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革菴 金瀅植의 삶과 시문학에 대한 일고

        김새미오 우리한문학회 2019 漢文學報 Vol.41 No.-

        This paper studied the life and poetry literature of Hyukahm Kim Hyung-Sik. Hyukahm Kim Hyung-Sik is an intellectual from Jeju Island who lived the years of Japanese Occupation. His family is a meritorious one and they had lived in Chocheon through many generations. His father is Kim Mun-Ju who served the highest post of Cheongeui-hyun region (currently south east part of Jeju Island); and his brother is Kim Myung-Sik who was very well known as a journalist fighting against the Japanese rule. He studied in Meiji University and he held erudite knowledge for several languages. Moreover, he perceived keenly the complex political situations under way at that time. Even though he perceived the reality sharply, he chose a life to observe the ongoing situations of society with one step back rather than changing the reality through an active involvement. This made a great contrast with his brother Kim Myung-Sik who strived to change the reality by participating in the reality with an active engagement. Kim Seok-Ik, a colleague of Kim Hyung-Sik, evaluated that the literature of Kim Hyung-Sik presented the consistent unity between his deeds and words. Kim Hyung-Sik can be categorized a figure that belongs to the School of Nosa. While the School of Nosa resisted against the Japanese rule using armed forces in the beginning of the rule, it later made an effort to change society through education. The double edged tendencies made by the School of Nosa were confirmed in his poems. One is to reflect the wills to change actively the reality; and the other is to behave by escaping difficulties. This is clearly confirmed in his two pen names: hyuckahm and piae. Through the poems of Kim Hyung-Sik, it is identified that hyuckahm reflects his imagination for the reality whereas piae mirrors his behaving considering the reality. The pen name of hyuckahm indicates that Kim Hyung-Sik wished to change whatever things. It is a bow and a knife that he thought of under the Japanese Occupation in order to change the dark situation. This shows following the character of armed resistance by Nosa School. Moreover, he was fully aspired to change certain things starting from the Movement of March First. Nevertheless, the reality was so harsh that intellectuals under the Japanese Occupation were not able to find enough locations to be situated in such a harsh situation. Kim Hyung-Sik also had to face that situation. His frustration in shadow was deeply reflected in his poems with the metaphors of an alcohol, tears, and friends. This can be read as the frustration and despair among young intellectuals under the Japanese rule being all surfaced, those who had to learn first to escape from difficult situations rather than to fight the reality. Furthermore, this is what should be remembered as an intellectual fight through literature against the Japanese rule. 본고는 혁암 김형식의 삶과 시문학에 대해 살펴보았다. 혁암 김형식은 일제강점기를 살았던 제주의 지식인이었다. 그의 집안은 대대로 조천에 세거하던 제주의 벌열이었다. 그의 아버지는 정의현감을 지낸 김문주였고, 그의 동생은 일제강점기 항일 언론인으로 이름을 떨쳤던 김명식이었다. 그는 明治大學에 수학했고, 여러 언어에 능통하였다. 뿐만 아니라 당시에 일어나고 있었던 복잡한 시국에 대해서도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그의 삶과 처신의 관점은 『반도시론』의 글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그는 현실을 정확하게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적극적인 행동으로 현실을 바꾸는 것 보다는 한 걸음 물러서서 시류를 읽는 방향의 삶을 선택하였다. 이는 동생 김명식이 적극적으로 현실에 참여하여 바꾸려는 행동을 했던 것과는 분명히 대비된다. 김형식의 문학에 대해서 동료 김석익은 실질적이면서도 말과 행동이 정확하게 일치한다고 평가하였다. 김형식은 노사학맥의 인물로 분류할 수 있다. 노사학맥은 일제강점기 초기 무력으로 저항하기도 했지만, 후에는 교육을 통한 변화를 모색하였다. 노사학맥의 이런 양면적인 경향은 그의 시에서 그대로 확인할 수 있었다. 하나는 시대를 적극적으로 바꾸려는 의지를 표현한 작품이고, 또 하나는 어려움을 피하면서 처신하는 것이었다. 이는 ‘革菴’과 ‘避碍’라는 김형식의 호에서 분명하게 확인될 수 있다. 김형식의 시를 통해 볼 때, 그의 현실적 상상은 ‘革菴’이었지만, 현실적 처신은 ‘避碍’였다. 혁암이라는 호에서 보듯, 김형식은 무엇인가를 바꾸고 싶었다. 일제강점기 상황에서 바꾸기 위해 그가 생각했던 것은 활과 칼이었다. 이는 노사학맥의 무력항쟁의 성격을 잇는 면이 있다. 그리고 3.1운동을 기점으로 무엇인가를 바꾸어 보자는 생각도 팽배했었다. 하지만 현실은 매우 냉혹하였다. 일제강점기 지식인들은 발을 붙일 곳이 많지 않았다. 김형식 역시 그러하였다. 그의 좌절의 그림자는 술, 눈물, 친구를 통해 짙게 표현되었다. 이는 현실을 바꾸려는 것보다는 피하는 것을 먼저 배워야했던 젊은 지식인층의 울분이 드러난 것이었다. 그리고 이는 일제를 향한 하나의 文鬪로 기억해야할 부분일 것이다.

      • KCI등재

        艮翁 李瀷의 제주유배문학 일고

        김새미오 영주어문학회 2019 영주어문 Vol.41 No.-

        This paper studies the characters and implications of Jeju Island literature of exile developed by Ganong IIk (1579-1624). Ganong was put into a jail as a punishment for his action of sending a letter expressing his objection to the confinement of Queen Mother Inmok during the Gwanghyegun's rein. Ganong resisted Gwanghaegun and never gave up his will while naming his prison as 'Gaeuiwa' along with other colleagues who were met in the prison. At last days of his imprisonment, he was sentenced an exile punishment to Jeju. In Hanyang, he was truly undaunted as being sentenced banishment to Jeju. However, his daunting spirit soon turned into anxiety as he began his exile years in Jeju. Even if so, Ganong did not surrender to the anxiety. Ganong sharpened his mind through reading books and seeking for the values and meaning of life, which led him to recover his genuine self. Song Sang-In and Cheong Ohn also spent their banishment years in Jeju with Ganong. Ganong endured his gloomy exile years in Jeju by maintaining close relationships with them. Restoration of In-Cho released Song Sang-In and Cheong Ohn from their banishment and the two returned to their government posts. These political situations appeared to be of help to the literary circles of Jeju who held government posts in the mainland, this being considered as a significant aspect worthwhile to pay attention to in the intellectual history of Jeju. The ways Ganong spent his exile years did not show much shifts considering his psychological dramas. However, Ganong's close relationships with others banished to Jeju and the political situations changed were unique aspects that were not observed in Jeju literature of exile. Ganong carried out teaching activities in Jeju and raised important figures such as Kim Jin-Yong and Koh Hong-Jin. Although no anthology was left by them, the two were identified in mythologies and fables of Jeju and held significant standings in the intellectual history of Jeju. Further, Ganong had a son, In-Che from his marriage in Jeju to Kim Man-Il who became a vassal of merit by contributing his horses to the King. His ancestors later settled down in Jeju; and further grew up as members leading village society of Jeju by passing exams of government officials, which is strikingly different from others being exiled to Jeju. 본고는 艮翁 李瀷(1579~1624)의 제주유배문학의 성격과 그 의미에 대해서 살펴보 았다. 간옹은 광해군시기 인목대비 유폐건에 반발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옥에 갇혔다. 간옹은 옥중에서 만난 동료들과 옥중거처를 ‘可矣窩’라 명명하며 자신의 뜻을 굽히 지 않고, 광해군에게 저항하였다. 그리고 옥 생활의 마지막에 제주유배형을 받았다. 한양에서 처음 제주유배형을 받았을 때, 간옹은 참으로 의연하였다. 하지만 제주 에서 유배생활을 시작하자, 의연한 마음은 점점 불안감으로 휩싸여갔다. 그렇지만 간 옹은 이 불안감에 무너지지 않았다. 간옹은 독서를 통해 자신의 마음을 가다듬었고, 이를 통해 삶의 가치와 의미를 궁구하며, 조금씩 본연의 모습을 찾아갔다. 간옹은 제주유배 시기에는 송상인⋅정온 역시 같은 지역에서 유배생활을 하고 있 었다. 간옹은 이들과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울적한 유배생활을 버텼다. 이들은 인조반정으로 제주유배형에서 풀렸고, 다시 관직생활을 하였다. 이런 정치적 상황은 본토에서 벼슬살이하는 제주문인들에게도 간접적인 도움이 되었을 것이고, 이는 제주지성사에 있어서도 주목해야할 사항으로 판단된다. 유배심리에 따른 간옹의 유배 는 유사한 패턴을 유지한다. 하지만 이면에 유배인들간의 밀접한 관계와 정치변화는 이전의 제주유배문학에서는 확인할 수 없는 특징이었다. 간옹유배의 의의는 후대에 끼친 영향관계에서 두드러진다. 간옹은 제주에서 교학 활동을 펼쳤고, 김진용⋅고홍진과 같은 인물을 키워내었다. 이들이 남긴 문집은 없지 만, 제주설화와 제주신화등에서 직접적으로 확인되는 인물이며, 제주지성사에 있어 서도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또한 간옹은 제주에서 헌마공신 김만일의 딸과 혼인하여, 仁濟라는 아들도 낳았다. 그 후손들은 이후 제주에 정착하였고, 문과⋅무 과에 급제하여 제주향촌사회를 이끌어가는 일원으로 성장하였다. 이런 점 역시 다른 제주유배인들과는 확실히 구별되는 특징이라고 하겠다.

      • KCI등재
      • KCI등재

        병와 이형상의 「荒服願戴歌」에 대한 소고

        김새미오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24 탐라문화 Vol.- No.75

        This paper analyses Hwangbokwondaegha by Byungwa Lee Hyung Sang. Hwangbokwondaegha is a long poem with 134 paragraphs and 157 rhyming words that are composed to follow the rhyming words of Taklaga by Kim Jong-Chik, Woodoga by Kim Jeong and Tamla Poem of 135 verses by Choi Bu. While Hwangbokwondaegha is presented only in Namgwanpakmul, it has not been known to the academic circle so far. This paper looks into the literary status of this work focusing upon its forms and contents. This paper deals with Taklaga, Woodoga and Tamla Poem of 35 vers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se poems, I found out that numerous people have shown interest in poems that talk about Jeju. Hwangbokwondaegha can be divided into the former part and the latter one. The former discussed the general aspects of Jeju. The latter included what Byungwa saw and felt himself, which is the core of this poem. I examined the latter part by categorizing it into the contents that are: <wholehearted care and attention towards poverty stricken Jeju people>, <enlightening policies of King and changes observed in people>, and <abolition of Jeju shamanism rituals and the life-world afterwards>. In particular, I discovered Byungwa’s consciousness most from the part of the abolition of Jeju shamanism rituals. In Hwangbokwondaegha, Byungwa Lee Hyung Sang put together the previous literal achievement and reinterpreted Jeju drawing upon his own perspective. The contents of the poem can be said to represent Namwhanbakmul literally. Such creation style is found nowhere in Jeju related literary works. Through poem, Byungwa aimed to study Jeju, to express synthetically Jeju as experienced himself and Jeju as seen as mokmingwon. In this regard, Hwangbokwondaegha can be considered as a work that was intensively planned and constructed. Byungwa reflected upon his role as governor(Mokmingwan) through Hwangbokwondaegha and further aimed to transform the folk of Jeju deep rooted in shamanism into confucius civilization. This action is of course open for a controversy but his effort for Jeju people should be highly evaluated.

      • KCI등재

        『탐라기년』에 담긴 심재 김석익의 의식과 시각에 대하여

        김새미오 한국사상사학회 2022 韓國思想史學 Vol.- No.70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amlaginyun written by Shimje Kim Suk-Ik. It first identifies the three bibliographic items of Tamlaginyun and further examines their meanings. The items identified are: seeking for positivist truth, improvement of Confucius civilization and perceptions regarding floating. Tamlaginyun has currently both a transcript copy and a lead printed copy. The original transcript copy being located in Jeju National Museum, the lead printed copy was published in Yongjuseogwan in 1918, this further being widespreadly recognized. Tamlaginyun documents, in a chronological form, historical facts for the periods from Tamla to modern. Prior to getting into recording history of Jeju, Shimje put Tamla period under the separate heading of a foreign book. Even though Tamla is very critical to the identity of Jeju islanders, documented records are not impressive. Shimje aimed to put in order Tamla history under the heading of a foreign book drawing upon evidence-based documents. Shimje put himself significantly cautioned to interpreting as a history those unidentifiable through documents. In this reason, in writing Tamlaginyun, he prepared separate appendix headings(附, 按) in order to provide supplementary explanations. Through this, he corrected existing misguided perceptions and waited further verification by leaving the unidentifiable for future generations. In describing confucius culture, Shimje looked into a specific situation of Jeju. It is because Jeju is a place in which shamanism culture is very strong. He believed that the abolishment of shamanism temples by Byungwha Lee Hyung-Sang would bring Jeju into a place where confucius culture could prosper. Shimje’s emphasis upon confucius culture can be read as considering Joseon positively, which is also a literary battle through which confucius scholars kept their identities living the Japanese occupation years. It is worthwhile to pay attention to his perception of seawater. This is because the geographic perceptions of Jeju islanders got to broaden. The volume of materials that Shimje recorded concerning floating and drifting ashore are much greater than the previous ones. We can be hinted that Shimje made a great effort in documenting these subjects. Shimje’s Tamlaginyun transforms the way Jeju is perceived so far. While Jeju and its history having been documented by non-native scholars to Jeju, Tamlaginyun holds very important implication in that it is written by Jeju island born native himself. 본고는 심재 김석익(心齋 金錫翼)의 탐라기년(耽羅紀年) 에 대한 제반 사항을 정리하고, 그 의미를 살펴본 글이다. 본고에서는 먼저 탐라기년 의 서지사항을 정리하였고, 실증적 사실추구, 유교문명의 제고, 표류에 대한 재인식의 항목으로 나누어 그 내용과 시각을 정리하였다. 이어 저작이 차지하는 학술적 위치를 정리하였다. 탐라기년 은 필사본과 연활자본이 전해진다. 원본인 필사본은 제주국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고, 연활자본은 1918년 영주서관에서 간행되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탐라기년 은 탐라시대부터 근대에 이르는 역사적 사실을 편년체로 기록하였다. 심재는 본격적인 제주 역사기록에 앞서 「외서(外書)」라는 항목을 두어 탐라시대를 따로 구분하였다. 탐라는 제주사람들의 정체성이기 때문에 매우 중요했지만, 문헌기록은 많다고 할 수 없다. 심재는 실증적인 작업을 통해 「외서」를 써 내려갔고, 이를 통해 탐라의 역사를 정리하고자 하였다. 심재는 문헌으로 확인할 수 없는 것을 역사로 해석하려하지 않았다. 이에 탐라기년 을 서술하면서, 부족하거나 보충 서술이 필요한 부분은 ‘부(附)’ ‘안(按)’이라는 항목을 따로 설정하여 기술하였다. 이런 방식을 통해 심재는 잘못된 관점을 수정하고, 확인할 수 없는 것은 그대로 두어 후세의 검증을 기다렸다. 유교문화에 대한 심재의 기술은 제주도라는 특수상황 아래에서 살펴보았다. 제주는 무속 문화가 매우 강한 곳이기 때문이다. 심재는 병와 이형상의 신당철폐 등을 긍정적으로 생각하였고, 이로 인해 유교문화를 누릴 수 있는 곳으로 바뀌었다고 보았다. 이렇게 유교문화를 강조하는 것은 조선을 긍정적으로 생각했던 것이며, 이는 일제강점기 유교지식인의 문투(文鬪)로 평가할 수 있다. 바다에 관한 인식 역시 주목된다. 이는 제주 사람들의 지리적 인식이 확대된 것이기 때문이다. 심재가 기록한 표류와 표착에 관한 자료는 예전에 있던 다른 서적들 보다 그 양이 많다. 그만큼 심재가 심혈을 기울였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었다. 심재의 탐라기년 은 지금까지 제주를 바라보던 시선을 바꾸었다. 기존에 있던 역사저술이 대부분 외부인이 제주를 기록하는 방식이었다면, 탐라기년 은 제주사람이 제주를 직접 기록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후보

        「탐라별곡」에 표현된 제주목사의 책무와 그 시선

        김새미오 제주학회 2020 濟州島硏究 Vol.54 No.-

        This paper analyzes Tamlabyulgok, the work of lyrics by Jeong Eoun-Yoo. Different from the previous approach to this work, this paper looks into the work by highlighting the ways by which Jeju is viewed as well as taking the humanity of the perspectives of Jeju. From the humanity of the perspectives of Jeju, I first looks at the status of Jeju moksa (administrative post during Chosun dynasty). Unlike the other regions’ mok, Jeju moksa was chong 2 pum amun (a government officer post which is the junior second grade of the second rank) to which the post of a marine defence officer was additionally imposed. Jeju moksa was mainly in charge of appointing competent military officers. As Jeong Eoun-Yoo being a civil servant, he started to write with a fear for taking a responsibility to defend Jeju Island. Afterwards, Jeong Eoun-Yoo identified the reality of the island by making an extensive tour and relieved starving people of the island. Tamlabyulgok covered extensive pages discussing relief, which indicates that the key subject of it is relief. The relief policy of Jeju Island was intensely made after the natioanl order of banning sailing to the mainland, this being enacted during the king Incho period of Chosun dynasty. Relieving Jeju islanders was fundamentally important to the island’s administrative officers. This is because relief policy was directly linked to the islanders’ lives. Tamlabyulgok discussed significantly tangerines and horses that were the island’s major offerings to the King. Jeong’s discussing tangerines and horses can be read as reminding him the offering responsibility as Jeju moksa. This is also for reminding the hard works of Jeju people for the offering duty. From the offering products, he was able to read the blood and sweat of Jeju people. This all leads to the key subject of his loving spirit of people. The last part of Tamlabyulgok expresses classical scholars’ taste for arts. In order to interpret this part, I approaches it from the standpoint of viewing Jeju at those days. While officers sent to the island by the central government felt significant responsibility as an officer, they also appreciated Jeju in terms of enjoying arts due to Jeju being far away from the central place of Chosun. I interpret the last part as a mind of Jeju island’s officers loving and enjoying arts. As information regarding Jeju becoming abundant, such trend in which officers enjoying arts has developed that Jeju is a destination wishing to visit one day. Summarizing synthetically what have been discussed so far, we can conclude that Tamlabyulgok by Jeong Eoun-Yoo is the work that describes the duty of Jeju island’s officers and classical scholars’ loving and enjoying spirits for Jeju Island’s landscape. 본고는 정언유의 가사작품인 「탐라별곡」의 성격을 살펴보기 위한 글이다. 본고는 기존연구와는 달리 제주 관인문학의 관점에서 제주목사의 책무와 시선을 중심으로 작품을 읽었다. 제주 관인문학연구에 앞서 먼저 제주목사의 위치를 정리하였다. 제주목사는 다른 목과는 달리 수군방어사의 직책이 더해진 종2품 衙門의 관직이었다. 제주목사는 주로 유능한 무관을 임명되었다. 정언유는 문관이었다. 때문에 제주방어에 대한 두려운 책임감으로 글을 시작하였다. 이후 정언유는 제주순력을 통해서 제주의 실상을 파악하였고, 굶주린 제주백성들을 구휼하였다. 「탐라별곡」에서는 구휼에 관한 내용이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하고 있는데, 바로 작품의 중심주제가 구휼임을 의미한다. 제주의 구휼정책은 인조 대에 실시되었던 출륙금지령 이후에 집중되었다. 제주구휼은 제주관리들에게 매우 중요한 일이었다. 백성들의 생명과 직결되었기 때문이다. 「탐라별곡」에서는 제주 진상품인 귤과 말에 대해서도 중요하게 언급하였다. 귤과 말을 거론한 것은 제주목사로서의 진상임무를 상기시킨 것도 있지만, 이를 통해 제주백성들의 노고를 생각한 것이었다. 이는 제주의 진상품을 통해 백성의 피와 땀을 읽어낸 것이었다. 이런 제반사항은 모두 애민정신이라는 주제로 귀결된다. 마지막 부분은 선비의 풍류를 표현하였다. 이 부분의 해석을 위해 당시 제주를 바라보는 시선이라는 입장에서 접근하였다. 제주에 왔던 관리들을 책임도 책임이었지만, 멀리 떨어져 있는 곳이었기에 풍류라는 시각에서 제주를 느끼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이에 마지막 부분은 풍류를 즐기고, 이를 표현한 관인들의 마음으로 해석하였다. 이는 제주에 대한 정보가 많아지면서 한 번쯤은 가고 싶은 곳으로 변화한 측면이 있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적으로 정리하면, 정언유의 「탐라별곡」은 제주목사로서의 책무와 제주경관에 대한 풍류를 표현한 작품으로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瀛州十景」의 형성과 변화에 대한 통시적 고찰-매계 이한우 작품을 중심으로-

        김새미오 한국한문학회 2019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76

        This paper studied the process in which youngjusipgyung of Jeju was constructed by focusing upon the works of maegye Lee Han-Woo. Maegye Lee Han-Woo is a literature person of Jeju who has been known to create youngjusipgyung. This paper identified that efforts were made to look at the landscapes of Jeju comprehensively before maegye Lee Han-Woo and also by his junior literature persons. Literature persons in and outside of Jeju composed a verse in response to the works of maegye Lee Han-Woo. This is the very process in which youngjusipgyung came to establish as representative landscapes for Jeju. I studied the poems written by Ii Ik-Tae, Ii Hyung-Sang, Ii Won-Cho, these being among the literature persons precedent to maegye Lee Han- Woo. Through this, I identified the influences of such works upon maegye in creating youngjusipgyung. For literature persons after maegye Lee Han- Woo, I studied Nongeun Kim Mun-Ju, Hyuckam Kim Hyung-Sik, Namgok Koh Young-Ha, Hwaahm Shin Hong-Seok, Seokwoo Kim Gyung-Chong, Nakcheon Kim Hee-Doo. I discovered that whether or not such words as Hallasan, Yongyeonyabum, Noinseong were included in their poems, the list of youngsipilgyung and youngsipigyung was further developed and a variety of literature discussions were made accordingly. Not only that, youngjusipgyung was represented not only in literature but in several modified works.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a comprehensiv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in near future. Furthermore, as youngjusipgying itself is a tourist landmark for Jeju, it is worthwhile to develop Yongyeonyabum and Noinseong as a tourist product through research and to seek for its utilization ways. For this, comprehensive research including researchers from different research majors should be carried out and financial support from government offices are urgently asked for such project. 본고는 매계 이한우의 영주십경시을 중심으로 제주 영주십경의 형성과정을 통시적으로 고찰한 글이다. 매계 이한우는 영주십경을 품제했다고 알려진 제주문인이다. 본 연구를 통해 매계 이한우의 이전에도 제주풍광을 종합적으로 살펴보려했던 흔적이 있었고, 이후에도 후배문인들의 특별한 노력이 있었음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매계 이한우의 작품을 중심으로 제주도 내외의 문인들이 화운하면서 영주십경이 제주의 대표적인 풍광으로 자리하게 되었음을 밝혔다. 매계 이한우 이전의 문인들로는 李益泰, 李衡祥, 吳泰稷, 李源朝의 시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매계의 영주십경 창작에 끼친 영향을 정리하였다. 매계 이한우의 시는 시의 형식을 중심으로 그 계통을 확인하였다. 매계 이한우 이후의 문인으로는 農隱 金汶株, 革菴 金瀅植, 南谷 高永夏, 禾菴 愼鴻錫, 石友 金景鍾, 樂泉 金熙斗를 살펴보았다. 이들의 영주십경시를 통해 ‘漢拏山’, ‘龍淵夜泛’, ‘老人星’이 들어가는지 여부에 따라 ‘영주십일경’, ‘영주십이경’으로 변화하고 있고, 이에 따라 다양한 문학적 논의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뿐만 아니라 영주십경은 문학장르 외에도 여러가지 변형된 형태로 표현되고 있다. 앞으로 이들에 대한 종합적인 자료정리와 분석이 필요하다. 또한 영주십경이 자체가 제주를 대표하는 관광지이니, ‘용연야범’, ‘노인성’인 경우 인문학적 정리를 통해 관광상품으로 개발하여 그 활용방법을 생각해볼만 하다. 이를 위해서는 학제간의 종합적인 연구와 관공서의 지원이 절실하다고 하겠다.

      • KCI등재

        물에 대한 기억과 그 문화 - 제주바다를 중심으로 -

        김새미오 한국한문학회 2019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73

        This paper examined memories about Jeju seawater and culture concerning the water. The seawater presented differently to Jeju islanders along with changing social circumstances. In Tamla age, Jeju seawater was a vividly open space. Until the early stage of Chosun period, the water was a place where diverse activities were freely made by islanders. Jeju seawater transformed into a closed space during the Incho period of Chosun by the embargo for people going to the mainland. The embargo appeared to smooth in the late period of Chosun. Such different experiences with Jeju seawater led to people perceiving the water in diverse ranged spectrums. Jeju seawater was identified holding two images to mainlanders. They were the images of both isolation and taoist hermit. Jeju was a harsh place of exile. The water itself was a thick bar. The punishment of exile to Jeju was among harshest damnations during Chosun period. Jeju was a closed place with tough seawater; accordingly, mainlanders found it difficult to travel to Jeju safely and conveniently. Concerning this, Jeju was often represented a place of taoist hermit with Halla Mt. It can be said that the dual aspects of isolation and taoist hermit are eventually social constructions that are presented by hostile sea water of Jeju. Jeju seawater was a place where islanders could not leave but to live with even if the water was tough and harsh. In Jeju, male islanders made a return trip to the mainland through seawater in order to pay a tribute, to do an exam for government posts, and to sell things. Drifting in seawater was not a strange event. Rather it was an experience very commonly and frequently made for islanders. Drifting brought some people to become a devoted son and a virtuous woman. Women divers wandered through under seawater land in order to find seawater goods to pay a tribute. It can be assumed that Jeju seawater was a very painful place to them. Even if so, the water was a place where intense fight for survival was made by islanders and could not be avoided by them. This paper also provided memories regarding soft water of Jeju. As most of Jeju city is geographically conditioned with dry streams, people had to collect soft water and flow-out water. For this, water basket (called mulheobuk in Jeju island dialect) was used very efficiently. However, to bring soft water many miles to home with the basket was a harsh work for both male and female islanders. Jeju is lacked of enough fresh water so that cultivating rice was very difficult. While the memories regarding reservoirs were uncommonly observed, such memories are quite unusual in Jeju as people in Jeju mostly did dry-field farming. In Jeju, water was not only a life space but also the source of life. It has now turned into a cultural space. It is a time to reflect upon such change in perceptions about water. 본고는 제주바다를 중심으로 물에 대한 기억과 그 문화에 대해 논술하였다. 제주 사람들에게 바다는 주변상황에 따라 수시로 변화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먼저 사람들의 인식에서 제주 바다가 어떻게 열리고 또 닫혀졌는가를 살펴보았다. 제주바다는 탐라시대에 활발히 열린 공간이었다. 조선초기까지도 바다는 제주사람들의 자유로운 활동영역이었다. 조선 인조시기 출륙금지령이 실행되면서 제주바다는 닫힌 공간으로 변하였다. 조선말기가 되어서야 이 조치가 조금씩 완화된 것으로 보인다. 이런 독특한 경험으로 제주바다는 사람들에게 다양한 층위로 인식되었다. 외지인에게 제주바다는 단절과 신선의 이미지로 인식되었다. 제주는 험악한 유배지였다. 바다 자체가 두터운 창살이었다. 바다를 이용한 제주유배형은 조선시대 가장 극악한 형벌 중에 하나였다. 제주는 바다로 인해 단절된 경우가 많았고, 이로 인해 외지 사람들이 편히 오갈 수 없었다. 이에 제주는 한라산을 중심으로 신선의 공간으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았다. 단절과 신선이라는 양면성은 결국 험악한 제주바다가 만들어낸 층위라고 하겠다. 바다는 험했지만, 제주 지역사람들에게는 떠날 수 없는 삶의 공간이었다. 제주에서 남자들은 공물을 바치기 위해, 과거를 치르기 위해, 장사하기 위해 바다를 왕래했다. 표류는 제주사람들에게 특별한 사건이 아니었다. 오히려 일상에 가까웠다. 표류로 인한 효자와 열녀들도 적지 않았다. 해녀들은 공물을 받치기 위해 바다 밭을 헤매였다. 이들에게 제주바다는 참으로 고통스러웠을 것이다. 그렇다고 피할 수 없는 치열한 삶의 현장이었다. 제주바다와 함께 달달했던 단물의 추억도 함께 살펴보았다. 제주도 시내는 대부분 건천이기에 샘물이나 용출수를 길어서 먹었다. 이때 물허벅이 매우 효과적으로 이용되었다. 그렇지만 남자이든 여자이든 괴롭기는 매 일반이었다. 쌀농사를 짓기 위해 저수지를 만들었던 것 역시 제주에서는 독특한 것이었다. 제주는 대부분 밭농사를 지었기 때문이다. 제주에서 물은 삶의 공간이자 생명의 원천이었다. 현재는 문화공간으로 점차 변화하고 있다. 이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사회적 고민이 필요한 시기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