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라와 고구려를 바라보는 두 시선

        김석근(Kim, Seog-gun) 한국양명학회 2013 陽明學 Vol.0 No.35

        이 글은 범부 김정설과 단재 신채호의 역사인식, 특히 신라와 고구려를 바라보는 두 시선에 초점을 맞추어보고 있다. 민족과 민족주의 그리고 민족국가에 대한 인식, 고구려 백제 신라 삼국의 쟁패와 통일, 화랑과 화랑도, 신라의‘삼국통일’및 김춘추(태종무열왕)와 김유신 에 대한 인식의 차이 등에 대해서 서로 상이한 인식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단재 신채호는 민족을 중시할 뿐만 아니라 ‘보수와 사대’를 배격하고 외세에 대한‘자주와 독립’을 지향하는 민족주의적인 사관을 지니고 있었다. 그런 시각에서 그는 부여족, 특히 고구려(와 발해)를 높이 평가했다. 반면 신라의 삼국통일에 대해서는 다소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신라의 삼국통일과 그 주역이라 할 수 있는 태종무열왕 김춘추와 김유신에 대해서도 신랄하게 비난했다. 단재의 부여와 고구려족 중심의 역사인식과 사관에 대해서 충분히 인지하면서도, 그리고 부분적으로 인정하면서도, 범부 김정설은 신라정신과 신라 삼국통일의 의미를 과감하게 밀고 나갔다. 단재의 역사인식에 대한 일종의 안티테제(antithesis)를 제시했다. 그는 신라의 삼국통일에 의해서 비로소 민족국가가 될 수 있었다고 파악한다. 김유신에 대해서도 “통일의 원훈인 용화 도령 김유신”이라 자리매김했다. 두 사람은 민족과 민족주의, 그리고 민족국가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서로 이해를 같이하면서도, 그‘민족’의 구체적인 내역?과연 민족이란 무엇인가??에서는 서로 다른 시각을 지니고 있었다. 그들이 펼쳐놓은 역사의 지평을 우리시대에 걸맞게 더 밀고 나갈 것인가 하는 점이 중요하다. 바야흐로 창조적인 미래를 과감하게 열어갈 수 있는 ‘역사에 밝은 눈’?단재의 용어를 빌어 말한다면 ‘신안공’(新眼孔)?이 필요한 시점에 이르고 있다. This paper seeks to scrutinize Bum-Boo Kim Jeong-Sul and Danjae Shin Chaeho’s historical awareness, in particular on the Silla and Koguryo dynasties. It is notable that the two scholars rather retain contrasting perceptions in understand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following conceptions; ‘nation’, ‘nationalism’, and the perception on the ‘nationalist state’, the three kingdoms, Koguryo, Baekje, and Silla’s struggle to ascendency and unification, ‘Hwarang’ and ‘Hwa Rang Do’, Silla’s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and lastly, on Kim Chunchu (King Taejong Muyeol) and General Kim Yushin. Not only Danjae Shin Chaeho regarded Minjok (nation) as an important concept but he also denounced ‘Conservatism and Toadyism’ and further promulgated the nationalistic historical view which accentuates Korea’s independence and autonomy. In this respect, he highly accredited the Buyeo tribe, especially Koguryo (and Balhae). On the other hand, he held a rather pessimistic view on Silla’s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Danjae heavily criticized King Taejong Muyeol Kim Chunchu and General Kim Yushin’s efforts to unify the three kingdoms. While partially acknowledging Danjae’s Buyeo and Guguryo-centered historical account, Bum-Boo Kim Jeong Sul highlighted the significance of the spirit of Silla and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He proposed an antithesis on Danjae’s historical awareness. Danjae realized that the construction of a nation-state was achieved through the unification of three kingdoms of Silla. General Kim Yushin, the bachelor of Yong Hwa who is regarded as the driving force for the unification of three kingdoms, secured his position as the statesman. Although both scholars shared a common understanding on the significance of a nation, nationalism and nation-state, they maintained different perspectives on the concreteness of a ‘nation’ ? definition of a nation. It is crucial to contemplate on whether their historical accounts are applicable and can be further adapted to alleviate the prospect of current generation. It is time for the ‘profoundness of history’; to borrow Danjae’s words, ‘the orbit of an eye’; to lead this generation to a creative future.

      • 전국戰國과 통일統一의 리더십

        김석근(Kim Seog-gun) 예문동양사상연구원 2007 오늘의 동양사상 Vol.- No.17

        이 글에서는 16세기 일본에서 ‘전국戰國’(센고쿠)시대를 화려하게 수놓으면서 마침내 ‘통일統一’로 이끌어 가는 역동적인 과정에서 나타난 정치적 리더십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른바 통일의 3대 영웅으로 불리는 인물들, 구체적으로 오다 노부나가(織田信長, 1534~1582),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 1537/36~1598), 그리고 도쿠가와 이에야스(?川家康, 1543~1616), 그들 세 사람이 걸어간 정치적 궤적과 더불어 그들의 정치적 리더십에 대해서 살펴보고 있다. 예로부터 그들 세 사람의 성품과 개성을 전해 주는 일화가 전한다. “누군가 두견새를 보냈는데 그 두견새는 울지 않았다. 어떻게 할 것인가. 울지 않으면 죽여 버려라(노부나가), 울지 않으면 울게 만들어라(히데요시), 울지 않으면 울 때까지 기다려라(이에야스)”. 작자를 알 수 없지만 노부나가의 결단과 냉혹함, 히데요시의 임기응변과 적극성, 이에야스의 끈기와 인내, 그들 세 사람의 성품과 개성을 간결하게 전달해 주고 있다. 오다 노부나가는 독특한 개성, 개방성과 결단력, 그리고 자존심과 약간의 인간적인 결함(독단과 성급함)을 가진 카리스마 넘치는 리더십을 보여 주었다. 그래서 오늘날 새삼 주목받고 있다. 백성의 아들에서 ‘천하인’에 오른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기지와 임기응변, 그리고 군사적 · 정치적으로 뛰어난 수완을 가진 리더십을 보여 주었다. 하지만 정상에 오른 후에는 균형감각을 잃어 버렸을 뿐만 아니라 무리수를 두기도 했다. 조선 침략은 최대의 어리석은 짓(愚行)으로 여겨지고 있다.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조직의 질서와 체계를 중시하면서 부하들의 의식과 능력을 이끌어 내면서 동시에 교묘하게 통제하는 리더십을 보여 주었다. 참고 기다리는 미덕 역시 한몫을 했다. 마침내 그는 천하를 통일한 ‘천하인’으로서, 텐노(天皇)의 승인을 받아 ‘쇼군’이 되었으며, 도쿠가와 바쿠후를 열게 되었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political leaderships of the dynamic process of Japanese Senkoku history, from Warring states to Unification. And we will review the political careers and leaderships of three famous Unification heroes of Senkoku period, namely Oda Nobunaga(1534~1582), Toyotomi Hideyoshi(1536/7~1598), and Tokugawa Ieyasu(1543~1616). There is an anecdote which can tell us their personalities and characters. Someone sent them a bird(Hototokisu), but the bird did not sing. What shall they do? If the bird does not sing, kill the bird(Nobunaga). If the bird does not sing, make it sing(Hideyoshi). If it does not sing, wait till it sings. The anecdote briefly tell us the decisiveness and cruelty of Nubunaga, the adaptation to circumstances and positiveness of Hideyoshi, and the preservance and patience. Oda Nobunaga showed the charismatic leadership of unique personality, the openness and decisiveness, and high honor, but he also had some human weakness for example, a little of dogmatism and impatience. Nowadays he receives spotlights as a strong and innovative leader. Toyotomi Hideyoshi, who became the first man of state from the son of the common people, showed the harmonious leadership of the wisdom, the adaptation to circumstances, and the political and military ability. But after the climax of his political life, he lost the sense of equlibrium, and did some worse decisions. The invasion to Chosun dynasty was the worst choice. Tokugawa Ieyasu showed the systematic leadership of the order of organization and system. He controlled and united his staff and followers well. Also the preservance and patience were his virtues. He became the first man of the unified Japan and the first Shogun of Tokugawa Bakufu.

      • KCI우수등재

        19세기 말 조선의 ‘franchise’ (參政權) 개념에 대한 인식과 수용

        김석근(Seog Gun Kim),조진만(Jin Man Cho) 한국정치학회 2001 한국정치학회보 Vol.35 No.2

        본 논문은 19세기 말 독립과 富强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부각된 서양 立憲政體에 관한 개화사상가들의 입장과 논의에 주목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서양 立憲政體의 핵심이었던 개인(individual)의 정치참여의 권리(rights), 다시 말해 民이 ‘선거’ 내지 ‘투표’를 통해 행사하게 되는 근대적 의미에서의 ‘參政權’ (franchise) 개념을 당시 조선의 개화사상가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어느 수준까지 ‘수용’하고자 했는가의 문제를 『漢城旬報』, 『漢城周報』, 『西遊見聞』, 『朝鮮 內政에 관한 建白書』, 『독립신문』과 같은 당시의 사료들을 토대로 고찰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19세기 말 조선의 개화사상가들은 국가의 富强을 도모하기 위해 君權 제한과 民의 정치참여를 핵심으로 하는 서양의 立憲政體를 수용할 필요가 있다는 사실을 분명히 인식했다. 하지만 유교적 전통과 대내외적 위기상황, 그리고 중국과 일본을 통한 서양 사상과 제도의 간접적 수용 등의 요인으로 인해 당시 조선의 개화사상가들이 ‘개인’과 ‘권리’와 같은 서양 자유주의 사상의 핵심개념을 내면화하여 이해하기는 어려웠다. 이같은 상황 속에서 당시 개화사상가들은 전통과 현실을 고려하여 서양의 立憲政體가 갖는 장점을 파악하고 소개함으로써 民의 參政權을 정당화하는 논리를 발전시켰다. 즉 君民共治를 주장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君權의 도전을 최소화하고, 서양의 立憲政體가 오히려 전통적 가치들을 보다 잘 구현할 수 있다는 전략적이고 현실적인 입장에서 民의 參政權을 정당화하는 논리를 전개했다. 그리고 현실적 수용에 있어서는 서양의 立憲政體가 문명개화 된 民을 전제로 할 때 제대로 기능한다는 입장에서 民의 參政權을 즉각적으로 인정하기보다는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신중하게 民의 參政權을 인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태도를 보였다. 19세기 말 民의 參政權 문제를 놓고 보인 당시 개화사상가들의 인식과 수용의 태도는 어떠한 시각으로 보느냐에 따라 다양한 평가가 가능하다. 당시 개화사상가들이 서양 자유주의 사상의 핵심개념들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고 民의 參政權을 현실화시키지도 못했다는 점을 들어 비판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하지만 한편으로 전통과 현실을 고려하여 서양의 근대적 參政權 개념을 인식하고 수용하고자 했던 당시 개화사상가들의 고민과 노력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서양의 立憲政體를 일방적으로 수용하는 것보다 서로 다른 전통과 가치를 가지는 동양과 서양의 政體를 서로 융화시켜 변형적으로 수용하려 했던 당시 개화사상가들의 시도와 노력에 보다 많은 고민과 어려움이 있었다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mainly explores Korean reformist thinkers' stands and debates about the Western consititutional polity during the search for Chosun's independence and wealth in the late 1800s. In particular, this paper focuses on the individual rights of political participation, which is the cornerstone of the Western constitutional polity, that is, the concept of 'franchise' performed through 'elections' and 'voting.' We analyze how the Chosun dynasty's reformist thinkers recognized and to what extent accepted the concept of franchise, as originated in the West. The historical evidence is based on the following materials: Hansung SunBo(漢城旬報), Hansung JuBo(漢城周報), SeoYuGyunMun(西遊見聞), A Written Memorial on Chosun Dynasty Domestic Governance(朝鮮 內政에 관한 建白書), and The Independence Newspaper(獨立新聞). In the late 19th century, Chosun Dynasty's reformist thinkers certainly realized that adopting the Western constitutional polity, which restricts the power of king but facilatates the participation of the people, was necessary for the the national strength and wealth. They, however, experienced a hard time in understanding the core elements of Western liberalism like 'individual' and 'rights.' This difficulty was attributed to the Confucian tradition, external and internal crises and the indirect introduction of Western thought and institutions via China and Japan. In this context, taking into account tradition and reality, reformist thinkers at that time introduced the Western constitutional polity and developed the logic of justifying franchise of the people. From their strategic and real view, they tried to prove the reasonability of this logic with the argument that the western constitutional polity could embody traditional values much better by minimizing the challenge to the King's sovereignty and supporting powersharing with the people. Also, they suggested that empowering the franchise to the people is rather gradual than radical because western constitutional polity performs better with enlightened people. We may have diverse evaluations (mainly positive and negative thought) about how and to the extent which reformist thinkers recognized and accepted the frachise rights of people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reformist thinkers may be evaluated from the negative perspective, because they could neither internalize the core concept of the Western liberalism nor embody the franchise rights of the people. We cannot overlook, however, their anguish and effort in recognizing and accepting the Western franchise concept. We need to acknowledge the trial and endeavor of fitting the Western constitutional polity into Chosun dynasty, which has a different tradition and values from the West.

      • KCI등재

        근대 일본 '내셔널리즘'의 구조와 특성에 대한 재검토

        김석근(Kim Seog Gun)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6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5 No.1

        이 글에서는 근대 일본 내셔널리즘의 전개 양상, 그리고 내셔널리즘이 파시즘과 초국가주의로 변용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구조와 특성을 살펴보고 있다. 이같은 검토는 현재 논의되고 있는 지역주의(예컨대 동아시아공동체, 동북아공동체) 문제에 대해서도 많은 시사와 교훈을 던져줄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그 연원을 따져보면 ‘내셔널리즘’과 그 운동은 19세기 서구 유럽에서 등장해서 동아시아 지역으로 전파되었으며, ‘네이션’과 ‘nation-state (네이션 스테이트, 국민국가)’ 개념 역시 전해지게 되었다. 동아시아 국가들은 대외적으로 독립을 유지함과 동시에 새로운 국제사회의 구성원으로 편입되어야 하는 일종의 통과의례를 거쳐야만 했는데, 그것은 동아시아 내셔널리즘에 공통된 과제가 되었다. 일본의 경우, 그 같은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했을 뿐만 아니라 단시일 내에 열강의 반열에 들어설 수 있었다. 하지만 근대 일본의 내셔널리즘은 점차로 그 적정한 영역을 벗어나서 국가주의로 다시금 초국가주의로, 그리고 군국주의와 침략적 제국주의로 나아가는 양상을 보여 주었다. 만주사변(1931)에서 ‘종전’ (1945년 8월 15일)에 이르는 이른바 ‘15년 전쟁’ 기간이 거기에 해당된다. 그 분기점으로, 그리고 비판의 논거로서 내셔널리즘과 인터내셔널리즘이 근사하게 균형을 취할 수 있는 지점을 설정할 수 있었다. 그 같은 균형점을 벗어나 질주하게 된 일본의 파시즘은 독일, 이탈리아의 파시즘과 구별되는 특성을 보여주었다. 아래로부터의 파시즘 혁명을 체험하지 못 했다는 것, 대신에 기존의 정치세력, 특히 군부와 관료층이 국가기구 내부에서 점차로 파쇼체제를 성숙시켜 갔다는 점이 두드러졌다. 독자적인 계층으로서의 중간층(시민 계급)의 미약함, 시민사회의 취약함과 민주주의 관념의 미성숙이라는 특성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했다. 중일전쟁, 태평양전쟁의 전개와 더불어 일본 내셔널리즘은 극한 형태로 나아갔으며, 그것은 ‘코쿠타이’(國體)를 극단적으로 신봉하는 ‘초국가주의’ 양상을 보여주게 되었다. 초국가주의는 일본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전 세계에 확산되는 형태로 투사되어, 철저한 ‘자민족중심주의’ (ethnocentrism)와 동시에 ‘세계정책’으로서의 면모도 갖는 것이었다. 그것은 동아시아 국가들의 내셔널리즘, 특히 민족해방 투쟁과 온전하게 균형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국가 간의 관계에서 수직적인 관계를 본질로 한다는 점에서, 그것은 지난날 중국의 중화의식, 사상과도 일맥상통하는 것이었다. 그럼에도 우월한 무력을 근간으로 한다는 점에서, 조금은 다른 뉘앙스를 가지고 있었다. 아울러 그것은 일본이 서구 제국주의로부터 받게 되는 ‘억압’을 다른 동아시아 민족, 국가들에게 떠넘긴 것, 다시 말해서 ‘초국가주의’ 하에서 볼 수 있었던 ‘억압 이양의 원리’가 국제적으로 연장된 것이라 할 수 있겠다. 건강한 내셔널리즘의 발현을 넘어서 파시즘과 초국가주의, 그리고 마침내 침략전쟁으로까지 나아갔던 근대 일본의 경험은 아주 독특한 사례라 하겠다. 아직도 불행한 ‘기억’으로 남아 있으며, 침략과 전쟁, 그리고 식민지로 뒤얽혔던 지역에서는 특히 그렇다. 지난날의 초국가주의 체험과 세계 인식은, 전통시대의 중화사상과 더불어, 현재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지역주의’ ‘지역연합’(예컨대 동아시아공동체, 동북아공동체) 논의에서도 충분히 경계해야 할 대상이라 해야 할 것이다. Against the tide of the Western powers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East Asian countries must keep their independence externally and be admitted as members of the new international society. It was the common task for East Asian nationalism. Japan accomplished the task successfully and, in addition, became the one of the powers in such a short time. During the process Japanese nationalism that got the strange mixture of generality and peculiarity showed distinguished aspects. In other words, it was located in the middle between the West and East Asia. Japanese nationalism, however, had gradually gotten out of the appropriate boundary, in other words, the line where nationalism and internationalism took a wonderful balance, and went further into militarism and aggressive imperialism towards ultra-nationalism. It falls under the era of 'the Fifteen Years War' which ranged from the Manchurian incident of 1931 until the end of war of August 15 1945. Japanese Fascism revealed distinct characteristics from the Italian and German counterparts. It was conspicuous that it did not experienced fascist revolution from the bottom but existing political powers, especially the military and the bureaucracy, had matured fascist system gradually inside the State structure. In some sense, it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weakness of the middle class (civil class) as an independent group, fragility of civil society and immaturity of democratic ideas. With the development of the Second Sino-Japanese war and the Pacific war, Japanese Fascism proceeded extremely and revealed the characteristic of 'ultra-nationalism' which worshiped 'Kokutai' (State-body) overzealously. Ultra-nationalism was not limited in Japan but also transmitted its view all over the world. It took a form of ultimate 'ethnocentrism' and, at the same time, 'the world policy.' In this world view, it was hard to make the balance and harmony with nationalism of other East Asian countries, especially the fight for national emancipation because it was impossible to expect an establishment of horizontal relationship or the existence and function of the international law based on the general principles. In the sense that the essential relationship between nations was not horizontal but vertical, it shared the exactly same position with Sinocentrism before. Nevertheless, there was a difference in nuance in that Japanese nationalism was based on the superiority of military powers. In addition, Japanese Fascism and ultra-nationalism always claimed to stand for 'the emancipation of Asian nations.' Considering the emergence of the Western imperialism and the colonized or semi-colonized Asian countries, the claim could be somewhat persuasive. However, in the view of Chosun or Taiwan already colonized by Japan, it was only a deceptive justification. In fact, it is possible to say that Japan passed oppression loaded by the West to other East Asian countries, in other words, °Æthe logic of the transmission of oppression' under ultra-nationalism extended internationally. It would be regarded as simple gilding over imperial war in which an intention of Japan to seize hegemony in East Asia in place of the Western imperialism was concealed. In this sense, it was a very unique case of modem Japan in East Asia to experience the Fascism and ultra-nationalism transcending the healthy nationalism, and the following wars of external aggression at last. It still remains as a sad memory especially in the region entangled with incursion, war and colonization. It would be why the notion that there needs nationalism of 'coexistence' and 'mutual benefits' in East Asia exists. Moreover, the past experience of ultra-nationalism and its world view, besides Sinocentrism in the traditional era, should be vigilantly watched in the recent lively discussion of 'regionalism' and 'regional cooperation' such as the East Asian Community or the North East Asian Community. Furthermore, the careful att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코토쿠 슈스이(幸德秋水)의 무정부주의

        김석근(Kim Seog Gun)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8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7 No.1

        1910년(메이지 43)년 5월, 일련의 사회주의자ㆍ무정부주의자들이 메이지 천황(天皇) 암살을 기도한 ‘대역사건(大逆事件)’이 있었다. 코토쿠 슈스이(幸德秋水)는 그 수모자(首謀者)에 다름아니었다. 일본 ‘무정부주의(아나키즘)’ 운동과 이념의 대표자라 할 수 있는 그는 ‘사회민주주의에서 무정부주의에로’라는 흥미로운 사상의 변화를 보여주었다. 1911년 처형당한 그로서는 ‘러시아 혁명’ (1917년)을 경험하지 못했다. ‘초기 사회주의’ (初期社會主義) 운동과 이념이라는 문맥에서 읽어야 한다. 자유민권 사상과 니카에 쵸오민의 사상, 제국주의와 사회주의, 러일전쟁과 비전론 등이 그의 사상 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보통선거에 의한 사회혁명의 전망’이라는 비견과 더불어 독일 사회민주당을 모델로 삼았던 그는 감옥에서 크로포트킨의 저작을 읽고, 또 그와 교류하게 되면서 생각이 점차로 바뀌게 되었다. 동시에 1905년의 러시아혁명을 높이 평가하게 되었다. 지난날 ‘절망의 철학’ ‘허무의 사상’으로 일종의 죄악/해독처럼 여겼던 무정부주의, 그리고 부정적으로 비판했던 러시아 ‘허무당’ 내지 ‘무정부당’ (사회혁명당)의 방식으로 기울어가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죽기 직전 감옥에서 쓴 글(〈陳弁書〉)에서 그는 무정부주의가 ‘동양의 노장(老莊)과 같은 일종의 ’철학’으로 ‘자유와 평화’를 사랑한다는 것, 암살과 폭력을 쓰더라도 그것은 사회적 약자들의 ‘정당방위’라는 것, 그리고 직접행동이란 자신의 일을 스스로 처리하는 것일 뿐이라는 식으로 적극 변호하고 있다. 궁극적으로 그가 생각한 비전은 모든 정치조직과 사회조직을 근본적으로 변혁시키는 혁명에 다름아니었다. Some socialists and anarchists of Japan tried to assasinate the Meiji(明治) Emperor at May of 1910, and usually it has been called the Trial of High Treason(大逆事件). Kotoku Shusui(幸德秋水) was the leader of that trial. As a representative of Japanese anarchism, he has shown an interesting change of thoughts from a social democrat to an anarchist. He was executed at January of 1911, so he did not and can not experience the Russian Revolution of 1917. So we have to read him in the perspective of the ideal and movement of the earlier Socialism(初期社會主義). The thoughts of Liberty and Rights(自由民權), thoughts of Nakae Chomin(中江兆民), imperialism and socialism, the Japan-Russian War and the Hizenron(非戰論) had given impact on his formation of thoughts of social democracy. He has had the vision of social revolution through the universal suffrage, and regarded the Social Democratic Party of Germany as a good model. But he has read Pyotr Alekseevich Kropotkin's works in Jail, and come to exchange opinions on society each other, and he had changed his thoughts gradually. And he has come to evaluate the meaning of the Russian Revolution of 1905. In fact, he had regarded anarchism as the philosophy of despair and the thoughts of nihilism, and criticized it harshly as the Russian Nihilistic Party's way. He has defended the anarchism earnestly and positively at his Prison Note(〈陳弁書〉) as follows: The anarchism is a kind of philosophy, and loves the liberty and peace just like the Taoist philosophy. Assasination and viloence are a series of legitimate self-defense of social minorities. Direct action is to treat his own works. In the end, the ultimate vision of Kotoku Shusui was a social revolution which change the political organization and social organization fundamentally.

      • KCI등재후보

        샤마니즘, 라마불교, 그리고 사회주의

        김석근(Kim Seog Gun)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9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8 No.1

        이 글은 몽골의 민주화와 민주주의라는 문제를 생각하는데 있어, 사회주의 이전의 ‘전통문화’가 중요한 변수가 될 것이라는 입장에서 출발하고 있다. 체제전환과 민주화 과정에서는 드러나지 않았지만, 시민사회와 실질적인 민주주의라는 측면에서 고려하지 않으면 안되는 부분이라 하겠다. 때문에 사회주의, 라마불교, 샤마니즘에 대해서, ‘정치와 종교’의 얽힘 내지 ‘이념의 역사정치학’이란 맥락에서 바라보고자 했다. 샤마니즘의 경우, 몽골 민족의 기층신앙을 형성해온 것으로 여겨지지만, 오래 전에는 정치적 속성을 강하게 지닌 이념이자 동시에 세계관이었다. 국가와도 긴밀한 관계를 지니고 있었다. 하지만 13세기에 이르러 심각한 위협에 직면하게 되었다. 몽골제국의 성립과 더불어, 불교, 기독교, 도교 등 다양한 종교가 도래해왔기 때문이다. 새로운 ‘시대정신’(Zeitgeist)이 요청되었다. 티벳트에서 전래된 불교(티벳트불교)가 점차 대안으로 떠오르게 되었다. 라마불교는 마침내 국가 종교의 위상을 차지하게 되었다. 쿠빌라이 칸에 이르러서는 라마불교에 근거해 원나라의 정신적 통일을 추구하고자 했다. ‘몽골 라마 불교의 상징’ 자나바자르(Zanabazar, Undur Geghen)가 보그드(Bogd)에 오르면서 불교는 전성기를 구가하게 되었다. 제 8대 보그드는 독립운동을 이끌었으며, 1911년 독립국가 몽골의 왕(황제, 보그드 항)으로 추대되었다. 인민혁명이 승리하는 1921년까지, 불교와 정치의 최고지도자로 추앙받았다. 사회주의 혁명 이후, 몽골 정부는 ‘종교는 곧 인민의 아편’이라는 입장에서, 반(反)라마 정책을 취했다. “불교는 마약, 승려는 혁명의 적”이라 선포했다. 정치와 종교의 분리라는 명분 하에 라마불교에 대한 가혹한 탄압이 이루어졌다. 샤마니즘 역시 비슷한 상황을 겪었을 것이다. 하지만 라마불교나 샤마니즘이 가진 질긴 생명력은 꾸준히 이어져온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면 민주화 이후 20여년이 지난 지금, 몽골의 정치적인 이념은 어떤가. 이념적인 좌표는 어디를 지향하고 있는가. 아울러 문제는, 지난 70여년에 걸친 사회주의 체험이 몽골에 남긴 사회적, 정신적 유산을 넘어설 수 있을 것인가, 그 과정에서 전통문화로서의 라마불교와 샤마니즘은 이념적으로 어떤 역할을 할 것인가, 그리고 또 할 수 있는가, 하는 점이다. 그들은 개인, 시민사회, 민주주의와 어느 정도의 친화력을 갖는가. 이들은 확실히 몽골의 ‘민주화’ 이후 떠오르게 된 새로운 과제라 해도 좋을 것이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Mongolian traditional ideas and their historical relations, specially of the Shamanism, the Lamaist Buddhism, and Socialism. It is a very interesting case of the Historical Politology of Ideas. The main stream of political idea had been changed from the Shamanism to Lamaist Buddhism in the 13th century. But with the Socialist revolution of Mongolia, all of tradtional ideas, especially the Lamaist Buddhism had been persecuted severely. The government of socialist Mongolia regarded the Lamaist Buddhism as 'the opium of peoples', and took anti- Lamaist Buddhism policy. They declared that the Buddhism is opium, the monks are the enemy of revolution. But the Lamaist Buddhism, though it had lost a lot of temples and monks, has not been disappeared. The democratization(or transformation of system) of Mongolia is regarded as 'Asia's first successful transition to democracy from the totalitarian rule of communism'. And the name of state itself has changed from 'Mongolian People's Republic' to 'Mongolian Republic'. As many post-democratization states, the Mongolia has faced with so many problems, for example the new national identity, the consolidation of democracy and etc.. After the democratization(or transformation), Chinggis Khaan and the Lamaist Buddhism have been revived rapidly and dramatically. The 70 years of the rule of sociI ism could not change the Mongolia fundamentally. Now it seems that Chinggis Khaan has become the symbol of the Mongolia, and about the 90% of the Mogolians believe in the Lamaist Buddhism. We can and need to read those phenomena in the perspective of the Politics of 'Identity'.

      • KCI등재후보

        조선의 ‘건국’과 ‘정치체제 구상’에 대한 시론적 접근

        김석근(Kim Seog Gun)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8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7 No.2

        이 글은, 지금까지 한국정치사상 연구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분야의 하나라 할 수 있는 여말선초, 특히 조선의 건국을 전후한 시기를 대상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연구들의 성과를 반갑게 여기고 또 인정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했다. 아울러 조선의 건국과 정치체제 구상이라는 측면에 주목하면서, 기존 연구에서 몇 가지 쟁점이 될만한 점을 추출해내서 가능한 한 직접적인 논평을 가하고자 했다. 앞으로의 효율적인 논의를 기대하면서, 필자 개인적인 생각과 견해를 거침없이 피력해보기도 했다. 논의에서는 ‘건국’과 ‘정치체제’를 어떤 시각에서 어떻게 볼 것인가 하는 점에 대해서 말한 다음, ‘여말선초’라는 시대는 일종의 ‘문명사적 전환기’로 보아야 한다는 점을 지적했다. 불교 시대에서 유학, 더 정확하게는 ‘신유학’으로서의 주자학 시대로의 이행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 다음 불교를 심하게 비판했던 정도전은 주자학 이해와 응용에 대해서, 과연 ‘주자주의자’인가 하는 점을 다루었다. 이어 ‘재상’론이란 관점에서 ‘군권’(왕권)-‘신권’(臣權) 문제의 연원과 함의 등에 대해서 논의했다. 동시에 여말선초를 연구 대상으로 삼고 있는 연구자들 사이에 보다 활발하고 적극적인 ‘소통’이 이루어졌으면 좋겠다는 바램을 피력했다. 비슷한 시대와 주제를 다룬 글들이라면, 서로 어떻게 같고 다른지, 어떤 측면에서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 정리할 단계에 이르렀다는 것. 그러기 위해서는 단선적으로 자신의 생각과 해석을 피력하는 것을 넘어서, 서로 애정어린 ‘비판’과 ’논쟁’을 주고 받을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비판과 논쟁은 불필요하고 소모적인 정력 낭비가 아니라 창조적인 대화를 가능하게 해주는 원동력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State-building' and the idea of 'Political System' of Chosun Dynasty in relation with some points at issue. There are differences among the studies of the era of end of Koryo Dynasty and opening of Chosun Dynasty. So this paper reviews on their thesis of recent important studies critically, and adds some critical comments on them. The 'State-building' of Chosun Dynasty was not only a radical political revolution but also a grand transformation of Civilizations. The transformation was a historical one, and that of from the Buddhist Age to the Neo-Confucian age, namley the Learning of Chusi(朱子, 1130-1200). Of course, Jeong Do-Jeon(鄭道傳, 1342-1398), the representative ideologue' of Chosun Dynasty, criticized the Buddhism very severly, but he was not a sober 'Chusi'ist just like the Confucians of the middle and later age of Chosun Dynasty. And we have to examine the appliance of the conceptions of 'the power of King'(王權) and 'the power of Subjects'(臣權) to Chosun Dynasty more closely. This paper calls for an active critics and intellectual communications between scholars who have been interested in the politcal and intellectual changes of that period, i.e., the era of end of Koryo Dynasty and opening of Chosun Dynasty.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tics of that change, the scholars have to dispute each other and criticize the articles and books. Critics and dispute are not a mere unnecessary waste of energy but a good and positive motive which can make the creative dialogue possible.

      • KCI등재후보

        성공한 쿠데타, 위로부터의 혁명, 그리고 5ㆍ16

        김석근(Kim, Seog Gun)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2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11 No.1

        이 글에서는 5ㆍ16이란 정치적 사건의 자리매김과 관련해서 ‘성공한 쿠데타’와 ‘위로부터의 혁명’이라는 서로 다른 두 개의 관점에 대해서 검토해보자 했다. 이 문제는 사태를 바라보는 시각에 따라 결정될 수 밖에 없겠지만, 여기서는 5ㆍ16 이후 그들이 내세웠던 ‘조국근대화’ 이념이 어떤 정치적 성격과 함의를 지니고 있었는지, 그리고 또 지닐 수 없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했다. 아울러 그 같은 사안에 대해서 박정희 자신이 어떻게 생각하고 있었는지, 그리고 어떤 말로써 자신의 행위를 ‘변호’(내지 ‘정당화’)하고 있었는가 하는 점에 대해서도 유념해서 보고자 했다. 일단은 형식적인 측면에서 보자면 5ㆍ16은 역시 ‘군사 쿠데타’라고 해야 할 듯하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그 것은 성공한 쿠테타였다고 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평가는 다각적으로 이루어졌다. 훗날 박정희의 강력한 정치적 라이벌이자 비판자가 되는 장준하(張俊河, 1918-75)가 5ㆍ16정변에 대해서 ‘5ㆍ16군사혁명’ 내지 ‘5ㆍ16혁명’으로 자리매김했었다는 사실도 흥미롭다. 한편 일부 정치학자들은, 하야시 타케히코(林建彦)나 김일영 등은 엘렌 케이 트림버거(Ellen Kay Trimberger)의 ‘위로부터의 혁명’ 개념을 적극적으로 원용하면서 5ㆍ16을 위로부터의 혁명이라 규정하기도 했다. 그런 주장은 ‘쿠데타’였지만 근대화 과정을 이끔으로써 내용 적으로는 ‘혁명’이 될 수 없다는 식의 함의를 던지고 있다. 5ㆍ16 주체, 특히 박정희의 경우 세계 각 지역의 혁명과 쿠데타 사례에 대해서 자세히 조사했으며, 중남미 지역의 단순한 쿠데타 사례에 대해서는 경계하기도 했다. 특히 중국의 손일선(손문)혁명, 일본의 메이지유신, 터키의 케말 파샤 혁명, 이집트의 나세르 혁명과 같은 사례에 주목했다. 그들을 가리켜 민족의 재기와 발전을 위한 거룩한 거사라 했다. 성공한 쿠테타와 위로부터의 혁명 사이에 존재하는 간격을 메우기 위해서, 그는 ‘조국근대화’라는 이념을 적극적으로 내세우고, 그것을 이루기 위해서 나름대로 노력했다고 할 수 있겠다. ‘동원된 근대화’ ‘개발동원 체제’ ‘개발독재’ 식의 비판 역시 경제개발과 근대화, 산업화가 어느 정도 이루어졌다는 것을 시사해주는 것으로 여겨진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two different perspectives of ‘Successful Coup d’Etat’ and ‘Revolution From Above’, in relation with the evaluation of 5ㆍ16 as a radical political event. Ultimately, the evaluation must and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evaluator’s value system, but this paper is going to review the idea of ‘Fatherland Modernization’ and its implication, and especially the leader, Park Chung Hee(朴正熙, 1917-79)’s thoughts on ‘Fatherland Modernization’ and justification of their coup behaviors. As far as it is concerned with formal aspect, it seems that 5ㆍ16 had to be a military coup. And eventually it was a Successful Coup d’Etat. But various evaluations have been made. It is very interesting that Jang Joon Ha(張俊河, 1918-75), who is later not only a political rival but also a synical critic, announced 5ㆍ16 as ‘5ㆍ16 military revolution’ or ‘5ㆍ16 revolution’. Some political scientists, such as Hayashi Takehiko(林建彦) and Kim Il Young, using Ellen Kay Trimberger’s concept of ‘Revolution From Above’, positively evaluated 5ㆍ16 as a Revolution From Above. The groups of 5ㆍ16, specially Park Jeong Hee, investigated the cases of revoltions and coup d’etats all oer the World, and had some vigiland at the simple cases of coup d’etats of Central and Southern America. They carefully watched at China’s Revolution, Japan’s Meiji Restoration, Kemal Pasha’s revolution of Turkey, and Nasser’s Revolution of Egypt. They called them a sacred uprising for the rise and development of the Nation, They posotively announced the idea of ‘Fatherland Modernization’ and tried to achieve it. Critics on Park’s regime, such as ‘mobilized modernization’, "the mobilization system for modernization’, ‘dictatorship for development’, paradoxically indicate some degree of economic development and industrialization at that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