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대구지역 고대정치체의 형성기반과 달성토성의 위상 - 고고자료를 중심으로 -

        김세기 ( Kim Seki ) 대구사학회 2018 대구사학 Vol.132 No.-

        대구지역에 처음 사람들이 살기 시작한 시기는 월성동 777-2유적에서 좀돌날 석기를 포함한 석기 제작장이 조사된 바 있어 늦어도 후기 구석기시대 전후로 보인다. 그 이후 신석기, 청동기, 원삼국 시대를 지나면서 하천과 구릉지를 중심으로 취락이 형성되었고, 인구의 증가와 농경이 발달하여 고대 정치체가 형성되게 되었다. ‘대구분지’는 주변 산지의 여러 골짜기에서 발원한 금호강과 대구의 중심을 북에서 남으로 관류하는 신천의 주변에 형성되어 있다. 즉 금호강과 신천, 팔거천, 진천천 주변의 충적지와 그 주변으로 발달한 낮은 구릉지를 포괄하는 범위이다. 한반도 남부지역은 기원전 2세기말이 되면서 고조선 혹은 낙랑지역 주민들의 유이민 파동에 의해 발달된 중국 한(漢)의 철기문화가 급속히 전파되고, 농경을 비롯한 철기제작기술의 발달로 여러 세력사이에 정복과 통합이 활발히 일어나게 되었다. 철기문화와 함께 무문토기가 주류이던 토기도 와질토기라는 새로운 토기가 등장하여 이러한 변화를 주도하였다. 그리고 이즈음에 묘제도 지석묘와 석관묘에서 목관묘라는 새로운 묘제로 변화한다. 이 목관묘는 구릉의 중심지에 집중화 되고 한국형동검과 철제무기 및 무엇보다 중요한 철제 농공구 등이 대량으로 부장되는 등 고대 정치체 형성의 기반을 보여주고 있다. 이것은 『삼국지』 등이 보여주는 진변한 소국의 형성 징후를 그대로 확인시켜주는 것이다. 이러한 초기국가 형성의 징후는 기원전 1세기 전반의 대구 팔달동 유적에서 잘 나타나고, 만촌동과 평리동 등에서도 이시기의 청동제품과 철기들이 출토된바 있어 금호강 유역의 대구지역이 다른 지역 보다 빠른 시기에 소국이 형성되었다고 생각된다. 대구지역에는 다벌국(多伐國), 혹은 달벌국(達伐國)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이름들은 대구의 고총고분군 분포와 관련이 있는 것이다. 대구지역에서 이러한 소국이 존재했던 곳은 대구 중부의 내당동, 비산동, 평리동지구와 화원지구, 다사지구, 팔달동지구, 불로동지구 등이다, 여기에는 달성토성을 비롯하여 화원의 성산토성, 죽곡리 산성, 봉무동토성, 검단토성 등이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소국 중에서 중심은 달성토성이 있는 다벌국 혹은 달벌국이었다. 또 이때의 묘제는 이전까지 목관묘가 주류였으나 점차 정치권력이 확대 되면서 고총고분군으로 이어진다. 대구지역의 주요 고총고분군은 내당 동·비산동고분군, 대명동고분군, 성산리고분군, 문산리고분군, 구암동고분군, 불로동고분군 등이다. 달성토성은 대구분지의 중심부에 자리잡은 토성이나 점토다짐의 중간에 석축을 교차로 쌓아올린 토석 혼축성이다. 삼국통일 후 신라는 신문왕 9년(689)에 오늘날의 대구광역시 중심부인 달구벌로 수도를 옮기려 하였다. 비록 실행하지는 못하였지만, 아마도 달성토성은 새 수도 궁성의 가장 유력한 후보지였을 것이다. The first time people started living in Daegu seems to be around late Late Paleolithic.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stoneworks, including Jomdolnal seoggi, were found in the 777-2 ruins of Wolsung-dong. Since then, villages have been formed around the rivers and hills, passing through the Neolithic, Bronze Age, and the Third World. As a result, population growth and agriculture developed and ancient politics were formed. ‘The Daegu Basin’ covers the alluvial areas around Kumho River, Shincheon, Palgcheon and Jincheon, and the low hills developed around them.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iron culture of Han, which was developed by the migrants of Choson or Nakrang area, spread rapidly in the end of the second century BC. The development of iron and steel making technology, including agriculture, led to the active conquest and integration among the various forces. In addition to iron culture, the earthenware culture changed from Mumuntogi to Wajiltogi. At this time, the mausoleum changes from a stone coffin grave to a wooden coffin. This wood carvings are concentrated in the center of the hill and show the foundation of the formation of ancient politics such as Korean sword and iron weapons, and most important iron farming tools. The signs of the formation of the early state appeared well in the Paldal-dong area of ​​Daegu in the first half of 1st century BC. And the bronze products and iron ware were excavated at Munchong-dong and Pyeongri-dong in the same period. It is known that Daegu was a Dabeol country or a Dalbeol country, which is related to the distribution of tombs in Daegu. In Daegu area, these small areas were Namdang-dong, Vishan-dond, Pyeongry-dong and Hwawon Area, Dasa Area, Paldal-dong, and Bulro-dong. There are the earthen ramparts such as Sungsan, Seongsan, Jiokgok, Bongmudong, Geomdan. After the re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Silla tried to move the capital to the Dalgubel, the center of Daegu Metropolitan City(689). Perhaps Dalseong earthen ramparts, although it could not, was probably the most likely candidate for the new capital c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