로 및 건축물 입면 재료 및 색채 등의 디자인 개선 방안을 도출함으로써, 대학의 성장 목표가 내연적 성장이 아닌 지역사회의 재생과 관계기관의 지원 하에 장기적 관점에서 실현될 수 있도록 하였다. This research explores ways to design a campus town by selecting strategic areas with an aim to revive local communities adjacent to college. The process begins from a growing trend of creating a town that encompasses both a school campus and its neighboring areas, and from the notion that the partnership between a school and a local community would lead to the improvement in regional environments. This paper adopts the following research methods; First, literature reviews and the study of relevant cases verify a need to build a campus town in local community and present proper approaches to the matter. Secondly, the paper pinpoints strategic areas to connect the Anam Campus of Korea University in Seoul and to those for neighboring regions to seek ways to vitalize the shabby regions. Third, the paper draws a small-scale regeneration plan by factoring in diverse aspects of the region and structures. The dissertation also seeks how to improve designs of streets and facade, which would enable a college to achieve desirable, long-term goal of restoring the local community.

      • KCI등재

        고령친화도시 지표개발에 관한 연구

        이광현(Lee, Kwang Hyun),김세용(Kim, Seiyong) 한국도시설계학회 2017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지금까지 사회 · 복지를 중심으로 연구되었던 도시의 고령친화 평가지표에서 벗어나 물리적 환경 중심의 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국내 선행연구들의 지표는 WHO(World Health Organization)의 고령친화도시 가이드라인에 의한 것이며 주관적인 설문조사에 의존하고 있어, 다른 지역에 동일한 조건으로 적용이 어렵게 개발되었다. 그래서 고령자의 실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환경 중심의 객관적이며 측정 가능한 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국내외 선행연구에서 선별된 1차 지표(157개) 중 국내 주요기관들로부터 자료구득이 가능한 2차 지표(55개)를 만60세 이상 167명을 대상으로 고령친화와의 관련성에 대해 설문조사하였다. 고령자 입장에서 바라본 최종 지표는 총 52개이며 물리적 환경(22개), 건강 · 복지(11개), 사회(9개), 경제(10개)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고령친화도시 지표를 활용하여 지역별 수준을 진단하고, 부족한 지표의 관련된 분야를 보완하는 사업에 우선순위를 부여함으로써 지역특성에 맞는 바람직한 고령친화 정책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indicators focusing on the physical environment, which is deviated from age-friendly city indicators focused on the social welfare. Since indicators from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es depended on subjective surveys, and are adapted from ‘Global Age-friendly Cities: A guideline’(WHO, 2007), it is very difficult to apply the indicators to various regions identically. Therefore, we wanted to develop objectives measurable indicators focusing on the physical environment that directly affects older persons’ lives. The first indicators(157) were selected from previous studie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and the second indicators(55) were selected under criterion that can be obtained from major institutions. Finally, final 52 indicators which consist of four categories: physical environment(22), health and welfare(11), society(9), and economy(10), were selected by surveying 167 people aged over 60. It is expected that indicators developed in this study would help to develop appropriate age-friendly policies by diagnosing regional level and by complementing the relevant areas of the low-scored indica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