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Heat Transfer and Pressure Drop in PV/T Modules with Non-uniform Rib as a Turbulent Promoter Based on Numerical Analysis

        김성빈 부경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화석 연료 사용 증대로 인한 에너지 고갈 및 지구 온난화 등의 환경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맞춰 국내·외 신재생에너지 정책이 활성화되면서 시스템이 간편하고 활용도가 높은 태양광 시스템이 가장 주목을 받았다. 본래 태양광 시스템의 경우 전기 생산을 위해 일사 유입 시 태양광 모듈 온도가 상승하게 되어 발전 효율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태양광 모듈에 공기를 보내 태양전지를 냉각시켜 모듈의 발전 효율 저하를 방지한다. 태양전지에서 회수한 미활용에너지(폐열)는 겨울철 난방 및 여름철 제습 냉방 시스템 흡착제 재생 열원 등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태양광/열 모듈은 크게 공기식과 액체식으로 나눠진다. 공기식 태양광/열 모듈은 액체식보다 열 회수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 열 회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태양광 모듈 후면부에 불균일 난류 촉진제를 부착하며, 난류 촉진제의 형상조건 및 공기 유량 조건에 따른 열전달 성능 및 압력강하를 평가하려고 한다. 난류 촉진제의 형상 조건 및 공기 유량 조건에 따라 변화하는 열전달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전산열유체 해석 모델 구축 및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전산열유체 해석을 위해 상용 시뮬레이션인 ANSYS FLUENT 17.2를 사용하였다. 난류 촉진제의 형상 조건으로는 상대 높이(e/h), 설치 간격(p/e), 상대 폭(w/e)로 설정하여 총 36가지의 형상조건을 형성하였으며, 유동 조건 (Re)를 4조건을 형성하여 총 144가지의 해석 조건을 만들어 수치해석을 진행하였다. 열전달 성능(Nusselt number)은 최대 2.03배, 최소 1.28배 증가하였다. 압력강하(firction facotr)는 최대 4.68배, 최소 2.41배 증가하였으며, 난류 촉진제의 열전달 성능이 높아짐과 더불어 압력강하 또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최종적으로 열전달 성능과 압력강하를 동시에 고려하기 위한 열전달 성능계수(thermal hydraulic performance parameter)는 최대 1.24배, 최소 0.81배 증가하였다. 또한 위 난류 촉진제 수치해석 결과를 바탕으로 난류 촉진제의 형상조건 및 유동 조건에 따른 열전달 성능, 압력강하에 대한 상관관계 분석 및 상관식을 제시하였다. 열전달 성능(Nusselt number)의 상관식은 상관식의 예측값과 시뮬레이션 결과값의 오차율이 오차 범위 15%내에 모두 일치하였으며, 평균 오차율을 3.24%였다. 또한 압력강하(friciton factor)의 상관식은 상관식의 예측값과 시뮬레이션 결과값의 오차율이 오차 범위 15% 내에 모두 일치하였으며, 평균 오차율은 5.31%였다.

      • 12주간의 수기요법과 짐볼운동 복합처치가 중년 여성의 만성요통 개선에 미치는 영향

        김성빈 경희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40~50대 만성 요통 환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수기요법 및 짐볼 재활 운동이 처치 전&#8228;중&#8228;후에 표면 근전도, 척추 측만도, 주관적 통증정도, 허리 유연성, 그리고 허리 근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었다. 연구 대상자는 5개월 이상 요통을 겪고 있는 만성 요통 환자 37명을 선정하여 수기요법 복합처치 집단 15명, 집볼 운동 복합처치 집단 12명, 그리고 대조군인 매트운동 집단 10명으로 구성하였다. 각 처치는 3회/주, 12주간 실시되며 수기요법은 매 회 처치시간을 약 20-25분으로 통제하여 실시하였고 짐볼 재활 운동 처치는 개인의 체중을 이용한 강도로 2set, 15회/set를 실시하고 각 회당 동작은 10~15초 정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두 집단의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에서 얻은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등&#8228;허리 근육의 근활성도 좌&#8228;우측 차이값, 척추 측만 각도, 그리고 통증 정도는 수기요법 복합처치를 적용한 경우 6주차부터 유의한 개선 결과를 나타내었다. 짐볼 운동 복합처치를 적용한 경우 12주차부터 유의한 개선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매트운동과 비교하여 두 집단의 복합처치는 유의한 개선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처치 종료 후에 두 복합처치 집단 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2) 허리 유연성의 경우 짐볼 운동 복합처치 집단에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고, 3)허리 근력의 경우 짐볼 운동 복합처치가 다른 두 집단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결론적으로, 단기간 처치의 체형 조정과 통증 완화를 목표로 하는 경우 수기요법 복합처치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고, 장기간의 처치와 꾸준한 관리를 목표로 하는 경우 짐볼 운동 복합 처치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황에 따른 적합한 처치 방법의 적용으로 근육과 체형의 불균형 및 통증을 완화시켜 일상생활에서도 원활한 신체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effects of a 12-weeks adjustment therapy & mat exercise program with a 12-weeks Gym-ball & mat exercise program on sEMG(surface electromyograph), Cobb's angle of spinal, VAS(visual analogue scale), low back flexibility and strength in low back pain patients. Thirty-seven patients as a subject were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and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ree groups, i.e., adjustment therapy & mat exercise complex treatment group(AG: n=15), Gym-ball & mat exercise complex treatment group(BG: n=12) and mat exercise group(CG: n=10), respectively. The pretest-midtest-posttest randomized-groups design was utilized in this study. In pre test, sEMG(surface electromyograph), Cobb's angle of spinal, pain scale(VAS), low back flexibility and strength were measured. The sEMG test included both sides back muscle activity difference during isometric back extension. The subjects in the AG group progressed adjustment therapy and mat exercise treatment, performed for 50 minutes per session, 3 times per week for 12 weeks, whereas the subjects in the BG group went through the Gym-ball and mat exercise training, performed for 60 minutes per session, 3 times per week for 12 weeks. The subjects in the CG group went through mat exercise treatment, performed for 25 minutes per session, 3 times per week for 12 weeks. In mid-post test, all variables were measured again as same manner as the pre test. The data collected in the pre, mid and post tests at the AG, BG and CG group was analyzed by utilizing RMD two-way ANOVA. The results obtained in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1) decrease in latissimus dorsi and erector spinae muscle in the AG group and the BG group but the CG group were no significant decrease in the both sides muscle activity difference. The result of Post-hoc test was CG> AG, BG. 2) The Cobb's angl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1) decrease in the AG group and the BG group but the CG group were no significant decrease. The result of Post-hoc test was CG> AG, BG. 3) The pain scal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1) decrease in the AG group and the BG group but the CG group were no significant decrease. The result of Post-hoc test was CG> AG, BG. 4) The low back flexibil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1) increase in the BG group but the AG group and the CG group were no significant increase. 5) The back extension strength was no significant increase in all of the group. but the result of Post-hoc test was BG> AG, CG.

      • 4주간의 카이로프랙틱 또는 재활 운동이 만성 요통 중년여성의 근전도, 족압 균형 및 통증에 미치는 영향

        김성빈 경희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30~40대 만성 요통 환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카이로프랙틱 및 허리 재활 운동이 처치 전과 후에 근전도 측정, 족저 압력 측정, 그리고 주관적 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었다. 6개월 이상 요통을 겪고 있는 만성 요통 환자 16명을 선정하여 처치 방법에 따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카이로프랙틱 처치 집단 8명과 허리 재활운동 처치 집단 8명을 대상으로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는 사전?사후 검사 무선집단 설계(pretest- posttest randomized groups design)를 사용하였다. 사전 검사에서 근전도 검사, 족저 압력 검사 그리고 주관적 통증 정도가 측정되었다. 근전도 검사는 안정 시 근활성 조절과 허리 근 양측의 근활성 차이의 변인이 포함되어 있다. 각 처치는 3회/주, 4주간 실시되며 카이로프랙틱은 매 회 처치시간을 약 20분으로 통제하여 실시하였고 허리 재활 운동 처치는 개인의 체중을 이용한 강도로 2set, 15회/set를 실시하고 각 회당 동작은 15~20초 정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사후 검사는 사전 검사와 마찬가지로 모든 변인이 측정되었다. 자료 처리는 카이로프랙틱 처치 집단과 허리 재활운동 처치 집단의 근활성도, 족저 압력 균형 차이, 그리고 주관적 통증 정도 측정 결과를 집단 간 사전, 사후를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반복 측정 설계 이원 분산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카이로프랙틱 처치 집단의 광배근(40%), 가시근(43%), 최장근(27.6%), 그리고 장골늑골근(32%)이 전체적으로 근활성도가 감소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허리 재활운동 처치 집단의 경우 광배근(54.7%), 가시근(46.6%), 최장근(35.6%), 그리고 장골늑골근(26.4%)이 전체적으로 근활성도가 감소되었고 광배근과 가시근은 통계적으로 유의한(P<.05) 감소를 나타내었다. 2) 카이로프랙틱 처치 집단의 광배근(75.8%), 가시근(75.7%), 그리고 최장근(83.2%)에서 좌?우측 근활성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05) 감소되었고, 허리 재활운동 처치 집단의 광배근(67.4%), 가시근(73.8%), 최장근(74.1%), 그리고 장골늑골근(76.7%)에서 좌?우측 근활성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05) 감소되어 좌?우측 근활성도 균형 개선효과를 가져왔다. 3) 좌?우측 족저 압력 균형차이는 카이로프랙틱 처치 집단의 경우 3.67% 감소되어 통계적으로 유의한(P<.01) 결과를 보여주었고, 허리 재활 운동 처치 집단의 경우도 3.72% 감소되어 통계적으로 유의한(P<.05) 결과를 보여주었다. 4) 카이로프랙틱 처치 집단의 주관적 통증 정도는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P<.001) 감소를 나타내었고, 허리 재활운동 처치 집단 또한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하게 감소되어 두 처치 방법 모두 만성 요통으로 인한 통증의 개선 효과를 가져왔다. 결론적으로, 카이로프랙틱 처치와 허리 재활 운동 처치는 만성 요통 환자의 요추부 안정시 근활성도, 족저 압력 그리고 주관적 통증 정도를 개선시키데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The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effects of a 4-week chiropractic treatment with a 4-week low back 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 on sEMG(surface electromyograph), foot pressure and MVAS(modified visual analogue scale) in low back pain patients. Sixteen patients as a subject were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nd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wo groups, i.e., chiropractic treatment group(CP: n=8) and low back rehabilitation exercise group(RE: n=8), respectively. The pretest-posttest randomized-groups design was utilized in the study. In pre test, sEMG test, foot pressure, and modified visual analogue scales were measured. The sEMG test included resting muscle activity control and both sides muscle activity difference. The subjects in the CP group received chiropractic treatment, performed for 20 minutes per session, 3 times per week for 4 weeks, whereas the subjects in the RE group went through the low back rehabilitation exercise training, performed for 30 minutes per session, 3 times per week for 4 weeks. In post test, all variables were measured again as same manner as the pre test. The data collected in the pre and post tests at the CP and RE group was analyzed by utilizing RMD two-way ANOVA. The results obtained in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as no significant decrease in latissimus dorsi(40%), spinalis(43%), longissimus(27.6%) and iliocostalis(32%) in the CP group but the RE group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5) decrease in latissimus dorsi(54.7%) and spinalis(46.6%). 2) The both sides muscle activity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5) decrease on latissimus dorsi(75.8%), spinalis(75.7%), and longissimus(83.2%) in the CP group.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5) decrease latissimus dorsi(67.4%), spinalis(73.8%), longissimus(74.1%), and iliocostalis(76.7%) in the RE group. 3) The foot pressu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5) decrease in the CP group(3.67%) and the RE group(3.72%). 4) After low back treatment, Modified Visual Analogue Scale in low back pain patients. All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wo 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and were realiz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atistically(P<.001). As the result, chiropractic treatment and low back stretching exercise were beneficial for low back resting muscle activity, foot pressure, and modified visual analogue scale in low back pain patients.

      • 온라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의 학습참여 동기와 학습 만족도 관계에서 지각된 유용성, 자기조절학습 스킬의 조절효과 검증

        김성빈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온라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의 학습참여 동기와 학습 만족도 간 관계에서 지각된 유용성과 자기조절학습 스킬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온라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의 학습 만족도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교육 프로그램의 유용성 정도와 학습자의 학습 능력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학습참여 동기와 학습 만족도의 관계에서 지각된 유용성과 자기조절학습 스킬의 조절효과를 확인해보고자 하였으며, 이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온라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의 학습참여 동기(목표지향성, 활동지향성, 학습지향성)는 학습 만족도를 예측하는가? 2. 온라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의 학습참여 동기와 학습 만족도의 관계에서 지각된 유용성은 조절효과를 가지는가? 3. 온라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의 학습참여 동기와 학습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학습 스킬은 조절효과를 가지는가? 본 연구를 위해서 온라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성인학습자를 대상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90명의 응답 자료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기술통계 및 변인들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가설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에서 성인 학습자의 학습참여 동기는 학습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참여 동기 하위 요인 별로 살펴보면, 학습지향성 학습참여 동기가 학습 만족도를 예측하였다. 둘째, 지각된 유용성은 학습참여 동기 하위 변인 중 활동지향성 학습참여 동기와 학습지향성 학습참여 동기에 조절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목표지향성 학습참여 동기의 경우에는 지각된 유용성을 통해 학습 만족도를 조절하는데 한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학위 취득을 위한 학교 형태의 평생교육기관의 특성상, 학습참여 동기와 지각된 유용성의 상호작용을 통한 학습 만족도 향상보다 목표지향성 학습참여 동기 자체 변인이 학습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활동지향성 학습참여 동기와 학습 만족도 간 관계에서 지각된 유용성이 조절변수로 작용하였을 때, 그 수준에 따라 활동지향성 학습참여 동기와 학습 만족도 간 관계가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즉 지각된 유용성 수준이 높은 학습자의 경우에는 활동지향성 학습참여 동기를 통해 학습에 만족하기보다는 지각된 유용성의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학습지향성 학습참여 동기가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역시 지각된 유용성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지각된 유용성 수준이 높아질 때 학습지향성 학습참여 동기의 영향을 적게 받고 지각된 유용성 수준이 낮아질 때 학습지향성 학습참여 동기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습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지각된 유용성을 높일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자기조절학습 스킬은 학습참여 동기 하위 변인 중 학습지향성 학습참여 동기에만 조절효과를 타나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학습지향성 학습참여 동기로 학습에 참여한 경우 자기조절학습 스킬이 학습자의 학습 만족도 수준과 상호작용한다는 것으로 학습에 있어서 자기조절학습 스킬이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알 수 있다. 반면, 목표지향성 학습참여 동기와 활동지향성 학습참여 동기의 경우에는 자기조절학습 스킬을 통해 학습 만족도를 높이는데 한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자기조절학습 스킬이 낮은 학습자일수록 학습지향성 학습참여 동기가 높아지면 학습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를 놓고 볼 때 학습지향성 학습참여 동기는 자기조절학습 스킬이 높은 학습자에게는 큰 의미 없이 학습 만족도가 대부분 높지만, 자기조절학습 스킬이 낮은 학습자에게는 학습지향성 학습참여 동기가 학습 만족도를 높이는데 비교적 더 도움이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자기조절학습 스킬이 낮은 학습자들이 학습지향성 학습참여 동기를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을 고민해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학습지향성 학습참여 동기의 경우에는 학습자의 적극적, 능동적인 학습 참여 능력이 학습지향성 학습참여 동기와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할 때,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 스킬 향상을 위한 지원과 동시에 학습지향성 학습참여 동기를 유발하여 학습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본 연구는 학습참여 동기와 학습 만족도 간에 미치는 지각된 유용성과 자기조절학습 스킬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실시되었다. 기존의 연구들이 학습참여 동기를 하위 구분 없이 사용한 것과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학습참여 동기를 목표지향성, 활동지향성, 학습지향성 학습참여 동기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는 것에서 선행연구와 차별성이 있다. 그리고 학습 성과인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실제적 변인 중, 외부 요인으로 교육 프로그램의 유용성 정도를, 학습자 특성 요인으로 자기조절학습 스킬을 함께 고려하여 학습참여 동기와 학습 만족도간의 관계를 보다 다각적으로 설명이 가능하게 하였다. 학습참여 동기 하위 변인들과 학습 만족도 간의 상호작용이 모두 조절효과를 나타낸 것은 아니었지만, 학습지향성 학습참여 동기와 학습 만족도 관계에서는 지각된 유용성과 자기조절학습 스킬이 조절효과를 가지고, 활동지향성 학습참여 동기와 학습 만족도 관계에서는 지각된 유용성이 조절효과를 가진다는 사실을 확인함에 따라 학습참여 동기, 지각된 유용성, 자기조절학습 스킬, 학습 만족도와 관련된 기존 연구를 보다 정교화 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한국방송통신대학교에 재학 중인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실시되어 온라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 모집단을 대표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연구 결과의 일반화를 위해서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특성을 고려하여 타 기관을 대상으로 한 추가적인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제 3자에 의한 객관적인 데이터 확보가 어려워 자기보고식 설문을 활용하였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자기보고식 측정을 보완할 수 있는 데이터를 활용한다면 연구의 신뢰도가 더 높아질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학습참여 동기가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각된 유용성과 자기조절학습 스킬의 조절효과에 대해서만 연구를 진행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조절변인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좀 더 효과적인 학습을 위한 새로운 변인에 대한 탐구가 이루어졌으면 한다. 또한 향후 연구에는 같은 모델 안에서 매개변인과 조절변인을 함께 검토할 수 있는 매개된 조절이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해 볼 것을 제안한다. 그러나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학습참여 동기와 학습 만족도와 관계에서 지각된 유용성과 자기조절학습 스킬이 중요한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온라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설계 개발 시 학습자가 참여하는 교육 프로그램이 학습자의 학습에 유용하게 작용할 수 있도록 고려해야 한다는 점과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 스킬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함에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결과가 온라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의 효율적인 학습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설계, 제작, 그리고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 스킬 향상을 지원하는데 실증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perceived usefulness and self-regulate learning skill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students' participative motiva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onlin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To explain learning satisfaction of adult students who enrolled in onlin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understanding of the level of usefulness of the programs and learning capability of the students is necessary.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level of usefulness of the education programs perceived by the students and self-regulate learning skill as a student characteristic factor. Previous studies report that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learning has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performance; and education programs' usefulness perceived by the students and students' self-regulate learning skill have positive effect on learning satisfaction. Although previous studies suggest many significant results through defining the relationship among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learning, perceived usefulness, self-regulate learning skill and learning satisfaction, there are not many interactive, integrated studies regarding adult students who enrolled in onlin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Therefore this study, based on previous studies, is to identify perceived usefulness and self-regulate learning skill that affect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satisfaction. The followings are the research problems: 1. Does participation motivation (goal-oriented, activity-oriented, learning-oriented) of adult students in onlin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predict learning satisfaction? 2. Does perceived usefulness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f adult students in onlin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3. Does self-regulate learning skill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f adult students in onlin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adult students who enrolled in onlin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90 responded material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and the materials were treated with correlation analysis on the factors, as well as technical statistics. The hypotheses were verified through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ollowings are the verification results of the hypotheses: First, participation motivation of adult students in onlin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has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satisfaction. For subfactor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learning-oriented motivation predicts learning satisfaction. Second, perceived usefulness has a moderating effect on activity-oriented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learning-oriented participation motivation. This suggests interaction of the level of perceiving usefulness and learning satisfaction among students who enrolled online education programs with activity-oriented motivation and learning-oriented motivation. It indicates that the level of usefulness of the education programs in which adult students enrolled plays an important role for learning satisfaction. Therefore the programs should be designed and offered for adult students to perceive usefulness from the program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oal-oriented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and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re is a limit in improving learning satisfaction with usefulness perceived by students. Third, self-regulate learning skill has a moderating effect only on learning-oriented motivation, among the subfactor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This suggests interaction of self-regulate learning skill with the level of learning satisfaction and importance of self-regulate learning skill. Students who enrolled with goal-oriented motivation and activity-oriented motivation showed limits to increase learning satisfaction through self-regulate learning skill.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First, this study was conducted on adult students who enrolled in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therefore the study subjects cannot represent the population of adult learners who enrolled in onlin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To generalize the study results, characteristics of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reflected and further studies on other organizations should follow. Second, this study used self-report survey because it was difficult to obtain objective data by the third party. Therefore further studies should use data that can supplement self-report measurement to increase reliability of the studies. Third, this study focused only on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usefulness and self-regulate learning skill when identifying the effect of participation motivation on learning satisfaction. Further studies should explore new moderating variables for more effective learning. Also, mediated moderation or moderated mediation that can review both mediating variables and moderating variables within the same model should be considered. Despite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confirms the importance of perceived usefulness and self-regulate learning skil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satisfaction; the study also suggests that usefulness of the education programs in which students enroll should be considered when design and development of onlin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and necessity of supporting self-regulate learning skill. Hopefully this study results can be used as practical materials in design, production of education programs for efficient learning of adult learners who enroll onlin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and in support for improving self-regulate learning skill of the learners.

      • 팀기반학습 적용을 위한 건축시공 교육지원시스템 개발

        김성빈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COVID-19와 4차 산업혁명 등으로 인해 국내 대학의 교육은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COVID-19로 인해 국내 대학의 교육은 온라인 교육의 비중이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대학의 교수자와 학습자는 급격히 확대된 온라인 교육에 적응해가고 있지만 아직 어려움이 남아 있다. 또한 4차 산업혁명의 도래로 혁신교수법의 도입이 강조되고 있다. 도입의 필요성에는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으나, 이를 위해 교수자와 학습자가 불편함을 감수해야 하고, 지원과 동기는 부족한 실정이다. 현재 국내 대학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육지원시스템들은 대부분 혁신교수법을 고려하지 않고 개발되어 팀기반학습을 적용하는데 기능상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팀기반학습을 적용하여 운영하는 건축시공학 강의의 운영을 지원하기 위한 교육지원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급격히 확대된 온라인 교육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교수자와 학습자를 지원하고, 혁신교수법의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일반강의와 팀기반학습 강의의 차이점을 분석하기 위해 국내 52개 대학의 건축시공학 관련 교과목의 강의계획서(2017~2021년)를 분석하였다. 3개 대학은 팀기반학습, 2개 대학은 플립러닝, 47개 대학은 일반강의를 운영하고 있었다. 팀기반학습을 적용한 건축시공학 강의는 사전학습, 개인 및 팀별 퀴즈 풀이, 응용문제 해결, 토론 및 발표 등으로 강의를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플립러닝을 적용한 건축시공학 강의는 사전학습, 퀴즈, 토론 및 발표 등으로 강의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2) 일반강의와 팀기반학습 강의의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팀기반학습 강의는 사전학습 진행, 성적 평가에서의 시험 비중 축소와 퀴즈 비중 확대, 팀활동(팀 퀴즈, 팀별 응용문제 풀이, 팀원 상호 간 평가) 비중 확대, 학생들이 강의에 참여하는 시간과 기회가 많아진 것을 분석하였다. 1) 팀기반학습 강의는 학생들이 강의에 참석하기 전 진행하는 사전학습, 3시간 강의 중 1시간은 개인별 퀴즈 풀이, 팀별 퀴즈 풀이, 교수자에 의한 질의응답이 진행되고, 2시간은 팀별 응용문제 해결, 응용문제 팀별단안에 대한 평가, 팀원 상호 간 평가, 교수자 총평 및 질의응답이 진행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일반강의는 3시간의 이론강의 및 질의응답을 진행하는 강의로 구성되어 있었다. 2) 성적 평가 방법의 차이에서는 팀기반학습 강의가 일반강의 보다 시험의 반영 비율(팀기반학습은 31.6%, 일반강의는 58.4%)이 낮고, 퀴즈의 반영 비율(팀기반학습은 38.3%, 일반강의는 5.3%)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국내 대학의 교육지원시스템 실태를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국내 30개 대학의 홈페이지를 통해 수집한 교수자, 학습자 교육지원시스템 매뉴얼을 활용하였다. 교육지원시스템의 매뉴얼을 분석한 결과, 주요 항목들을 내용에 따라 분류하면 ‘시스템 운영 및 관리’, ‘강의 운영 및 관리’, ‘학습 편의 기능’ 등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교육지원시스템의 세부 항목 수는 대학별로 30개∼40개 정도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세부 항목을 분석한 결과, 대학에서 진행되고 있는 일반적인 강의들을 지원하기 위해 제작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시스템의 내용 구성도 일반적인 강의에 필요한 항목을 위주로 구축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팀기반학습과 같은 새로운 혁신교수법을 적용하는데 필요한 내용과 기능은 없거나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4) 팀기반학습 강의용 교육지원시스템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팀기반학습을 강의에 적용하면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에게 부담이 증가한다. 또한, 현재 국내 대학의 교육지원시스템은 팀기반학습과 같은 새로운 교수법을 적용하는데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팀기반학습 강의용 교육지원시스템을 개발하면, 교수자와 학습자의 부담을 감소시키고, 학습 효과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5) 팀기반학습 적용을 위한 건축시공 교육지원시스템의 구성 체계와 시스템의 내용을 제시하였다. 시스템의 구성 체계 제시에는 시스템 개발 전문회사 개발 전문가들이 참여하였으며, 하드웨어의 구성, 네트워크의 구성, 참여 주체 간의 역할 등을 제시하였다. 내용은 사전학습, 팀활동, 참여학습 지원 항목으로 구성하였으며, 이를 다시 9개의 세부 항목으로 분류한 후, 각 세부 항목별 주요 내용을 제시하였다. (6) 사전학습, 팀활동, 참여학습의 세부 항목별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사전학습의 지원을 위해 학습자료 공유, 심화학습자료의 세부 기능을 구축하였다. 팀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팀구성, 개인별 퀴즈 풀이, 팀별 퀴즈 풀이, 응용문제 해결, 팀원 상호평가의 세부 기능을 구축하였다. 또한 참여학습을 위해 현재 국내 대학 교육지원시스템 질의응답의 세부 내용을 개선하고 가산점의 활용 및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7) 국내 대학의 일반적인 교육지원시스템과 개발된 교육지원시스템을 비교한 후, 시스템을 활용해 기대할 수 있는 효과를 제시하였다. 교육지원시스템의 비교는 개선, 추가, 유지, 삭제 기능으로 분류하였으며, 각 교육지원시스템의 기능별 명칭을 비교한 후 변경한 세부 내용을 정리하였다. 시스템을 활용해 기대할 수 있는 효과는 교수자와 학습자 측면에서 각각 제시하였다. 교수자는 교육관련 업무의 경감, 학습자와의 상호작용 확대를 기대할 수 있다. 학습자는 다양한 학습자료의 활용 및 강의 참여 기회 확대, 동료 학습 기회 확대, 학습자 상호 간 또는 교수자와의 상호작용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범위는 혁신교수법 적용을 위한 건축시공 교육지원시스템을 개발하여 제시하는 것으로 하였다. 개발된 교육지원시스템을 실제 강의에 적용하여,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지속적으로 보완해야 할 것이다. 향후 국내 대학의 교수자 및 학습자들에게 공유한다면, 국내 대학의 교육환경 개선과 교육혁신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대면적으로 패턴된 산화아연 나노막대/튜브 제조 및 특성 연구

        김성빈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One-dimensional nanostructured ZnO materials are of great interest because they display enhanced light absorption/extraction; improved charge transport and large surface to volume ratio making them excellent candidate materials for electronic, optoelectronic, electrochemical, and electromechanical devices. Vertically-alignment of the ZnO nanorods further expands applications because the interface with the substrate can be more uniform with higher element density. This has enabled quasi-3D structured devices to be developed such as vertical FETs, LEDs, laser diodes, biochemical sensors and photovoltaic cells. Even more recently the challenge has become to synthesize uniformly ordered vertically-aligned nanorod arrays with a high symmetry because coupling between nanorods enables collective behavior to emerge. Examples include photonic crystals for optical circuits and designed surface wetting for microfluidics and waterproof electronics. Here we describe a simple, versatile technique to produce large-scale arrays of highly ordered ZnO nanorods. Patterning of three distinct ZnO crystal morphologies is demonstrated through use of different ZnO seed layers. Array formation is accomplished through a simple variation on nanosphere lithography that imprints a thickness variation across a PMMA mask layer. The area of exposed seed layer is controlled through etching time in an oxygen plasma. Subsequent hydrothermal growth from the patterned seed layer produces highquality ZnO crystals in uniform arrays. The high uniformity of the patterned array is shown to induce a high contact angle hydrophobic state even without the need for chemical modification of the ZnO surface. This technique provides a straightforward way to integrate the opt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high-quality ZnO nanorods with the tunable fluidic properties at the surface of well-ordered arrays.

      • 안전.보건, 환경(SHE:safety, health & environment)의 통합 관리모델 구축에 관한 연구

        김성빈 광운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기업이 직면하고 있는 안전·보건, 환경(SHE: Safety, Health and Environment)과 관련된 사고 발생은 인적․물적 손실과 더불어 사회적 책임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기업은 SHE 규제에 대한 수동적․소극적인 대응에서 벗어나 자발적인 SHE 관리 수행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기업의 SHE 관리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여 연구․분석하고, 그 결과를 활용하여 기업 스스로 자율적인 SHE 관리 체제를 수행할 수 있는 KW[Kwangwoon]_SHE[Safety, Health and Environment] 관리 모델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 모델을 이용하여 SHE 관리에 대한 관리비 투자 대비 업무 성과를 손쉽게 평가할 수 있었으며, 이를 기업에 실제 적용하여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 현재 기업에서 사용하고 있는 SHE 관리 기록문서를 연구․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새로운 KW_SHE 관리 모델을 개발하였다. ■ 이 모델을 이용하여 사업장 스스로 자율적인 위험성 평가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한 SHE 관리 목표 설정 및 주요업무 평가 대비 투자비용 성과측정 달성 여부를 쉽게 관리할 수 있었다. ■ 사례 연구를 통하여, 사업장의 재해율과 SHE 관리비용 관계에서 전년 대비 SHE 관리비를 감축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재해율은 증가되는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주)H사는 1994년 중대산업사고 이후, 1995년도 SHE 관리 투자 대비 총매출액이 33.6%로, 국내 기업 안전관리가 우수한 사업장 4개사의 최근 3년간 SHE 관리 평균 투자 2.31% 보다 15배의 투자손실이 발생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사업장에서는 중대산업사고 발생을 최소화하는 것이 기업경영에 있어 이익이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KW_SHE 관리 모델의 기대 효과는 다음과 같다. ■ 사업장의 자율적인 위험성 평가분석을 토대로 한 위험 대상의 선별적 관리 ■ SHE 관리에 대한 투자 대비 업무평가 분석을 통하여 그 성과를 쉽게 파악할 수 있고, 기업의 SHE 관리에 대한 투명성 및 신뢰성을 제공하는 공정, 시설의 지속적인 관리개선 ■ SHE 위험관리(Risk Management)의 선결조건인 위험상황 발생시의 실천적 예방계획 모델로서 위험관리 방안을 제시 결론적으로 KW_SHE 관리 모델은 기존 SHE 관리의 소극적인 대처가 아니라 적극적인 SHE 관리의 실천이고, 기업의 SHE 관리에 대한 수행·관리 능력이 체계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The enterprise are facing potential SHE(safety, health and environment) accident to cause casualties or a financial loss and increasing social responsibility. So, SHE management system has to be voluntarily accomplished rather than passively with regard to SHE regulation. In this study, KW_SHE(Kwangwoon Safety, Health and Environment) management model is developed which materialize self-regulation SHE management system of individual workplace by the research and analysis of many domestic enterprise. This KW-SHE management model is intend to assess work-product vs. management expenses investment and critically evaluated for studying its benefits and limitations. The results form this study are ■ Developing KW_SHE management based on analyzing SHE management document used domestic workplace ■ It can decide to attain goal of SHE management base on outcomes by voluntary risk assessment analysis of workplace and easily control outcome measurement of investment costs compared with main work assessment by using this model. ■ The case study shows that accident rates are proportional to a decrese in SHE management cost. The result of H company which had a major industrial accident in 1994 shows that the SHE management investment cost in 1995 is 33.6% of total sales. This means that the SHE management cost is 15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general enterprise of excellent safety management which is 2.31% of average investment cost of SHE management in recent three years. Therefore we can confirm that decreasing major accident is benefits in management. Expected effects of KW_SHE management strategy are as follows. ■ It controlled risk objects selectively based on voluntary risk assessment of workplace. ■ It measures result easily by analysing work assessment compared with investment on SHE management and improves management on process and facilities continuously by offering transparency and reliability on SHE management. ■ It provides method of risk management as a practical model of prevention plan which is prerequisite condition of SHE risk management in the event of failure. As a conclusion, Model of KW_SHE management strategy is to practice SHE management pro-actively instead of negative action on existing SHE management. and can improve capability of performance and management for SHE management of enterprise systematically.

      • 교반주조로 제작한 A356/SiC 복합재의 기계적 성질 및 열 피로 거동

        김성빈 한국공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알루미늄 합금에 SiC powder를 강화재로 첨가한 알루미늄 기지 복합재는 높은 비강도와 우수한 내마모성 및 고온강도로 차량용 경량재료로 사용이 기대되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알루미늄 기지 복합재를 만드는 방법 중 교반주조법은 액상 제조공정으로, 제조과정이 비교적 간단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하여 대량생산에 용이하다. 그러나 알루미늄 용탕과 SiC 강화재 간 젖음성이 좋지 않아 용탕 내 혼입이 어려워 SiC를 다량 첨가하기 어렵고 제작된 복합재 내에 기공 및 클러스터가 형성되어 기계적 성질이 비교적 열악하다. 본 연구에서는 반응고 경로를 통한 교반주조법을 이용해 10 wt%의 SiC를 용탕내에 분산시켜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제작한 복합재는 기지재 합금에 비해 미세한 결정립을 지니며 SiC가 적절히 분산되어 우수한 물성을 지닌다. 또한 저주기 열피로 시험 결과 고온에서도 안정적으로 사용할수 있음을 보였다.

      • 디지털 폰트의 발전과정과 특징에 관한 연구

        김성빈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current digital font of the Korean alphabet has been refined due to the development of computer technology. In addition, the development time is much shorter than before and the fonts currently used are not only different in size and shape, but also quite large in their number. However, these font developments are created by private organizations without any backing from the government, and as a result, various research related to font development were not performed. It is reported that this has lead to malformed, abstract, and ugliness to creep in under the name of new modern typography, lowering the quality bar of modern Korean fonts. Apparently, the current fonts which are mostly developed without proper research have lead to redundancy of similar types of fonts. Also, the vast amounts of fonts are not being appropriately used due to lack of knowledge and experience. Thus, the expression using typography has produced limited and poor solutions. Typography is a visual expression of the mind and voice through the letters that are written and also through their symbolic meaning. If typography is a visual language technology using printing type, then the vocabulary is related to the individual fonts. As if when a poet contemplates for the perfect words to convey his message through a poem, the font designer also must choose the correct font visually suitable for the information characteristics and concept. To pick the right font, the knowledge and experience about fonts are critical. The font itself is a visual creation of the designer with a specific purpose and also a result of the times and culture. So, an understanding about a font means an understanding about 'history' and 'type' of font. The detailed understanding of the type is the basis for visual selection as well as a key to solving typographical problems. In this age of rapid digital font development of the Korean alphabet, we need to freeze and look back at the Korean alphabet with a different mind set. The western typography made giant strides by making improvements based on the past tradition. We also need to look at the past and assess the current situation including the examples from abroad to set a correct course for Korean digital font's future. Therefore, with approximately 550 years of rapid development of Korean and Roman typographical history since the advent of manual printing type technology, the various digital fonts that have significance in history and shape should be thoroughly analyzed to provide high quality data. This will in turn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basic acquirements a designer should possess and the basic typographical history. Furthermore, history of design and technology could be understood as well as enabling correct font usage and delivering more distinctive and creative solutions to typographical problems using this knowledge. In addition, the resultant understanding of various fonts will be used to evaluate the current position of Korean digital font and find an appropriate direction it should take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