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제1차 교육과정기 음악과 교과서 연구(1) - 서지 사항을 중심으로 -
김상은 한국음악교육학회 2010 음악교육연구 Vol.39 No.-
본고는 제1차 교육과정기(1955∼1963) 중학교 음악과 교과서의 실태파악과 서지사항 확인 및 내용 구성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고가 규명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도서관 소장 목록과 실제 소장지의 확인 2) 도서관의 통폐합 등으로 소장지를 알 수 없었던 교과서의 소장지 확인 3) 교과서의 발행 실태 규명 4) 10년 이상 사용한 교과서임에도 불구하고 출판사에 따라서는 한 권도 남아있지 않은 교과서의 문제 지적 및 원인 확인 5) 같은 내용의 교과서가 복수 출판사에서 발행된 문제점 지적 및 원인 고찰 6) 서기력 사용이 늦어진 이유 7) 교육과정 개정 없이 제재곡이 개정된 문제점 지적 8) 교과용 도서 출판을 엄격하게 관리했음에도 불구하고 체재나 표지가 바뀌는 문제 9) 교과서 서지 사항 및 출판사 별 내용 구성 등을 약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제1차 교육과정기의 교과서 출판 상황을 보충함으로써 음악과의 흐름을 알 수 있게 되어 교과서 연구나 정확한 정보 공개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되었다. 다만, 교과서가 발견되지 않은 수문각 교과서가 발견되어 완전한 연구가 되기를 기대한다.
가톨릭의 성 요셉 경배 문화의 맥락에서 살펴본 엘 그레코의 <성 요셉과 그리스도>
김상은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9 美術史學 Vol.- No.37
El Greco (1541-1614) created St. Joseph and Christ Child (1597-99) at the end of the sixteenth century, as he was commissioned to design the main altarpiece of the chapel of San José in Toledo by the Ramírez family.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conographic meaning and the religious and social function of the painting in the context of the devotional culture to St. Joseph in the sixteenth century Spain. In St. Joseph and Christ Child , El Greco described the ‘Joseph walking with the Christ Child’, which was the new iconography appeared in the fifteenth century. In the fifteenth century the devotion to saint Joseph was officially approved as theologians asserted that he played an indirect but critical role in salvation by protecting and bringing up the Christ. That is represented in El Greco’s painting through young and vigorous Joseph intimate with Christ Child. Furthermore, the saint with a shepherd’s crook guides travel for the Child leading to Passion and Sacrifice, that is, to the redemption of men. Above his head angels as messengers from heaven crown him the laurel wreath and the wreath of roses, which signify rewards and privileges derived from the virtue of Joseph. The iconographic interpretation coincides closely with the purpose of the chapel of San José, a funerary chapel of which the primary function was to bury ancestors of the Ramírez family and to celebrate the Mass for the dead. Thus the entire retable program is based on the doctrine of purgatory, which indicates the family’s wish for complete penance and salvation. In this context, Joseph in the St. Joseph and Christ Child is an example of an act of charity for the patron family, and his paternity of Christ demonstrates the prominent intercessory ability between men and God. This altarpiece was deeply connected with the Mass as the main altarpiece of the chapel. Jesus wearing the red robe at the bottom was supposedly to help the congregation to meditate on the Real Presence of Christ as a visual emphasis on the Eucharist. El Greco also designed the painting to help the prayers led to contemplation through its dual structure, optically leading upwards from the physical description of view of Toledo at the bottom to the metaphysical light and clouds with angels at the top. The preeminence of the chapel as the first foundation dedicated to saint Joseph, moreover, symbolizes the family’s desire to present pride and legitimacy for the city as the old Christian. It is suggested, consequently, that El Greco intended the St. Joseph and Christ Child to conduct both a religious function promoting the intercessory prayer for the patron family’s penance and salvation in the Mass for the dead, and a social function consolidating their status in social community. 반종교개혁시기 스페인의 대표적인 화가 엘 그레코(El Greco, 1541-1614)의 <성 요 셉과 그리스도 St. Joseph and the Christ Child >(1597-99)는 엘 그레코가 스페인 톨레 도(Toledo)에 정착해 활발하게 활동하던 시기 제작되었다. 스페인에서 최초로 세워진 톨레도의 성 요셉 교회(Chapel of San José) 설립자인 라미레스 가문은 1597년 엘 그레 코에게 교회의 중앙제단화와 양쪽의 측면제단화를 주문했고, 이에 따라 엘 그레코는 <성 요셉과 그리스도>를 포함한 일련의 제단화 프로그램을 1599년 완성했다. 본 논문 은 이전까지의 연구에서 부족했던 도상학적 해석을 보충하고, 나아가 작품의 의미와 주문자의 의도를 반종교개혁시기 스페인의 성 요셉 경배 문화의 맥락에서 해석하는 것 을 목적으로 한다. 엘 그레코는 <성 요셉과 그리스도>에서 ‘걸어가는 성 요셉과 그리스도’라는 당대의 새로운 도상을 통해 성 요셉의 위상을 반영했다. 가톨릭에서 성 요셉은 15세기에 이르 러서야 가톨릭의 공식적인 성인으로 인정받았는데, 종교적인 재해석과 사회적 상황이 맞물려 그리스도를 보호하고 양육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인류의 구원을 돕는 인물로 여겨졌다. 작품에서 표현된 두 인물의 친밀함과 젊고 건장한 요셉의 묘사는 그리스도의 양부로서 성가족을 보호하는 소명을 맡았던 요셉의 역할을 상징한다. 어린 그리스도와 의 여행에서 방향을 지시하는 모습은 그가 구원을 위해 필수적인 수난과 희생의 길로 예수를 인도하는 중요한 인물임을 표상한다. 보상과 특권의 표상인 월계관과 장미화관을 전달하는 천사들은 하느님의 전령으로서 요셉의 위대함을 정당화한다. 이러한 도상학적 해석은 작품이 중앙제단화로 설치되어 있는 교회의 목적과 적절하게 부합한다. 성 요셉 교회는 톨레도의 라미레스 가문의 매장과 위령 미사를 위한 장례 교회였다. 따라서 죽은 자의 완전한 보속과 구원을 기원하는 연옥 교리를 바탕으로 하 며, 이때 성 요셉은 신도들의 모범이자 기도를 전달하는 중재자이다. 따라서 이 작품은 교회의 미사와도 깊이 관련되어 있다. 작품 하단에 붉은 옷을 입은 그리스도는 성체성사에 대한 시각적인 강조로서 관람자가 예수 임재에 대해 묵상하는 데 도움을 주었을 것으로 보인다. 톨레도의 배경이 묘사된 물리적인 지상의 영역에서 형이상학적인 빛이 새어나오는 비(非)물리적인 천상의 영역으로 상승하는 수직적인 이중 구조는 명상에 서 관상으로 도달하기 위한 영적 기도의 과정과 유사하다. 나아가 작품의 주문자 라미 레스 가문은 자신들의 사회적 위상을 과시하기 위해 성 요셉 교회에 상징성을 부여했 다. 정통 가톨릭 가문으로 인정받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고 있었던 그들은 요셉에게 헌정된 첫 번째 교회로서의 상징성을 통해 명예를 드러내고자 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중앙제단화로 설치된 <성 요셉과 그리스도>에서 톨레도를 배경으로 현현한 요셉과 그리스도의 모습은 이를 뒷받침한다. 이처럼 엘 그레코의 <성 요셉과 그리스도>는 당대의 성 요셉 경배 문화의 전개에 따 른 가톨릭 교리를 충실하게 담고 있으며, 위령 미사에서 보속과 구원을 위해 기도의 중재를 돕는 종교적인 기능은 물론 도시에서 정통 가톨릭 가문으로서 지위를 공고히 하고자 했던 주문자의 의도 역시 충족시키도록 고안되었다고 하겠다.
1950~1970년대 서울의 하수도 사업과 청계천하수처리장
김상은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25 서울학연구 Vol.- No.98
본 연구는 1945년부터 1970년대까지 서울시 하수도 행정 및 하수도법의 변화 와 관련 제도를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우리나라 최초의 하수처리장이 계획되었 음을 짚고 어떤 과정을 거쳐 준비되고 완공되었으며 이후의 변화는 무엇이었는 지 고찰하였다. 광복 이후 서울의 하수도 사업은 정치적 혼란과 재정 문제로 기존 시설을 유 지·보수하기도 어려운 실정이었다. 6·25전쟁의 휴전 이후 전쟁 복구를 위한 각 종 원조에 힘입어 서울시의 건설 사업과 하수도 관련 사업이 진행되었다. 1950 년대 서울시 하수도는 관거와 맨홀, 오수받이와 같은 부속 설비 위주로 시설되 었고, 하수도를 구성하는 시설은 배수펌프장, 하수처리장은 존재하지 않았다. 6·25전쟁의 복구공사가 마무리되면서 점차 수도의 면모와 도시의 기능을 일신 하는 하수도 개수사업으로 나아갔다. 1960년대에 이르러 하수도와 관련한 법제들이 마련되었다. 그중에서도 하수 도법은 다양한 법률에 분산 규정되어 있던 하수도에 관한 사항을 모아 규정한 우 리나라 최초의 하수도법이었다. 한편 하수도법이 마련되는 과정은 1960년대 서 울시가 하수도 사업과 하수 행정을 발전시켜 나가는 과정과 맞물려 진행되었다. 1962년 서울시는 하수처리장 건설을 검토하여 청계천하수처리장 건설계획을 마 련하였고 이 계획은 하수도법안 상정에도 영향을 끼쳤다. 서울시의 청계천하수처리장 건설 사업은 미국 정부의 AID 개발차관을 받아 진행되었다. 청계천하수처리장의 건설 과정은 주변 시설의 건설과 하천 및 도시환경 정비에도 영향을 끼쳤다. 서울시의 두 번째 하수처리장이 청계천하수처리 장 인근에 착공되었고, 서울시 일반 가정의 변소개량이 추진되어 하수 처리와 하 수도망의 정비가 도모되었다. 청계천하수처리장의 완공 이후 서울시 하수 행정 은 체계적으로 정립되어 갔다. 서울시 하수국과 종합종말처리사업소가 신설되어 도시 정비의 효율성을 높이며 환경오염 방지 정책을 수립하였다. 또한 서울시의 하수 행정은 나아가 국가 차원의 하수 처리 계획과 실행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데에도 기여했다. This study looked at changes in Seoul’s sewer administration and sewerage laws and related systems from 1945 to the 1970s. And in this process, the background of the con- struction of the Cheonggyecheon Sewage Treatment Plant and the changed appearance were considered. In the 1950s, Seoul’s sewage system was poorly installed, and sewage treatment plants did not exist. With the completion of the restoration work of the Korean War, the sew- erage repair project gradually changed the face of the capital and the function of the city. By the 1960s, laws related to sewage systems were established. Among them, The Sewerage Act was the first sewage law in Korea to collect and stipulate matters related to sewage systems that were distributed in various laws. On the other hand, the process of preparing The Sewerage Act was carried out in conjunction with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development of sewer-related projects and administration in the 1960s.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as set up a plan to build a Cheonggyecheon Sewage Treatment Plant to prevent water pollution and improve the urban environment. And this project could be carried out with the US government’s AID development loan.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Cheonggyecheon Sewage Treatment Plant, the latrines of general households in Seoul were improved. Since the completion of the Cheonggye- cheon Sewage Treatment Plant, the environment around the sewage treatment plant has improved. And the sewage administration in Seoul was systematically established. In ad- dition,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sewage administration has further contrib- uted to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sewage treatment at the national level.