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등학교 체제의 다양화: 양상과 성과, 그리고 과제

        김성열(KIM, Seong-Yul),김훈호(KIM, Hoon-Ho)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15 교육연구와 실천 Vol.81 No.-

        Korean governments have consistently aimed at resolving various issues resulted from introduction of High school standardization policy which was adopted since 1974. Prior to 5.31 Education Reform in 1995, most of policy attention was focused on diversifying types of high schools, and during this period, various new types of high schools were established in Korea. However, it was found that from Kim Young-Sam administration, such policy focus gradually shifted from ‘diversifying school types’ to ‘increasing autonomy of individual school operation’. Since it is almost impossible to introduce new type of high school continuously, increasing school autonomy and developing unique curriculum and school management can be regarded as more effective tool to diversify Korean high school system. However, under current university admission system, increased school autonomy and specialization may bring out unexpected competition among schools and students. Therefore, supplementary policy tools that can prevent and resolve such potential problems need to be considered from policy makers. 1974년에 도입된 고교 평준화 정책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역대 정부들은 고등학교 교육의 다양화 및 자율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왔다. 1995년의 5․31 교육개혁 이전에는 주로 ‘고교 유형의 다양화’ 정책이 추진되었는데, 일반계와 전문계로 양분되어 있던 고등학교 체제에 특목고나 특성화고와 같이 기존 학교와 전혀 다른 새로운 유형의 학교들을 설립함으로써 학생들의 다양한 교육적 욕구를 충족시켜주고자 하였다. 김영삼 정부 또한 5⋅31 교육개혁을 통해 국제고나 대안학교 도입 등 학교 유형의 다양화 방안을 제안하기도 하였으나, 김대중 정부와 노무현 정부, 이명박 정부 등을 거치면서 ‘고등학교 체제 다양화 정책’의 무게중심이 고등학교 ‘유형의 다양화’에서 ‘운영의 자율화’로 이동하는 경향을 보였다. 고등학교 체제를 다양화하기 위해 계속해서 새로운 유형의 고등학교를 설립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학교의 운영 자율권을 대폭 강화하고 학교 스스로 특색 있는 교육과정이나 운영 방안을 추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고등학교 체제를 다양화하기 위한 보다 효과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다만, 현재와 같은 대학입시 구조 하에서는 ‘고등학교 운영의 자율화 및 특성화’가 예기치 않은 경쟁 상황을 초래할 수도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들이 수반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후보

        교원양성기관의 책무성: 체제적 관점

        김성열 ( Seong Yul Kim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人文論叢 Vol.28 No.-

        이 글은 이제 시작된 교원양성기관 또는 체제의 책무성에 대한 논의를 보다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교원양성기관의 책무성의 의미를 명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 글에서는 교원양성기관의 책무성의 개념을 체제적 관점에서 규정하고, 그것을 준거로 교원양성기관의 책무성 이행의 정도를 확인하고, 강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체제적 관점에서 볼 때, 교원양성기관의 책무성은 교원양성의 투입-과정-산출에 대한 국가·교원양성기관·교수의 책무성이라고 할 수 있다. 국가, 교원양성기관, 개별교수들은 교원양성에 대한 책무성을 다양한 방식으로 이행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가는 교원양성기관에 대한 평가제도를 도입하고 그 결과를 활용하여 구조조정을 시행하는 것과 같은 규제 지향적 책무성 이행에 중점을 두고 있다. 앞으로 교원양성기관이 자발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노력을 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는 것과 같은 조성(助成) 지향적 책무성 이행으로 옮겨가야 한다. 개별 교원양성기관들은 질 높은 교원을 양성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지만, 3주기 교원양성기관 평가를 통해서 드러난 책무성 이행수준은 만족스러운 수준이 아니었다. 교원양성기관의 교수들은 개인적 수준에서 책무성 이행에 노력하고 있지만, 학교현장을 이해하고 현장의 요구에 부응하려는 노력이 미흡함이 드러났다. 교원양성기관과 교수들은 전문성과 헌신성이 높은 교원들을 길러내기 위하여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곧 그들의 책무성 이행을 강화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eacher training institutes are a kind of system, consisted of inpu-process-output.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conceptual structure, to grasp the status quo of implementation, and to suggest strengthening strategies of accountability of teacher training institutes from a systematic perspective. First, the conceptual structure of accountability of teacher training institutes is analysed at national, institutional, and individual levels in three dimensions-input, process, and output, respectively. Second, the status quo of implementation of accountability of teacher training institutes is discussed based on the data reported in previous studies. Lastly, some plans and strategies are suggested to strengthen teacher training institutes at national, institutional, and individual levels. At the national level, three suggestions are made, including expanding scholarship support regardless of public or private institutes; at the institutional level, seven suggestions are made, including improving teacher training programs provided in the teacher training institutes; at the individual level, four suggestions are made, including strengthening professional competencies of faculty members of teacher training institutes.

      • KCI등재

        학생 인권에 대한 학생,교원,학부모의 인식 분석

        김성열 ( Seong Yul Kim ),오세희 ( Se Hee Oh ),남형우 ( Hyeong Woo Nam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人文論叢 Vol.30 No.-

        이 연구는 학생 인권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학생 인권을 다룬 연구들이 증대하고 있지만, 기존 연구들이 학생·교원·학부모 등 교육주체들이 학생의 권리와 관련한 주요 사항들을 어떻게 바라보고 그에 대하여 어떠한 인식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소홀하게 다루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학생 인권에 대한 학생·교원·학부모의 인식을 분석하여 최근 학생인권조례 제정을 둘러싼 교육주체 간 갈등의 단면을 드러내고 더 나아가 학교 현장에서 학생지도에 활용을 위한 시사점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 학생 교원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방법을 통하여 밝혀낸 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교육주체들 모두 학생들의 인권 보장과 관련하여 적극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또한 학생 인권을 침해하는 일들이 우리 학교 사회에서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지만 학생인권에 대한 고양된 의식의 결과로 줄어들고 있다. 교육주체들은 학생 인권을 제한하는 일은 타인의 권리 침해와 같은 공동체의 이익을 훼손하는 경우로 최소화되어야 하며, 학생의 권리 행사 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사회적 인식의 개선과 교육 환경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학교에서 규칙을 제정할 경우에는 학생들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확대해 나가는 방안도 강구해야 할 뿐만 아니라, 학생들이 규칙을 위반할 경우에는 그 제재 방법이 인권 친화적이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urrent state of student human rights and to explore its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of the student human rights. This study analyzed educational stake holders` perceptions about current state of student human rights by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of Kyunsangnamdo. The major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educational stake holders support student human rights positively and strongly. Secondly, violations of student human rights has decreased by awareness improvement of student human rights although it disappeared completely. Thirdly, educational stake holders think that restrictions and regulations of student human rights should be minimized within limits not prejudicial to others` rights. Fourthly, strengthening and building up student capacity of human rights requires improvement of social perception about student human rights and school climate. Fifthly, the participation of students should be extended in the process of school rules and regulations enactment. Lastly, a disciplinary action and measures to students who have offended school rules and regulations should be student human rights friendly.

      • KCI등재

        교육제도 운영의 통제권 배분 성과와 과제: 박근혜정부 이전을 중심으로

        김성열 ( Seong Yul Kim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人文論叢 Vol.31 No.-

        이 글에서는 지방교육자치제 및 학교자율화의 진전이라는 문제의식에서 지난 MB 정부 기간 중 교육제도 운영 및 교육정책 추진과 관련하여 교육부와 시 도교육청 간에 나타난 갈등과 대립을 지켜보며 중앙(교육부)과 지방(시 도교육청) 간, 시 도교육청 등 교육행정기관과 단위학교 간 권한배분을 어떻게 할 것인가 그리고 교사의 수업 자율성은 어느 정도인지, 교육제도 운영에 대한 통제권을 민주적으로 배분하는 적정기준은 무엇인가 등을 다시 생각해 보고자 하였다. 교육제도 운영에 대한 통제권의 배분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학부모 등 교육관련 이해당사자들의 교육에 관한 권리와 책무를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그 방향은 국가가 가졌던 통제권을 지방으로 이양하여 분권화를 더욱 촉진하는 것이어야 하고, 지방에서는 교육제도 운영에 대한 학부모를 포함한 지역주민들의 통제권을 강화할 수 있도록 민주화를 더욱 촉진하는 것이어야 한다. 그리고 교육이 실제로 이루어지는 단위학교는 교육대상에 적합한 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자율성을 가져야 한다. 교사들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그런데, 단위학교와 교사의 자율성은 교육대상자에게 가장 적합하고 질 높은 교육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그에 따른 책무와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The present paper aimed at examining the effects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democratization and suggesting tasks for realization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democratization in Korea before Park`s Government. Local autonomy system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s a way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democratization at national and local level. It has contributed to expansion of citizens` participation at educational administration by election of superintendent and local council member. School-based management is a way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democratization at school level. For school has more autonomy from national and local educational authorities than the past under school-based management system. To improve educational administration democratization we should perform some tasks in the future. Central government should transfer more control power on educational administration to the local authorities than the past. Parents and citizens must have their voices about educational administration at local level. School needs to go beyond control of national and local educational authorities for customized education to students. Teacher must balance between duty and freedom and have balanced perspective on controversial issues.

      • KCI등재후보

        학교중심 행정체제의 형성과 변화: 양상과 성과 그리고 전망

        김성열(Seong Yul Kim)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2006 지방교육경영 Vol.11 No.-

        이 글에서는 학교중심 단위학교 행정체제의 형성과 변화를 크게 단위학교 지원 행정체제와 내부 행정체제로 나누어 그 양상과 성과 그리고 전망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먼저, 학교중심 행정체제의 외적 기반이 되는 단위학교 지원 행정체제는 단위학교 자율권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변화되어 왔고, 학교중심 행정체제의 기반을 조성하여 왔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아직도 교육행정기관 우위의 행정풍토가 상존하고 있고, 단위학교에 대한 지원기능이 미흡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단위학교 지원 행정체재가 학교중심 행정체제의 기반으로서 확고하게 구축되기 위해서는 단위학교의 자율성을 제약하는 교육행정기관 우위의 관행과 행정 풍토가 쇄신되어야 함을 밝혔다. 이것은 교육행정기관 수준별로 기능이 재정립되고 전환될 때 가능함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학교중심 단위학교 행정체제의 내적 조건으로서 단위학교 내부 행정체제를 단위학교 의사결정체제를 중심으로 점검하고 변화 방향을 전망하였다. 첫째, 단위학교 의사결정체제는 학교구성주체들에게 의사결정에의 참여기회를 개방하고 참여적 의사결정체제를 확립하는 방향으로 변화되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그러한 방향으로 변화되어 온 단위학교 의사결정체제는 단위학교 수준의 의사결정의 민주화와 효율화라는 성과를 낳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아직도 교사들을 중심으로 한 일부 구성원들은 단위학교에서의 의사결정 권한이 학교장에게 집중되어 있고, 자신들과 학부모들의 의견이 제대로 의사결정과정에서 반영되고 있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음도 발견하였다. 셋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단위학교 구성주체간 권한 배분체계를 명확히 하고 학교중심 단위학교 행정체제의 주체로서 학교장의 위상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함이 밝혀졌다. 그리고, 현재 불완전한 학교운영위원회 중심 단위학교 의사결정 체제를 공고하게 하고, 교직원회의와 학부모회의를 활성화하여 의사수렴과 의사결정예 있어서 협동적 분업체계를 만드는 것이 요구됨도 분명해졌다. This paper aimed analyzing formation and changes of school-based management system and proposing its prospect towards the future. First of all, The local educational administration changed into expanding and supporting school autonomy from regulating school-site operation. Secondly, School-level administration system changed into providing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at decision-making with stakeholders, especially parents. These changes in local educational administration system and school-level administration system resulted in democratization of school management and improvement of school-site decision-making. The future of school-based management system will be driven into enhance autonomy and accountability of individual school.

      • KCI등재

        국ㆍ공립학교 학교운영위원회 성과 분석

        김성열(Kim Seong Yul),공동배(Kong Dong Bae) 한국교육행정학회 2007 敎育行政學硏究 Vol.25 No.4

        본 연구는 학교운영위원회가 도입된 후 12년이라는 시간이 지난 시점에서 학교운영위원회가 학교혁신의 주요한 기제로써 거두고 있는 성과에 대한 학교운영위원들의 평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드러난 학교운영위원회의 성과에 대한 학교운영위원들의 평가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운영위원들은 학교운영위원회가 학교운영 구조를 개편하는 기제로써 학교구성원들의 참여 확대, 열린 구조로의 개편, 단위학교의 자율성 확대에 기여하였다고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둘째, 학교운영위원들은 학교운영위원회가 학교운영과정의 개선에 가져온 성과를 가장 높게 평가하였다. 특히, 학교운영의 투명성 확보를 가장 높게 평가하였다. 그 외에 학교운영의 민주화, 좋은 의사결정, 책무성 강화에 기여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셋째, 학교운영위원들은 학교운영위원회가 학교교육 프로그램의 다양화, 학교교육의 질 제고에 기여함으로써 교육활동의 성과를 높이고 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넷째, 학교운영위원들은 학교운영위원회 운영과정에서 서로에 대하여 이해하고 존중하는 정도와 교육공동체 의식이 고취되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끝으로, 학교운영위원회의 성과에 대한 학교운영위원들의 평가에서 두 가지 공통적인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하나는 초등학교 운영위원들이 중학교나 고등학교의 학교운영위원들보다 학교운영위원회의 성과를 높게 평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다른 하나는 학교장이 가장 높게 학교운영위원회의 성과를 평가하고, 그 다음으로 지역위원이 높게 평가하고, 학부모위원이 가장 낮게 평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This study aimed at analyzing how the school council members evaluated the effects of the school council at this point of time when 12 years had passed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school council. The school council members evaluated that the school council produced positive effects ass follows. First, the school council members evaluated positively that the school council contributed to improvement of school management structure, for example, the school council changed the school management from the closed structure to the open. Second, the school council members evaluated the guarantee of the transparency highly. In addition, they evaluated that the school council contributed to the democratized school management, the better decision making and the consolidating accountability of school council members. Third, the school council members evaluated positively that the school council contributed to the diversity of the school education programs and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the school education. Lastly, the school council members evaluated that they could respect each other and enhance the community spirit.

      • KCI등재후보

        공영형 혁신학교: 구상과 제도화

        김성열(Seong Yul Kim),천세영(Se Young Chun)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2006 지방교육경영 Vol.11 No.-

        이 연구에서는 공영형 혁신학교의 기본 구상을 제안하는 것을 궁극적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우선, 이제까지 고등학교 체제의 다양화 · 자율화 실태를 점검하고 공과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나서, 공영형 혁신학교의 기본구상을 제시하였다. 공영형 혁신학교는 각 지역의 실정에 맞는 교육정책의 실현을 활성화하고 보다 다양한 학교교육을 장려하기 위하여 학교설립과 운영에 필요한 비용 부담을 교육인적자원부가 아닌 국가행정기관의 장, 교육감이 아닌 지방자치단체의 장에게도 확대하고, 운영권한 또한 다양한 법인이나 단체, 개인에게 위탁할 수 있는 학교이다. 공영형 자율학교는 교육과정, 교원임용, 학교운영 등에 대한 일률적 규제와 지도 · 감독을 대폭 혹은 포괄적으로 면제해 주는 한편, 학생과 학부모의 선택에 의하여 평가를 받고 아울러 주기적 평가를 통하여 재정지원의 지속여부를 결정하는 학교이다. 공영형 혁신학교도 현재로서는 하나의 제안이다. 수많은 학교변화의 노력 중 하나일 수 밖에 없다. 즉, 기존에 시도되어 온 여러 가지 메뉴들을 모두 버리고 최우선으로 선택해야 하는 것이라기 보다는 새롭게 시작해보는 메뉴의 하나일 뿐이다. This paper aimed at proposing the concept and institutionalization of public-funded independent school. That school is funded publicly by Ministry of Education, and managed by various agents, for example, governors, civil organizations, individuals, not superintendents. The Public-Funded Independent School has expanded autonomy in the aspects of curriculum, school personnel, and school governance system. The school will be evaluated periodically by clients, students and parents. Whether the position of school as public-funded independent school continues will be dependent on the result of that evaluation.

      • KCI등재
      • KCI등재

        논문(論文) : 대학 연구윤리규정의 내용 분석과 정비 과제

        김성열 ( Seong Yul Kim ),이차영 ( Cha Young Lee ) 대한교육법학회 2015 敎育 法學 硏究 Vol.27 No.3

        이 연구는 우리나라 4년제 대학의 연구윤리 관련 규정을 조사하여 그 특징을 추출하고, 현행 규정의 미비점과 향후 정비해야 할 과제가 무엇인지를 논구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조사 대상이 된 모든 대학의 연구윤리규정은 1) 연구 부정(부적절) 행위의 유형과 개념적 범위, 2) 연구 부정(부적절) 행위의 검증 절차 및 기준, 3) 검증 결과에 대한 후속 조치 등을 핵심 내용으로 포함하고 있다. 일부 대학은 부정(부적절) 행위의 종류와 유형을 자세히 소개함으로써 분명한 검증의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대학별 규정에서 향후 정비가 필요한 과제는 1) 부정행위와 부적절행위의 구분 실익에 관한 문제, 2) 검증 주체의 문제, 3) 검증의 시효 문제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들이 왜 문제가 되는지, 그리고 이 문제를 어떤 방향에서 정비하는 것이 대학 연구윤리의 발전적 확립을 위해 바람직한지를 논의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regulations of Korean universities concerning research integrity, and to discover some problems of the regulations and supplementary tasks to these problems. The regulations about research integrity of 149 universities, uncovering the regulations on their own web-sites, contain three essential elements commonly; 1)the type and boundary of research misconduct/misdemeanor, 2) inspection procedure and standard about the misconduct/misdemeanor, and 3) follow-up measures based on the inspection. A few regulations are helpful in making the inspection standard obvious by clarifying the boundary of research misconduct and/or misdemeanor. This study pointed out three important problems in the regulations to be resolved as follows: 1) What is the practical necessity of distinction between misconduct and misdemeanor? 2) Which is the proper agent of inspection when some institutions are engaged in a misconduct/misdemeanor? and 3) How do we treat the inconsistency of inspective prescription period among universities and even a university before and now? From the awareness of these problems, this study proposes relevant countermeasures to each problem accordingly. This proposal reflects the idea that existing regulations should be improved and aligned for the real integrity of university research.

      • KCI등재후보

        논문 : 학교운영위원회의 법제화의 성과와 전망

        김성열 ( Seong Yul Kim ) 대한교육법학회 2006 敎育 法學 硏究 Vol.18 No.1

        이 글에서는 법제화 10주년을 맞아 학교운영위원회의 위상과 기능에 대하여 새로운 논의가 제기되는 시점에서 학교운영위원회의 제도화 과정을 정리하고, 법제화의 성과와 문제점을 점검하며, 미래를 전망해보았다. 학교운영위원회는 1995년 5월 31일 교육개혁위원회에 의하여 제안된 이후 교육부의 시행계획에 따라 시범실시를 거쳐 1995년 정기국회에서 지방교육자치제에 관한 법률의 개정으로 제도화되었다. 그 이후 학교운영위원회 관련 사항은 교육관련법체계의 정비에 따라 초·중등교육법에 규정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그동안 학교운영위원회에 관한 법령은 심의사항을 확대·강화하는 등 학교운영위원회의 권한을 강화하였고, 학교구성주체들의 민주적 참여권을 확대하였을 뿐만 아니라, 사립학교에도 학교운영위원회를 전면 설치하고 그것의 권한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개정되어 왔다. 학교운영위원회의 법제화의 성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운영위원회는 학교의 폐쇄적 운영구조를 열린 운영구조로 개편하여, 학교구성주체들이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고 의사결정권한을 공유하는 효과를 낳고 있다. 둘째, 학교운영위원회는 학교운영과정에서 학교운영을 민주화하며, 그것의 투명성을 제고하고, 학교장으로 하여금 좋은 의사결정을 내리도록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학교구성주체들의 책무성을 강화하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 셋째, 학교운영위원회는 학교구성주체들의 필요와 욕구를 학교교육의 과정에 반영시키는 기제로 기능함으로써 학교교육활동의 성과를 제고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끝으로, 학교운영위원회는 단위학교 구성주체들인 교장과 교사, 학부모, 지역사회 인사들이 학교공동체 성원으로서의 의식, 역할에 대한 상호이해와 인정 및 존중, 역할수행능력 등을 학습하는 장이 되고 있다. 학교운영위원회는 앞으로 이러한 법제화의 성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교육제도와 동화 및 조절과정을 거치면서 단순한 심의기구가 아니라 의결의 효과를 가진 심의기구로서, 학교공동체 형성의 핵심기제로서, 단위학교의 자치기구로서 발전하면서 위로부터의 개혁이 아닌 아래로부터의 개혁을, 외부로부터의 개혁이 아닌 학교 구성원 스스로의 개혁을 이끌어내는 토대가 될 것이라고 전망할 수 있다. A School Council was introduced to Korean schools with expectation of building an autonomy-based school community. A School council, following local education government law and after going through experimental implementation, is widely adopted at public and privat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 school council is evaluated to have some effects as follows : Firstly, a School council is considered to function as a mechanism which offers parents and teachers more chances to participate in decision-making process. That is to say, a school council, by opening the opportunities of participation to the comprising members of schools such as parents, teachers, and community leaders, contributes to restructuring principal-centered school management system. Secondly, a school council brings political effects of democratizing school`s decision-making process. Thanks to school council, school management related information was opened to the public. Furthermore, a school council contributes to strengthening accountabilities of comprising school members through sharing responsibilities of school decisions. Thirdly, a school council help to enhance school achievement by fostering school members` devotions in a way of embodying needs and interests of a school community. Finally, through participating and working together in a school council, principals, teachers, and parents could learn to respect and collaborate with each other, which is transforming experiences for them, sufficiently to reconstruct roles and ways of working in 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