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신외교정책의 이론적 토대 - 한국판 '현실주의'의 한계와 대안적 패러다임의 모색

        김선혁(Kim Sunhyuk)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05 亞細亞硏究 Vol.48 No.3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n which South Korean "mainstream" International Relations(IR)/International Politics(IP) experts base their observations, point out their limitations, and explore alternative theoretical frameworks for South Korea's foreign policy. The thematic argument of this paper is threefold: 1) the "mainstream" IR/IP epistemic community in South Korea, contrary to its self-identification, has little to do with American (neo)realism; 2) even the original and orthodox (neo)realism in the US IR community is not very useful for theoretically undergirding South Korea's new foreign policy; and 3) a new theoretical paradigm, the "inside-out" approach, must be created and developed using social constructivism and other domestic politics-centered approaches to foreign policy. South Korea's national identity has undergone such a profound change over the past few decades that its national strategy and foreign policy should also change to agree with the modified national identity. In particular, democratization, which has been one of the most important political changes in South Korea, requires a similarly significant transformation of foreign policy.

      • KCI등재

        한국 영화의 불확실성 대응 전략과 흥행 성과

        김선혁(Sunhyuk Kim),신동엽(Dongyoub Shin) 한국전략경영학회 2011 전략경영연구 Vol.14 No.2

        불확실성은 기업의 전략적 의사결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중 하나로 전략경영을 비롯한 다양한 경영학과 사회과학 분야들에서 폭넓게 연구되어 왔다. 높은 불확실성으로 인한 미래 환경에 대한 낮은 예측가능성은 전략적 의사결정의 정확성을 떨어뜨림으로써 기업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하게 된다. 그러나 전략경영 분야에서는 불확실성을 단순히 모든 기업들이 수동적으로 감수할 수밖에 없는 환경적 제약조건으로만 보지 않고, 오히려 기업들이 불확실성 감소나 회피를 위해 어떻게 전략적으로 대응하는가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즉 동일한 환경 불확실성에 직면한 기업들일지라도 불확실성에 대한 대응 전략이 서로 다를 가능성이 높고 결과적으로 불확실성 대응 전략의 효과성에 따라 기업 성과가 달라지게 된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불확실성이 영화산업과 같은 문화예술 분야를 규정짓는 대표적인 특징이라는 것에 주목하고, 영화 제작과 마케팅 등과 같이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서 경제행위자들이 시도하는 불확실성 회피 전략과 또 이러한 불확실성 회피 전략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위해 2000년에서 2004년에 이르는 5년간 제작된 모든 한국 영화들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 영화의 흥행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실증연구를 시도하였다. 실증연구의 결과, 기존 감독의 활용, 기존 공식의 복제, 수직적 통합은 영화의 흥행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니치전략에 해당하는 니치폭은 흥행 성과와 역유자형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Uncertainty has been one of the most frequently studied themes in diverse social studies including strategic management and organization theory, since it is undisputable that the level of uncertainty has significant influences on strategic decision makings by economic actors. The limited predictability of future environments stemming from uncertainty poses serious threats to economic actors by lowering the accuracy of strategic decision making. Thus, the field of strategic management has long been interested in investigating how economic actors strategically respond to uncertainty, rather than treating actors as passive ones who simply endure uncertainty. That is, the strategic management literature posits that since actors respond differently even to the same uncertain environments, the effectiveness of each actor’s strategic responses to uncertainty affects its performance crucially. The current paper analyzes the effects of strategic responses to uncertainty on the performances of economic actors operating in cultural industries in which uncertainty is the most salient environmental characteristic.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all movies produced in Korea during five year period, 2000-2004. We examine effects of strategic responses to uncertainty on market performances of cultural products. The results of our empirical analyses suggest that the market performance of a movie is positively affected by involvement of established directors, replication of existing formulas, and vertical integration. Moreover, analysis from the data shows that the niche width of a movie, in terms of genre identity, has an inverted U shape curvilinear relationship with the market performance. The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may have two following contributions and implications. First, this study deserves a credit in that it attempted a multi-faceted analysis of strategic responses to uncertainty. We discussed and empirically examined four different strategic responses to uncertainty, each of which differs in terms of analytic level and theoretical background. Second, the current study may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management studies’ scopes by analyzing cultural industries which have received only scant attention. Academic interest in cultural industries in the field of management studies has increased in recent years owing to their rapidly growing economic importance. Moreover, cultural industries have attracted growing attention from management scholars in recent years also as the issues of creativity and innovation come to be regarded as the central determinants of competitive advantages in the 21stcentury. In this regard, the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significantly to the further expansion of management studies’ scopes.

      • KCI등재

        국지적 탐색과 원거리 탐색 : 한국 영화사의 신규 니치 탐색거리, 1966~2004

        김선혁(Sunhyuk Kim),신동엽(Dongyoub Shin) 한국인사·조직학회 2009 인사조직연구 Vol.17 No.4

        본 논문은 조직이 새로운 상품시장이나 시장 세그멘트 등과 같은 신규 니치로 진출하는 과정에서 기존 경험과 지식, 역량, 루틴 등에 기반하여 주변 분야로 진출하는 국지적 탐색을 넘어 원거리 탐색을 시도하게 만드는 요인들과 또 반대로 그런 시도를 저해하는 요인들을 우리나라 영화산업에 대한 종단연구를 통해 분석한 다. 최근 급변하는 환경하에서 자신의 기존 니치와 근본적으로 다른 새로운 분야로의 급진적 조직 혁신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나, 진화경제학과 조직학습 등 많은 기존 이론들은 조직들의 혁신시도가 대부분 국지적 탐색의 경향을 보이게 된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이 경로의존적인 국지적 탐색을 넘어서 원거리 탐색을 시도하게 만드는 내외부 요인들을 분석한다. 본 연구는 대부분의 기존 연구들이 새로운 상품시장이나 시장 세그멘트로의 진출로 인해 발생하는 성과와 같은 사후적 결과에 주목한 것과는 달리, 조직이 새로운 니치로 진출하는 과정에서 그 탐색의 거리(즉 국지적 탐색인가 혹은 원거리 탐색인가)를 결정하는 사전적 조건들에 초점을 맞춘다. 1966년부터 2004년까지 활동한 모든 우리나라 영화사들을 대상으로 한 종단분석의 결과, 경쟁환경의 특성과 조직의 외부 필드와의 연결성은 탐색거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조직규모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가 가지는 조직이론과 전략경영이론에 대한 함의가 토론된다. This study examines the factors that may drive firms to implement distant search beyond the local search of adjacent areas in their exploration of new market segments or product markets through a longitudinal study of the Korean film industry, 1966~2004. Although the crucial importance of radical innovation based on distant search is frequently emphasized in the dynamically changing recent business environment, much of the existing literatures, such as organizational learning, organizational ecology, and evolutionary economics, have been skeptical about the actual possibility of distant search by business firms.5) Those existing literatures suggest that the actual search patterns of firms are highly biased toward the exploitative local search of adjacent areas, since local search has various short-term advantages over distant search. For instance, because local search is made through the exploitation or improvement of existing resources and capabilities that the focal firm already possesses, it is less risky, less costly, and produces quicker return, than distant search. On the other hand, distant search which often suffers from causal ambiguity is subject to high uncertainty and inefficiency. Moreover, the realization of returns from distant search takes longer time than those from local search. As a consequence, the combined effect of the advantages of local search and the risks of distant search results in strong bias toward local search, which James G. March refers to as ‘learning myopia’. Nevertheless, the recent literatures of both strategic management and organization theory have emphasized the crucial importance of distant search under highly unstable and uncertain environments, despite the advantages of local search and the risks of distant search.

      • KCI등재

        한국의 민주주의 공고화와 시민사회

        김선혁(Kim Sunhyuk),김병국(Kim Byung-Kook),제고르즈 에키트(Grzegorz Ekiert)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07 亞細亞硏究 Vol.50 No.3

        This paper examines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olitics of protest" by civil society in South Korea after its democratic transition in 1987. The paper first provides a theoretical overview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cracy/democratization and social protest as is discussed in the existing literature. Protest is considered to be conducive to daily political practices in established democracies, by supplementing conventional party politics. Protest is also assumed to contribute to democratic transition by promoting authoritarian breakdown and facilitating democratic reforms. However, the role of protest in nascent democracies undergoing democratic consolidation still remains unclear in the literature. Utilizing a recently compiled dataset called Protest Event Database Archive Korea (PEDAK), this paper trie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rotest and democratic consolidation. Specifically, this paper analyzes the 1989-2003 period in terms of the number of protests, the number of protest participants, the socio-vocational categories of the participants, the type of organizing/sponsoring organizations, and the chosen protest methods/strategies. The number of social protests in South Korea after democratization has not decreased significantly and remains at a comparatively high level. Medium-scale protests have decreased, whereas small- and large-scale protests have increased. In terms of the socio-vocational categories of protest participants, students and laborers have decreased, while white-collar workers and public servants have increased. "New social movement" groups such as environmental, womens' and peace movement organizations superseded trade unions as the most active civil society group organizing/sponsoring social protests. "Disruptive" methods are still being preferred to peaceful methods by social movement groups in South Korea. All in all, the politics of protest in post-transitional South Korea represents both continuities and changes as compared with that of the pre-transition period. The persistence of protest politics in South Korea holds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future of South Korean democracy. Future research projects should examine whether the persistence of social protest is an enduring, if not perpetual, feature of South Korean democracy and, if so, what kind of effects contentious politics will have on the quality and type of democracy in South Korea.

      • KCI등재

        조직학습과 다각화

        신동엽(Dongyoub Shin)/김선혁(Sunhyuk Kim)/정기원(Kiwon Jung) 한국인사조직학회 2008 인사조직연구 Vol.16 No.4

        본 논문은 ‘기업이 언제 다각화를 할까’라는 질문과 ‘어떤 기업이 다각화를 할까’ 라는 두 가지 유사해 보이는 질문들의 근본적 차이에 대한 인식에서 출발한다. 이 두 질문 중, 본 논문은 전자에 초점을 맞추어 기업의 다각화 의사결정을 동태적 관점에서 분석한다. 기존의 다각화 연구들은 이론상으로 ‘기업이 언제 다각화를 할까’라는 동태적 질문을 던진 경우에도 방법론적으로 횡단 연구를 시도하거나, 또는 연구모형 설정에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하지 않는 정태적 변수들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기업의 전략적 행동의 동태성에 대한 적절한 분석을 제시하지 못한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최근 일부 다각화 연구들은 전통적 연구들의 이런 정태성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동태적 접근법을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는 기업이 수시로 변화하는 환경에 역동적으로 대응하여 그 행동을 수정하고 적응 시켜나가는 전략적 의사결정의 프로세스를 정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는 방법론적으로 동태적 현상을 계량적으로 분석해낼 수 있는 종단적 분석방법론이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물론이고, 이론적으로도 기업의 역동적 전략 프로세스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논리적 기반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과 조직간의 역동적 상호작용 프로세스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조직학습 이론을 적극 활용하여, 환경으로부터의 시그널이 기업의 다각화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연구한다. 본 연구모형에서는 기업 자신의 과거 행동에 대한 환경으로부터의 강화 시그널로서의 성과 피드백과 다각화 전략의 정당성에 대한 환경으로부터의 시그널이 다각화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각 기업이 환경으로부터의 성과 피드백에 반응하여 다각화 여부를 결정하는 정도는 기업의 지위와 다각화 전략의 정당성 시그널에 따라 다를 것이라고 예측한다. 우리나라 30대 재벌그룹이 1988년에서 1997년까지 수행한 모든 다각화에 대한 이벤트 빈도 분석의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가설들이 모두 지지되었다. The current paper examines the question of ‘when’, rather than ‘which’, firms would diversify. Many existing studies raised research questions in a dynamic term by asking ‘when firms diversify’, but eventually ended up statically testing ‘which firms diversify’, either by relying on cross‐sectional analysis or by focusing on static variables that do not vary with time. However, recent studies in strategic management have started to explore the dynamic aspects of strategic actions, which may make up for the limits of existing diversification studies in near future. Along this line of inquiry, the current study attempts to propose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bases for the dynamic analysis of diversification decisions by theoretically making sense of and methodologically testing the question of ‘when firms would diversify’ directly. Since firms make strategic decisions in dynamic ways by constantly adjusting their responses according to signals from changing environments, we argue that diversification studies also must employ not only longitudinal methodologies, but also proper theories that can vividly highlight dynamic aspects of strategic processes. For a dynamic analysis of diversification in terms of theory, the current study draws on organizational learning theory which suggests that organizations dynamically adjust their decisions and behaviors by reflecting feedbacks and signals from environments. The organizational learning literature treats an organization as a dynamic and strategic actor which constantly learns and evolves through interactions with its environments. The organization learning literature maintains that when an organization faces an environment similar with earlier environments which it previously encountered, it tends to respond to it by resorting to the routines and behaviors it learned through the earlier environmental interactions. If its earlier response had received positive feedbacks from the environments, it would respond to the similar environment by reusing the same response. Otherwise, it would explore new types of responses to the environment. That is, in the organizational learning literature, an organization is assumed to be a dynamic actor which constantly responds to signals from changing environments either by exploiting previously learned behaviors or by exploring new behaviors. Since environmental feedbacks change with time, environments are likely to affect organizational choices and behaviors differently by sending varying feedback signals at each time point. In this regard, the current study focuses on effects of feedback signals that the focal firm receives from environments at each time point in explaining its strategic choice of whethe or not to diversify. We examines effects of two different types of feedback signals from environments; 1) reinforcement signals that the focal firm receives through performance feedbacks from environments to its own past behaviors, 2) legitimacy signals that the focal firm receives from other firms’ diversification behaviors. The empirical part of the current study examines effects of these two types of environmental signals on the focal firm’s diversification choices at each time point. The first type of environmental signal that the focal firm receives from performance feedbacks to its own past behaviors is theoretically based on the reinforcement argument of Skinnerian behavioral psychology. Reinforcement theory submits that a certain behavior is learned and repeated only when it receives positive feedback–i.e. reinforcement–from environments. Thus, we predict that when an organization produces a high performance which can be regarded as a positive reinforcement signal, it is likely to repeat its existing behaviors and routines. In contrast, when an organization suffers from a low performance which can be regarded as a negative feedback signal, it is likely to explore new behaviors and routines. By

      • KCI등재

        Entry Bandwagon as a Signal for Incumbents

        Dongyoub Shin(신동엽),Sunhyuk Kim(김선혁),Kiwon Jung(정기원) 한국전략경영학회 2016 전략경영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기업이 산업 내 새로운 니치를 탐색하는 의사결정을 내리는데 있어서 기존 니치에 속해있는 다른 기업들의 진입 밴드웨곤(bandwagon) 현상이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측한다. 기존 경쟁전략 연구들에서 다른 기업들의 진입 밴드웨곤 현상을 기존 기업에 대한 경쟁 및 위협의 요소로 본 것에 반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른 기업의 진입 밴드웨곤이 기존 기업들이 자신들이 속해있는 니치의 매력도를 판단하는 시그널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제안한다. 이런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기업들이 진입 밴드웨곤 현상을 통해 현재 자신이 속해있는 니치에 대한 매력도를 판단하게 되면 이는 해당 기업들이 신규 니치를 탐색하는 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측한다. 구체적으로 진입 밴드웨곤 현상의 시그널링 효과에 초점을 맞추어 본 연구에서는 산업 수준에서의 진입 밴드웨곤은 산업내 신규 니치 탐색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 보았고, 니치 수준에서의 진입 밴드웨곤 현상은 산업 내 신규 니치 탐색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 이를 검증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산업 수준의 진입 밴드웨곤과 니치 수준의 진입 밴드웨곤이라는 두 가지 유형의 밴드웨곤이 신규 니치 탐색에 미치는 영향력은 해당 기업의 니치 폭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예측하였다. 2001년부터 2005년까지 우리나라 시스템통합 기업들의 신규 니치 탐색활동에 대한 음이항 회귀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가설들이 모두 지지되었다. This paper examines how other firms’ bandwagon entries into an incumbent firm’s existing niche affect the focal incumbent’s subsequent within-industry new segment explorations. While the competitive interaction literature regards bandwagon entries as competitive threats to incumbents, we suggest otherwise that they may also serve as a signal with which incumbents evaluate the attractiveness of their existing niches. We predict that the attractiveness of an incumbent firm’s existing niche as signaled by bandwagon entries will affect whether the focal incumbent subsequently changes its niche through new segment explorations. Focusing on the signaling effects of bandwagon entries, we predict that while bandwagon entries at the industry level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within-industry new segment explorations by incumbents, bandwagon entries at the segment level will have a negative effect. Moreover, we also predict that the effects of these two types of bandwagon entries will vary, depending on the focal firm’s niche width. According to our analysis of all new segment explorations by Korean SI firms between 2001 and 2005, all of our hypotheses were supported.

      • KCI등재

        유리천장으로서의 열망수준: 한국 여성들의 경력 열망수준의 원인에 대한 연구

        신동엽(Shin, Dongyoub),김선혁(Kim, Sunhyuk),정기원(Jung, Kiwon) 한국인사관리학회 2017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41 No.1

        본 연구는 여성들의 경력 열망수준에 초점을 맞추어, 낮은 경력 열망수준이 경력 상승의 유리천장 역할을 하는 조건에 대해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낮은 열망수준이 타인들에 의해 외부적으로 주입되어 형성되기도 하지만, 때로는 여성들 스스로가 내재화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한국의 여성 조직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여성들의 미래 경력 목표설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첫째, 자신이 근무하는 조직에 여성 임원으로 활동하는 역할 모델의 수와 여성들의 여성으로서의 효능감은 여성의 높은 경력 목표설정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제도화된 남녀간 역할 구조를 내면화한 정도와 여성에 대한 부정적인 고정관념의 내면화 정도는 여성의 높은 경력 목표설정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여성으 로서의 효능감과 경력 열망수준 간 정의 관계가 여성의 나이에 따라 약화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determinants of womenʼs aspiration levels for their career advancement, on the premise that a low career aspiration level may work as a glass ceiling imposed not externally by others, but internally by women themselves. According to our empirical study, which used a dataset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of female employees at Korean companies, the likelihood that a woman will develop an aspiration level to become an executive was shown to be affected positively by the number of female executive role models at her organization and by her belief in female gender efficacy, whereas it was found to be influenced negatively by her internalization of the institutionalized inter-gender role structure that assumes male supremacy and also by her internalization of anti-women stereotypes. We also found that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efficacy and career aspiration level decreased with age.

      • KCI등재

        21세기 창조사회와 문화예술 분야 연구

        신동엽(Dongyoub, Shin),김선혁(Sunhyuk, Kim) 한국인사조직학회 2012 인사조직연구 Vol.20 No.3

        본 논문에서는 최근 사회과학의 여러 분과 학문들에서 새로운 연구 분야로 각광 받고 있을 뿐 아니라, 사회 전반으로도 폭 넓은 관심을 끌고 있는 문화예술 분야에 대한 연구가 상시 창조적 혁신이 강조되는 21세기 창조사회의 인사조직 분야 연구에 중요한 미래 발전 방향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문화산업 개념의 확산과 함께 학계와 실무 업계에서 공히 최근 급속하게 증가해온 문화예술과 경영의 만남은 기존 경영학적 관점에서 문화예술 분야를 바라보는 접근이 주가 되어왔는데, 문화예술 분야의 규모 성장과 효율성 증대, 그리고 문화예술의 혜택을 누릴수 있는 소비자층의 확대 등에서 실제로 다양한 기여를 했다. 그러나 동시에 이런 일방향적 접근은 문화산업논리가 제시하듯이 문화예술 분야를 다른 산업들과 동일한 경제적 이윤을 추구하는 시장의 한 유형으로 간주하기 때문에 실천적으로는 문화 산출물의 다양성 감소, 단기 성과주의로 인한 장기적 문화예술 발전의 좌절, 그리고 경제적 가치로 평가할 수 없는 문화예술만의 내재적 가치의 생산과 확산에서 시장실패 등 심각한 부작용도 낳았을 뿐 아니라, 학문적으로도 문화예술 분야만의 특수성에 대한 경시로 인해 그 핵심 원리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설명하지 못할 뿐 아니라, 문화예술 분야에 대한 근본적 접근을 통해 얻을 가능성이 있는 새로운 학문적 지식과 통찰력 획득의 기회도 충분히 살리지 못했다. 이런 관점에서 본 논문에서는 인사조직 분야를 비롯한 전체 경영학과 문화예술 분야간 바람직한 만남은 반드시 양측이 서로에게 새로운 지식과 통찰력을 제시하면서 공동으로 발전해나가는 상호충실화적 접근이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본 연구에서는 또 문화예술분야의 본질적 특성을 고려할 때 환경의 불확실성과 역동성이 높은 상황, 경쟁과 성과창출이 창조적 혁신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상황, 그리고 새로운 형태의 조직과 조직화가 필요한 상황에 관한 인사조직 분야 연구에 문화예술 분야가 특히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런 관점에서 본 논문은 문화예술 분야에 관한 다섯 가지 대표적인 인사조직연구 주제들을 고찰하는데, 첫째, 문화예술 분야의 특수성과 보편성의 관점에서 상업적 가치와 예술적 가치간 갈등을 다루는것, 둘째, 문화예술 분야에 대한 연구를 통해 창조적 혁신의 원천과 과정을 연구하는 것, 셋째, 프로젝트기반 임시 조직화가 일반적인 문화예술 분야의 독특한 조직화 방식에 대한 연구를 통해 최근 다른 산업들에서 확산되고 있는 프로젝트 조직에 대해 이해하는 것, 넷째, 필드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자원과 역량들을 역동적으로 연결해서 문화 산출물을 생산하고 유통하는 문화예술 분야의 구조를 네트워크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 그리고 다섯째, 일반적 상품의 성과지표로 평가하기 힘든 문화예술 산출물의 성과 문제에 대한 전략경영적 연구와 조직생태학적 관점에서 정체성이 문화예술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 등이다. 결론에서 본 논문은 문화예술 분야와 인사조직 분야의 바람직한 만남을 통해 추진될 필요가 있는 미래 연구 방향으로 첫째, 개별 예술가나 조직, 산업 등 전통적 연구 분석단위를 넘어서서 보다 거시적으로 전체 조직군이나 조직필드, 그리고 조직집합 수준에서의 연구와 보다 궁극적으로는 이들간 상호작용과 관계구조를 다루는 공동체 생태학적 연구가 필요하며, 둘째, 재즈의 즉흥연주 방식으로부터 완전히 새로운 조직화 형태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듯이 인사조직과 상관없는 문화예술의 핵심적 요소인 문화예술 산출물 자체의 형식과 내용에 대한 예술이론과 미학적 관점의 접근으로부터 완전히 새로운 인사조직 이론과 관점을 도출하는 것이 그것이다. 마지막으로 문화예술 분야와 같은 새로운 연구 영역으로 단순한 수평적 확장만으로는 인사조직 분야의 근본적 발전이 어려우며 새로운 현상의 이해와 설명에 걸 맞는 완전히 새로운 개념, 이론, 그리고 세계관의 공동진화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 한다.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arts and culture field that is attracting growing interest from various social science disciplines can also serve as a promising new area of future management studies. In the 21<sup>st</sup>century, society is characterized by the high value and importance given to creative innovation by most industries and sectors. The recent application of conventional management theories to the management of cultural industry organizations has made significant bottom-line contributions to the industry as a whole, such as volume growth, efficiency increases, and the expansion of the consumer base. However, this unilateral application of a managerial perspective has also produced various negative by-products, since the existing managerial approach regards the field of arts and culture simply as another type of market; driven by economic efficiency and motivated by self-interest. Negative by-products include the reduction of diversity incultural outputs, a focus on short-term returns at the cost of long-term artistic values, and market failure to produce and distribute those cultural and artistic values that cannot be easily evaluated in terms of economic value. Furthermore, the unilateral application of managerial perspectives has resulted in the belittlement of the arts and cultural field’s idiosyncratic characteristics and the loss of opportunities to learn from this distinctive field. In this regard, this paper argues that true cross-pollination between the arts and culture field and management studies is where both of these two fields provide new insights and knowledge unavailable elsewhere to each other. Thus, a genuine interest in and study of the arts and culture field is likely to provide the field of management studies with especially valuable new insights for industry contexts where the environment is highly uncertain and dynamic, competitive performance is dependent on creative innovation, and a completely new way of organizing is needed. To facilitate a cross-pollination between these two fields, this paper discusses the following five central research agendas located at the intersection between the fields of arts and culture and management studies: 1) Studying the tension between commercial values and artistic values in the arts and culture field from the perspective of universalism and particularism; 2) Inquiring into the origin and processes of creative innovation based on the observation of artists and their artistic processes; 3) Targeting new insights about project-based temporary teams by analyzing the unique organizing modes in the arts and culture field, where temporary project-based team structures have been prevalent for centuries; 4) Acquiring a new understanding of network dynamics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al structures in the arts and culture field, where actors produce and distribute cultural outputs by combining diverse resources and capabilities scattered across the entire field; and 5) Studying the determinants of performance in the field of arts and culture from the strategic choice perspective of strategy and the identity theory of organizational ecology. In the concluding section, this paper suggests two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in this area: First, we recommend expanding the level of analysis from the traditional organizational and industry levels to more macro levels, such as population, field, organizational set, and community. Second, we recommend obtaining completely novel insights about management phenomena by looking into areas of art studies that have no direct association with management considerations. For example, we may learn about a new organizing mode from the logic of jazz improvis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