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edroxyprogesterone acetate(MPA)에 의한 자궁내막증식증의 치료효과

        김석모(Seok Mo Kim),신광식(Kwang Sik Shin),김윤하(Yoon Ha Kim),최호선(Ho Sun Choi),변지수(Ji Soo Byun)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8

        목적: 자궁내막증식증의 경구 투여한Medroxyprogesterone acetate(MPA)에 대한 치료효과를 자궁내막의 조직학적 결과를 통하여 비교평가하기 위해 본 연구를 계획하였다. 연구방법: 1996년 3월부터 1998년 5월까지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에서 조직학적으로 자궁내막증식증으로 진단받고 일차적으로 프로제스틴으로 치료한 7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조직학적 분류는 세계부인병리학회(ISGP)의 분류에 근거하여 단순성 증식증, 복합성 증식증 그리고 비정형 증식증으로 분류 한 후, Medroxyprogesterone acetate(MPA)로 치료를 시작하였다. 결과: 56명의 단순성 자궁내막증식증 환자의 MPA에 대한 반응은 45명(80.4%)에서 반응하였고 11명(19.6%)에서 계속 지속하였으며 진행한 경우는 한명도 없었다. 12명의 복합성 자궁내막증식증 환자에서는 10명(83.3%)에서 MPA에 반응하였고 2명(16.7%)에서 병변이 지속하였으며 한명도 진행된 병변은 없었다. 그러나 비정형 자궁내막증식증 환자는 11명중 5명(45.5%)에서만 반응하였고 4명(36.4%)은 병변이 지속 하였고 2명(18.2%)에서는 1기의 자궁내막암으로 진행하였다. 결론: 세포의 비정형이 없는 자궁내막 증식증은 MPA에 대한 반응이 좋고 재발할 가능성도 낮으며 자궁내막암의 위험도 극히 적으므로 일차적으로 MPA를 비롯한 프로제스틴이 선택되어야 하나, 비정형 자궁내막 증식증은 MPA에 반응이 좋지 않을 뿐아니라 자궁내막암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항상 존재하므로 젊고 생식능력의 보존이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자궁적출술이 가장 합리적인 치료라고 사료된다. Objective : To investigate the response of hyperplastic endometrium to Medroxyprogesterone acetate according to the histologic types such as simple typical, complex typical and atypical hyperplasia. Methods: A total of 79 patients with histologically proved endometrial hyperplasia were enrolled into this prospective study between March 1996 and May 1998. Patients without atypia were placed on a regimen of cyclic therapy with 10mg MPA orally, each day for 14days per month for 3 months. In the cases in which hyperplasia did not regress , MPA was increased to 20mg. Patients with atypical hyperplasia received continuous MPA therapy, 20mg orally each day for 3 month. All patients were followed up for a minimum of 3 months and a maximum of 1 year(mean 7 months). Results : In patients with simple typical hyperplasia, 45 patients(80.4%) had regression, 11 patients(19.6%) had persistence and none had progression. In patients with complex typical hyperplasia, 10 patients(83.3%) had regression, 2 patients(16.7%) had persistence and none had progression. But, in patients with atypical hyperplasia 5 patients(45.4%) had regression, 4 patients(36.4%) had persistence and 2(18.2%) patients had well differentiated endometrial adenocarcinoma. There was no recurrence during the follow up. Conclusion : This data suggest that most women with typical hyperplasia respond to progestin therapy, but there is high failure rate of response to progestin therapy and risk of endometrial cancer in patients with atypical hyperplasia. If the young patient desires to preserve her fertility, then progestin therapy may be considered as primary treatment in patients with atypical hyperplasia. But older patients in whom fertility is not an issue, hysterectomy should be selected as treatment of choice for atypical lesion.

      • KCI등재

        컴퓨터 단층 촬영으로 진단된 미세 폐 전이가 임신성 융모종양의 예후에 미치는 영향

        김석모(Seok Mo Kim),김기민(Ki Min Kim),최영삼(Young Sam Choi),김윤하(Yoon Ha Kim),최호선(Ho Sun Choi),변지수(Ji Soo Byun)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11

        목적: 임신성 융모종양 환자의 병기설정에서 컴퓨터 단층 촬영에 의한 미세 폐 전이의 진단이 치료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계획하였다. 연구방법: 1989년부터 1998년까지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 교실에서 비전이성 임신성 융모종양으로 진단된 48명과 폐 전이성 임신성 융모종양으로 진단된 11명 등 총 59명을 대상으로 치료전 흉부 컴퓨터 단층 촬영을 시행하였다. 흉부 컴퓨터 단층 촬영에서 폐에 전이가 없는 경우를 진성 비전이성 임신성 융모종양군으로, 1cm미만의 미세한 폐전이가 발견된 경우를 미세 폐 전이성 임신성 융모종양군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흉부 엑스선 검사에서 폐에 전이가 발견된 경우는 폐 전이성 임신성 융모종양군으로 구분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WHO 예후 점수를 기록하여 7점이하의 저 및 중증도 위험군은 1mg/kg Methotrexate를 1,3,5,7일 그리고 0.1mg/kg Folinic acid를 2,4,6,8일 각각 근주하는 화학요법을 시행하였고, 8점이상의 고위험군은 EMACO 복합 화학요법을 일차적으로 시행하였다. 모든 환자는 1년간 경구 피임약으로 피임을 하도록 하였으며 임신성 융모종양이 완해된후 한달 동안은 1주 간격으로, 그후는 한달 간격으로 1년간 혈청 hCG수치를 측정하여 재발 여부를 확인하였다. 결과: 총 59명 중 비전이성 임신성 융모종양군은 48명(81.4%)이었고 폐 전이성 임신성 융모종양군은 11명(18.6%)이었다. 비전이성 임신성 융모종양군 중 진성 비전이성 임신성 융모종양군은 33명(68.8%)이었고 미세 폐 전이성 임신성 융모종양군은 15명(31.2%)이었다. 진성 비전이성 임신성 융모종양군과 미세 폐 전이성 임신성 융모종양군은 나이, 완해 될 때까지의 기간 및 화학요법 사용횟수, 일차 화학요법에 대한 실패율 등 예후 지표는 통계학적으로 의의 있는 차이가 없었으며 완해율도 두군 모두 100%로 같았다. 완해후 추적검사에서 1명이 미세 폐 전이성 임신성 융모종양군에서 재발하였으나 진성 비전이성 임신성 융모종양군에서는 한명도 재발하지 않았다. 결론: 임신성 융모종양에서 폐전이를 발견하는데 있어서 컴퓨터 단층 촬영은 흉부 엑스선에 비해 보다 더 민감한 방법임에는 틀림이 없다. 그러나, 컴퓨터 단층촬영에 의한 미세 폐 전이의 발견이 환자의 치료결과나 예후에 어떠한 의의있는 영향도 끼치지 못하므로 폐 전이의 발견을 위한 치료전 병기설정 검사는 흉부 엑스선으로 충분하다고 사료된다. Objective: CT scan is more accurate method than chest X-ray for detecting small pulmonary metastasis in GTT. About 40% of nonmetastatic GTT based on conventional chest X-ray have pulmonary metastasis detected by CT scan. However, prognostic significance of small pulmonary metastasis detected only by CT scan is not well determined. The purpose of our study is to know whether small pulmonary metastasis detected only by CT scan affect treatment outcome worse or not. Methods: Forty eight GTT patients without any metastasis and eleven GTT patients with lung metastasis as determined by conventional GTT staging studies were evaluated with CT scan of the lungs before treatment between 1989 and 1998. A total of fifty nine GTT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true nonmetastatic and micrometastatic groups based on CT scan finding, and nonmetastatic and metastatic groups based on conventional chest X-ray finding. They all received methotrexate therapy except three patients with high risk WHO score. All their medical records were reviewed to detect any differences in the treatment outcome and prognostic factors according to the groups. Results: Fifteen of forty eight patients(31.2%) had pulmonary micrometastasis detected by CT scan. Three of thirty three patients(9.09%) in the true nonmetastatic group failed initial therapy with methotrexate while two of fifteen patients(13.3%) in the micrometastatic group failed initial therapy(p value: 0.642). Five of forty eight patients(10.41%) in the nonmetastatic group failed initial therapy while one of eleven patients(9.09%) in the metastatic group failed initial therapy(p value: 1.00). All patients who failed initial methotrexate therapy finally achieved remission with EMACO therapy regardless of their group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ther prognostic parameters among the groups. Conclusion: CT scan was a more sensitive imaging tool than chest X-ray for detecting pulmonarymetastasis in GTT. But lung micrometastasis detected by CT scan had no significant impact on the clinical outcome of patients with GTT, chest X-ray is adequate method for the detection of lung metastasis.

      • KCI등재

        양측 난소의 성숙 기형종 중 일측에서 기원한 장형 점액성 선암과 갑상선종 유암 1 예

        김석모(Seok Mo Kim),최호선(Ho Sun Choi),변지수(Ji Su Byun),김윤하(Yoon Ha Kim),김경선(Kyoung Seon Kim),임소이(So Yi Rim),김형록(Hyung Rok Kim),남종희(Jong Hee Nam) 대한산부인과학회 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5 No.1

        Malignant transformation of mature cystic teratoma (MCT) is an uncommon complication occuring in approximately 1-3%. Any of the constituent tissues of a teratoma has the potential to undergo malignant transformation; squamous cell carcinoma is the most commonly associated cancer, however, adenocarcinomas or carcinoid tumors arising in mature cystic teratoma are uncommon, especially simultaneously. We present an unusual case of postmenopausal women having mucinous adenocarcinoma and strumal carcinoid tumor simultaneously arising in one of bilateral mature cystic teratoma of the ovary. We suggest malignant transformation of MCT should be treated according to the management of the worst histologic diagnosis of the transformations if there are 2 or more malignancies are arised in MCT of the ovary.

      • KCI등재

        난소암 진단에서 도플러 파형 검사의 의의

        김석모(Seok Mo Kim),최진(Jin Choe),정성일(Sung Il Chung),최호선(Ho Sun Choi),변지수(Ji Soo Byun) 대한산부인과학회 200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3 No.2

        목적: 난소종양을 가진 환자에서 종양내 동맥의 저항지수, 즉 RI와 PI를 측정하여 적절한 cut-off 값의 설정과 이에 따른 악성종양 진단의 민감도와 특이도 그리고 정확도 등을 계산한 후 이들이 수술전 양성 및 악성종양을 구분하는데 얼마나 도움을 줄 수 있는 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초음파검사로 난소종양이 진단된 후 칼라 도플러로 혈류학적 검사를 시행한 후 수술을 시행한 총 12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전 RI와 PI를 측정하였다. 최소 3회 이상의 연속적인 심박동 주기의 동맥 파형이 보이는 경우 적당한 검사대상으로 하였다. 수술후 조직학적 진단에 따라 양성과 악성종양(경계성 난소암 그리고 침윤성 난소암)으로 구분하였고 악성종양은 FIGO병기별로 구분하여 RI와 PI값의 차이 여부를 확인하였다. 통계학적 분석은 Student t-test를 이용하였으며 각각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 예측도, 음성 예측도 및 정확도를 구하였다. 결과: 수술을 시행한 129명의 환자중 97명(75.2%)이 양성종양이었고 32명(24.8%)의 환자가 악성종양(경계성 난소암 포함)으로 조직검사 결과 나왔다. 칼라 도플러에 의한 혈류 파형은 97명의 양성 종양 중 36명(37.1%) 그리고 32명의 악성 종양 중 29명(91.0%)에서 측정되어 악성 난소종양에서 종양내 동맥 파형이 의의 있게 많이 측정되었으며 악성종양의 RI와 PI는 평균 0.52±0.12, 0.88±0.31로 양성종양의 각각 0.82±0.13, 2.17±0.88보다 의의 있게 낮았다(p<0.01). 또한 양성종양과 경계성 난소암 사이의 RI와 PI도 의의 있는 차이를 보여 전체적으로 양성종양, 경계성 난소암, 침윤성 난소암으로 병변이 진행함에 따라 RI와 PI가 의의 있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경계성 난소암을 제외한 침윤성 난소암의 FIGO병기별 평균 RI와 PI는 병기가 진행하는 것과는 상관없이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질 못했다. PI는 1.1을 cut-off 값으로 한 경우가 정확도 89.2%로 가장 높았으며, RI는 0.6을 cut-off 값으로 한 경우 가장 정확하게 양성과 악성종양을 구분하는 것으로 나왔다. 결론: 결론적으로 RI와 PI의 임상적 의의는 첫째, 여러 비침윤적 검사 방법으로 진단이 애매한 난소종양 환자에서 수술여부를 결정하는데 객관적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으며, 둘째, 임상적으로 양성종양으로 진단된 경우, 추적관찰 도중 주기적으로 측정함으로서 형태학적 변화는 없더라도 RI와 PI값이 감소하는 경우 수술적 치료로 치료방법을 전환하는 단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he aim was to assess the value of resistance index(RI) and pulsatility index(PI) to differentiate between benign and malignant ovarian tumors by color and pulsed Doppler ultrasound. Methods: 129 ovarian tumors identified with ultrasound were referred for color and pulsed Doppler ultrasound evaluation to calculate the lowest RI and PI, and the corresponding histopathologic diagnosis was recorded. Results: The intratumor artery waveforms were obtained in 37.1%(36 of 97) of benign tumors and in 91.0%(29 of 32) of the malignant group. RI and PI were lower in malignant tumors than in benign tumors(p<0.01).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mental decrease in both indices value from the benign tumor toward borderline malignancy(p<0.05) and to invasive ovarian cancer(p<0.01).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indices value according to the FIGO stage of ovarian malignancy. For RI cut-off value of 0.6,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ere 89.7% and 91.7%; for PI cut-off value of 1.1, 86.2% and 91.7%. Therefore, the most accurate cut-off values of RI and PI were 0.6 and 1.1, respectively. Conclusion: RI and PI calculated by color and pulsed Doppler ultrasound can help in the diagnosis and selection of treatment plan of ovarian tumors, especially when the morphological finding of ovarian tumor is equivocal. And during the follow up of benign tumors, both indicies can give us the clue of malignant potential of benign tumors.

      • KCI등재

        조기분만 시 조직학적 융모양막염 유무에 따른 혈청 C-반응성 단백질, 태반 내 interleukin-6, 지 질과산화도 및 단백산화도

        윤대석 ( Dae Seok Yoon ),김윤하 ( Yoon Ha Kim ),김철홍 ( Chul Hong Kim ),조문경 ( Moon Kyoung Cho ),김종운 ( Jong Woon Kim ),조혜연 ( Hye Yon Cho ),김석모 ( Seok Mo Kim ),강우대 ( Woo Dae Kang ),이기호 ( Ki Ho Lee ),송태복 ( Tae B 대한산부인과학회 201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4 No.1

        목적: 조기분만 후 조직학적 융모양막염 유무에 따른 입원 시 임신부 혈액 백혈구, C-반응성 단백질과 태반 내 인터류킨-6 (interleukin-6, IL-6), 지질과산화도 및 단백산화도를 측정하여 비교하고 주산기 예후에 어떤 역할을 하는가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양막파열이 없는 조기분만 임부 16명(조기 분만군), 만삭 전 조기양막파열 임부 29명(양막파열군)에서 입원 시 정맥혈과 분만 시 융모양막과 태반조직을 채취하였다. 양막하 공간에 중성구 침착 소견이 있었을 때 조직학적 융모양막염으로 진단하였다. 결과: 조직학적 융모양막염의 발생률은 양막파열군에서 조기 분만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조직학적 융모양막염이 있는 군에서 없는 군보다 혈액 백혈구, 혈청 내 C-반응성 단백질 측정치와 태반 내 IL-6, 지질과산화도, 단백산화도 측정치가 모두 유의하게 높았다. 혈청 내 C-반응성 단백질 측정치와 태반 내 IL-6, 지질과산화도, 단백산화도 측정치는 조직학적 융모양막염이 있는 양막파열군에서 모두 유의하게 높았다. 혈청 내 C-반응성 단백질 측정치는 7일 이상 유지되었던 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양막파열군에서 7일 이상 유지될 수 있는지 판단하는 C-반응성 단백질의 측정치의 cutoff 값을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를 이용하여 0.875 mg/dL의 결과를 얻었다. 조직학적 융모양막염이 있는 군에서 없는 군보다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 뇌실 내 출혈, 폐렴 등의 주산기 이환율이 높았다. 결론: 입원 시 임부 혈청 내 C-반응성 단백질 증가는 만삭 전 조기양막파열 산모의 잠복기를 예측하는 인자로 사용이 가능하다. Objective: To evaluate predictive value of maternal serum white blood cells (WBCs), C-reactive protein (CRP) levels, placental interleukin-6 (IL-6), lipid peroxide, and protein carbonyl levels in preterm birth according to histologic chorioamnionitis (HCA). Methods: This cohort study included 45 cases of preterm delivery with preterm labor and intact membranes (preterm labor [PTL] group; n=16) and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PPROM] group; n=29). Blood samples at admission and placental sample at postpartum were collected. HCA was diagnosed in the presence of neutrophils infiltration into the subamnionic space. Results: The incidence of HCA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PROM group than PTL group. Maternal serum WBC and CRP levels at admission, and placental IL-6, lipid peroxide, and protein carbonyl levels in HCA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group without HCA. Maternal serum CRP levels at admission, and placental IL-6, lipid peroxide, and protein carbonyl levels of PPROM group with HCA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PPROM group without HCA. Maternal serum CRP levels at admission of 7 days and more latency period (n=14) were significantly lowered than those of less than 7 days latency period (n=15). The cut-off points of CRP determined with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s was 0.875 mg/dL. Perinatal morbidity such as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intraventricular hemorrhage, pneumonia in HCA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group without HCA. Conclusion: Maternal serum CRP on admission may be possible a predictor for duration of the latency period in PPROM.

      • KCI등재

        임신 중 비타민 C와 비타민 E 투여 후 임신부 정맥혈장과 제대정맥혈장내 지질과산화물, 항산화능 및 항산화 비타민 농도

        김윤하 ( Yoon Ha Kim ),김종운 ( Jong Woon Kim ),김철홍 ( Chul Hong Kim ),조문경 ( Moon Kyoung Cho ),김석모 ( Seok Mo Kim ),강우대 ( Woo Dae Kang ),조혜연 ( Hye Yon Cho ),양성렬 ( Sung Yeul Yang ),안봉환 ( Bong Whan Ahn ),송태복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2 No.11

        목적: 임신 중 비타민 C와 비타민 E 투여 후 만삭임신부 정맥혈장과 제대정맥혈장내 지질과산화물, 항산화능 및 항산화비타민 농도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초임부 또는 이전 자간전증이나 만삭전 조기양막파열 기왕력이 있었던 임부에게 무작위로 임신 15주에서 20주 사이부터 만삭 (임신 37주 이후) 분만 전까지 하루에 비타민 C 1,000 mg 과 비타민 E 400 IU를 투여했던 실험군 20명과 투여하지 않았던 대조군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비타민 투여 전과 분만직전 임부의 상완정맥혈액과 분만 후 제대정맥혈액을 채취하였다. Thiobarbituric acid (TBA) 반응을 이용하여 지질과산화물 농도를 측정하였고 Cao 등의 방법으로 항산화능을 측정하였으며,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를 이용하여 아스코르빈산, 요산, 레티놀, 알파-토코페롤, 감마-토코페롤 및 베타 카로텐 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실험군에서 비타민 투여 후 임부 혈장내 지질과산화물 농도는 감소하였고, 항산화능 농도와 알파-토코페롤 농도는 증가하였다. 실험군의 제대정맥 혈장내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지질과산화물 농도는 낮았고, 항산화능 농도와 알파-토코페롤 농도는 높았다. 결론: 임신 중 비타민 C와 비타민 E 섭취로 임신부 정맥혈장과 제대정맥혈장내 지질과산화물은 감소하고 항산화능은 증가하였으며, 비타민 C 농도는 변화가 없었지만 비타민 E 농도는 증가하였다. 이는 임신부 혈액내 산화제-항산화제 불균형을 초래하는 산화적 스트레스로 생기는 산과적 질환의 예방적 목적으로 비타민 섭취가 이용될 수 있으며 태아의 항산화능에도 영향을 줄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Objective: This controlled trial investigated the effect of supplementation with vitamins C and E on the lipid peroxide, antioxidant ability, and antioxidant vitamin levels in full term maternal and umbilical venous plasma. Methods: Forty pregnant women were randomized in this study. They were nulliparous or multiparous women with history of preeclampsia or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PPROM). Twenty women were given vitamin C (1,000 mg/day) and vitamin E (400 IU/day) from 15~20 gestational weeks to delivery. The others were not given, as a control group. Maternal venous blood was obtained before vitamin supplementation and just before delivery. Umbilical venous blood was obtained after delivery. Lipid peroxide level and oxygen-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were measured by thiobarbituric acid reaction and Cao`s method, respectively. Ascorbic acid, uric acid, β-carotene, retinol, α-tocopherol, and γ-tocopherol were measur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Results: Supplementation with vitamins C and E was associated with decrease in lipid peroxide levels and increase in ORAC values and α-tocopherol levels in maternal venous plasma. And it was also associated with decrease in lipid peroxide levels and increase in ORAC values and α-tocopherol levels in umbilical venous plasma. Conclusion: Supplementation with vitamins C and E may be beneficial in the prevention of oxidant-antioxidant imbalance origin diseases such as preeclampsia, PPROM. And it also may affect antioxidant ability of the fetus.

      • KCI등재

        긴장성 요실금의 수술적 치료에서 Transobturator tape (TOT) 시술의 합병증에 대한 임상적 고찰

        김철홍 ( Cheol Hong Kim ),조문경 ( Moon Kyoung Cho ),김종운 ( Jong Woon Kim ),김석모 ( Seok Mo Kim ),김윤하 ( Yoon Ha Kim ),오성택 ( Sung Tack Oh ),송태복 ( Tae Bok Song ),최호선 ( Ho Sun Choi ),이여일 ( Yu Il Le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1 No.9

        목적: 긴장성 요실금 환자의 수술적 치료인 Transobturator tape (TOT) 시술에 따른 합병증의 빈도 및 치료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5년 3월부터 2007년 10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 산부인과를 내원하여 긴장성 요실금으로 진단받은 206명을 대상으로 TOT 시술을 시행하였다. 의무기록을 토대로 나이, 분만력, 폐경여부, 동반수술 여부 및 합병증 등을 조사하였다. 결과: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52.6±10.5세, 분만력은 2.9±1.4회였다. 91명 (44.2%)에서 폐경 후 상태였으며, 201명 (97.6%)에서 다른 부인과적 수술을 동반하였다. 수술 중 발생 가능한 질손상 및 방광천공은 한 예도 없었다. 2명 (1.0%)의 환자에서 음부 혈종이 발생하였고, 일시적인 요정체는 6명 (2.9%)에서 발생하였다. 수술 후 새로이 발생한 절박뇨 증상은 4명 (1.9%)에서 발생하였으며, 질 미란의 경우 4명 (1.9%)에서 발생하였다. 결론: 긴장성 요실금의 치료에 있어 TOT 시술은 효과적이며 합병증 또한 드물지만, 합병증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적절한 처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mplications of Transobturator tape (TOT) in the surgical treatment for stress urinary incontinence and their management. Methods: From March 2005 to October 2007, 206 patients diagnosed with stress urinary incontinence were operated using TOT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 reviewed medical records and analyzed the data according to age, parity, menopausal state, concomitant operations and complications. Results: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52.6±10.5 years and mean parity was 2.9±1.4. 91 patients (44.2%) were in postmenopausal state and 201 patients (97.6%) had other concomitant gynecologic operations. There were no intraoperative complications such as vaginal injury or bladder perforation. Postoperatively, there were 2 cases (1.0%) of vulva hematoma, 6 cases (2.9%) of urinary retention, 4 cases (1.9%) of de novo urgency and 4 cases (1.9%) of vagial erosion. Conclusion: The surgical treatment using TOT is thought to be safe and effective means for the management of stress urinary incontinence. Although rare, complications may occur, therefore surgeons must be aware of the management of each complications.

      • KCI등재

        자간전증에서 제대정맥혈장과 태반내 단백산화 촉진능 증가

        김은미 ( Eun Mi Kim ),김윤하 ( Yoon Ha Kim ),안봉환 ( Bong Whan Ahn ),양성열 ( Sung Yeul Yang ),김철홍 ( Cheol Hong Kim ),조문경 ( Moon Kyoung Cho ),김석모 ( Seok Mo Kim ),송태복 ( Tae Bok Song ) 대한주산의학회 2004 Perinatology Vol.15 No.1

        목적 : 단백질 산화를 잘 일으키는 cephalosporin에 의한 정상과 자간전증 임부의 제대정맥혈장과 태반내 단백산화 촉진능의 차이를 비교하고 단백산화촉진활성이 자간전증의 병태생리에 어떤 역할을 하는가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임신 34주 이상의 정상 임부 12명과 자간전증 환자 12명으로부터 태아분만시 제대정맥을 채취하고 분만 후 태반조직을 얻었다. Thiobarbituric acid 반응을 이용하여 지질과산화물 농도를 측정하였고, 2,4-dinitrophenylhydrazine (DNPH) 방법을 이용하여 단백질의 carbonyl기 함량을 측정하였다. 1 mM methodmoxalactam과 cephalothin 0.2 mL에 5시간 동안 함께 부치시킨 후 생성되는 제대정맥 혈장과 태반조직 단백질의 carbonyl기 함량을 측정하였다. 결과 : 정상 임신군의 제대정맥혈장과 태반조직균질액내 지질과산화물 치는 4.9±2.1과 5.8±2.2 nmol/mg protein이었으며, 자간전증군의 제대정맥혈장과 태반조직균질액내 지질과산화물은 10.1±4.0와 8.2±3.3 nmol/mg protein으로 자간전증군에서 정상 임신군보다 모두 의의있게 높았다 (p<0.05). Moxalactam과 cephalothin과 함께 부치시켰을 때 생성되는 제대정맥 혈장의 carbonyl기 함량은 자간전증 임부에서 정상임부에 비해 의의있게 높았다(8.5±2.0 vs. 6.6±1.4 nmol/mg protein, p<0.05, 7.6±1.6 vs. 6.2±1.2 nmol/mg protein, p<0.05). Moxalactam과 cephalothin과 함께 부치시켰을 때 생성되는 태반조직 단백질의 carbonyl기 함량은 자간전증 임부에서 정상임부에 비해 의의있게 높았다(17.6±5.3 vs. 13.0±4.2 nmol/mg protein, p<0.05, 16.1±5.2 vs. 12.5±4.4nmol/mg protein, p<0.05). 제대정맥 혈장과 태반조직내 지질과산화물 농도가 증가할수록 moxalactam과 cephalothin에 부치 후 단백질의 carbonyl기 함량이 증가하는 비례적인 관계를 보였다(p<0.01). 결론 : 자간전증 임부의 제대정맥 혈장과 태반조직에서 cephalosporin에 의한 단백질의 산화적 변화가 증가되어 있으며, 이러한 단백산화촉진에 관여하는 물질로는 제대정맥 혈장과 태반조직에서 증가되어 있는 지질과산화물이 작용을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단백산화 촉진활성의 증가는 지질과산화물질의 증가와 더불어 자간전증의 발생에 관여하고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prooxidative activity stimulating the protein carbonyl formation by cephalosporins in the umbilical venous and placenta of preeclampsia with that of normal pregnancy. Methods : Lipid peroxide levels in the umbilical venous plasma and placental tissue homogenates of normal pregnancy (n=12) and preeclampsia (n=12) were measured by thiobarbituric acid reaction. The basal protein carbonyl contents in the umbilical venous plasma and placental tissue homogenates of normal pregnancy (n=12) and preeclampsia (n=12) were determined by the 2,4-dinitrophenylhydrazine (DNPH) method. After samples of them were mixed and incubated up to 5 hours with 0.2 mL of 1 mM moxalactam or cephalothin, the protein carbonyl contents in them were measured by DNPH. Results : Protein carbonyls formation by moxalactam and cephalothin in the umbilical venous plasma and of women with preeclampsia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women with normal pregnancy (8.5±2.0 vs. 6.6±1.4 nmol/mg protein, p<0.05, 7.6±1.6 vs. 6.2±1.2 nmol/mg protein, p<0.05). Protein carbonyls formation by moxalactam and cephalothin in the placental tissue homogenates of women with preeclampsia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women with normal pregnancy (17.6±5.3 vs. 13.0±4.2 nmol/mg protein, p<0.05, 16.1±5.2 vs. 12.5±4.4 nmol/mg protein, p<0.05).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lipid peroxide and cephalosporins induced protein carbonyls levels of umbilical venous plasma, and placental tissue homogenates (p<0.01).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crease in the prooxidative activity stimulating the oxidative modification of proteins in placenta may be involved in the pathogenesis of preecalmpsia.

      • KCI등재

        선행제왕절개 임부의 유도분만

        김윤하(Yoon Ha Kim),송태복(Tae Bok Song),김형춘(Hyoung Choon Kim),김기민(Ki Min Kim),이경철(Kung Chol Lee),김석모(Seok Mo Kim),변지수(Ji Soo Byun) 대한산부인과학회 200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4 No.2

        목적 : 선행제왕절개 임부에서 유도분만의 안정성과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1986년 4월부터 1999년 6월까지 만 13년 2개월동안 전남대학교병원 산부인과에서 분만한 선행제왕절개술 임부중 유도분만을 하였던 시도분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 1. 선행제왕절개 임부는 2252명이었으며, 이중 시험분만을 하였던 경우는 1256예(55.8%)이었으며, 996명(44.2%)에서 분만진통전에 반복제왕절개를 하였다. 2. 시험분만 하였던 1256명중에서 유도분만은 283예(22.5%)이었고. 자연진통이 왔던 경우는 973예(77.5%)이었다. 3. 유도분만군에서 79.2%(224/283)에서 질식 분만하였고 20.8%(59/283)에서 제절분만 하였으며, 자연진통군에서는 82.9%(807/973)에서 질식분만을 하였고 17.1%(142/973)에서는 제절분만을 하였다. 이는 두 군간에 통계학적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유도분만의 방법을 보면 프로스타글란딘 E2질정이 36.0%(102/283), 양막외방법이 24.0% (68/283), 옥시토신 20.8%(59/283), 미소프로스톨 6.4%(18/283), 기타 12.8%(36/283)이었다. 5. 자연진통군에서 자궁열개 1예(0.10%), 자궁파열 3예(0.31%)이 발생하였으며, 산모사망은 없었고 신생아 사망은 자궁파열되었던 경우 2예(0.21%)에서 있었다. 유도분만군에서 자궁열개 2예(0.72%), 자궁파열 3예(1.08%)가 있었고 산모와 신생아 사망은 없었다. 1분 및 5분 아프가 점수가 7점미만 경우는 자연진통분만군에서 43예(4.4%), 37예(3.8%)와 유도분만군에서 18예(6.4%), 15예(5.3%)가 있었다. 이러한 산모와 신생아의 결과는 두 군간에 통계학적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선행제왕절개임부의 유도분만이 엄격한 대상선정, 적합한 유도약제의 선택, 면밀한 관찰하에 조심스럽게 시도된다면 안전하고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To determine the efficacy and safety of labor induction in patients previously delivered by a low transverse cesarean section. Method : A retrospective review was done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Kwangju, Korea. All patients with a previous cesarean section who required labor induction from April, 1986 to June, 1999 were identified. Outcome of labor induction, including mode of delivery, maternal and perinatal morbidity, and birth trauma were evaluated. Results : Trial of labor was undertaken by 1256 women(55.8%) who had previously been delivered by a low transverse cesarean section. 973 patients(77.5%) with a previous cesarean birth had a spontaneous onset of labor. Labor was induced in 283 patients(22.5%) with a previous cesarean birth. Successful vaginal delivery rate were 82.9%(807/973) in spontaneous labor and 79.2%(224/283) in induced labor group (p= N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uterine dehiscence and rupture rate, perinatal and maternal mortality rate, and the rate of infants with low 1 or 5-minute Apgar scores between patients attempting a trial of labor after cesarean, spontaneous and induced. Conclusion : we conclude that labor induction in patients with a previous low transverse cesarean section is a safe procedure requiring close peripartum maternal and fetal surveill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