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조 연시조의 발전과 수용 양상

        김상진(Kim, Sang-Jean) 한국시조학회 2014 시조학논총 Vol.40 No.-

        조선조 연시조는 四時歌, 五倫歌, 六歌 등의 유형으로 발전하며 각각의 계열을 형성하게 된다. 이렇듯 일련의 시조가 계열을 형성한다는 것은 그들 간에 영향관계가 있음을 의미한다. 본고는 이 가운데서 대표격이라 할 수 있는 육가계 연시조가 시대에 따라 어떻게 변모하고 있는가를 고찰하기로 한다. 이를 위해 육가의 성격에 대하여 먼저 규명하였다. 사시가와 오륜가가 그 명칭에서부터 작품의 성격을 의미하는 것과는 달리 육가는 그렇지 못하다. 더욱이 최초의 작품인 李鼈의 〈藏六堂六歌〉와 최고의 작품으로 꼽히는 退溪의 〈陶山十二曲〉이 〈장육당육가〉를 비판, 수용함으로써 육가의 성격을 모호하게 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兩者를 아우르는 육가의 성격을 ‘處의 공간에서 물러난 시기에 부르는 노래’로 정의하였다. 본격적인 논의에서는 〈도산십이곡〉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왜냐하면 이후의 작품들이, 〈도산십이곡〉이 표방하는 溫柔敦厚의 정신과 형식을 본받아 작품을 창작하면서 〈도산십이곡〉이 육가계 연시조의 대표작이 되었기 때문이다. 즉 〈도산십이곡〉이 취하고 있는 육가의 형식과 온유돈후의 정신이 16세기말에서부터 18세기에 창작된 육가계 시조에 어떻게 수용되고 있느냐의 문제이다. 〈도산십이곡〉은 세 가지 유형으로 수용된다. 첫째는 긍정적 수용 양상이다. 이들은 〈도산십이곡〉과 근접한 시기에 창작된 것으로, 그것의 정신과 내용 모두 〈도산십이곡〉을 효방한다. 둘째는 變容的 수용 양상으로, 17세기적 상황을 반영한다. 이것은 기본적으로는 〈도산십이곡〉에 근접하고자 하였지만 작가의 의식세계나 그가 처한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변화시켜 수용한 경우이다. 셋째는 18세기에 창작된 작품에서 볼 수 있는 異形的 수용 양상이다. 이 시기의 작품들은 전반적인 맥락에서 본다면 〈도산십이곡〉이 지향하는 틀을 수용하지만, 그 구체적인 면모는 그와 다르거나 오히려 상반되게 수용하고 있는 경우이다. 이상과 같이 육가계 연시조를 통시적으로 조망함으로써, 낱낱의 작품만을 봤을때 놓치게 되는 작품들 간의 ‘관계’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요컨대 이들 작품이 모두 유기성을 지닌 연시조라는 사실을 간과하지 않았다. 그럼으로써 총체적으로는 작품의 실체에 근접하고자 하였다. Joseon Yeonsijo is a type of development such as Sasiga (四時歌), Oryunga (五倫歌), Yukga (六歌). And each line was formed. This mean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 of the same lines. In this paper, Yukga-line Yeonsijo is the target. Because, this is among the Yeonsijo. In order to do this, first identify the nature of the Yukga. The name alone Yukga does not know character of work. This is different from Sasiga and Oryunga. And, the first work is Li-Byeol(李鼈)’s 〈Jangyukdanoyukga (藏六堂六歌)〉 and The best works Toegye(退溪)’s 〈Dosansibigok (陶山十二曲) character is different. Therefore, the character of Yukga is ambiguous. Thus, in this paper, stipulates as follows that ‘Yukga is singing in the space of retreat’. In a real discussion, specifically focuses on Toegye’s 〈Dosansibigok〉. Becau se, later creative works is 〈Dosansibigok〉 was seen. In other words, 〈Dosansibigok〉’s the spirit of Onyudonhu (溫柔敦厚) and form. So 〈Dosansibigok〉 was the representative of the Yeonsijo. 〈Dosansibigok〉 to accommodate the three types of patterns. First, it is a acceptance of positive. This is creative the closest period from 〈Dosansibigok〉. So were imitated all spirit and form. Second is the acceptability of transformation. This reflects the situation in the 17th century. This is essentially a 〈Dosansibigok〉 attempt seen. However, the situation was because of transformation. Third is, it can see the 18th century. It is the acceptability of allogeneric. There are the overall context of generally oriented to 〈Dosansibigok〉. However, looking specifically to it is different, or the opposite. So, this paper was diachronic study as a Yukga-line Yeonsijo. In doing so, pay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s.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hat this work is Yunsijo in accordance with the organic. In short, the study was close to the reality of work.

      • KCI등재

        時調에 나타난 ‘老年’의 考察

        김상진(Kim, Sang-jean) 중앙어문학회 2017 語文論集 Vol.69 No.-

        현대로 접어들며 노년의 문제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대중문화에서 노년을 테마로 다룬 내용이 자주 등장하는 것은 이러한 현상의 반영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시조에 나타난 노년의 문제를 고찰하고, 이로써 요즘 야기되는 노년의 문제를 되짚어보고자 한다.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문학일반에 등장하는 노년을 살펴보고 시조의 노년에 주목하였다. 여기서는 특별히 ‘白髮’에 주목하였는데, 노년을 노래한 다수의 시조에서 백발이 중요한 어휘로 등장하기 때문이다. 이어 시조에 나타난 노년의 문제를 검토하였다. 이는 세가지로 범주화 할 수 있다.첫째는 老化한 현실의 歎息으로, 늙어버린 자신의 현재를 슬퍼하는 것이다. 둘째는 지나간 젊음에 대한 熱望이다. 과거를 회상하며 현재와 대비되는 젊음을 그리워한다. 셋째는 자신의 과거를 예로들며 他人을 警戒하는 그러나 모든 시조에서 노년이 부정적인 대상이 되는 것은 아니다. 노년을 망각하거나 즐거워하며 긍정으로 인식하는 시조 또한 존재한다. 이러한 경향은 士林派 文人을 창작자로 삼는 일련의 江湖時調에서 자주 발견된다. 반드시 사림파 문인의 작품이 아니더라도, 親自然을 노래한 시조들에서 노년을 긍정하고 있다. 시조에서 보이는 이러한 양상은 노년을 살아가는 하나의 방안으로 삼을 수 있는 것으로, 현재에도 그 유용성을 제공한다. In modern society, old age is a serious social problem. Therefore, old age is becoming a main theme in popular culture and modern literature. This is a reflection of society in the literature. This paper examines the problem of old age in the sijo tries to reconsider the problem of old age. Prior to a full discussion, this paper examines old age in other genres of the literature. Subsequently, it explores the old age expressed in was particularly marked with “gray hairs.” Gray hair appears as an important vocabulary in many sijo focused on old age. Next, the paper reviews the problem of old age, which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The first is the lamentation of an aging reality. The second is the longing for past youth. This refers to remembering the past and missing youth in the present. The third is taking care of others, with their past as example. These show different aspects, but are all common in accepting old age. However, in sijo, old age is not a negative object, and in some verses, old age is forgotten or rejoiced, recognized as affirmative. This tendency is often found in the Gangho-Sijo(江湖時調) created by the Sarim(士林) Group’s writer, or in sijo that explore nature, thus affirming old age. These aspects of sijo can be used as a way of living in old age. Currently, .

      • KCI등재
      • KCI등재

        杜谷 高應陟의 시조에 관한 고찰

        김상진(Kim, Sang-Jean) 한국시조학회 2011 시조학논총 Vol.35 No.-

        이 논문은 두곡 고응척의 가곡, 즉 시조의 작품론이다. 16세기 후반 문인인 고응척은 28수의 시조를 창작하여 당대 문인으로서는 꽤 많은 시조를 후세에 남겨놓았다. 시조를 학문의 연장선으로 생각하는 것은 그 시기 문인들의 일반적인 현상이긴 했지만, 고응척은 이러한 정신이 더욱 뚜렷하였다. 성리학의 道脈을 이어가는 그는 유교 경전 중에서도 특히 『大學』에 심취하였고, 이러한 성향은 시조로 그대로 표현되었다. 따라서 그의 시조 또한 『대학』을 중심으로 한 經典의 내용을 노래하고 있다. 문학연구의 중요한 핵심은 작품을 옳게 파악하는데 있다. 교술성이 강한 고응척의 시조는 작가가 자신의 의도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표현했느냐가 중요한 관건이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시조에 나타난 표현방식에 논의의 초점을 맞추었다. 이것은 크게 세 가지로 범주화 된다. 형식, 구조, 언어표현이 그것이다. 즉 시조 형식을 택함에 있어서 단형의 평시조 이외에 사설시조, 연시조의 형식으로 다양화 하였다. 구조는 對句를 통한 병렬구조를 자주 사용하였다. 언어표현은 두 가지로 구체화 되는데, 첫째는 한자어 대신 우리의 고유어를 자주 사용한다는 것이며 둘째는 동일어휘를 반복하는 점이다. 즉 종장 첫구에서 ‘진실로’를 반복적으로 사용한다는 것이 그것이다. 요컨대 고응척은 시조로써 『대학』을 비롯한 경전의 가르침을 전파하고자 하였다. 시조로써 학문을 표현하는 이러한 모습은 당대의 문인들에게서 보편적으로 발견되는 현상이기도 하다. 그 중 고응척은 시조의 교술성에 좀 더 큰 비중을 두었다. 아울러 다양한 표현법으로 전달의 효용을 극대화 하고자 하였다. This dissertation is theory on works of Doogok(杜谷) Ko, Eung-chuk(高應陟)'s Kagok(歌曲), namely Sijo. Ko, Eung-cheok is scholar of 16th century latter part. And creative was Sijo of 28. This was when the authors at that time and comparing, very to create many Sijo. The 16th century scientists were commonly thought that Sijo to think of as an extension of the study. He thought this was more clear. He was seriously the Confucian scriptures. Because he had inherited the spirit of Neo-Confucianism, 『Daehak(大學)』 also pointed to the best of them. So in his Sijo, Daehaka lot of the content of the themed works. The core work of literary studies is to analyze the work properly. His works have a strong Gyosulseong(敎述性). So, it is important to the expression of Ko-Eungcheok's Sijo. Therefore, this article appeared in the Sijo of the discussion focused on the expression. This will categorize into three types. It's formality, structure, and an expression of language. The namely Sijo formats diversification did with Pyungsijo(평시조) and Saseolsijo(사설시조), Danhyungsiso(단형시조) and Yeonsijo(연시조). The structure was used frequently in parallel structure. Language expression was represented in two ways. The first is the use of Korean languages. The second is a repetition of the same vocabulary. In short, Ko, Eung-cheok preached by Sijo, that is 『Daehak』 and the teachings of the scriptures. And this time it was a universal phenomenon. However, he was more actively expressed. So, he used a variety of representations.

      • KCI등재

        고전문학 수업에서 PBL의 적용 - 시나리오 작성을 중심으로 -

        김상진(Kim, Sang-Jean) 우리문학회 2019 우리文學硏究 Vol.0 No.64

        이 논문은 PBL을 고전문학 수업에 적용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이다. PBL이란 Problem Based Learning의 약자로 문제중심학습을 일컫는다. 즉 학습자에게 문제 상황을 제시하면 학습자는 그 문제를 해결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전공 지식을 활용하면서 학습이 이루어지게 되는 학습자 중심의 학습법이다. 이러한 PBL은 처음 의과대학에서 출발하였으며 학습자에게 제시되는 문제 상황은 이전의 경험을 대상으로 삼았다. 이로써 학습자의 학습 효과가 상승되게 되자 이후 PBL은 다양한 전공으로 확장되었고 이제는 인문학으로까지 그 영역이 확대 되었다. 고전문학을 PBL로 진행할 때 가장 어려운 점은 학습자로 하여금 어떻게 문제해결을 하면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느냐는 것이다. 왜냐하면 고전문학은 이론 중심의 교과목이기 때문에 문제 상황을 제시하는 것이 여의치 않고, 그것의 결과로 문제 해결과정과 학습의 연결도 여의치 않다. 요컨대 시나리오를 어떻게 작성하느냐의 문제가 고전문학을 PBL로 진행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難題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고전문학의 PBL 시나리오 작성 방안에 대하여 논의를 전개하였다. 즉, 경험이 아닌 상황의 假定을 기반으로 작성되는 고전문학 PBL 시나리오는 그 방식에 따라 현실을 기반으로 응용한 사례, 흥미유발에 기초한 사례, 미래의 직업을 예측한 사례의 세 가지로 범주화 하였다. 또한 이들 세 가지의 시나리오는 PBL에 대한 학습자의 경험 유무나 학년 등에 따라 내용 구성이 다르다. 이는 시나리오를 작성 할 때 학습자에 따라 고려해야 할 내용이 달라짐을 의미한다. 한편 본 연구는 실제 수업의 사례를 토대로 한 것이다. 이로써 PBL이 학습자의 능동적 학습 참여 및 학문의 실용성을 높이는 등의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검토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application of PBL(Problem Based Learning) in classical literature classes. PBL refers to problem-oriented learning; in other words, learners are presented with problems that they need to solve. In this process, learning occurs through the utilization of the knowledge of majors; this is a learner-centric way of learning. PBL was first established in medical schools. In addition, the problems presented to learners targeted their previous experiences. As a result, the learning effect of learners increased; since then, PBL has expanded to various majors, including the humanities. The most difficult challenge that occurs when utilizing PBL to teach classical literature is understanding the way in which learners can learn by solving problems a classical literature is a theory-based subject. Therefore, it is not always possible to present relevant problems; as a result, there is no connection between the problem-solving process and learning. In short, the issue of creating scenarios has emerged as an important topic in the process of using PBL to teach classical literature. Thus, this paper discussed way in which scenarios could be created to establish PBL for leaching classical literature. There are three ways to create classical literature PBL scenarios based on a hypothesis of circumstances, not experience: application based on reality; examples based on interest; and examples predicting future jobs. In addition, the three scenarios differ in terms of the composition of content, based on learners" experience with PBL or their grade level. This indicates that different aspects of a learner"s skill set need to be considered when creating scenarios. Conversely, this study is based on actual class examples. It considers PBL to have positive effects, such as the active participation of learners and increased practicality of learning.

      • KCI등재

        시조에 나타난 ‘임’을 부르는 목소리

        김상진(Kim Sang-Jean) 우리문학회 2010 우리文學硏究 Vol.0 No.30

        이 논문은 ‘임’을 소재로 한 시조를 대상으로 하여, 임을 부르는 목소리가 시대나 계층, 상황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의 규명을 목적으로 삼는다. 임을 부른다는 것은 두 가지 사실을 환기한다. 첫째는 내용에 있어서 사랑을 테마로 삼는다는 것이다. 둘째는 임의 부재를 전제로 한다는 점이다. 그래서 사랑을 이야기하지만 실제로는 이별과 슬픔이 주된 내용이 된다. 논의의 전개를 위하여 본고에서는 텍스트를 세 가지로 범주화 하였다. 첫째는 기녀시조이다. 전해지는 기녀시조의 대부분이 애정을 노래하고 있는 만큼, 본 논문에서 가장 핵심적인 텍스트가 될 수 있다. 기녀시조에서 임을 부르는 것은 가녀린 목소리로 애틋함의 정서를 표현한다. 이것은 작자와 화자가 일치함으로써 자신들의 슬픔을 우아함으로 포장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둘째로는 조선전기 사대부의 연군시조이다. 여기에 해당하는 작품들은 작가는 남성이지만 여성의 목소리로 위장하며 연군을 노래한다. 이 경우는 애정을 노래했을 때보다 훨씬 간곡한 목소리로 슬픔을 노래하여 비장함의 정서를 표출한다. 셋째는 조선후기 사대부의 애정시조이다. 여기에서의 특징은 화자의 목소리나 표현되는 정서가 다변화되고 혼성적이라는 점이다. 즉 이전시기와 마찬가지로 남성작가가 여성의 목소리를 빌려 사랑을 노래하게 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굳이 여성의 목소리를 빌리지 않고 자신의 목소리로 사랑의 감정을 노래하는 작품도 다수 존재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시조에서 임을 부르는 목소리의 규명이 초점을 맞추며, 특별히 화자와 정서의 관계에 주목하였다. 임을 부른다는 것은 임과의 단절이란 상황을 전제로 하는 만큼 시대와 계층을 막론하고 애절하고 간절하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하지만 구체적인 양상은 각각이 처해 있는 상황이나 시대에 따라 편차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dissertation focuses on Sijo makes the lover with subject matter. So the voice which calls the lover according to time and identity probably is different how, examines closely does in goal. When calling the lover, two kind facts are prerequisite. First, loves a facing each other is fact. The second is, the lover and separated. So expresses a love, but the central contents is with separation and sad. For a discussion is necessary to a dissertation text at three category. First is an GinyeoSijo(기녀시조). This agrees writer and narrator, expresses their emotion. This speaks with sorrowful voice of female and expresses with elegant of emotion. The second is the YeongunSijo(연군시조) of 'the early days of the Choseon Dynasty High Official(조선전기 사대부)'. Writer of the work which corresponds to this is the male, but is speaking with the voice of the female. That is, this speaks with disguised voice with female. And so. expresses with resolutely of emotion. Three is AejeongSijo(애정시조) of 'the latter days of the Choseon Dynasty High Official(조선후기 사대부)'. These feature voice of narrator variety termination. In short, sating with borrows the voice of the female, or says does with the voice of the male. Namely, expresses various of emotion with voice of both sexes. This dissertation focus in the voice which calls the lover from the Sijo. And paid attention in relationship of narrator and emotion. Calling the lover situation is with his discontinuation at prerequisite. Therefore the voice is audible to under all sorrowfulness. But the sample result to analyze a text and concrete features according to situation all were confirmed as the something else.

      • KCI등재

        四時歌系시조의 맥락과 노·찾·사의 〈四季〉

        김상진(Kim, Sang-jean) 한국시조학회 2018 시조학논총 Vol.48 No.-

        본고는 고전과 현대의 엮어 읽기 방법의 하나로, 대중가요인 〈四季〉를 사사가계 시조의 맥락에서 파악하고자 하였다. ‘四時歌’란 사시의 순환을 노래한 작품으로, 우리나라 사시가계 시조는 맹사성의 〈강호사시가〉가 그 출발이다. 이후 19세기 위백규의 〈농가 구장〉에 이르기까지 면면히 창작되었고, 고시조의 소멸과 함께 사시가계 시조의 명맥도 끊어지게 되었다. 이후 1989년에 발표된 대중가요 〈사계〉는 시대와 장르, 향유층은 다르지만 작품의 구성과 내용 등은 사시가계 시조의 맥락을 계승하고 있어서 흥미롭다. 이에, 본고에서는 대중가요 〈사계〉를. 〈강호사시가〉를 중심으로 한 사시가계 시조의 맥락에서 고찰하였다. 이러한 대중가요 〈사계〉의 작품적 특성은 첫째, 四時의 순환, 엔딩의 반복, 후렴구의 삽입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것은 사시가계 시조의 전통을 계승, 또는 변용한 것으로 파악된다. 그런데 흥미로운 것은 사시가계 시조의 전통을 계승한 것은 물론, 그것의 변용 또한 사 시가로서의 구성과 의미를 견고히 하는데 일조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사시가계 시조의 중요한 특징은, 사시의 순환 질서로 표상되는 자연의 아름다움을 묘사하는 가운데 시대의 대표적 이념이나 현실적 상황을 노래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강호사시가〉가 노래하는 ‘君恩의 찬양’과 〈사계〉가 노래하는 ‘노동 현장의 고달픔’에는 상당한 거리가 있지만, 양자 모두 시대정신을 표현했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이로써 〈사계〉는 현대의 대중가요이면서 그것의 중심에는 고시조의 맥락을 수용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In this paper, I tried to grasp the popular song "Four Seasons" as one of the ways to read classical and modern texts. "Sasiga" means a work that sings the circulation of four seasons. The first Sasiga-line Sijo is the Mang Sa-seong"s 〈Ganghosasiga〉. It continued to be created until the 19th century. And with the extinction of Old-Sijo, it was cut off. Since then, the popular song 〈Four Seasons〉 released in 1989 is interesting because it has inherited the context of Sasiga-line Sijo even though the age, genre, and enjoyment are different. Therefore, in this paper, In the context of Sasiga-line Sijo centered on 〈Ganghosasiga〉. The characteristics of this popular song 〈Four Seasons〉 can be divided into ; cycles of four seasons, repeat of ending, insertion of refrain. It is understood that this inherited or changed the tradition of Sasiga-line Sijo. What is interesting, however, is not only the inheritance of Sasiga-line Sijo"s tradition, but also its transformation is also a part of solidifying the composition and meaning of Sasiga. An important feature of Sasiga-line Sijo is that it depicts the natural beauty represented by the cyclical order of the four seasons while singing the representative ideologies and realistic situations of the times. Therefore, although there are considerable distances to the "Praise of the king"s grace" and "the grimace of the workplace" in which the 〈Four Seasons〉 sings, both of them have the common point of expressing the spirit of the times. 〈Ganghosasiga〉 praised "grace of the king." And 〈Four Seasons〉 was pointed "out the pain of the workplace". Both of these things are very different, but they both have a common point in expressing the spirit of the times. This shows that 〈Four Seasons〉 is a contemporary popular song, but at the center of it accommodates the context of Old-Sijo.

      • KCI등재

        시조에 나타난 가을의 성격과 정서표현

        김상진 ( Sang Jean Kim ) 한국고시가문학회 2011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28

        이 논문은 시조에서 가을을 어떻게 노래하고, 또 정서적으로 어떻게 반응하는가에 대한 연구이다. 인간과 자연은 긴밀한 함수관계에 놓인다. 더욱이 농경사회에서는 그 친연성이 좀 더 강하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춘하추동의 四季를 노래하는 四時歌가 있어왔다. 본고에서는 사계 가운데서도 특별히 가을에 주목하였다. 그것은 가을이 지닌 특성으로 말미암는다. 즉 가을은 일 년 중에 가장 풍요로운 결실의 계절임과 동시에, 만물이 스러져가는 쇠락의 계절이기도 하다. 본고에서 논의의 초점은 크게 두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는 가을이 지니는 성격에 관한 것으로, 시조를 비롯한 동서고금의 문학에서 가을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느냐는 것이다. 그 결과 문학에서의 가을은 대략 ``결실의 계절과 ``쇠락의 계절``의 상반되는 모습으로 인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는 이러한 논의의 결과를 토대로 삼은 것으로, 그렇다면 이러한 가을을 시조에서 어떻게 정서적으로 반응하느냐는 것이다. 이것은 본고에서 논의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목표이기도 하다. 시조에 나타난 가을의 정서적 표현은 세 가지로 범주화 된다. 분출과 응축, 그리고 승화가 그것이다. 또한 여기에는 각각 興, 情恨, 無心의 대표적인 美感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각각의 항목을 본고에서는 ``흥으로 분출하기`` ``정한으로 응축하기`` ``무심으로 승화하기``로 명명하여 논의를 전개하였다. 이로써 시조에서 ``가을``을 어떻게 인식하고 또 그에 따라 정서적으로 어떻게 표현하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었다. This paper is the study of Sijo and autumn.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nature are closely. These relationship more is close from the cultivation society. So, our country from old days created Sasiga(四時歌). Sasiga means that Spring, summer, autumn and winter singing poet. This paper, especially in the autumn of the midst of the four seasons were noted. Because the autumn having the special character. Namely, autumn is ``season of harvest`` and at the same time ``season of extinction`` The focus of this paper is the two. First, the autumn is on the nature of the identification. In other words, Sijo and from of literature all ages and countries is the how to recognize an autumn. As a result, the autumn of ``season of harvest`` and ``season of extinction`` were perceived to be contradictory. The second is Sijo emotional expressions about autumn. And this is the specific goal of this paper. The emotional expression of the autumn when appears in Sijo, as the category with three. It is vent, condensation and sublimate. And to here, respectively exists on the sense of beauty. That is to say, merriment[興], sorrow[情恨], smoothable-mind[無心]. In the paper they were named as ``Vent of Merriment``. So I could understand that Sijo sure how to recognize and how to express emotions in the autumn.

      • KCI등재

        李鍾應의 〈셔유견문록〉에 나타난 서구 체험과 문화적 충격

        김상진(Kim Sang-jean) 우리문학회 2008 우리文學硏究 Vol.0 No.23

        이 논문은 20세기 초엽인 1902년에 지어진 이종응의 〈셔유견문록〉에 대한 고찰이다. 사행가사 가운데 한 작품인 〈셔유견문록〉은 현전 최초이자 유일의 세계 기행가사라는 문학사적 의미를 지닌다. 또한 18,19세기 사행가사의 특성을 변용, 수용함으로써 사행가사의 맥을 20세기까지 이어간다는 의미도 동시에 지닌다. 작자 이종응은 1902년에 영국 에드워드 7세의 대관식에 조선 축하 사절단의 일원으로 참석하기 위해 영국에 가게 되었다. 목적지인 영국에 이르고 다시 조선으로 돌아오는 과정 동안 작자일행은 일본, 미국, 캐나다, 이탈리아, 인도 등, 십 여 개국의 나라를 여행하게 된다. 〈셔유견문록〉은 이들 나라에서 경험하게 되는 이국적인 풍물 및 낯선 체험을 노래한 가사 작품이다. 본고에서는 논의의 전개를 위하여 작품을 내용에 따라 서사ㆍ본사ㆍ결사로 나누었다. 내용을 추찰함에 있어서는 사행을 떠나는 작자의 심경을 살펴보고, 작자가 해외기행에서 경험한 선진 문물의 체험 및 문화적 충격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선진 문물의 체험과 문화적 충격은 선진화된 교통수단, 화려하고 경이로운 경물, 낯설고 이국적인 인물과 풍물로 구체화 된다. 작자는 서구의 선진 문화에 강한 호기심을 보이는데, 이는 궁극적으로 조선의 근대화의 열망으로까지 이어지게 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고찰하였다. This dissertation is the Lee, Jong-eung's(이종응) 〈Seoyukyonmunrok〉 (서유견문록). 〈Seoykyonmunrok〉 was the created in 1902. And, this work is the first and the only World-wide travel Kasa(세계기행가사), it keeps literature meaning. Also 〈Seoyukyonmunrok〉 was transfigured and accommodated the 18, 19th centuries official travel Kasa (사행가사), and it is until 20th century and goes also meaning keeps simultaneously. Lee, Jong-eung at 1902, which the coronations of Edward Ⅶ in Great Britain attends with the member of the congratulation delegation. It reaches to Great Britain which is a destination again the writer company during the process which returns with the Chosun(조선) travels and Japan, the United States, Canada and Italy, the India etc, about ten countries. 〈Seoyukyonmunrok〉 was song, it is experienced from these countries are the natural features and strange experience. It saw from, for the development of discussion it follows the work in contents, prologue(서사), the main subject(본사), an epilogue(결사). And, it leaves a traveled mind of the writer. Subsequently, it discussed was a culture shock of the advanced civilization which the writer experiences from the overseas travelogue. The experience and culture shock of advanced civilization, the mean of transportation which becomes advanced anger, are gorgeous and the fortune scenery, it is strange with wondering and this nationality it is materialized with the people and the natural features. The writer the place where it is visible a strong curiosity in advanced culture of the West Europe, it is joined together ultimately with until ardent wish of modernization of the Chosun.

      • KCI등재

        〈셔유견문록〉에 나타난 서양(西洋), 그 열망의 공간

        김상진 ( Sang Jean Kim ) 한국언어문화학회 2010 한국언어문화 Vol.0 No.43

        〈Seoyukyonmunrok〉 is the World-wide travel kasa(세계기행가사) which the Lee, Jong-eung(이종응) created in 1902. Lee, Jong-eung attended with the congratulation visitor who at 1902 was official at coronation of Edward Ⅶ in Great Britain. Therefore, 〈Seoyukyonmunrok〉 is the ``Official travel kasa`` (사행가사). In short, 〈Seoyukyonmunrok〉 was transfigured and accommodated the 18~19th centuries official travel kasa, and it is until 20th century and goes also meaning keeps simultaneously. This research put an importance in the fact which is a ``literature of space``. Namely, experience an advanced civilization from the West, aspirations it how, will research. This dissertation divided it with three kind. First is startling about speed. The second is the desire for the majesty of advanced civilization. Third is, the paradoxical intention of savage civilization. And so, this contents with format is relationship. If it represent the speed of the fast is fast-paced as formal. Express the splendor that was described in detail. To praise the beauty of the West in detail were described. If it represent savage civilization, and a simple description of the writer`s feelings were expressed. However, the writer is aspirations to Western civilization, and not the Western world. In other words, the objective is to modernize the homeland. This is, after returning to the life of the author was able to revie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